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419Y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419Y1
KR200143419Y1 KR2019950049313U KR19950049313U KR200143419Y1 KR 200143419 Y1 KR200143419 Y1 KR 200143419Y1 KR 2019950049313 U KR2019950049313 U KR 2019950049313U KR 19950049313 U KR19950049313 U KR 19950049313U KR 200143419 Y1 KR200143419 Y1 KR 200143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se
protrusions
m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030U (ko
Inventor
주용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50049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419Y1/ko
Publication of KR970042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16G11/025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e.g.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호스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클램프를 벌려 호스에 끼워넣거나 끼워진 클램프일체의 호스를 체결부위에서 다시 벌리게 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에서 소요되는 찝기 공구를 사용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의 사용이 가능 하게 하면서 일반적인 클램프 사용에서도 극히 사용이 간편한 구조의 클램프 잠금 수단을 제공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클램프(1)의 몸체(10)내경이 커지도록 상기 돌출부(13)(14)의 간격(b)을 좁힌 상태에서 이를 유지하도록 돌출부(13)(14)를 좁히기위한 체결구(21)를 구비한 잠금수단(2)을 포함하여 몸체(10)의 내경이 확장된 상태로 호스에 끼워진 뒤 상기 체결구(21)를 돌출부(13)(14)에서 빼냄에 의하여 클램프(1) 몸체가 원복되면서 탄성 복원력으로 호스를 압착 지지하게 되는 것임.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엔진룸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의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로 유용함.,

Description

클램프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클램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클램프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클램프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램프 2 : 지지공간
30 : 숫합수단 40 : 암합수단
31 : 걸림탄편 42 : 걸림턱
41 : 삽지홈
본 고안은 클램프(Clamp)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호스, 전선 및 통사등이 안착되는 지지공간을 형성한 클램프 양측에 각각 숫합수단과 암합수단을 형성하여 암합수단이 숫합수단에 끼워져 다수의 클램프를 연속 연결 가능하게 하는 연속 연결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룸내에는 많은 클램프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 호스를 일정한 연결부위에 체결하기 위한 호스 체결용 클램프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첨부도면 제1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개의 지지공간(101)을 형성한 클램프 본체(100)에 지지구(102)를 형성하여 지지구(102)를 엔진룸내에 후레임 등에 고정한 뒤 이 클램프(100)의 지지공간(101)에 호스, 전선 및 통사(Harness)등을 통과시키면서 엔진룸내의 배선구조를 정리하여 왔으나,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룸의 배선 구조는 그 자동차의 설계당시 부터 이를 설계하고 그에따른 전선이나, 호스, 통사등이 어디를 지나가는 가를 미리 설정하여 이 전선이나 호스 등을 잡아주기위한 클램프를 미리 성형 제작한 뒤 자동차 설계시에 이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모델이 변경될 때 마다 이 클램프를 변경하여 제작하기 위해서는 클램프 설계부터 성형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이 소요되어 이를 자동차의 모든 모델에서 공용할 수 있는 클램프로 제작 사용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모든 호스, 전선 및 통사 등을 처리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을 필요에 따라 1개 이상으로 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배선처리코자 하는 호스나 전선의 수에 대응하여 간단히 조립 실시할 수 있는 클램필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이와같은 목적은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형성되어 호스, 전선 및 통사등이 안착되게 하는 지지공간과, 상기 클램프의 일측에는 숫합수단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암합수단을 형성하여 암합수단이 숫합수단에 끼워져 다수의 클램프를 연속 연결 가능하게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속 연결 클램프에 의하여 달성되며 특히 연결수단은 선단이 뾰족한 걸림탄편을 형성한 숫합수단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암합수단은 입구내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삽지홈으로 실시함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인 연속 연결 클램프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제2도는 본 고안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클램프의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다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큭 지지공간(2)과, 숫합수단(30)과, 암합수단(40)을 형성한 클램프(1)로 이루어진다. 지지공간(2)은 상기 클램프(1)에 형성되어 호스, 전선 및 통사등이 안착되도록 일부가 열린 형태를 갖는다. 숫합수단(30)은 상기 클램프(1)의 일측에 형성되며, 선단이 뾰족한 걸림탄편(31)을 형성한다. 암합수단(40)은 상기 숫합수단(30)에 대응하기 위하여 입구 내측으로 걸림턱(42)을 형성한 삽지홈(41)을 구비하여서 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클램프(1)는 첨부도면 제4도와 같이 수개의 클램프(1)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제1클램프(1)의 숫합수단(30)을 제2클램프(1)의 암합수단(40)에 삽지시킴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지며 2개이상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숫합수단(30)과 암합수단(40)을 번갈아 가면서 연결하면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클램핑 수단이 단순히 하나의 지지공간을 형성한다거나 지지공간을 수개형성한 뒤 지지구로서 엔진룸내의 후레임에 지지한다거나 하는 경우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복수의 호스 처리가 불가능의 문제점 및 복수개의 호스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모델별로 이를 별도의 금형설계 제작과정에서 일일이 제작함에 따른 제작경비의 가중을 덜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통상의 호스, 와이어 및 통사(Harness) 체결용 클램프에 있어서, 클램프(1)와; 상기 클램프(1)에 형성되어 호스, 전선 및 통사등이 안착되게하는 지지공간(2)과; 상기 클램프(1)의 일측에는 숫합수단(30)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암합수단(40)을 형성하여 암합수단(40)이 숫합수단(30)에 끼워져 다수의 클램프(1)를 연속 연결 가능하게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연결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의 숫합수단(30)은 선단이 뾰족한 걸림탄편(3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암합수단(40)은 입구내측으로 걸림턱(42)을 형성한 삽지홈(4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연결 클램프.
KR2019950049313U 1995-12-28 1995-12-28 클램프 KR200143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313U KR200143419Y1 (ko) 1995-12-28 1995-12-28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313U KR200143419Y1 (ko) 1995-12-28 1995-12-28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30U KR970042030U (ko) 1997-07-29
KR200143419Y1 true KR200143419Y1 (ko) 1999-06-15

Family

ID=1943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313U KR200143419Y1 (ko) 1995-12-28 1995-12-28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4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3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3187A (en) Squeeze-action clamp
EP1467135B1 (en) Laterally adjustable clamp
US20040065459A1 (en) Protection member for a mesh cable tray, and a tray including said member
JP2625304B2 (ja) 取付けク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6899499B2 (en) Fastener for connecting miscellaneous articles
KR200143419Y1 (ko) 클램프
JP4191083B2 (ja) ベルトクランプ
JPH0874814A (ja) クランプ
JP2000337559A (ja) 配線・配管用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391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TWI825611B (zh) 包含用於容納多種管尺寸之蝸輪的支撐管夾
JPS6238004Y2 (ko)
US5759063A (en) Wire guide assembly
JPH0932833A (ja) 固定具
JPH0628313U (ja) パイプ等の保持具
KR0133500Y1 (ko) 다중 클램프
JPH1037933A (ja) バンドクランプ
JP4493835B2 (ja) コルゲートクリップ
JPS6336220Y2 (ko)
KR100191245B1 (ko) 자동차 엔진 룸의 호스 지지용 클립
JPH0716950Y2 (ja) コードクランプ
JPH0444959Y2 (ko)
JPH0670419U (ja)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H0566307U (ja) カラーリング付クリップ
KR100191244B1 (ko) 자동차 엔진 룸의 호스 지지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