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993U - 난간 가설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난간 가설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993U
KR19980031993U KR2019980006704U KR19980006704U KR19980031993U KR 19980031993 U KR19980031993 U KR 19980031993U KR 2019980006704 U KR2019980006704 U KR 2019980006704U KR 19980006704 U KR19980006704 U KR 19980006704U KR 19980031993 U KR19980031993 U KR 199800319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iling
temporary
present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9007Y1 (ko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2019980006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00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007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베란다 형성시에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완전히 굳기까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임시 난간을 가설하기 위한 난간 가설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의 상부는 봉형의 지주(30)가 삽설되도록 하는 지주설치공(11)이 구비되고 하부는 입설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지각(12)을 구비하며 상기 지주설치공(11)의 내부에는 공간의 유통을 차단하는 차단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 지주설치공(11)이 일부 보이게 같이 매설하고 지주(30)를 삽설하여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난간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단가면에서 유리하며 시공이 편리하고 난간으로 사용되는 지주(30) 및 지지간(31)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간 가설용 지지구
본 고안은 난간 가설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물의 베란다 에 임시 난간을 가설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매입함으로써 간편하게 난간용 지주를 삽설하여 사용하도록 한 난간 가설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欄干)이란 층계, 다리 또는 건물의 베란다나 발코니에 설치하여 낙상(落傷)을 방지하고자 하는 안전용 울타리로서, 통상 금속으로된 봉형의 차단부재를 다수개 가로 및 세로 방향 연결하여 이루어 진 것이다.
이러한 난간은 통상 건물의 건축시에 베란다의 바닥을 형성한 뒤 설치되는 것인 바, 이는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완전히 굳힌 후에 설치된다. 그러나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까지는 소정의 경화시간이 소요되는 것이어서 그 사이 여타 작업하던 작업자의 안전에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굳어져 정식 난간을 설치하기 전에 임시로 가설(假說)되는 안전시설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란다(V)의 전면에 임시로 가설하는 가설난간(40)이 제공된 바 있다.
즉, 이는 도 6에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 'ㄷ'자 형상으로 된 고정부(41)를 갖춘 지주(42)를 베란다(V) 전단부에 조임볼트와 같은 체결부재(B)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42) 상호간을 연결하는 지지간(43)을 설치하여 가설난간(40)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설난간은 역시 베란다를 이루는 콘크리트 경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진 후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며, 고가이며 설치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를 철거후에는 건물의 아래로 그대로 낙하시켜 회수하게 되는 바, 상기 지주와 일체로 된 고정부가 훼손되어 재사용율이 낮으며 이에 따른 건축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저가이며 설치가 용이하고 베란다 등에 임시로 가설되는 난간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철거 등 사용상의 취급이 편리하고 임시 난간으로 사용되는 지주 및 지지간 등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난간 가설용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a, 도 4b, 도 4c, 도 4d는 본 고안의 설치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종래 가설난간의 설치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구 11 ; 지주설치공
12 ; 지지각 13, 13a ; 차단부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의 상부는 봉형의 지주(30)가 삽설되도록 하는 지주설치공(11)이 구비되고 하부는 입설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지각(12)을 구비하며 상기 지주설치공(11)의 내부에는 공간의 유통을 차단하는 차단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가설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베란다 등을 형성할 때 콘크리트 타설시 배치하는 것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본 고안의 지주설치공(11)에 봉형의 파이프를 삽설함으로써 용이하게 가설난간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별도의 가설난간용 지주가 삽설되도록 하는 지주설치공(11)과 바닥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지지각(12)을 구비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지지각(12)의 상측인 내부에는 상하 연통되지 않고 폐쇄시키도록 하며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차단부(1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차단부(13)는 평면상의 것 이외에도 도 3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원뿔형 등으로 차단부(13a)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베란다에 설치되는 일 예로 설명한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는 본 고안의 설치에 따른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로서, 먼저 도 4a와 같이 베란다의 베이스(20)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본 고안의 지지구(10)를 배치한다.
다음으로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21)을 배치하고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22)를 타설하게 된다. 이때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기 지지구(10) 내부의 차단부(13)(13a)에 의해 지지구(10) 상측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상기 지지구(10)의 상부는 일부가 보이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22)가 어느 정도 경화되면 상기 지지구(10)의 지주설치공(11)에 임시 난간으로 사용되는 지주(30)를 삽설하고 이에 상호 지지간(31)을 연결함으로써 가설난간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난간으로 사용되는 지주(30)는 베란다에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모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사현장에서 가설용 틀로 사용되는 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설된 난간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바, 차후에 이를 제거할 때는 설치했던 지주(30) 및 지지간(31)을 해체하고, 돌출된 지지구(10)의 상부는 해머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정식 난간을 설치함에 따른 다음 공사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지지구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시 배치하는 것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되며, 가설 난간의 설치시에도 콘크리트에 고정된 본 고안의 지지구에 별다른 체결없이 지주를 끼워 삽설하는 것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시공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저가이며 건물 건축시 사용되는 가설 파이프 등을 지주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취급에 따른 파손없이 재사용 가능하게 되어 건축에 따른 경비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몸체의 상부는 봉형의 지주(30)가 삽설되도록 하는 지주설치공(11)이 구비되고 하부는 입설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지각(12)을 구비하며 상기 지주설치공(11)의 내부에는 공간의 유통을 차단하는 차단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가설용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3)를 원뿔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2019980006704U 1998-04-27 1998-04-27 난간가설용지지구 KR200209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704U KR200209007Y1 (ko) 1998-04-27 1998-04-27 난간가설용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704U KR200209007Y1 (ko) 1998-04-27 1998-04-27 난간가설용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93U true KR19980031993U (ko) 1998-08-17
KR200209007Y1 KR200209007Y1 (ko) 2001-01-15

Family

ID=6951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704U KR200209007Y1 (ko) 1998-04-27 1998-04-27 난간가설용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0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530B1 (ko) * 2005-01-31 2006-07-05 정윤수 난간 설치방법
KR200464842Y1 (ko) * 2011-03-11 2013-01-25 주식회사 하이큐 안전 난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629B1 (ko) * 2009-03-23 2009-09-04 (주)신명세이프티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200496678Y1 (ko) 2022-10-31 2023-04-03 이재성 매립형 난간지지대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530B1 (ko) * 2005-01-31 2006-07-05 정윤수 난간 설치방법
KR200464842Y1 (ko) * 2011-03-11 2013-01-25 주식회사 하이큐 안전 난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007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298A (en) Concrete anchor bolt setting device
US9624681B2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US4255913A (en) Hollow sleeve brackets
US8056237B1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KR100579440B1 (ko)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KR200209007Y1 (ko) 난간가설용지지구
KR10067557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682588B2 (ja) H形鋼連続基礎梁の建築部材取合構造
KR200426056Y1 (ko) 노출철근을 이용한 직접 착탈식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EP1206611B1 (en) Scaffolding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200395096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EP1479851A1 (en) Railing anchor and accompanying railing support
JPH07331830A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 の取付装置
KR100834771B1 (ko) 공사 현장용 안전난간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NZ336959A (en) Scaffolding
JP3074235B2 (ja) 鋼製階段用仮設足場の構築方法及びその構築方法に使用する支持金具
KR20070102503A (ko) 건설공사에 쓰이는 일체형 안전 시스템
KR960008845Y1 (ko) 가설용 조립식 안전 난간대
KR0140448Y1 (ko) 건축공사용 임시난간
KR100586487B1 (ko) 난간지주 장착구
KR200315195Y1 (ko) 난간 가설용 안전난간대
KR100298629B1 (ko) 건축물의 계단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팅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