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071Y1 -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071Y1
KR200146071Y1 KR2019970003114U KR19970003114U KR200146071Y1 KR 200146071 Y1 KR200146071 Y1 KR 200146071Y1 KR 2019970003114 U KR2019970003114 U KR 2019970003114U KR 19970003114 U KR19970003114 U KR 19970003114U KR 200146071 Y1 KR200146071 Y1 KR 200146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shaft
safety plate
hole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666U (ko
Inventor
김총원
Original Assignee
김총원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총원,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총원
Priority to KR2019970003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0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육을 절단하는 육절기에 있어서 절단작업시 핸들축의 조작에 따라 냉장육의 절단두께 만큼 이동조절되는 안전판의 이동 조절 폭을 별도의 핸들축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한쌍의 로크편에 의해 상호 협착되게 하여 줌으로써 잠금상태가 확실하면서도 이의 조작을 부드럽고 또한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대(80)상에 관통설치된 핸들축(110)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래크축(101)에 의해 설정된 절단두께 만큼 이동 조작되는 육절기의 안전판(90)을 잠금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대(80)상에 설치된 이동조절용의 핸들축(120)을 위한 핸들축공(82)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로크편 조작공(83a)이 래크축 관통공(81)의 하부로 위치되게 단차 형성된 잠금용의 핸들축을 위한 핸들축공(83)과; 상기 핸들축공(83)으로 조작 가능하게 관통설치 됨과 동시에 일단으로는 나사부(121b)와 슬라이드부(121c)를 갖는 조절단부(121)가 단차 형성되고 타단부로는 손잡이(122)가 구비된 잠금용의 핸들축(120) 및; 상기 기대상(80)의 로크편 조작공(83a)내에 위치되어지는 핸들축(120)의 조절단부(121)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설되어지고 이의 조작에 따라 래크축(101)의 중심을 향해 상호 진퇴되어지면서 협착면(131a)(132a)이 상기 래크축(101)의 외주면을 동시에 협착 또는 해제하여주는 한쌍의 래크편(131)(132)으로 이루어진 로크수단(130)으로 구성하여 줌으로써 냉장육을 절단하더라도 설정된 절단두께 만큼 이동 고정된 안전판의 위치가 변형되지 않아 항상 안정적인 냉장육의 안내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본 고안은 냉장육을 절단하는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작업시 핸들축의 조작에 따라 냉장육의 절단두께 만큼 이동조절되는 안판의 이동 조절 폭을 별도의 핸들축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한쌍의 로크편에 의해 상호 협착되게하여 줌으로써 잠금상태가 확실하면서도 이의 조작을 부드럽고 또한 간편 용이하게할 수 있도록 한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냉장육을 절단하는 육절기 개략적인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된 고기를 받침하기 위한 받침대(1a)가 설치되고 모터 등의 동력전달장치들이 내장 설치되는 본체(1)와, 본체의 상단 전면 일측으로 축착되어지고 냉장육을 절단하는 원형절단칼(2)과, 원형절단칼의 후방으로 수평설치되어진 적재함체(3)와 함께 왕복 구동되어지고 핸들(4a)의 두께 조절에 따라 그 이동속도가 가변되어지면서 적재된 냉장육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4)와, 냉장육의 교체작업시 컨베이어를 인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조작레버(5)와, 적재함체의 컨베이어상에 적재된 냉장육의 상부를 압착하기 위하여 일방을 중심으로 재침되고 압지위치로 이동 조작되는 틀체(6a)에 컨베이어와 동일한 속도로 연동 가능하게 축착되어져 있는 다수의 압지로울러(6)와, 적재함체(3)내의 컨베이어상에 적재된 냉장육의 일측부를 압착하기 위하여 핸들(7a)의 조작에 따라 이동 조절되는 측면 압지판(7)과, 원형절단칼의 일측으로 위치되고 기대(8)에 설치된 이동조절 핸들축(11)의 조작에 따라 절단두께 폭만큼 이동 조절되어지고 고정장치인 압착관(13)과 조임관(14)에 의해 고정되어져 적재함체(3)의 왕복구동시 컨베이어(4)에 의해 설정된 절단두께 만큼 이송되는 냉장육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안전판(9)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육절기를 이용하여 냉장육을 절단하는 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즉 먼저 절단하고자 하는 냉장육을 적재함체(3)내의 컴베이어(4)상에 올려 놓은 다음 틀체(6a)를 전면(원형절단칼부위)으로 이동시켜 냉장육의 상부가 압지로울러(6)에 의해 압착되게하고, 핸들(7a)을 조작하여 냉장육의 일 측면을 측면압지판(7)으로 압착시켜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압지시킨 후 수동레버(5)를 조작하여 컨베이어(4)상에 올려진 냉장육을 원형절단칼(2)의 근접 위치까지 이송 조절하여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4a)을 조작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두께로 조절하고 또한 핸들축(11)을 조작하여 안전판(9)을 동일한 절단 두께 폭으로 이동 조절시킨다.
