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506Y1 -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506Y1
KR200146506Y1 KR2019960010392U KR19960010392U KR200146506Y1 KR 200146506 Y1 KR200146506 Y1 KR 200146506Y1 KR 2019960010392 U KR2019960010392 U KR 2019960010392U KR 19960010392 U KR19960010392 U KR 19960010392U KR 200146506 Y1 KR200146506 Y1 KR 200146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resist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585U (ko
Inventor
배태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2019960010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506Y1/ko
Publication of KR970064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교대로 점등시키는 회로를 설치한 인쇄회로기판의 형상을 회로의 동작과 연관시킬 수 있는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스위치의 온동작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점등하는 발광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를 소정 주기로 온/오프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구성요소들이 집적되고, 발광다이오드가 그 형상을 연상시키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본 고안은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을 새 형상으로 구성한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회로 및 그것의 설계는 회로의 조립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다. 시중에서 나와 있는 전자부품들과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직접 각각의 전자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써, 회로에 대한 동작의 이해와 관심을 증폭시킬 수 있다.
요즈음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장난감에는 전자적인 회로들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제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이미 그 동작회로가 인쇄기판 상에 제품의 목적에 맞도록 설계된 상태에서 제품 속에 내장되어 사용자들은 단지 그것들의 온/오프 동작을 통하여 제품의 움직임이나 표시기능만을 확인하므로써, 제품에 대한 만족감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요즈음 어린이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컴퓨터의 경우, 사람들은 단지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적인 사용방법을 통한 만족감을 누릴 뿐, 그 내부의 전자부품들이 어떠한 동작을 하면서 사람들에게 원하는 출력을 전달하는 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면서도 실질적으로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즉, 전자장치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인쇄회로기판과 그 소자들이 내부에 장착되므로써, 단지 회로의 동작을 통하여 출력되는 결과만을 얻을 뿐, 실제의 회로구성과 구성 소자들의 기능을 확인해 볼 수가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결국,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간단한 소정 형상의 인쇄회로기판과 그것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를 멀티바이브레이터의 구형파신호에 따라 점등/점멸하게 하여, 회로의 기판의 형상과 전자소자의 동작이 서로 연관을 갖도록 하므로써, 장난감의 기능뿐만 아니라 소경시간을 주기로 점멸하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a)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새형상의 인쇄기판 및 부품 설치도로서 부품면의 구성도이다.
제1(b)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새형상의 인쇄기판 및 부품 설치도로서 동박면의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4 : 저항 LED1, LED2 : 발광다이오드
TR1, TR2 : NPN 트랜지스터 C1, C2 : 전해 콘덴서
BATT : 밧데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스위치의 온동작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소정 주기로 온/오프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구성요소들이 집적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그 형상을 연상시키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도로서, 그 형상은 부엉이이며, 눈 부위에 발광다이오드를 납땜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진동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가 소정시간 간격으로 점등/점멸하도록 한다.
첨부한 도면 제2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각 소자들을 정해진 소자 표시법에 의하여 나타낸 회로도로서, 9V의 밧데리(BATT)에 직렬연결된 스위치(SW)와, 상기 스위치(SW)의 출력단과 병렬연결된 제1, 제2 발광다이오드(LED1, LED2)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교대로 점등/점멸시키기 위한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제1 발광다이오드(LED1)의 출력단과 제1 저항(Rl)을 통하여 그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은 밧데리와 연결되며, 그 베이스단은 제 2 발광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제4 저항(R4), 제2 전해 콘덴서(C2)를 통하여 연결되며, 제3 저항이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LEDI)와 제 2 발광다이오드(LED2) 사이에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TR1)와, 제2 발광다이오드(LED2)의 출력단과 제4저항(R4)을 통하여 그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은 밧데리와 연결되며, 그 베이스단은 제1 발광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제1 저항(Rl), 제1 전해 콘텐서(C1)를 통하여 연결되며, 제2 저항이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제2 발광다이오드(LED2) 사이에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도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살펴보면, 먼저 제1, 제2 트랜지스터(TR1, TR2)는 NPN형 트랜지스터로서, 베이스에 인가되는 구형파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칭 소자이며, 제1, 제2 발광다이오드(LED1, LED2)는 갈륨비소의 반도체에 인이 도핑되어 PN접합 다이오드을 이루는 것으로서, 2V의 전압에서는 빛을 발생시키지만, 전압에 의하지 않고 저항을 직렬로 넣어서 전류가 20㎃ 정도가 흐르게 한다. 10㎃에서는 어두워지며 35㎃ 상에서는 한계가 된다. 저항은 전류를 제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항치가 높은만큼 제한하는 작용은 강해진다. 그 저항에 밧데리의 직류전원으로 전압을 가하면 전압의 크기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트랜지스터, 콘덴서 등 다른 전자부품에 적절한 전류를 주는 것이 주요 작용이 된다.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그리고 저항치 각각의 관계는 오옴의 법칙에 따라 변화된다. 여기서 사용된 콘텐서는 전해 콘텐서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상태를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치(SW)를 온시키면, 밧데리로부터 저항 R2, R3에 의하여 강하된 전압은 각각 제2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와 제1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며, 이 때 인가신호는 저항(R2, R3)과 콘텐서(Cl, C2)에 의하여 그 발진주기가 조정된 구형파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TR1, TR2)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발진신호에 따라 온/오프를 반복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 TR2)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는 교대로 점등/점멸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저항과 콘텐서의 저항치와 정전용량을 적절히 선택하여 발광다이오드가 동시에 깜박이거나 교대로 깜박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본 실시 예에서는 부엉이 형상을 한 회로기판의 눈에 위치하므로 부품면상에서 보면 부엉이의 눈이 점등/점멸하므로써, 인제회로기판의 모양과 그 동작이 서로 연관성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 형상의 인쇄회로기판과 그것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를 멀티바이브레이터의 구형파 신호에 따라 점등/점멸하게 하여, 회로의 기판의 형상과 전자소자의 동작이 서로 연관을 갖도록 하므로써, 직접 조립을 통한 학습의 효과와 전자소자들의 동작을 이해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 적용하므로써, 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이에 대한 수정과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한, 모든 수정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

