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094Y1 -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094Y1
KR200145094Y1 KR2019960008152U KR19960008152U KR200145094Y1 KR 200145094 Y1 KR200145094 Y1 KR 200145094Y1 KR 2019960008152 U KR2019960008152 U KR 2019960008152U KR 19960008152 U KR19960008152 U KR 19960008152U KR 200145094 Y1 KR200145094 Y1 KR 200145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ilet
seat
seat plate
fasten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863U (ko
Inventor
이진설
Original Assignee
최정길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길, 이준호 filed Critical 최정길
Priority to KR2019960008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094Y1/ko
Publication of KR970056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094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체결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원래 양변기는 사용자가 남자인 경우 소변을 편히 볼 수 있도록 좌판과 덮개를 똑바로 세울 수 있게 제작이 되었으나, 요즈음에는 이러한 좌판과 덮개 대신 쿠션재가 내장되고 그 외부를 레쟈 등으로 피복한 좌판과 덮개가 별도로 많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쿠션재 좌판과 덮개는 그 두께가 쿠션재 만큼 두꺼워져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하여 양변기 덮개와 좌판을 들어 올려 세울 경우에 그 자체로 서있지 못하고 앞으로 쏠리면서 넘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쿠션재 덮개와 좌판인 경우에도 똑바로 세울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체결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양변기에 설치됨에 있어서 작동전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양변기에 설치됨에 있어서 작동후 상태도.
본 고안은 양변기용 체결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용 좌판과 덮개 내부에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삽치되고 그 외부를 비닐레쟈 등으로 피복하여 그 두께가 두꺼워진 양변기용 좌판과 덮개일지라도 남자인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하여 좌판과 덮개를 세웠을 경우 좌판과 덮개가 앞으로 넘어지지 않고 세워져 있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양변기 몸체, 좌판, 양변기 덮개로 이루어져 있고 그 구성은 양변기 몸체에 구멍을 뚫고 볼트로 좌판과 양변기 덮개를 몸체에 체결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양변기 좌판과 양변기 덮개에 있어서는 그 내측에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내장되고 그 외부를 레쟈 등으로 피복한 좌판과 덮개가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좌판과 덮개를 원래의 양변기 몸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많은 체결플랜지가 고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래 양변기는 사용자가 남자인 경우 소변을 편히 볼 수 있도록 좌판과 덮개를 똑바로 세울 수 있게 제작이 되었으나 이러한 원래의 좌판과 덮개를 쿠션재가 내장되고 그 외부를 레쟈 등으로 피복한 좌판과 덮개로 교체하게 되면 쿠션재 만큼 그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하여 양변기 덮개와 좌판을 들어 올려 세울 경우에 그 자체로서 있지 못하고 앞으로 쏠리면서 넘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판과 덮개를 손으로 붙잡고 소변을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실용신안공고공보 제91-3593호가 있으나, 이도 좌판과 덮개를 양변기 몸체에 고정함에 있어 삽치된 볼트가 좌우로만 움직이도록 되어 있어 체결볼트간의 좌우간격만 조정할 수 있을뿐 좌판과 덮개를 세웠을 때 쿠션재 때문에 앞으로 쏠리면서 넘어지는 단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쿠션재를 삽치하여 좌판과 덮개가 두꺼워 졌다 하여도 이를 세울 수 있도록 기존의 체결플랜지를 개량 고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변기 본체와 그 위에 덮혀지는 좌판과 덮개를 일체로 체결하는 양변기용 체결플랜지(1)에 있어서, 저면에 돌턱(5)을 형성한 개구부(4)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구멍(7)이 형성된 체결간(8)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4)에 삽치되도록 저면테두리(9')가 형성된 사각함체(9)를 형성하되 그 내측에 볼트(2)가 삽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주 기능은 체결플랜지(1) 저면의 개구부(4)에 삽치된 사각함체(9)가 개구부(4) 내측에서 좌, 우로 이동이 자재하게 되며, 사각함체(9)에 삽치된 볼트(2) 역시 사각함체(9)와 함께 좌, 우로 이동이 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사각함체(9) 