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313Y1 - 전원공급용 버스-바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용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313Y1
KR200145313Y1 KR2019950056583U KR19950056583U KR200145313Y1 KR 200145313 Y1 KR200145313 Y1 KR 200145313Y1 KR 2019950056583 U KR2019950056583 U KR 2019950056583U KR 19950056583 U KR19950056583 U KR 19950056583U KR 200145313 Y1 KR200145313 Y1 KR 200145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nductive thin
power supply
shaped structure
thi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6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265U (ko
Inventor
정영수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50056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313Y1/ko
Publication of KR970046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3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용량별로 도전층을 적층한 구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다종의 전원레벨에 대응하는 다수의 도전박판과 상기 도전박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필름들이 상기 도전박판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서 몰드수지로 밀봉된 바형상의 구조물과, 상기 다수의 도전박판에 각각 대응하여 동일한 전원레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상기 바형상의 구조물 외측면의 임의의 위치에 돌설된 하나의 입력단자 및 복수의 출력단자로 이루어진 입출력단자와, 바형상의 구조물을 기기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바형상의 구조물 일측에 돌출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본원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유니트 기능에 따라 각기 다른 전원의 사용으로 수많은 피복케이블이 요구되어 전자장비 내부에 케이블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이들로부터 발생되던 전자장이나 전자파 등에 의한 간섭을 크게 배제할 수 있으므로 유니트의 인쇄 회로기판에 장착된 부품들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통신기기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공급용 버스-바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A-A'선을 따라 절단 한 측단면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도전박판 22 : 절연필름
23 : 입출력단자
본 고안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대형 컴퓨터나 통신 전자 장비에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피복케이블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류용량별로 도전층을 적층한 구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Bus-Ba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중대형 컴퓨터, 통신 또는 전자장비에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원의 종류 및 전원을 사용하는 개소에 따라 많은 피복케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통신기기는 전자부품들을 장착한 인쇄회로기판이 탑재되는 유니트가 여러개모여 하나의 셀프를 구성하고, 상기 세프가 여러개 모여 하나의 통신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셀프는 함체로 되어 그 내부에 상기 유니트가 일정간격으로 배설되고, 통신시스템은 일정한 틀, 즉 랙에 상기 셀프를 탑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기기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므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상기 셀프에 설치된 전기회로는 그 기능에 따라 각기 다른 전원의 종류 및 전압을 사용하게 되므로 수많은 피복케이블이 요구되어 전자장비 내부에는 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전자장이나 전자파 등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회로기판에 장착된 전자부품들이 오동작을 일으켜 전자장비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백플레인 등의 인쇄회로기판 및 각종 디바이스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로서 전기적인 특성이 양호한 도전층을 전류용량별로 적충한 구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는, 다종의 전원레벨에 대응하는 다수의 도전박판과 상기 도전박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필름들이 상기 도전박판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서 몰드수지로 밀봉된 바형상의 구조물과, 상기 다수의 도전박판에 각각 대응하여 동일한 전원레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상기 바형상의 구조물 외측면의 임의의 위치에 돌설된 하나의 입력단자 및 복수의 출력단자로 이루어진 입출력단자와, 바형상의 구조물을 기기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바형상의 구조물 일측에 돌출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측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구성을 요부를 살펴보면, 바형상의 도전특성을 갖는 다수의 도전박판(21)과, 상기 도전박판(21)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필름(22)들을 상기 도전박판들 사이에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하면 제1도에서 보인바와 같은 버스-바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박판(21)은 백플레인 등의 인쇄회로기판과 각종 디바이스에 구동용 전원(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체로서 예켄대, 도전특성이 양호한 동판 등을 전류용량에 따라 동판의 두께 또는 폭을 조절하여 사용한다. 통신기기에는 대개, +12V, -12V, +5V, -5V, +3.3V, -3.3V, +2.1V, -2.1V, GND(접지) 등의 전원이 사용되며, 이때, 상기 도전박판을 이용하여 버스-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의 발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전류 레벨의 도전박판은 버스-바의 외곽쪽에 위치시키고, 저전류 레벨의 도전박판은 버스-바의 내측에 배열하여 적층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다수의 도전박판(21)에 대응하는 공급전원을 입력하기위한 하나의 입력단자와 상기 도전박판에 공급된 전원의 사용개소 및 위치에 따라 입력전원과 동일한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버스-바 구조물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 복수개의 출력단자가 상기 도전박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제1도 참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전류용량이 같은 임의의 개소에는 1개의 입력단자에 수개(필요한 수량)의 출력단자를 동일층의 도전박판에 배치하여 필요한 전류용량별로 도전박판을 적층하여 동일레벨의 전원을 여러개소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바형상의 구조물을 통신기기의 내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바형상의 구조물 일측에 돌출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전원공급용 버스-바는 하나의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공급전원은 하나의 도전박판을 통해 동일한 공급전원레벨로 다수의 출력단자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통신장비의 전지적인 신뢰성과 시스템의 설치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기능에 따라 구역별로 동기능의 인쇄회로 기판들이 탑재되는 다수의 유니트와 다수의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셀프가 다단으로 구성되는 통신기기에 있어서, 동일전원이 요구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유니트의 여러개소에 대응하여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동일전원의 출력단자를 설치하면, 유니트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에 소요되는 전원을 근접한 위치에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버스-바에 의하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통신기기에 백플레인 등의 인쇄회로기판 및 각종 디바이스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로서 전기적인 특성이 양호한 도전층을 전류용량별로 적층한 구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유니트의 기능에 따라 각기 다른 전원의 사용으로 수많은 피복케이블이 요구되어 전자장비 내부에 케이블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이들로부터 발생되던 전자장이나 전자파 등에 의한 간섭을 크게 배제할 수 있으므로 유니트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부품들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통신기기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일 실시예에 한하지 않으며 본원의 고안개념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동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도전박판 및 절연필름의 재질, 입출력단자의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가능함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예들은 본 출원인의 권리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

