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11Y1 - 분류용 복합노즐 - Google Patents

분류용 복합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11Y1
KR920003811Y1 KR2019880020618U KR880020618U KR920003811Y1 KR 920003811 Y1 KR920003811 Y1 KR 920003811Y1 KR 2019880020618 U KR2019880020618 U KR 2019880020618U KR 880020618 U KR880020618 U KR 880020618U KR 920003811 Y1 KR920003811 Y1 KR 92000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t
hot water
hole
inlet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565U (ko
Inventor
도시오 미끼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끼
미끼야 하루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끼, 미끼야 하루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끼
Publication of KR89001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류용 복합노즐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분류용 복합노즐을 가요관과의 결합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단면도.
제3도는 제1도를 분출면측에서 본 정면도.
제4도는 본 실시예의 복합노즐을 장비한 분류용 어태치먼트의 정면도.
제5도는 본 실시예의 복합노즐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노즐 30 : 전환밸브
31a : 유입구 38 : 제트분출구멍
41 : 샤워분출구멍 44 : 공기도입구멍
본 고안은 탕수를 입욕하는자를 향해서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워분류와 제트분류를 전환 가능하게 한 복합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즐은 탕수를 소요의 압력으로서 욕중에 분출시키고, 이 분출류로서 입욕자의 피부를 자극하여 욕중마사지를 행하는 것으로, 노즐과 펌프가 공통의 하우징속에 들어있고 욕조의 탕수내에 침지 배치되는 형식의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노즐은 샤워분류밖에 할 수 없는 것이므로 공기를 탕수에 혼합시켜서 분출시킬수는 없으며 마사지 효과가 적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인데, 그 목적은 욕자가 취향에 따라서 샤워분류와 제트분류를 선택해서 마사지와 샤워의 양쪽의 기능을 받을 수가 있는 분류용 복합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은 탕수의 유입구와 탕수의 분출면을 가지며 그 분출면측에 샤워분출구멍과 제트분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내부에 상기 샤워분출구멍과 유입구를 연통하는 제1유통로와, 제트분출구멍과 유입구를 연통하는 제2유통로가 구획되어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제1유통로와 제2유통로로 나누어지는 분기위치에는 유입구로부터의 탕수를 제1유통로와 제2유통로로 전환하는 전환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제2유통로에는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도입구멍이 있어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본 고안의 분류용 복합노즐은 예컨대 수동 동작에 의해서 전환밸브를 조작하여 유입구에서 공급되는 탕수를 제1유통로로 도입하면, 탕수는 제1유통로를 통하여 샤워분출구멍에서 샤워분류가 되어서 욕조내의 소망하는 장소에서 분출된다. 이에 대해서, 전환밸브를 제2유통로로 전환시키면 탕수는 제2유통로를 통과할 때 공기 도입구멍으로부터 공기를 이젝터 효과에 의해서 도입하여 공기와 탕수와의 혼합류가 제트분출구멍으로부터 강력한 제트 분류가 되어서 분출된다. 이와같이 전환밸브의 조작에 의해서 취향에 따라 분류가 선택되며 욕자는 그 선택한 분류에 의해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샤워는 탕수만을 분출하는 경우를 뜻하고, 제트는 탕수와 공기의 혼합유체를 분출하는 경우를 뜻하며, 샤워와 제트의 용어를 구별하고 있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관한 복합노즐의 일 구성예가 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바깥측의 틀체(23a)와 안측의 틀체(23b)를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된 하우징(23)의 기단측, 즉 안측의 틀체(23b)측에는 탕수의 유입구(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입구(31a)는 틀체(23b)에 끼워 넣어지는 가요금속관(20)이나 호스등의 관로(21)를 통해서 탕수공급용의 펌프(P)의 토출구로 통하고 있다. 이 하우징(23)내에는 단면이 H형인 제1격벽부재(24)와 이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는 제2격벽부재(25)가 수용되어서 하우징(23) 내부가 구획되며 양 격벽부재(24, 25)의 사이에 기액혼합실(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격벽부재(24)와 안측의 틀체(23b)와의 사이에는 유체실(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실(27)과 유입구(31a)는 전환밸브(30)를 통해서 틀체(23b)내에 설치한 유통로(31b)에 의해서 연통되어있다. 마찬가지로, 유입구(31a)와 기액혼합실(26)도 전환밸브(30)를 통해서 틀체(23b)내에 설치된 유통로(34)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전환밸브(30)의 내부에는 T자 모양의 유통로(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환밸브(30)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33)를 회전시키므로써 유입구(31a)로 부터의 탕수를 유통로(31b)측과 유통로(34)측으로 전환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하우징(23)과 제1격벽부재(24)와 제2격벽부재(25)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은 통로실(35)로 되어 있으며, 이 통로실(35)과 싱기 유체실(27)은 제1격벽부재(24)의 둘레벽에 설치된 연통구멍(36)으로 통해 있다. 그리고, 제2격벽부재(25)와 바깥측의 틀체(23a)와의 사이에는 밸브(37)가 임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이 밸브(37)의 중심부에는 제트분출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트분출구멍(38)은 제2격벽부재(25)의 중심부에 뚫어진 구멍(39)을 통해서 기액혼합실(26)로 통해 있다. 