그런다음 미설명된 스위치를 온 시키면 원형절단칼(2)이 고속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적재함체(3)가 원형절단칼(2)부위로 왕복 구동되어지고, 또한 컨베이어(4)상에 올려진 냉장육은 왕복구동시마다 안전판(9)의 위치에서 그 설정된 절단 두께 폭 만큼 이송되어지면서 절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장육은 상기한 육절기의 절단과정에 의해 절다두께가 자유로이 조절되어 짐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절단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냉장육을 안내 이송하는 안전판(9)의 경우에는 절단작업시 별도로 잡아주지 않으면 절단두께 폭 만큼 이동 조절된 상태가 기체의 떨림현상이나 냉장육의 마찰에 의해 그 이동 폭이 미세하게 변형되어져 안정적인 냉장육의 안내 이송을 유도할 수 없는 것인 바, 종래에는 이를 위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면으로 고정되는 기대(8)로는 안전판(9)과 일체로 고정설치 되어져 함께 이동되는 고정판(9a)의 래크축(10)을 수평으로 관통 설치함과 동시에 핸들축(11)을 직교방향으로 관통 설치하되 스플라인(11a)을 래크축(10)의 래크(10a)와 상호 이동조절 가능하게 치합하여 일단부를 고정나사(12)로 고정하며, 기대(8)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축(11)의 타단부로는 동축상으로 압착관(13)이 헐거운 상태로 관통설치 되어지고, 또한 나사부(11b)로는 일측으로 너얼링이 형성된 손잡이(14a)가 구비되어진 조임관(14)을 이동조절 가능하게 순차 체결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절단작업시 핸들축(11)에 의한 안전판(9)의 이동조절이 완료되면 조임관(14)을 기대(8)방향으로 돌려 조임하여 이들 사이에 기재된 압착관(13)이 밀리면서 이의 일측 주면부가 기대(8)의 일 측면과 밀착되고, 또한 타측 주면부가 조임관(14)의 일측면과 상호 강하게 밀착되도록 조작하여 핸들축(11)이 쉽게 회전 조작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여 줌으로써 기체의 떨림이나 냉장육의 이송 마찰에 의해서도 래크축(10)이 이동되지 않아 결국 안전판(9)이 최초 조절된 이동 폭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안전판(9)의 고정이 핸드축(11)상의 조임관(14)을 조임함에 따라 기대(8)와 조임관(14)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착관(13)의 압착력에 의해 단순히 고정되는 것이어서 조임관(14)을 확실하게 조임하지 않고 조금이라도 헐거운 상태로 조임 할 경우에는 핸들축(11)이 기체의 떨림과 같은 외력에 의해 서서히 회전되어 지면서 래크축(10)을 이동시켜 안전판(9)의 조절 폭이 변동될 염려가 있는 것이며, 또한 조임관(14)의 손잡이(14a)를 잡고 풀거나 조임하는 조작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강한 조임력을 항사 요구하는 까닭에 확실한 조임력에 따른 조작시간이 그만큼 많이 요구됨은 물론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이의 조작을 신속 용이하게할 수 없는 등의 구조상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조절 폭이 완료된 안전판을 별도의 핸들축을 조작함에 따라 동시에 이동조절되는 한쌍의 로크편에 의해 상호 협착되게 하여 줌으로써 힘들이지 않고서도 얼마든지 간편 용이하게 안전판을 잠금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1도는 종래의 안전판 고정장치가 부착된 육절기의 개략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안전판 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 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발췌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대의 발췌 측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조립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 : 기대 81 : 관통공
82, 83 : 핸들축공 83a : 로크편 조작골
90 : 안전판 101 : 래크축
101a : 래크 110 : 이동조절용 핸들축
120 : 잠금용 핸들축 121 : 조절단부
121b : 나사부 121c : 슬라이드부
122 : 손잡이 130 : 로크수단
131, 132 : 로크편 131b, 132b : 협착면
