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888Y1 - 진공청소기의흡입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흡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888Y1
KR200144888Y1 KR2019950031067U KR19950031067U KR200144888Y1 KR 200144888 Y1 KR200144888 Y1 KR 200144888Y1 KR 2019950031067 U KR2019950031067 U KR 2019950031067U KR 19950031067 U KR19950031067 U KR 19950031067U KR 200144888 Y1 KR200144888 Y1 KR 200144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vacuum cleaner
suction body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185U (ko
Inventor
김기만
노영풍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50031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888Y1/ko
Publication of KR970016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888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청소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카펫트 등 바퀴가 잘 구르지 않는 장소에서도 손쉽게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흡입력을 발생시켜 먼지 등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진공청소기의 본체(10)에 연결되어 청소부위에 밀착되어 먼지 등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체(20)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체(20)의 저면에는 흡입체(20)의 전후운동시 회전하는 회전부재(30)가 마련되어 먼지 등의 흡입을 유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제1도는 종래 진공청소기 흡입체의 저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체의 저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모터
12 : 먼지봉투 13 : 임펠러
14 : 흡입구 15 : 흡입관
20 : 흡입체 21 : 흡입구
30 : 회전부재 31 : 축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하면서 먼지 등의 흡입을 유도하는 회전부재를 흡입체의 하면에 설치하여 청소기능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설치된 모터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부유물을 집진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1도는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바닥면에 전달하여 먼지 등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체의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체(1)의 저면에는 먼지 등이 흡입되는 흡입구(2)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흡입체(1)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퀴(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흡입체는 흡입의 하측에 위치하는 먼지 등을 흡입하여 청소를 행하게 되는데, 흡입구의 근접부위에 있는 먼지만이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범위가 좁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흡입력보다 강하게 바닥면에 접착되어는 먼지나 부유물 등은 흡입되지 않아 청소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카펫트를 청소할 때에는 바퀴가 잘 구르지 않아 흡입체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청소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카펫트 등 바퀴가 잘 구르지 않는 장소에서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입력을 발생시켜 먼지 등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연결되어 청소부위에 밀착되어 먼지 등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체의 저면에는 흡입체의 전후 운동시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마련되어 먼지 등의 흡입을 유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체가 설치된 진공청소기의 전체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와 임펠러(13)와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등의 부유물을 집진하는 먼지봉투(12)가 설치된다.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14)에는 흡입관(15)이 연결설치되고, 흡입관(15)의 하단에는 흡입체(20)가 설치되어 먼지 등의 흡입을 안내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체(20)의 저면 중앙부위에는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흡입구(21)의 양옆에는 본 고안의 특징부인 회전부재(30)가 설치되어 흡입체(2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먼지 등의 흡입을 안내한다. 즉,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는 흡입구(21)의 양옆에 축(3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설치된다. 이때 회전부재(30)는 바닥면과 마찰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타원형으로 설치된다. 즉, 회전부재(30)의 각 부위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회전부재(30)가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11)에 전원을 인가하여 임펠러(13)를 작동시키면 본체(10)내부의 압력이 하강하여 외부공기와 먼지 등의 부유물이 흡입체(20)에 형성된 흡입구(21)를 통하여 본체(10)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먼지와 부유물은 먼지봉투(12)에서 집진되고 공기는 배출되어 먼지 등이 청소된다.
한편 흡입체(20)를 밀거나 당기면 회전부재(30)와 바닥면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되어 회전부재(30)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에 붙어있는 먼지 등을 흡입구(21)측으로 이동시켜 흡입을 안내한다. 즉 바닥면에 붙어있는 먼지를 떼어내어 흡입구(21)로 이동시켜 먼지가 쉽게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는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먼지 등을 여가시키고 흡입구측으로 안내한 후 흡입함으로써 먼지 등의 흡입효율을 향상시켜 청소효과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펫트 청소시에는 회전부재가 흡입체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흡입체를 손쉽게 이동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흡입력을 발생시켜 먼지 등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진공청소기의 본체(10)에 연결되어 청소부위에 밀착되어 먼지 등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체(20)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저면에는 흡입체의 전후운동시 회전하는 회전부재(30)가 마련되어 먼지 등의 흡입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2. 상기 회전부재는 타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흡입체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KR2019950031067U 1995-10-30 1995-10-30 진공청소기의흡입체 KR200144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067U KR200144888Y1 (ko) 1995-10-30 1995-10-30 진공청소기의흡입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067U KR200144888Y1 (ko) 1995-10-30 1995-10-30 진공청소기의흡입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185U KR970016185U (ko) 1997-05-23
KR200144888Y1 true KR200144888Y1 (ko) 1999-06-15

Family

ID=6090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067U KR200144888Y1 (ko) 1995-10-30 1995-10-30 진공청소기의흡입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8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185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3369A3 (en) Vacuum cleaner
JP393740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EP1371317A3 (en) Vacuum cleaner with reversible rotary agitator
US5953787A (en) Suction globe of a vacuum cleaner
KR200144888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체
KR1999000348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0617225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144822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공기를 이용한 바퀴 회전장치
KR200144861Y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쉬헤드구조
KR95000052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구동장치
KR0137488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KR20060055987A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회전장치
KR960004010B1 (ko) 진공청소기 흡입구의 송풍장치
KR100447410B1 (ko) 청소로봇의 흡진장치
JPH11299712A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JP200023710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
KR20000017205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JP3337190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148058Y1 (ko) 진공청소기
JP3503867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0115661Y1 (ko) 회전 걸레 흡입브러쉬
JP3832650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9990016435U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393577B1 (ko) 배기 환류식 진공청소기
KR200242788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