한편. 바깥측의 틀체(23a)와 제2격벽부재(25)와 밸브(37)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은 탕수유입실(40)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탕수유입실(40)의 선단벽, 즉 노즐정면부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복수의 샤워분출구멍(41)으로 된 샤워구멍군(42a, 42b, 42c)이 상기 제트분출구멍(38)을 둘러싸면서 원주 3등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도에서와 같이, 안측의 틀체(23b)에는 공기 조절축(43)이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 되어있다. 이 공기 조절축(43)의 선단부에는 외부로 부터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도입구멍(44)이 축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뚫어져 있으며, 이 공기도입구멍(44)은 축(43) 및 안측의 틀체(23b)에 설치한 통로(45)를 통해서 상기 기액 혼합실(26)로 통해 있다. 상기 공기조절축(43)의 기단측에는 레버(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레버(46)를 조작해서 공기조절축(43)을 회동하게 하므로써 공기도입구멍(44)의 개구단면적과 통로(45)의 개구단면적과의 접합부에서의 중합면적이 변화하게 되며 이 중합면적을 변화시키므로써, 외부에서 기액혼합실(26)로 이젝터 효과에 의해서 도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통로(31b)와 유체실(27)과 연통구멍(36)과 통로실(35)과 탕수 유입실(40)에 통하여 통로(49)와 탕수유입실(40)은 탕수를 유입구(31a)에서 샤워분출구멍(41)으로 유도하는 제1유통로를 구성하며, 유통로(34)와 기액혼합실(26)은 탕수를 유입구(31a)에서 제트분출구멍(38)으로 유도하는 제2유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유입구(31a)와 유통로(34)가 유통로(32)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으며, 유체실(27)로 통하는 유통로(31b)는 전환밸브(30)에 의해서 닫혀져 있으므로, 펌프로 부터 공급되는 탕수는 유통로(34)를 통해서 기액혼합실(26)로 들어가고, 다시 제2격벽부재(25)의 유통로(34)를 통하여 제트분출구멍(38)에서 세게 분출된다. 이 탕수의 분사시에, 공기도입구멍(44)으로부터 도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제트분류에 의한 이젝터효과에 의해 기액혼합실(26)로 흡인되며, 이 혼합탕수가 제트류로 되어 상기 제트분출구멍(38)으로 부터, 예컨대 욕조내로 향해서 분출되는 것이다.
제1도의 상태에서 레버(33)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유통로(32)를 통해서 유입구(31a)와 유체실(27)로 통하는 유통로(31b)가 있고, 유통로(34)는 전환밸브(30)에 의해서 폐쇄되므로, 펌프에서 공급되는 탕수는 유통로(31b)를 통해서 유체실(27)로 들어가며, 다시 연통구멍(36)을 통해서 통로실(35)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 탕수는 다시 통로실(35)로 부터 제2격벽부재(25)에 설치된 통로(49)를 통해서 탕수유입실(40)로 들어가고 샤워구멍(41)에서 샤위 분류가 되어 분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사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샤워분류를 간헐적으로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탕수유입실(40)에는 날개차(47)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날개차(47)에는 그 축부로 부터 복수의 날개가 120°의 등각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중 한개의 날개의 단부(분출면측의 단부)에는 하나의 샤워 구멍군(42a, 42b, 42c)을 덮는 데 필요한 면적을 가진 폐쇄판(48)이 고정되어있다. 이 날개차(47)는 펌프에서 보내져 오는 탕수가 탕수유입실(40)로 들어오게 되므로써 그 탕수의 압력을 받아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날개차(47)가 회전하므로써 상기 폐쇄판(48)에 의해서 각 샤워구멍군(42a, 42b, 42c)이 순차로 1/3회전할 때마다 폐쇄되므로, 각 샤워구멍군(42a, 42b, 42c)으로 부터의 분출탕수는 간헐적인 샤워가 되어서 외부로 분출된다.
제4도에는 본 실시예의 분류용 복합노즐(22)을 분류용 어태치먼트(50)에 부착한 한 사용예가 제시되어 있다. 제4도에서 51은 몸통부이며, 이 몸통부(51)로부터 상기 가요관(20)이 연장설치되어, 이 가요관(20)의 선단부에 본 실시예의 복합노즐(22)이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요관(20)은 변형가능하며, 또한 그 변형형상을 일정한 형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가요성 호스라고 금속제의 가요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51)의 뒷면측에는 흡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흡반을 이용해서 몸체부(51)는 욕조의 벽면에 흡착에 의해 고정된다. 이 몸체부(51)로 부터는 가요관(20)의 관로(21)로 통하는 탕수흡입관(52)이 돌출되어 있고, 이 탕수흡입관(52)은 송수관(53)을 통해서 펌프의 토출관에 연통되어 있다.
제5도에는 상기 분류용 어태치먼트(50)의 욕조(54)내에서의 사용예가 예시되어 있다. 제5도의 입욕상태에서, 레버(33)를 조작함으로써 입욕하는 자는 샤워와 제트의 분류를 선택해서 목덜미, 어깨, 등등의 굳은 부분을 마시지할 수가 있다. 게다가, 강력한 마사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샤워구멍군(42a, 42b, 42c)를 원주의 3등분위치에 설치했는데, 이것과는 달리 샤워분출구멍(41)을 제트분출구멍(38)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탕수유입실(40)내의 날개차(47)에 의해 간헐적인 샤워를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날개차(47)를 줄이고 연속샤워로 해도 좋다.
다시, 본 실시예의 복합노즐은 노즐정면부의 중심부에 제트분출구멍(38)을, 그 둘레에 샤워분출구멍(41)을 설치했는데 이것을 역으로 해서 샤워분출구멍(41)을 중심부에 배치하고 그 둘레에 제트분출구멍(38)을 설치해도 좋으며, 이들 양 구멍(38, 41)의 배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복합노즐은 샤워분류와 제트분류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므로, 취향에 맞는 분류를 선택해서 마사지와 샤워를 즐길수가 있으며, 특히 마사지 효과는 탕수에 공기를 혼합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강력한 것이 되며, 하나의 노즐로서 마사지와 공용할 수가 있어서 대단히 편리하다.

