KR200146713Y1 - 맛사지 겸용 샤워기 - Google Patents

맛사지 겸용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13Y1
KR200146713Y1 KR2019970002203U KR19970002203U KR200146713Y1 KR 200146713 Y1 KR200146713 Y1 KR 200146713Y1 KR 2019970002203 U KR2019970002203 U KR 2019970002203U KR 19970002203 U KR19970002203 U KR 19970002203U KR 200146713 Y1 KR200146713 Y1 KR 200146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hole
su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886U (ko
Inventor
김용균
Original Assignee
김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균 filed Critical 김용균
Priority to KR2019970002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1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61H9/0028Hand-held devices for spraying and removing liquid while moved on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1Pneumatic massage by localized pressure, e.g. air stream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샤워기능과 함께 샤워기의 전면중앙에서 흡입된 공기로 방사형태의 에어 물기둥을 분출시켜 피부 맛사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에 물줄기로 피부를 때려 피부 맛사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물줄기로 피부에 압력을 가하는 것 만으로는 기대하는 만큼의 맛사지 효과를 볼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물을 분사시키는 샤워기 헤드에서, 물을 물기둥 형태로 분출시킬 때 샤워기 헤드의 전면중앙에 형성된 흡입공에서 흡입돌기로 공기가 흡입되게 한 후 흡입된 공기를 흡입공의 주변에 방사형태로 배열시킨 배출돌기로 배출시키되 배출돌기가 끼워진 배출공으로 물기둥을 분출시켜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공에서 물기둥 내부를 따라 분출되게 하므로써 샤워기에서 에어 물기둥이 분출되어 물기둥과 에어 기둥에 의한 이중의 맛사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흡입공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피부가 흡입되어 이중의 맛사지 효과를 보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맛사지 겸용 샤워기
본 고안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샤워기능과 함께 에어 물기둥을 분출시켜 피부 맛사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특히 샤워기 헤드의 전면중앙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방사형태로 분출되는 물기둥 내부로 분출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샤워기에서 통상적인 샤워기능 이외에 피부 맛사지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은 물줄기를 굵게 분출시키되 분출되는 물줄기가 3군데 정도로 분출되게 하는 한편 3군데에서 돌아가며 물줄기를 분출시킴으로써 물줄기에 의한 피부 맛사지 효과를 보도록 되어있다.
상기된 기존 샤워기는 물줄기로 피부를 때려 피부 맛사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물줄기의 분출위치를 바꾸어 가며 물줄기만으로 피부에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는 기대하는 만큼의 맛사지 효과를 볼 수 없었으며 욕조내의 물속에서 샤워기를 사용할 경우 맛사지 효과를 볼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샤워기에서 내부에 공기기둥이 형성된 에어 물줄기를 분출시켜 수압과 공기에 의한 피부 맛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물속에서도 피부 맛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샤워기에서 물기둥을 분출시킬 때 샤워기 헤드의 전면중앙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방사형태로 분출되는 물기둥 내부로 분출시킴으로써 물기둥 내부에 공기기둥이 형성된 에어 물기둥이 분출되도록 하는 한편 물속에서는 공기 대신 다량의 물이 유입되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물을 분사시키는 샤워기 헤드에서, 물을 물기둥 형태로 분출시킬 때 샤워기 헤드의 전면중앙에 형성된 흡입공에서 흡일돌기로 공기가 흡입되게 한 후 흡입된 공기를 흡입돌기 주변에 방사형태로 배출된 배출돌기로 배출시키되 배출돌기가 끼워진 배출공으로 물기둥을 분출시켜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공에서 물기둥 내부를 따라 분출되게 하므로써 샤워기 헤드에서 공기기둥이 포함된 물기둥 즉 에어 물기둥이 방사형태로 분출되고 샤워기 헤드 중앙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물기둥과 에어기둥에 의한 이중의 맛사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흡입공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피부가 흡입되어 이중의 맛사지 효과를 보게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에어 물기둥 분출시의 단면도.
제3도은 본 고안의 샤워 분출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물조절구 회전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물조절구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물조절구 저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물공급구 평면도.
제8도은 본 고안의 일부절결 조립도.
제9도는 본 고안의 흡입유도구가 결합된 상태의 덮개 저면도.
