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05Y1 -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 Google Patents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05Y1
KR200146705Y1 KR2019960015120U KR19960015120U KR200146705Y1 KR 200146705 Y1 KR200146705 Y1 KR 200146705Y1 KR 2019960015120 U KR2019960015120 U KR 2019960015120U KR 19960015120 U KR19960015120 U KR 19960015120U KR 200146705 Y1 KR200146705 Y1 KR 200146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rame
elastic
connector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94U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조용선
주식회사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선, 주식회사유창 filed Critical 조용선
Priority to KR2019960015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05Y1/ko
Publication of KR980003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에 천정판재를 부설하기 위해 가설되는 천정프레임을 격자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압착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천정프레임들을 원하는 위치로 직교하게 결속할 수 있는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판에 암나선부를 형성하여 상하탄성각을 벌려 프레임에 탄성압착됨으로써 사용이 용이하다. 게다가, 상하탄성각의 일측은 나합되어 관통하고 일측은 일정부분만 암나선이 형성되어 규제되므로 그 작동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적게 드는 잇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탄성압착시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제1도는 기존의 천정프레임연결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제2도는 기존의 천정프레임연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구의 사시도.
제3(b)도는 제3(a)도의 A-A' 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구의 사용상태도.
제5도는 본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천정프레임들에 천정부재를 부설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수직부
12 : 수평부 13a,13b : 걸림턱
14a,14b : 걸림홈 15 : 고정공
40 : 프레임 41 : 수직부
80 : 연결판 81a81b : 탄성각
82a,82b : 결합부 83 : 체결공
84 : 지지공 90 : 압착판
100 : 조임부재 110 : 천정판재
111 : 나사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에 천정판재를 부설하기 위해 가설되는 천정프레임을 격자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압착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천정프레임들을 원하는 위치로 직교하게 결속할 수 있는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은 천정판재를 천정에 부설하여 천정부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천정판재의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대략 역T자형의 단면을 갖는 천정프레임을 격자상으로 천정에 가설한 후, 그 저면에 천정판재를 부착고정시키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천정프레임들을 연결하거나 조립함에 있어서의 곤란함이나 조립시 직교하는 프레임 저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아 판재부착이 견고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11)와 수평부(12)로 이루어져 역T자형으로 형상화된 프레임(10)에 상판부위와 중간부위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턱(13a,13b)을 돌설시켜 걸림홈(14a,14b)을 형성하고, 이곳에 연결구(20)의 절곡판(21)을 삽입시켜 그 상하연부를 삽입걸착하여 그 접촉부위를 볼트, 리벳, 너트(30)등으로 체결고정하고 있다. 그런다음, 한쌍의 연결판(22)에 직교할 다른 프레임(40)의 수직부(41)를 사이에 삽입하여 걸림홈(42)에 연결판(22)의 상하연부를 삽입걸착한 후, 프레임(40)의 수직부(41)와의 접촉부위를 볼트, 리벳, 너트(31)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프레임(40)의 수평부(43)저면이 프레임(10)과 동일평면상에 일치토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정프레임들을 직교하게 설치할 경우 연결구의 절곡판을 걸림홈에 삽입하여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절곡판을 걸림홈의 끝부분에서 측방으로 삽입한 다음 고정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기설치된 프레임은 걸림홈의 양단이 건물의 벽면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절곡판의 삽입이 불가능하여 결국 이러한 경우 프레임의 연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천정에 프레임을 가설하기 전에 연결판을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2도와 같은 연결구가 안출되었다. 