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485Y1 -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485Y1
KR200145485Y1 KR2019960025577U KR19960025577U KR200145485Y1 KR 200145485 Y1 KR200145485 Y1 KR 200145485Y1 KR 2019960025577 U KR2019960025577 U KR 2019960025577U KR 19960025577 U KR19960025577 U KR 19960025577U KR 200145485 Y1 KR200145485 Y1 KR 200145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opening
horizontal structure
horizont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038U (ko
Inventor
신혁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2019960025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48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2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고안은 건축시공 현장에서 바닥슬라브등 수평구조체에 일시적으로 형성·유지해야 되는 임시개구부에 가설물을 설치하여 작업인원의 추락방지 및 빗물낙하를 방지하여 주는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예 관한 것으로, 수평구조체(1)에 형성되는 임시개구부(2)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3) 내측상부에 고정핀(4)으로 고정부착되며, 상기 수평구조체(1)의 바닥보다 약간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각재(5)와, 상기 각재위에 고정핀(4)으로 고착되는 최소한 상기 개구부의 크기를 가지는 판재(6)와, 상기 각재와 수평구조체 사이에 빗물유입을 방지하도록 마감처리되는 방수몰탈(7)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제1도는 종래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 안전시설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구조체 2 : 임시개구부
3 : 거푸집 4 : 고정핀
5 : 각재 6 : 판재
7 : 방수몰탈
[산업상 이용분야]
본고안은 건축시공 현장에서 바닥슬라브등 수명구조체에 일시적으로 작업상 임시개구부를 형성·유지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위치에 가설물을 설치하여 작업인원의 추락방지 및 빗물낙하를 방지하여 주는 수명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는 시공중 가설덕트, 급배기구, 전기터선, 급수관 및 오배수관설치를 위해 바닥슬라브등 수명구조체예 임시개구부를 형성·유지할 필요가 발생한다.
상기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크기는 건축물의 연건평에 비례하여 결정되며 최근에는 건물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상기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크기도 대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평구조체에 형성되는 임시개구부의 크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작업인원이 상기 임시개구부를 통하여 추락할 위험성과 상기 개구부를 통한 낙하물에 의해 작업인원이 다칠 위험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임시개구부예 대한 보다 적절한 안전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지상1층 바닥슬라브에 임시개구부를 유지함에 의해 강우시등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임시개구부를 통하여 하부층으로 물의 유입에 따라 양수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특히 지상과 지하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Top-Dowm방식의 건축현장에서는 통상적으로 상기 임시개구부를 각층에 장기간 유지해야 하는 바, 보다 효과적이고 편리한 안전시설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진다 하겠다.
[종래기술 및 문제점]
종래의 수명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시개구부(2) 상부에 일시적으로 합판(6)을 걸쳐놓아서 다른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것은 상기 수명구조체(1) 임시개구부(2)의 개방부를 합판(6)으로 차폐하여 작업인원을 추락의 위험과 낙하물로부터 보호하여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개구부 안전망 설치구조에는 첫째, 작업중 상기 수명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이 작업인원의 부주의에 의해 옆으로 부지불식중 이동됨으로써 작업인원이 추락할 염려와 낙하물이 떨어질 염려가 많았으며, 들째, 상기 수평구조체의 임시개구부를 통하여 강우시등 하부층으로 물이 유입됨으로써 배수시켜야 작업이 진행되는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고안의 목적은 상기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에 효과적인 안전시설을 제공하여 작업인원에게 안전한 환경속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해 주며, 또한 낙하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강우시등에 하부층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데 있다.