제10도은 본 고안의 샤워기 사용시 피부이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11 : 결합공
20 : 물공급구 21 : 삽입돌기
22,23 : 유도공 24 : 조절홈
26 : 원통패킹 27 : 스프링
28 : 나사공 30 : 물조절구
32 : 결합홈 35-38 : 조절공
39 : 스톱퍼 40 : 볼트
50 : 샤워구 60 : 흡입유도구
61 : 흡입돌기 62 : 배출돌기
70 : 덮개 71 : 흡입공
72 : 배출공 74 : 유도공
본 고안은 샤워기 헤드(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물 공급구(20)와 물 조절구(30)를 순차적으로 끼운 후 볼트(40)를 물 공급구(20)의 나사공(28)에 끼워 물 공급구(20)와 물 조절구(30)를 헤드(10)에 고정시키며 물 조절구(30)에 샤워구(50)를 끼우되 물 조절구(30)의 내측으로 전면중앙으로 흡입돌기(61)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 방사형태로 배출돌기(62)가 다수개 형성된 흡입유도구(60)를 끼운 후 상기 흡입유도구(60)의 전면에 중앙으로 흡입공(71)이 뚫리고 그 주위에 방사형태로 배출공(72)이 다수개 뚫리며 배면으로 유도공(74)이 형성된 덮개(70)을 끼워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헤드(10)는 내측으로 물이 공급되는 결합공(11)을 형성시키고 결합공(11)내측으로는 물 공급구(20)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12)를 형성시킨다.
헤드(10)의 나사(12)에 끼워지는 물 공급구(20)는 내측 중앙에 나사공(28)이 뚫린 삽입돌기(21)를 형성시키고 결합공(11)에 공급된 물이 흐르게 되는 유도공(22)(23)을 대칭되게 뚫어주는 한편 표면에 조절홈(24)을 구비시킨다.
또한 물 공급구(20)의 외측으로는 나사(25)를 형성시키고 유도공(22)(23)에는 스프링(27)으로 탄지된 원통패킹(26)을 끼우되 원통패킹(26)의 내부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게 한다.
삽입돌기(21)에 끼워지고 물 공급구(20)위에 결합되는 물 조절구(30)는 삽입돌기(21)가 끼워지는 삽입공(31)을 형성시키는 한편 삽입공(31)내측으로 나사(33)를 형성시키고 삽입공(31)과 외측사이에 샤워구(50)가 끼워지는 결합홈(32)을 형성시키며 외측으로는 돌기(34)를 주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물 조절구(30)의 하측으로는 물 조절구(30)의 결합시 헤드(10)사이로 누수가 되지 않게 하는 패킹(a)을 끼우게 된다.
볼트(40)는 물 조절구(30)의 삽입공(31)내측으로 돌출되게 조립된 삽입돌기(21)의 나사공(28)에 와셔(41)와 함께 결합되어 헤드(10)에 결합된 물 공급구(20)에 물 조절구(30)를 조립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물 조절구(30)의 하부에는 스톱퍼(39)가 결합되고 상기 스톱퍼(39)는 물 공급구(20)의 조절홈(24)에 끼워진 채로 조립되며 물 조절구(30)는 볼트(40)로 고정된 상태에서 스톱퍼(39)가 조절홈(24)을 타고 좌,우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된다.
물 조절구(30)의 결합홈(32)에는 샤워구(50)가 끼워지고 물 조절구(30)의 삽입공(31) 내측으로 흡입 유도구(60)가 끼워지며 여기서 흡입유도구(60)는 전면중앙에 흡입돌기(61)가 돌출 성형되고 그 주변으로 다수개의 배출돌기(62)를 방사형태로 형성시키는 한편 하측에는 패킹(b)이 끼워져 물 조절구(30)사이의 수밀을 보장한다.
이때 흡입돌기(61)와 배출돌기(62)는 내부적으로 서로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돌기(61)와 배출돌기(62)는 덮개(70)의 흡입공(71)과 배출공(72)에 끼워지며 흡입공(71)은 중앙에 위치되고 배출공(72)은 그 주변에 방사형태로 위치된다.
덮개(70)에는 나사(73)를 형성시켜 물 조절구(30)의 나사(33)에 결합되면서 흡입유도구(60)를 고정시키게 되며 덮개(70)의 하측으로는 물 조절구(30)에서 공급된 물을 배출돌기(76) 주위로 공급하기 위한 유도공(74)이 형성된다.
물 조절구(30)의 저면에는 4개의 조절공(35)(36)(37)(38)을 관통되게 뚫어주되 각각의 조절공(35)(36)(37)(38)은 90°각도로 배치되게 하고 상호 대향된 위치의 조절공(35)(37)은 삽입공(31)쪽으로 관통되고 조절공(36)(38)은 결합홈(32)쪽으로 관통되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C는 누수방지용 패킹이다.
이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헤드(10)의 결합공(11)외주연에 형성시킨 나사(12)에 물 공급구(20)의 나사(25)를 결합시켜 헤드(10)에 물 공급구(20)를 고정시키되 물 공급구(20)의 유도공(22)(23)에는 스프링(27)으로 탄지시킨 원통패킹(26)을 끼운 후 물 조절구(30)의삽입공(31)에 물 공급구(20)의 삽입돌기(21)를 끼운다.