내에서 볼트(2)는 독립적으로 사각함체(9) 내측에서 앞, 뒤로도 움직일 수가 있는 기능을 갖도록하여 이 기능에 의하여 좌판과 덮개를 세울 수가 있는바, 그 작용 및 효과에 따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기존의 양변기 몸체(10)에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4)에 삽치되는 사각함체(9)는 개구부(4)에 형성된 돌턱(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이고, 따라서, 사각함체(9) 안에 삽치된 볼트(2)도 동시에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볼트구멍(10')과 볼트(2)를 손쉽게 일치시킬 수가 있어 본 고안을 양변기 몸체(10)에 아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좌판 및 덮개에 설치하는 방법은 본 고안에 형성된 체결간(8)의 구멍(7)을 기존의 양변기 좌판 및 덮개에 부착된 연결구(12)와 일치시킨 후, 핀(6)으로 고정하면 손쉽게 설치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주목적인 좌판과 덮개를 세울 수 있는 기능(제4도와 제5도 참조)을 살펴보면, 사각함체(9)에 삽치된 볼트(2)는 저면테두리(9')를 따라서 전, 후로 움직일 수가 있는 것이므로 볼트(2)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변기 몸체(10) 볼트구멍(10')에 고정시켰을 경우에는 볼트(2)가 움직이는 대신 본고안 몸체(1)가 전후로 움직이게 되는 기능을 갖게 되고 따라서, 좌판(20)과 덮개(30)를 세움과 동시에 앞으로 약간 잡아 당기게 되면 본 고안 몸체(1)가 앞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만큼 좌판(20)과 덮개(30)도 앞으로 이동되어 좌판(20)과 덮개(30)를 똑바로 세웠을 경우 약간 뒤로 재낄 수 있는 공간이 생겨 앞으로 넘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체결플랜지는 종래의 체결플랜지와 비교하여 볼 때 종래의 체결플랜지가 단순히 좌판과 덮개를 양변기 몸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가 개구부내에서 좌우로만 움직일 수 있음에 비하여, 본 원고안은 사각함체를 형성하고 이를 개구부에 삽치하되, 삽치된 사각함체 내에서 체결볼트가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좌우 이동 기능에 의하여 양변기 몸체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전, 후 이동 기능에 의하여 좌판과 덮개를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좌판과 덮개가 쓰러지지 않도록 붙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한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변기 본체와 그 위에 덮혀지는 좌판과 덮개를 일체로 체결하여 주기 위하여 저면에 개구부(4)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에 볼트(2)의 사각머리부가 삽치된 양변기용 체결프랜지(1)에 있어서, 저면테두리(9')가 형성된 직사각함체(9)를 상기 개구부(4)에 삽치하고, 볼트(2)의 사각머리부를 상기 직사각함체(9) 내에 재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KR2019960008152U 1996-04-16 1996-04-16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KR200145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152U KR200145094Y1 (ko) 1996-04-16 1996-04-16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152U KR200145094Y1 (ko) 1996-04-16 1996-04-16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863U KR970056863U (ko) 1997-11-10
KR200145094Y1 true KR200145094Y1 (ko) 1999-06-15

Family

ID=6083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152U KR200145094Y1 (ko) 1996-04-16 1996-04-16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0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863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598A (en) Portable toilet
KR200145094Y1 (ko) 양변기용 체결플랜지
US6782565B2 (en) Portable lavatory apparatus
US6948196B2 (en) Portable lavatory apparatus
JPS5927818Y2 (ja) 組み合わせ洗面化粧台
JPH085659Y2 (ja) 洗面カウンター
JPH03457Y2 (ko)
JPH0211218Y2 (ko)
JPH049906Y2 (ko)
JP2595877Y2 (ja) 洗い場防水パン
JP3503497B2 (ja) 着座式便器
JP2530721Y2 (ja) 浴槽のエプロン構造
JPH0649657Y2 (ja) 便器の設置構造
JPH03125149U (ko)
JPH0543997U (ja) 据置台の固定構造
JPH0736555Y2 (ja) 洗面化粧台のタオルバー固定構造
JPH11155765A (ja) 非常用トイレ
JPH0427428Y2 (ko)
JP3350318B2 (ja) 掘り込みとやぐらとからなる座卓装置
JPS6168788U (ko)
JP3925758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H0415115Y2 (ko)
JPH02120571U (ko)
JP2003129548A (ja) 便座ボックスの設置構造
JPH037715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