이 연결구(50)는 연결판(51)에 상하로 절편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각(52a,52b)을 형성하고, 그 양단부에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절곡판(53a,53b)을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프레임(10,40)의 상하걸림홈(14a,14b)에 상하로 삽입한다. 그런 후, 상부탄성각(52a)의 저부에 너트편(54)을 대고, 하부탄성각(52b)의 상부에 밑판(55)을 올려놓은 다음 조임볼트(60)를 너트편(54)에 체합시켜 회전시키면 너트편(54)에서 조임볼트(60)가 회전하면서 밑판(55)을 밀어 상하탄성각(52b)을 벌어지게 한다. 따라서, 탄성변형이 일어나 탄성각(52a,52b)과 절곡판(53a,53b)은 직교하는 두 프레임(10,40)의 대면부위를 접촉가압하여 두개의 직교하는 프레임들(10,40)을 결속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구는 상하탄성각을 벌려 탄성압착력을 얻기 위해서 상하탄성각의 내연대향부위에 너트편과 밑판을 장착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복잡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기인하여 설치단가가 상승하고 사용함에 있어 불편이 따르는 폐단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상하절편된 탄성각을 형성한 연결판에 조임나사를 체합하기 위한 암나선부를 형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고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는 상기 천정프레임의 수직부가 삽입고정되는 소정간격 이격한 한쌍의 판상체로, 그 내단부로부터 외단부 근방으로 소정길이 상하 절편되어 탄성각을 형성하며, 내단부위의 상하탄성각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는 암나선이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연결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판의 상하탄성각의 단부에 대략 직교하게 일체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에 삽입되는 프레임과 대략 수직하게 결속되는 프레임의 상하걸림홈에 삽입되는 압착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체결공과 나합관통되어 회전에 따라 일측탄성각을 규제해 상기 상하탄성각을 벌어지게 하여 상기 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연결판 및 압착판의 상하연부가 삽입된 프레임의 대면부위를 압착하여 고정되게 하는 조임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구의 사시도이다. 제3(b)도는 제3(a)도의 A-A' 선 단면도이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연결구(70)는 소정간격 이격한 한쌍의 수직판체의 연결판(80)과, 상기 연결판(80)의 내단부에 절취형성된 상하탄성각(81a,81b)의 선단에 대략 직교하게 고착된 상하 한쌍의 압착판(90)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80)은 한쌍의 판상체(80a,80b)로 후술된 프레임의 수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쌍의 연결판(80)은 상하로 절편된 탄성각들(81a,81b)의 개방단부 인접부근에서 결합부(82a,82b)에 의해 일체화되며, 이 결합부(82a,82b)의 중심에는 상부탄성각(81a)을 관통하는 체결공(83)과 하부탄성각(81a)을 관통하는 지지공(84)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공(83)은 그 내주에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공(84)에는 체결공(83)의 근접소정부위에만 암나성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나머지 부분은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한 조임부재(100)가 체결될 때 그 선단부가 암나선부에 나합돼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규제되므로 하부탄성각(81b)을 밀어 두 탄성각(81a,81b)의 사이를 벌어지게 한다. 물론, 하부탄성각(81b)의 지지공(84)은 체결공(83)의 인접소정부위에 암나선을 형성하는 대신에 조임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하고, 그 이하는 직경이 조임부재(100)의 직경보다 작도록 하여 턱을 줌으로써 조임부재(100)의 선단을 규제하여 체결공(83)에 체합회전시 밀착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체결공(83)과 지지공(84)의 형상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연결판(80)은 특히 그 중심부위가 종방향으로 절취돼 일측이 개방되어 상하 한쌍의 탄성각(81a,81b)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하탄성각(81a,81b) 각각의 단부에는 대략 직교하게 압착판(90)이 고착되어 있다. 이 상하압착판들(90a,90b)은 연결판(80)에 삽입되는 프레임과 직교되는 프레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착된다.
기설명한 바와 같이, 본 연결구(70)는 또한 상하탄성각(81a,81b)을 탄성변형, 즉 상하로 벌려 그와 대면하는 프레임들의 내측부를 압착하도록 연결판(80)에 형성된 체결공(83)을 관통하고 지지공(84)에 그 단부가 규제되어 상하탄성각(81a,81b)을 상하로 벌어지게 하는 조임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시된 직교하는 두 프레임들을 각각 제1, 제2프레임(10,40)이라 명명하고 이하설명한다.