  1. 다종의 전원레벨에 대응하는 다수의 도전박판(21)과; 상기 도전박판(21)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필름(22)들이 상기 도전박판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서 몰드수지로 밀봉된 바형상의 구조물과; 상기 다수의 도전박판(21)에 각각 대응하여 동일한 전원레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바형상의 구조물 외측면으로 돌설되는 하나의 입력단자 및 복수의 출력단자로 이루어진 입출력단자(23)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있어서, 고전류 레벨의 도전박판은 바깥쪽에, 저전류 레벨의 도전박판은 중심쪽에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바형상의 구조물 일측에는 기기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용 버스-바.
KR2019950056583U 1995-12-31 1995-12-31 전원공급용 버스-바 KR200145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6583U KR200145313Y1 (ko) 1995-12-31 1995-12-31 전원공급용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6583U KR200145313Y1 (ko) 1995-12-31 1995-12-31 전원공급용 버스-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265U KR970046265U (ko) 1997-07-31
KR200145313Y1 true KR200145313Y1 (ko) 1999-06-15

Family

ID=1944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6583U KR200145313Y1 (ko) 1995-12-31 1995-12-31 전원공급용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3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265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8117A (en) Voltage distribution circuit arrangements for high-density packaging of electronic systems
US8045312B2 (en) Devices and system for electrostatic discharge suppression
KR910004511B1 (ko) 집적 백플레인(integrated backplane)을 가진 전자시스템
US4158220A (en) Printed circuit card construction
US4905123A (en) Heat sink bus assembly
US3118016A (en) Conductor laminate packaging of solid-state circuits
CA2042047C (en) A function unit
ATE357758T1 (de) Einpress-sammelschiene für leistungsversorgung
US20200045815A1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H01233795A (ja) 混成集績回路
JPH08308250A (ja) 端子台及びそれを用いた制御機器
US10389270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EP0214296B1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s
KR200145313Y1 (ko) 전원공급용 버스-바
US6181571B1 (en) Printed-wiring boar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iring board
US5616034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package
US20220330415A1 (en) System for driving power devices
JPH0966689A (ja) Icカード
CA2260664A1 (en) Rigid, multiconductor power distribution bus and modular equipment rack employing the same
JPH07221474A (ja) 通信装置
JPS62527B2 (ko)
RU2013032C1 (ru) Монтажная плата
US3536961A (en) Wiring device using channel means as a bus bar
JP3685183B2 (ja) 電力変換装置と回路基板装置並びにそれらの構成方法
CN115237231A (zh) 一种包括供电装置的电子设备和计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