131c, 132c : 이동요구 134a, 134b : 나사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이 특징은, 기대상에 관통설치된 핸들축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래크축에 의해 설정된 절단두께 만큼 이동 조작되는 육절기의 안전판을 잠금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대상에 설치된 이동조절용의 핸들축을 위한 핸들축공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로크편 조작공이 래크축 관통공의 하부로 위치되게 단차 형성된 잠금용의 핸들축을 위한 핸들축공과; 상기 핸들축공으로 조작 가능하게 관통설치 됨과 동시에 일단으로는 나사부와 슬라이드부를 갖는 조절단부가 단차 형성되고 타단부로는 손잡이가 구비된 잠금용의 핸들축 및; 상기 기대상의 로크편 조작동내에 위치되어지는 핸들축의 조절단부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설되어지고 이의 조작에 따라 래크축의 중심을 향해 상호 진퇴되어지면서 협착면이 상기 래크축의 외주면을 동시에 협착 또는 해제하여주는 한쌍의 래크편으로 이루어진 로크수단으로 구성되어진 점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로크수단은 핸들축의 조절단부에 설치되는 로크편을 탄지하기 위한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크편으로는 잠금 조작시 기대상에 체결되는 나사편에 의해 직선으로 안내 이동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이동요구를 형성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이동 조작되게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면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 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대(80)로는 하나의 래크축 관통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중심으로 이들 상하로는 두 개의 핸들축공(82)(83)이 상호 직교방향으로 교차되게 각각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래크축 관통공(81)의 일측으로는 가이드핀공(8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축공(83)의 일측 단부로는 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로크편 조작공(83a)이 래크축 관통공(81)의 중심 하부로 위치되게 단차 형성되어 있는 바, 이때 상축의 핸들축공(82)과 로크편 조작동(83a)은 제4도와 같이 그 중심 일부가 공간부(85a)(85b)에 의핸 각각 래크축 관통공(8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제3도와 같이 절단 냉장육이 접촉 가이드되는 파형면이 일측으로 형성된 안전판(90)의 하단으로는 고정판(100)이 다수의 볼트(92)들에 의 일예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91)의 일측면으로는 기대(80)의 래크축 관통공(81)과 밀접되게 삽설되는 래크축(101)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으며, 그 상부로는 소정의 피치를 갖는 래크(101a)가 형성되어 있고, 래크축(101)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으며, 그 상부로는 소정이 피치를 갖는 래크(101a)가 형성되어 있고, 래크축(101)의 일측으로는 가이드핀공(84)에 안내되면서 안전판(90)의 이동을 안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핀(102)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또한 기대(80)의 핸들축공(82)으로 일단부가 관통 설치되는 안전판(90)을 이동 조절하기 위한 핸들축(110)으로는 일단부로 래크축(101)의 래크(101a)와 상호치합되는 스플라인(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단부로는 손잡이(11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때 핸들축(110)은 기대(80)를 중심으로 고정나사(113)와 고정편(114)에 의해 상호 이탈되지 않고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또한 기대(80)의 또 다른 핸들축공(83)으로 일단부가 관통 설치되는 잠금 조작용의 핸들축(120)으로는 조절단부(121)가 단지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조절단부(121)로는 요설된 단차부(121a)를 중심으로 나사부(121b)와 슬라이드부(121c)가 일정폭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로는 손잡이(12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때 핸들축(120)은 기대(80)를 중심으로 고정편(122)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다.
