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457Y1 -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457Y1
KR200144457Y1 KR2019940027669U KR19940027669U KR200144457Y1 KR 200144457 Y1 KR200144457 Y1 KR 200144457Y1 KR 2019940027669 U KR2019940027669 U KR 2019940027669U KR 19940027669 U KR19940027669 U KR 19940027669U KR 200144457 Y1 KR200144457 Y1 KR 200144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mic damper
noise
mass
base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712U (ko
Inventor
김준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27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457Y1/ko
Publication of KR960013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457Y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다이나믹 댐퍼는 작업자가 제작되는 자동차마다 일정 중량을 가진 다이나믹 댐퍼를 소음 발생 부위에 부착하여 소음이 감소되는 지 여부를 확인 후 고정시켜야 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2)가 접합됨과 아울러 소음 발생 부분에 고정되는 브라켓(1)에 베이스체(3)와, 상기한 베이스체(3)에 1g단위등과 같이 일정 단위로 표준 제작된 다수의 질량체(4)를 간헐 결합 수단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이나믹 댐퍼에 의한 자동차의 소음 감소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켓 2 : 고무
3 : 베이스체 4 : 질량체
5 : 돌출부 6 : 결합부
7 : 돌기 8 : 홈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각 부품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분되어 있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스티어링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서스펜션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차체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외관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는 엔진에서 발생된 폭발력을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해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타이어에 전달함으로써 구동하게 되고, 구동 시 진행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스티어링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구동 시 지면에서의 충격과 회전 시의 관성을 흡수하기 위하여 서스펜션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한 각 장치들은 차체의 일정 부분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한 각 장치들은 다시 수많은 부품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 단일체 상태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는 스티어링 장치등과 같은 장치는 회전 시 떨림이 없도록 조립을 정밀하게 해야 한다.
즉, 현재의 자동차는 엔진의 성능 향상과 차체의 내구성, 조립 정밀도 향상등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부분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소음 발생과 이에 따른 진동 발생에 의한 승차감 저하를 최소화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체적인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을 통상 NVH(Noise Vibration Hardeness)로 지칭하는 바, 이는 상기한 스티어링 장치등과 같이 회전되고 차체와 같이 여러 장치를 지지하는 부분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대상물에 부착되는 브라켓(50)과, 상기한 브라켓(50)에 접합되는 고무(51)등과 같은 탄성재와, 상기한 고무(51)에 접합되는 일정 중량의 질량체(52)로 구성된 다이나믹 댐퍼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다이나믹 댐퍼는 자동차 생산 시 차체 및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컬럼등에 부착되어 각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각 장치의 진동에 따른 소음이 가청 영역에 있게 되면 여기에 다이나믹 댐퍼를 부착하여 진동수를 변경시켜 소음이 가청 영역의 밖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듣지 못하게 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다이나믹 댐퍼는 작업자가 제작되는 자동차마다 일정 중량을 가진 질량체(52)를 소음 발생 부위에 부착하여 소음이 감소되는 지 여부를 확인 후 고정시켜야 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다이나믹 댐퍼는 자체 중량에 의해 소음 발생 부분의 진동수를 변경시키기 때문에 각각의 소음 발생 부분에 적합한 질량을 찾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부분의 진동수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다이나믹 댐퍼의 질량을 용이하게 찾으므로써 NVH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무가 접합됨과 아울러 소음 발생 부분에 고정되는 베이스체와, 상기한 베이스체에 1g단위등과 같이 일정 단위로 표준 제작된 다수의 질량체를 간헐 결합 수단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브라켓(1)에 접합되어 있는 고무(2)에 베이스체(3)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베이스체(3)에 간헐 결합 수단으로 결합되고 1g단위등과 같이 일정 단위로 표준 제작된 다수의 질량체(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간헐 결합 수단은 질량체(4)를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체(3)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5)와, 상기한 돌출부(5)에 결합되도록 질량체(4)에 형성된 결합부(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간헐 결합 수단에는 결합되는 질량체(4)가 결합 후 인위적인 힘외의 힘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돌출부(5)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7)와, 상기한 돌기(7)와 결합되도록 결합부(6)에 형성된 홈(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소음이 발생되는 부분에 작업자가 브라켓(1)과 고무(2) 그리고 베이스체(3)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자동차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다시 소음이 발생되면 다시 상기한 베이스체(3)의 돌출부(5)에 일정 질량의 질량체(4)를 슬라이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돌기(7)와 홈(8)에 의해 베이스체(3)에 결합된 질량체(4)는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체(3)와 질량체(4) 또는 질량체(4)끼리 결합시킬 때 압입하게 되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되지만 질량 조정 작업이 어렵게 된다.
베이스체(3)에 일정 질량의 질량체(4)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시 소음 발생 부분의 진동수가 변화되어 소음이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는 초단파 또는 저주파로 변화됨으로써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베이스체(3)에 일정 질량을 가진 질량체(4)를 소음 발생 부분의 진동수가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을 정도의 주파수를 갖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소음 감소 구조를 제작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다이나믹 댐퍼의 질량을 표준화함과 아울러 결합 수단으로 간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소음 방지가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고무(2)가 접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 부분에 고정된 브라켓(1)에 고정되는 베이스체(3)와, 상기한 베이스체(3)에 1g단위등과 같이 일정 단위로 표준 제작된 다수의 질량체(4)를 간헐 결합 수단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간헐 결합 수단은 질량체(4)를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체(3)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5)와, 상기한 돌출부(5)에 결합되도록 질량체(4)에 형성된 결합부(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간헐 결합 수단에 결합되는 질량체(4)가 결합 후 인위적인 힘외의 힘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돌출부(5)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7)와, 상기한 돌기(7)와 결합되도록 결합부(6)에 형성된 홈(8)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KR2019940027669U 1994-10-24 1994-10-24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KR200144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669U KR200144457Y1 (ko) 1994-10-24 1994-10-24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669U KR200144457Y1 (ko) 1994-10-24 1994-10-24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712U KR960013712U (ko) 1996-05-17
KR200144457Y1 true KR200144457Y1 (ko) 1999-06-15

Family

ID=6084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669U KR200144457Y1 (ko) 1994-10-24 1994-10-24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4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84B1 (ko) * 2005-09-14 2007-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아이들링 운전시 소음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712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242B2 (en) Vehicle steering system
KR0150190B1 (ko) 차량 공조기용 압축기를 엔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기구
US5530304A (en) Miniature motor and fan using the same
US4223565A (en) Device for attenuating vibrations in a drive shaft of a motor vehicle
KR101560980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전달 장치
JPS6327205B2 (ko)
FR2655115B1 (fr) Amortisseur de vibration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0144457Y1 (ko)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JPH0791526A (ja) ベルト車
JP3972592B2 (ja) 鉄道車両における牽引装置の制振構造
KR100488743B1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US7374199B2 (en) Air bag inflator vibration damper
KR102134821B1 (ko) 차랑용 스티어링휠 모듈댐퍼
KR20170079875A (ko)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H09263143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の取付構造
JP3099644B2 (ja) プーリ機構
JPH08133103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支持装置
KR100440007B1 (ko) 종감속 차동장치의 드라이브 샤프트
KR20050066146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진동저감구조
KR20170079881A (ko)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S6037857Y2 (ja)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ミラ−
JPS6355454B2 (ko)
JPS6328008Y2 (ko)
KR20060053299A (ko) 프로펠러샤프트와 리어액슬샤프트의 결합구조
KR0139729Y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