Claims (1)

  1. 탕수의 유입구(31a)와 탕수의 분출면을 가지며, 그 분출면측에 샤워분출구멍(41)과 제트분출구멍(38)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3)의 내부에 상기 샤워분출구멍(41)과 유입구(31a)를 연통하는 제1유통로와, 제트분출구멍(38)과 유입구(31a)를 연통하는 제2유통로가 구획되어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31a)로 부터 제1유통로와 제2유통로로 나누어지는 분기위치에는 유입구(31a)로 부터의 탕수를 제1유통로와 제2유통로로 전환하는 전환밸브(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유통로에는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멍(44)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용 복합노즐(22).
KR2019880020618U 1987-12-16 1988-12-14 분류용 복합노즐 KR92000381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90997U JPH033321Y2 (ko) 1987-12-16 1987-12-16
JP87-190997 1987-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565U KR890012565U (ko) 1989-08-07
KR920003811Y1 true KR920003811Y1 (ko) 1992-06-12

Family

ID=1626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618U KR920003811Y1 (ko) 1987-12-16 1988-12-14 분류용 복합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3321Y2 (ko)
KR (1) KR9200038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209A (ja) * 2004-09-17 2006-04-27 Mym Corp シャワーヘッド及び衛生設備
JP5146921B2 (ja) * 2009-01-22 2013-02-20 Toto株式会社 シャワー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9713U (ko) * 1974-09-18 1976-03-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3321Y2 (ko) 1991-01-29
JPH0195928U (ko) 1989-06-26
KR890012565U (ko)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030B2 (en) Shower head
US5820574A (en) Tap water powered massage apparatus having a water permeable membrane
KR920002884Y1 (ko) 분류 마사아지 장치
US6497375B1 (en) Fluidic nozzle with multiple operating modes
KR910010022A (ko) 포말토수장치
US7832029B2 (en) Ball pulsating hydrotherapy jet
US5095558A (en) Adjustable orifice spa jet
US6962298B1 (en) Showerhead
US20090193574A1 (en) Ball massager hydrotherapy jet
US20040261171A1 (en) Double pulsating hydrotherapy jet
KR920003811Y1 (ko) 분류용 복합노즐
US5634888A (en) Hand held tap water powered water discharge apparatus
US7644452B2 (en) Hydrotherapy jet with adjustable air and water inlets
US5738638A (en) Pump powered massage apparatus having a water permeable membrane
US5031256A (en) Jet nozzle attachment
US6643859B1 (en) Fluid flow system with flow diverter
KR200220273Y1 (ko) 샤워기 헤드
JP4548326B2 (ja) 噴流可動ノズル
JPH056987Y2 (ko)
JPH05198Y2 (ko)
JPH0312249A (ja) シャワーヘッド
JPH056988Y2 (ko)
JPH05197Y2 (ko)
US7434277B1 (en) Fluid flow system
JPH05153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