이때 물 조절구(30)의 스톱퍼(39)가 물 공급구(20)의 조절홈(24)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하는 한편 원통패킹(26)은 물 조절구(30)의 몸체의 의해 밀리도록 한다.
여기서 물 공급구(20)의 유도공(22)(23)이 180° 위치로 설치되고 물 조절구(30)의 조절공(35)(36)(37)(38)이 90° 위치로 설치되므로 스톱퍼(39)가 조절홈(24)의 중앙위치에 놓이면 유도공(22)(23)과 조절공(35)(36)(37)(38)이 일치되지 못하고 스톱퍼(39)가 조절홈(24)의 좌, 우측에 놓이며 유도공(22)(23)과 조절공(35)(37) 또는 유도공(22)(23)과 조절공(36)(38)이 일치되게 된다.
물 조절구(30)의 삽입공(31)내측으로 끼워진 삽입돌기(21)의 나사공(28)에는 와셔(41)기 끼워진 볼트(40)를 끼워 조립하되 물 조절구(30)는 90°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물 조절구(30)의 결합홈(32)에 샤워구(50)를 끼우고 물 조절구(30)의 삽입공(31)내측으로 흡입 유도구(60)를 끼운 후 흡입 유도구(60)의 외측에서 흡입돌기(61)와 배출돌기(62)가 각각 흡입공(71)과 배출공(72)에 끼워진 상태로 덮개(7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덮개(70)는 나사(73)가 물 조절구(30)의 나사(33)와 결합되므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물 조절구(30)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스톱퍼(39)가 조절홈(24)에서 제6도와 같이 위치되게 회전시키면 물 공급구(20)의 유도공(22)(23)상부에 물 조절구(30)의 조절공(36)(38)이 위치하게 되어 헤드(10)로 공급된 물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구(20)의 유도공(22)(23)에 끼워진 원통패킹(26)과 물 조절구(30)의 조절공(36)(38)을 통하여 물 조절구(30)의 결합홈(32)쪽으로 분출되며 결합홈(32)으로 분출된 물은 샤워구(50)의 분사홈(51)을 통하여 제3도와 같이 분출되므로써 샤워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는 반대로 물 조절구(30)를 좌측으로 90°회전시키면 스톱퍼(39)가 상기와는 반대위치에 놓이게 되고 이때는 물 공급구(20)의 유도공(22)(23)상부에 물 조절구(30)의 조절공(35)(37)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10)로 공급된 물은 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구(20)의 유도공(22)(23)에 끼워진 원통패킹(26)과 물 조절구(30)의 조절공(35)(37)을 통하여 물 조절구(30)의 삽입공(31)쪽으로 분출된다.
물 조절구(30)의 삽입공(31)으로 분출된 물은 덮개(70)의 유도공(74)으로 유입되어진 후 흡입 유도구(60)의 배출돌기(62)외부로 유입되게 되며 배출돌기(62) 주위로 유입된 물은 배출공(72)을 통하여 분출되게 되고 이때 덮개(70)의 배출공(72)과 배출돌기(62)의 삽입위치에 따라 물줄기는 가운데가 빈상태로 분출되게 된다.
배출공(72)으로 물이 분출되면 배출공(72)내부에 끼워진 배출돌기(62)의 선단기압이 떨어지고 이때의 기압차에 의한 공기가 흡입공(71)에 끼워진 흡입돌기(61)로 흡입되고 흡입돌기(61)로 흡입된 공기는 배출돌기(62)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며 배출돌기(62)로 배출된 공기는 배출공(72)으로 분출된 물줄기 안에서 공기기둥을 형성하게 되어 피부에는 공기기둥을 둘러싼 물기둥이 닿게되고 이에 따라 피부 맛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워기 헤드(10)를 피부에 거의 밀착시키면서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방사형태로 배열된 배출공(72)하부에 위치되는 피부(S)는 에어 물기둥에 의해 B 와 같이 압박되고 중앙에 형성된 흡입공(71)하부에 위치되는 피부(S)는 공기흡입에 의해 C 와 같이 돌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써 헤드(10)이송시 B,C 방향으로의 피부이완에 따른 맛사지 효과도 나타난다.
이러한 샤워기를 공기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물속에서 사용할 경우는 배출공(72)으로 물기둥을 분사시키는 한편 흡입돌기(61)로 물이 흡입되어 배출돌기(62)로 배출되므로 배출공(72)으로 배출되는 수압이 커지게 되어 더욱 맛사지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물 조절구(30)의 스톱퍼(39)를 제7도와 같은 상태로 놓이게 물조절구(30)를 회전시키면 물 공급구(20)의 유도공(22)(23)이 조절공(35)(36)(37)(38)과 일치하지 않고 조절공(35)(36)(37)(38)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헤드(10)로 공급된 물은 샤워구(50) 또는 덮개(60)를 통하여 분출되지 않고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샤워기의 물 조절구(30)를 회전시킴에 따라 물의 공급을 단속시킬 수 있다.