제1프레임(10)은 수직부(11)와 수직부(11)의 하단부에 일체형성된 수평부(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부(11)의 상하에는 상하부걸림턱(13a,13b)이 돌설되어 걸림홈들(14a,14b)을 형성하고 있다. 이 상하걸림홈들(81a,81b)에는 상하한쌍의 압착판들(90a,90b)이 삽입되어 걸착된다. 이 압착판들(90a,90b)의 중앙부위에 직교하게 연설된 탄성각들(81a,81b)을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수직평행한 연결판(80) 사이에는 제2프레임(40)의 수직부(41)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와 같이 위치되면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40)의 수평저면이 동일평면상에 놓여 당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공(83)에 조임부재(100)를 체합시켜 회전시키면 조임부재(100)는 체결공(83)을 관통하고 나와 지지공(84)의 상부일정부분에 형성된 암나선과 나합되고 단턱이 규제되어 그 회전에 따라 하부탄성각(81b)을 밀어 상하탄성각(81a)과의 거리를 벌어지게 한다. 따라서, 상하탄성각(81a)의 상하연부는 그 걸림홈의 내측부를 압착하여 제2프레임(40)에 고정된다. 이와 아울러, 상하한쌍의 탄성각(81a,81b)단부에 고착된 상하압착판들(90a,90b)도 벌어져 그 걸림홈(14a,14b) 내측부를 압착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두 제1, 제2프레임들(10,40)은 이와 같은 상하의 탄성각(81a,81b)과 압착판들(90a,90b)의 탄성변형에 의해 결속되게 된다.
제5도는 제4도와 같이 연결한 직교하는 프레임들의 하부에 천정판재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연결부(70)로 결속되어 직교하는 프레임들(10,40)의 소정하는 부위로 천정부재(110)를 위치시킨 후 나사(111)로 프레임(10)에 형성된 고정공(15)과 체합시켜 천정부재(110)를 부설하게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판에 암나선부를 형성하여 상하탄성각을 벌려 프레임에 탄성압착됨으로써 그 사용이 용이하다. 게다가, 상하탄성각의 일측은 나합되어 관통하고 일측은 일정부분만 암나선이 형성되어 규제되므로 그 작동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적게 드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1)

  1. 두매의 판상체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하면서 상,하 절편되어 소정의 탄성각을 형성하고, 이 탄성각의 선단측에 일체로 직교하는 압착판을 형성하여 프레임에 압착, 조립되는 탄성압착식 천장판재 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하 탄성각의 선단부에 일체로 상,하로 관통하는 암나선이 형성된 체결공을 형성한 결합부; 및 상기 상,하 결합부의 체결공사이를 나사맞춤으로 접속되어 상기 상,하 탄성각의 상,하 간격을 탄압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서 되는 탄성압착식 천장판재 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KR2019960015120U 1996-06-07 1996-06-07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KR200146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120U KR200146705Y1 (ko) 1996-06-07 1996-06-07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120U KR200146705Y1 (ko) 1996-06-07 1996-06-07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94U KR980003194U (ko) 1998-03-30
KR200146705Y1 true KR200146705Y1 (ko) 1999-06-15

Family

ID=1945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120U KR200146705Y1 (ko) 1996-06-07 1996-06-07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9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987A (en) Clip for suspended ceiling gridwork
JP2008274591A (ja) 屋根補修用金具とこれを用いた屋根補修構造
KR200146705Y1 (ko) 탄성압착식 천정판재설치용 천정프레임연결구
JPS6113604Y2 (ko)
KR200197016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H09250213A (ja) 吊り子を利用した止め金具
JP4993348B2 (ja) 屋根補修用金具とこれを用いた屋根補修構造
JPH0734979Y2 (ja) 方立と横材の連結装置
JP7373381B2 (ja) 天井ルーバー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2514196Y2 (ja) 垂木と野縁の連結構造
JPS581533Y2 (ja) 屋根板の固定装置
KR102079810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2942788B2 (ja) 二重折板屋根用連結具
JPS6132017Y2 (ko)
KR890007628Y1 (ko) 친정프레임 연결구
JPH0518547Y2 (ko)
JPH0142561Y2 (ko)
JPS6124722Y2 (ko)
JPH044455Y2 (ko)
JPH0433303Y2 (ko)
JP2633211B2 (ja) 面構造体の接続構造
KR200295272Y1 (ko) 연결 클램프
KR0134919Y1 (ko) 천정 받침재 고정장치
KR20210088405A (ko) 프로파일 연결 브라켓
KR810000264Y1 (ko) 가새 접속용 콘넥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