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881Y1 -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881Y1
KR200144881Y1 KR2019950016470U KR19950016470U KR200144881Y1 KR 200144881 Y1 KR200144881 Y1 KR 200144881Y1 KR 2019950016470 U KR2019950016470 U KR 2019950016470U KR 19950016470 U KR19950016470 U KR 19950016470U KR 200144881 Y1 KR200144881 Y1 KR 200144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piston
dust collection
prevention device
overload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228U (ko
Inventor
김종달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50016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881Y1/ko
Publication of KR970004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강하시 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되어 스프링이 압축되고 가이드 후크가 피스톤의 가이드홈에서 유도되어 피스톤이 회전하강되므로 피스톤 상부면의 집진표시부가 회전됨에 따른 집진정도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통공과 투시창을 통해 인식하도록 하고 피스톤 하강시 캡상부의 통공이 개방됨에 따라 압력이 누출되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로, 먼지의 집진량을 표시하는 집진표시장치와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상승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과부하방지장치가 일체화 되어 하나의 장치로 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진공청소기 작동중 어느 일측 장치의 고장발생에 따른 흡입공을 저하를 방지하고 부품절감 및 이에 따른 제조단가와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로서,
(a)는 진공청소기의 전체사시도.
(b)는 (a)의 일부 발췌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집진표시장치와 과부하방지장치로서,
(a)는 집진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b)는 과부하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로서,
(a)는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b)는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장착상태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동작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b)는 동작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50 : 캡
50A : 통공 51 : 재치구
51A : 가이드 후크 52 : 피스톤
53 : 스프링 54 : 집진표시부
55 : 가이드 홈
본 고안은 먼지의 집진량을 표시하는 집진표시장치와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상승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과부하방지장치가 일체화된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통전(AC 220V 60㎐ 전원)에 따른 가동시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의 모터(로터와 임펠러의 회전속도는 32000RPM)가 구동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진공청소기 내부가 진공구동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진공청소기 내부가 진공(진공도 3100㎜H20)상태로 되고 주위와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와의 높은 압력차에 의해 2.6/㎜의 풍량이 발생되어 이 흡입력으로 본체 외부로 토출된 호그와 손잡이를 포함한 흡입(연장)관 및 브러쉬(Brush)를 포함하는 흡입수단을 통해 실내 바닥의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물은 먼지봉투(paper bag)에서 걸러내고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다시 배출하도록 된 청소기기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청소작업에 따른 먼지의 흡입기능 수행시 먼지봉투의 집진용량이 초과되거나 흡입되는 먼지 및 기타 오물 등에 의해 흡입수단의 일부분이 막혔을 경우 진공청소기내의 압력강하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 및 파손, 진공청소기 본체의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른 방지하도록 먼지의 집진량 정도를 표시하는 집진표시장치(Indicator)와, 본체 내부의 압력강하시 본체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본체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부하방지장치(Air damper)가 설치 사용되었다.
상기 집진표시장치와 과부하방지장치를 첨부도면 제 1도와 같이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a)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1)의 먼지커버(2)내부에 각기 장착되는 것으로, 먼지의 집진량을 인식하도록 상부 덮개(3)에는 투시창(3A)이 형성되었고 (b)와 같이 먼지커버(2)내측 적소에 집진표시장치(4)와 과부하방지장치(5)가 각기 장착되되, 집진 표시장치(4)는 장방향의 고정구(2A)에 내재 장착되고 과부하방지장치(5)는 고정공(2B)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고정구(2A)와 고정공(2B)은 진공청소기 본체(1)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도면부호(6)은 호스, (7)은 조작키를 갖는 손잡이, (8)은 흡입(연장)관, (9)는 브러쉬이다.
또한, 집진표시장치(4)와 과부하방지장치(5)는 첨부도면 제 2도에 예시되었고 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a)와 같이 집진표시장치(4)는 상기 먼지커버(2)내의 고정구(2A)에 부시(11)를 매개로 결합되는 파이프(12), 상기 파이프(12)의 통공(12A)에 삽입 내재되는 스프링(13), 상기 파이프(12)에 장착되어 통공(12A)을 복개하며 표시부(14)를 갖는 피스톤(15)과 캡(16)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과부하방지장치는(5)는 (b)와 같이 상기 먼지커버(2)의 고정공(2B)에 삽입 장착되는 케이스(21), 상기 케이스(21)에 내재되는 스프링(22), 상기 스프링(22)과 면접하며 돌기부(23A)를 갖는 피스톤(23) 및 케이스(21)와 압착 결합되며 하부에는 피스톤(23)이 밀착되는 홈(24A)과 상부에서 누출공(24B)을 갖는 패킹(24)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진표시장치(4)와 과부하방지장치(5)는 흡입된 먼지의 집진정도와 진공청소기 본체(1) 내부의 압력 강하에 의해 각기 스프링(13)(22)이 압축되는데, 집진표시장치(4)는 피스톤(15)이 파이프(12)내에서 직선이동되어 표시부(14)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부덮개(3)의 투시창(4)을 통해 집진량 정도를 인식하도록 되었고 과부하방지장치(5)는 진공청소기 본체(1) 내부의 압력하강시 압력에 의해 피스톤(23)이 스프링(22)을 압축하여 패킹(24)하부의 홈(24A)에 밀착된 피스톤(23)이 이탈되고 돌기(23A)의 틈새와 누출공(24B)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집진 표시장치와 과부하방지장치는 각기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진공청소기 작동중 어느 일측 장치의 고장발생시 흡입공율이 저하되고 부품과다에 따른 제조단가가 상승하면 그 조립작업의 번거러움과 작업공수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먼지의 집진량을 표시하는 