  1. 스위치의 온동작에 따라 전원으로 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소정 주기로 온/오프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구성요소들이 집적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그 형상을 연상시키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제1 발광다이오드(LED1)의 출력단과 제1 저항(Rl)을 통하여 그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은 밧데리(BATT)와 연결되며, 그 베이스단은 제2 발광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제4 저항(R4), 제2 전해콘텐서(C2)를 통하여 연결되며, 제3 저항이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제2 발광다이오드(LED2) 사이에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TR1)와, 제2 발광다이오드(LED2)의 출력단과 제2 저항(R2)을 통하여 그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미터 단은 밧데리(BATT)와 연결되며, 그 베이스단은 제1 발광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제1 저항(Rl), 제 1 전해 콘텐서(Cl)를 통하여 연결되며, 제2 저항이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제2 발광 다이오드(LED2) 사이에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새 형상이며, 발광다이오드는 새의 눈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9960010392U 1996-05-01 1996-05-01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0146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392U KR200146506Y1 (ko) 1996-05-01 1996-05-01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392U KR200146506Y1 (ko) 1996-05-01 1996-05-01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585U KR970064585U (ko) 1997-12-11
KR200146506Y1 true KR200146506Y1 (ko) 1999-06-15

Family

ID=1945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392U KR200146506Y1 (ko) 1996-05-01 1996-05-01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5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75A (ko) * 2001-09-08 2001-11-09 이훈기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 간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75A (ko) * 2001-09-08 2001-11-09 이훈기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 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585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5388A (en) Novelty button
US5143439A (en) High efficiency novelty flasher assembly
KR200146506Y1 (ko) 발진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US7986100B2 (en) LED string
KR850003095A (ko) 적외선 송신기회로 및 원격 키이 입력장치
JPS5838463Y2 (ja) 発光ダイオ−ドの点滅装置
JPS5818955Y2 (ja) ハツコウガング アルイハ ソウシング
JPS636895Y2 (ko)
KR880008528A (ko) 일체로 집적할 수 있는 극단전류 펄스 발생회로
JPH0248870Y2 (ko)
JPS599234Y2 (ja) 導電物検出発光表示装置
JPS6241341Y2 (ko)
JPH0317818U (ko)
JPS58108779A (ja) 発光ダイオ−ド駆動装置
KR0126564Y1 (ko) 전광 수신호등
JPS61133888U (ko)
JPS5831274Y2 (ja) 光電式煙感知器用光源点滅回路
JPS5921555Y2 (ja) タイマ装置
SU911731A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KR890006739Y1 (ko) 멜로디 라이트
CS257490B1 (en) Connection of two active states' indication controlled by means of single-pole switch
CN2171922Y (zh) 闪烁发光二极管组件
Field Electronics for Artists: Adding Light, Motion, and Sound to Your Artwork
JPS6129919A (ja) 電流可変型定電流回路
KR970025265A (ko) 원격제어용 펄스 가공회로(a pulse shaping circuit for remot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