한편, 기대(80)의 로크편 조작공(83a)으로 핸들축(120)의 조절단부에 의해 이동되어 지면서 래크축(101)을 상호 협착하기 위한 로크수단(130)이 삽설되어 지는 바, 로크수단은 조절단부(121)의 나사부(121b)와 슬라이드부(211c)에 설치되는 나사공(131a)과 슬라이드공(132a)이 형성된 한쌍의 로크편(131)(132)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13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각 로크편(131)(132)의 상부로는 협착면(131b)(132b)이 경사지게 대향으로 절삭되어 있고, 하부로는 기대(80)의 각 나사공(86a)(86b)에 체결되어 일단부가 로크편 조작공(83a)으로 노출되는 나사핀(134a)(134b)의 단부에 가이드되는 이동요구(131c)(132c)가 각각 요설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90) 고정장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즉 제5도와 같이 개대(80)의 관통공(81)으로는 도면상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고정판(100)에 일체로 돌설된 래크축(101)이 삽설되어 있고, 각 핸들축공(82)(83)으로는 핸들축(110)(120)이 교차되게 관통설치 되어 있는 바, 이동조절용의 핸들축(110)은 스플라인(111)이 공간부(85a)를 통해 노출되어진 래크축(101)의 (101a)와 치합되는 상태로 고정나사(113)와 고정편(114)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고, 잠금조절용의 핸들축(120)은 조절단부(121)의 나사부(121b)와 슬라이드부(121c)로 각각 로크편(131)(132)의 각 협착면(131a)(132a)이 공간부(85b)를 통해 노출되어진 래크축(101)의 하부 외주면을 상호 균등하게 협착할 수 있도록 로크편 조작공(83a)내에 삽설되어 있고, 고정편(123)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설치 되어지고, 각 로크편(131)(132)들 사이로는 압축스프링(133)이 탄설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핸들축(120)을 고정하기 위해 기대(80)의 노출단으로 위치되어 고정되는 고정편(123)은 기대(80)의 측면과 조작에 따른 약간의 이동공간이 마련되게 고정설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판(90)의 이동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먼저 손잡이(112)를 잡고 핸들축(110)을 소정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동축상의 스프라인(111)과 치합된 래크(101a)에 의해 래크축(101)이 제6도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짐에 따라 고정판(100)과 일체로 고정되어진 안전판(90)은 설정된 절단두께 폭 만큼 이동조작 되어진다.
이러한 상태로 안전판(90)의 이동 조작이 완료되면 다시 제5도와 같이 손잡이(122)를 잡고 이점쇄선 위치로 핸들축(120)을 회동 조작시킨다. 그러면 이때 조절단부(121)가 동시에 회전되어 지면서 나사부(121b)에 체결된 로크편(131)이 조작거리 만큼 내측으로 이동되어지고 동시에 핸들축(120)의 나사부(121b)는 반대로 로크편(131)의 이동거리 만큼 오히려 외측으로(로크편의 이동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 이동되는 결과에 의해 핸들축(120) 전체가 이동되어지면서 단차 형성된 슬라이드부(121c)에 삽설된 로크편(132)을 자연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각 로크편(131)(132)은 압축스프링(133)을 압축시키면서 래크축(101)의 축 중심을 향해 상호 내측으로 동시에 이동되어져 협착면(131a)(132a)이 래크축(101)의 하단 외주면을 균등하게 감싸 강제로 협착하게 됨에 따라 고정판(100)을 매개로 일체 형성된 안전판(90)은 절단과정에서 기체의 떨림이나 외력에 의해서도 전혀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 조작되는 각 로크편(131)(132)들은 각 나사핀(134a)(134b)에 의해 이동요구(131c)(132c)가 안내되기 때문에 잠금조작시에도 회전됨이 없이 항상 직선으로 안전하게 이동되어 질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전판(9)을 다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축(120)을 잠금시와는 반대로 조작하면 래크축(101)을 협착하고 있던 로크편(131)(132)은 압착스프링(133)의 반력에 의해 후퇴되면서 협착력을 상실하게 되고 동시에 래크축(101)은 이동가능하게 자유상태로 협착력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 고정장치에 따르면, 안전판을 고정하기 위한 래크축을 별도로 설치되는 핸들축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한쌍의 로크편에 의해 협착되도록하여 줌으로써 이의 잠금조작을 힘들이지 않고 누구나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잠금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데 로크편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나사핀 대신에 로크편을 더브테일 방식으로도 안내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기대(80)상에 관통설치된 핸들축(110)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래크축(101)에 의해 설정된 절단두께 만큼 이동 조작되는 육절기의 안전판(90)을 잠금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대(80)상에 설치된 이동조절용의 핸들축(120)을 위한 핸들축공(82)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로크편 