집진표시장치와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상승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과부하방지장치가 일체화된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 장치는 통공을 갖는 캡, 상기 캡과 일체로 되어 가이드 후크를 갖는 재치구, 상기 캡과 재치구사이에 내재되어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강하시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하강되며 상부에 양분 표기되어 집진량의 정도를 표기하도록 된 집진표시부와 외주측면에 가이드 후크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원판형의 피스톤, 상기 피스톤하부에 설치되어 재치구의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으로, 진공청소기 작동중 집진량 초과시나 흡입수단의 막힘발생시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강하에 따라 이 압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하강되는 피스톤은 가이드 후크가 가이드홈에 의해 유도되어 피스톤이 회전 하강하게 되므로 피스톤 상부면의 집진표시부가 피스톤 회전에 따라 통공과 투시창을 통해 집진정도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인식하도록 하고 피스톤 하강시 상부의 통공개방에 따른 압력누출로 인한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표시경용 과부하방지장치(100)의 예시도로서, (b)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1)의 먼지커버(2)내측 적소에 결합 장착되되, 이의 구성은 (a)와 같이 통공(50A)을 갖는 캡(50), 상기 캡(50)과 일체로 되어 가이드 후크(51A)를 갖는 재치구(51), 상기 캡(50)과 재치구(51)사이에 내재되어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강하시 압력에 의해 하강되는 원판형의 피스톤(52)과, 피스톤(52) 하부에 설치되어 재치구(51)의 지지턱(51B)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53)으로 대별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52)은 상부에 특정색채로 양분 표기되어 집진량의 정도를 인식하도록 된 집진표시부(54)와 외주측면에 가이드 후크(51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55)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의 작동은 제 4도(a)(b)와 같이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하강시 압력에 의해 피스톤(52)이 하강되어 스프링(53)이 압축되고 재치구(51)의 가이드 후크(51A)가 피스톤(52)의 가이드홈(55)에서 유도되어 피스톤(52)상부면의 집진표시부(54)가 집진정도를 표시하여 이를 통공(50A)과 투시창(3A)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집진정도를 인식하도록 하고 피스톤이(52)이 하강됨에 따른 캡(50)상부의 통공(50A)이 개방됨으로 인해 압력이 누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진공청소기 작동중 어느 일측장치의 고장발생에 따른 흡입공을 저하를 방지하고 부품절감 및 이에 따른 제조단가와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동공을 갖는 캡, 상기 캡과 일체로 되어 가이드 후크를 갖는 재치구, 상기 캡과 재치구사이에 내재되어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강하시 압력에 의해 하강되며 상부에 양분 표기되어 집진량의 정도를 표기하도록 된 집진표시부와 외주측면에 가이드 후크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원판형의 피스톤, 상기 피스톤하부에 설치되어 재치구의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KR2019950016470U 1995-07-05 1995-07-05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KR200144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470U KR200144881Y1 (ko) 1995-07-05 1995-07-05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470U KR200144881Y1 (ko) 1995-07-05 1995-07-05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228U KR970004228U (ko) 1997-02-19
KR200144881Y1 true KR200144881Y1 (ko) 1999-06-15

Family

ID=6087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470U KR200144881Y1 (ko) 1995-07-05 1995-07-05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88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30B1 (ko) * 2001-10-15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 보호장치
KR100820063B1 (ko) 2006-12-20 2008-04-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도 측정장치 및 진공청소기
KR100820064B1 (ko) 2006-12-20 2008-04-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도 측정장치 및 진공청소기
KR20110090077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30B1 (ko) * 2001-10-15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 보호장치
KR100820063B1 (ko) 2006-12-20 2008-04-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도 측정장치 및 진공청소기
KR100820064B1 (ko) 2006-12-20 2008-04-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도 측정장치 및 진공청소기
KR20110090077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589972B1 (ko) 2010-02-02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228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0987C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4226575A (en) Wet pick-up vacuum unit
CA2387943A1 (en) Brush of vacuum cleaner having floor cloth
KR200144881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겸용 과부하방지장치
JP2003116748A5 (ko)
KR200203703Y1 (ko) 진공 청소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KR100414657B1 (ko) 전기청소기
KR100203436B1 (ko)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KR950005259A (ko) 로울러식 저면 흡입구를 갖는 진공청소기
CN214048685U (zh) 收纳箱和清洁机器人
JPH045935A (ja) 電気掃除機
KR100750725B1 (ko) 진공청소기의 과열 방지장치
KR100613103B1 (ko) 진공 청소기의 모터 보호장치
JPH04327815A (ja) 電気掃除機
JPS6090526A (ja) 掃除機
KR20010047076A (ko) 진공청소기의 전동기 지지구조체
JP2698273B2 (ja) 電気掃除機
JP3298179B2 (ja) 縦形電気掃除機
JP3129088B2 (ja) 電気掃除機
CN112190190A (zh) 收纳箱和清洁机器人
JPH045936A (ja) 電気掃除機
KR200154077Y1 (ko) 진공 청소기의 소음 감소 구조
KR200166974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KR200148362Y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필터 고정 장치
KR200144892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