샤워기에서 일정두께의 물기둥을 방사형태로 피부에 분출시키되 물기둥 내부에 샤워기 헤드의 전면중앙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기둥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물기둥과 함께 공기기둥이 피부에 접촉되어 피부 맛사지 효과를 볼 수 있는 한편 물속에서의 사용시 흡입돌기로 다량의 물이 유입되어 분출되므로 물속에서도 맛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물이 내부로 공급되고 물 공급구(20)가 나합되는 결합공(11)이 형성된 헤드(10)와, 결합공(11)에 나합되며 물이 흐르는 통로인 유도공(22)(23)이 대칭적으로 뚫리고 조절홈(24)이 형성되며 중앙에 나사공(28)이 뚫린 삽입돌기(21)를 형성시킨 물 공급구(20)와, 물 공급구(20)의 삽입돌기(21)에 끼워져 볼트(40)로 결합되며 유도공(22)(23)과 일치되는 조절공(35)(36)(37)(38)이 뚫리는 한편 조절홈(24)에 끼워지는 스톱퍼(39)가 하부에 형성된 물 조절구(30)와, 물 조절구(30)의 결합홈(32)에 끼워지고 외측으로 분사홈(51)이 형성된 샤워구(50)와, 물 조절구(30)의 내측에 끼워지고 샤워기 전면중앙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방사형태로 배출시키며 물을 공기 배출구멍인 배출돌기(62) 주위로 배출시키는 흡입유도구(60)와, 흡입 유도구(60)를 물 조절구(30)내측에 결합 고정시키고 전면중앙에 공기 흡입공(71)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방사형태로 공기 배출공(72)이 형성된 덮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겸용 샤워기.
  2. 청구항 1에서, 흡입 유도구(60)는 전면중앙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돌기(61)를 돌출 형성시키고 그 주위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돌기(62)를 방사형태로 다수개 돌출 성형시키되 상기 흡입돌기(61)와 배출돌기(62)는 내부적으로 관통시켜 흡입돌기(61)에서 흡입된 공기가 배출돌기(62)로 배출되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맛사지 겸용 샤워기.
  3. 청구항 1에서, 덮개(70)는 중앙에 흡입 유도구(60)의 흡입돌기(61)가 끼워지는 흡입공(7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71) 주변에 흡입 유도구(60)의 배출돌기(62)가 끼워지는 배출공(72)이 방사형태로 다수개 형성되며 배면에 물 조절구(30)로 공급된 물을 관통시키는 유도공(74)을 다수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겸용 샤워기.
KR2019970002203U 1997-02-10 1997-02-10 맛사지 겸용 샤워기 KR200146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203U KR200146713Y1 (ko) 1997-02-10 1997-02-10 맛사지 겸용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203U KR200146713Y1 (ko) 1997-02-10 1997-02-10 맛사지 겸용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886U KR19980057886U (ko) 1998-10-15
KR200146713Y1 true KR200146713Y1 (ko) 1999-06-15

Family

ID=1949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203U KR200146713Y1 (ko) 1997-02-10 1997-02-10 맛사지 겸용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19B1 (ko) 2006-11-15 2007-09-28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안마 샤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19B1 (ko) 2006-11-15 2007-09-28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안마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886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506B1 (en) Spray gun head with dual air ports & a diverter bushing
KR200146713Y1 (ko) 맛사지 겸용 샤워기
KR200146712Y1 (ko) 맛사지 겸용 샤워기
KR100199182B1 (ko) 맛사지 겸용 샤워기
JP2688346B2 (ja) 按摩機能を有するシャワー器
JP6754508B1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230103828A (ko) 샤워기
JP4291814B2 (ja) ジェット噴射装置
KR910008467Y1 (ko) 분류노즐 어태치먼트
KR200425310Y1 (ko) 절수장치를 갖춘 샤워기
KR200168476Y1 (ko) 샤워헤드
KR200440850Y1 (ko) 물분사를 통한 마사지장치
KR200220273Y1 (ko) 샤워기 헤드
JPH1071344A (ja) 噴霧用ノズル構造体
KR100258317B1 (ko) 샤워기 분사구조
KR930006309Y1 (ko) 물 분사장치
KR102604374B1 (ko) 샤워기용 나선형 분출수 노즐 구조
US7434277B1 (en) Fluid flow system
KR920003811Y1 (ko) 분류용 복합노즐
KR20020081848A (ko) 샤워기
JPH0542823Y2 (ko)
KR200376740Y1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JPH1147645A (ja) エアー併用型エアレスガン
JPH056986Y2 (ko)
KR200173876Y1 (ko) 샤워기의 물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