[고안의 구성]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본고안의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구조체(1)에 형성되는 임시개구부(2)의 4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3) 상단에 못(4)으로 고정부착되는 다수의 2×4각재(5), 상기 각재위에 못(4)으로 고착되는 최소한 상기 개구부의 크기의 판재(6), 상기 수평구조체의 바닥슬라브와 각재를 방수몰탈(7)로 마감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고안의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는 우선 수평구조체(1)에 형성되는 임시개구부(2)의 4측벽의 거푸집(3)을 해체하지 않고, 4측벽 거푸집 최상부에 각 측벽의 길이에 해당하는 2×4각재(5)를 수평구조체(1)의 바닥면보다 약간 높게 턱을 이루면서 못(4)등으로 고정부착한다. 최소한 개구부의 폭과 길이가 동일한 판재(6)를 상기 각재(5)위에 못(4)등으로 고착한다. 상기 각재(5) 및 상판을 이루는 판재(6)가 상기 수평구조체(1)의 바닥면과 만나는 턱을 방수몰탈(7)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한다.
[고안의 효과]
본고안은 상기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개방부를 차폐하여 작업인원을 추락이나 낙하물로부터 보호하여 작업이 안전하게 진행되도록 하며, 못으로 견고하게 고정부착되어 작업인원이 부지불식간에 떨어질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고안의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는 수명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과 수평구조체 바닥면이 만드는 턱을 방수몰탈을 이용하여 마감함으로써 상기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를 통하여 강우시등에 물이 하부층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별도의 배수작업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지상 ·지하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탑다운(Top-Dowm)방식의 건축현장에서는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지하 각층별로 임시적으로 상기 슬라브개구부를 장기간 유지해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 본고안의 효과적이고 간편한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를 활용함으로써 획기적인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1회의 설치로 공사종료시까지 사용이 가능하여 자재 및 인원절감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에 따라 수평구조체의 임시개구부에 간편하게 설치된 항구적인 안전시설은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는 건축현장중에서도 가장 현저하게 안전사고 발생의 개연성이 높은 슬라브개구부에 공사종료시까지 완벽한 안전시설을 제공하여 건설재해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출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수평구조체(1)에 형성되는 임시개구부(2)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3) 내측고정핀(4)으로 고정부착되며 상기 수명구조체(1)의 바닥보다 약간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각재(5)와, 상기 각재위에 고정핀(4)으로 고착되는 최소한 상기 개구부의 크기를 가지는 판재(6)와, 상기 각재와 수평구조체 사이에 빗물 유입을 방지하도록 마감처리되는 방수몰탈(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KR2019960025577U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KR200145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77U KR200145485Y1 (ko)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77U KR200145485Y1 (ko)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038U KR19980012038U (ko) 1998-05-25
KR200145485Y1 true KR200145485Y1 (ko) 1999-06-15

Family

ID=1946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577U KR200145485Y1 (ko)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4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038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6398A (ko)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3584839A (en) Construction safety fence post
KR200145485Y1 (ko)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KR200182857Y1 (ko) 수평구조체 임시개구부의 안전시설 설치구조
KR0135669B1 (ko)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
US20050039414A1 (en) Fireproof precast element with securement structure
JP2515047B2 (ja) プラットホ―ムの拡幅工法
JP2801823B2 (ja) 埋込用あご状型枠材
US2648116A (en) Method of making hollow monolithic concrete slabs
SU1087631A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 защитного полимерного покрыти к строительным конструкци м
KR970005485Y1 (ko) 슬라브개구부의 낙하방지구조
KR0135700B1 (ko) 옥상난간방수층 보호구조
CA1124099A (en) Collar form
JPH0135847Y2 (ko)
AU2015202788B2 (en) Steel decking panel formwork edge overlay
JP2021127628A (ja) 建物の解体方法
KR19980031993U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950004835B1 (ko) 건축물의 파이프덕트용 개구부안전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3210886B2 (ja) パラペットのあご状部の構造
JP2021127629A (ja) 建物の解体方法
KR100465112B1 (ko)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KR19980010886U (ko) 옥상바닥마감층용 p.c.집수판
JP4642219B2 (ja) 屋根構築工法
JP2021127627A (ja) 建物の解体方法
KR960005421Y1 (ko) 트랩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