조작공(83a)이 래크축 관통공(81)이 하부로 위치되게 단차 형성된 잠금용의 핸들축을 위한 핸들축공(83)과; 상기 핸들축공(83)으로 조작 가능하게 관통설치 됨과 동시에 일단으로는 나사부(121b)와 슬라이드부(121c)를 갖는 조절단부(121)가 단차 형성되고 타단부로는 손잡이(122)가 구비된 잠금용의 핸들축(120) 및; 상기 기대상(80)의 로크편 조작공(83a)내에 위치되어지는 핸들축(120)의 조절단부(121)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설되어지고 이의 조작에 따라 래크축(101)의 중심을 향해 상호 진퇴되어지면서 협착면(131a)(132a)이 상기 래크축(101)의 외주면을 동시에 협착 또는 해제하여주는 한쌍의 래크편(131)(132)으로 이루어진 로크수단(1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크수단(130)은 핸들축(120)의 조절단부(121)에 설치되는 로크편(131)(132)을 탄지하기 위하여 이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133)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로크편(131)(132)으로는 잠금 조작시 기대(80)상에 체결되는 나사핀(134a)(134b)에 의해 직선으로 안내 이동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이동요구(131c)(132c)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KR2019970003114U 1997-02-26 1997-02-26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KR200146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14U KR200146071Y1 (ko) 1997-02-26 1997-02-26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14U KR200146071Y1 (ko) 1997-02-26 1997-02-26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66U KR19980058666U (ko) 1998-10-26
KR200146071Y1 true KR200146071Y1 (ko) 1999-06-15

Family

ID=1949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114U KR200146071Y1 (ko) 1997-02-26 1997-02-26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0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708B1 (ko) 2010-04-19 2012-10-16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육 슬라이서의 절편 두께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708B1 (ko) 2010-04-19 2012-10-16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육 슬라이서의 절편 두께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66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281A (en) Apparatus for changing the cutting direction in a reciprocating saw
US4726403A (en) Tool for applying clamping bands
EP0687528A1 (en) Adaptable banding tool
US5984083A (en) Conveyor belt tensioning mechanism utilizing a manually operated cam-type tool
EP2112962B1 (de) Spannvorrichtung
US5495672A (en) Tube cutter
MX2008007283A (es) Bastidor de rodillo ajustable.
DE102011005021A1 (de) Werkzeugspannvorrichtung
EP3655196A1 (de)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tragbare werkzeugmaschine
KR200146071Y1 (ko) 육절기의 안전판 고정장치
DE19611546C1 (de) Biaxialmischer
US20200070263A1 (en) Armored Cable Cutter with Cutting Blade Retention
AT394404B (de) Naehanlage zur selbsttaetigen end-herstellung von an ihren raendern eingefassten textilerzeugnissen
US2622389A (en) Link pivot removing tool
KR20040038206A (ko) 수동변속기용 케이블의 어저스트 기구
JP2002130404A (ja) ベルト張り装置
WO2009091326A1 (en) Device at a winch
EP2680996B1 (de) Werkzeugmaschinensystem
US20160207127A1 (en) Adjustable blade guide for a band saw
DE2748060A1 (de) Vorrichtung zum anschliessen von leitern
EP4165995A1 (de) Presseinrichtung
DE3538268A1 (de) Verfahren zum transport von kabeln und transport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CN111677725A (zh) 一种电气导轨卡扣
EP4011575B1 (de) Trenneinrichtung für rohre sowie verfahren zum trennen eines rohrabschnitts von einem rohr mit einer solchen trenneinrichtung
DE202009009145U1 (de) Riementri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