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261Y1 - 분리형 우유병 - Google Patents

분리형 우유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261Y1
KR200143261Y1 KR2019960023600U KR19960023600U KR200143261Y1 KR 200143261 Y1 KR200143261 Y1 KR 200143261Y1 KR 2019960023600 U KR2019960023600 U KR 2019960023600U KR 19960023600 U KR19960023600 U KR 19960023600U KR 200143261 Y1 KR200143261 Y1 KR 200143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nipple
milk bottle
bottl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244U (ko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이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용 filed Critical 이기용
Priority to KR2019960023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2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가 우유병을 손으로 잡지 않고 젖꼭기를 빨 수 있도록 젖꼭지를 분리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분리형 우유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우유병용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대략 중앙부에 통공(14)이 형성된 캡(2)과, 상기 캡(2)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캡(3)과, 상기 보조캡(3)에 수밀하게 결합지지되며 저면에 격막(7)과 개구된 접속부(8)가 형성된 젖꼭지(4)와, 상기 캡(2)과 보조캡(3) 사이의 공간부(15)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젖꼭지(4)의 접속부(8)에 끼워지고 상기 캡(2)의 통공(14)을 통해 용기본체(1)내로 연장되는 튜브(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우유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우유병
본 고안은 분리형 우유병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아기가 우유병을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젖꼭지를 빨 수 있도록 젖꼭지를 분리가능하게 한 새로운 구조의 분리형 우유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우유병은 아기가 젖을 빨기 위해서 젖꼭지가 결합된 우유병을 아기가 손으로 잡고 먹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아기가 어려서 우유병을 스스로 쥘 수 없을 경우에는 어머니나 기타의 보호자가 아기 옆에서 우유병을 손으로 대신 잡아주거나 베개나 기타의 지지물을 대어서 우유병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는 우유병을 베개 등에 지지하더라도 아기가 몸을 뒤척이면 우유병이 제위치에서 벗어나서 쓰러지게 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없으면 아기는 혼자서 우유병으로 우유를 잘 마실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보호자가 옆에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한편, 근래에 우유병과 젖꼭지를 호스로 연결하여 전술한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한 것이 소개되고 있으나, 호스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휴대가 불편하고 위생적이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기의 수유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것으로서, 보호자의 도움없이 아기 혼자서 우유병의 우유를 빨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리형 우유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아기가 어려서 우유병을 손으로 쥘 수 없더라도 젖꼭지를 통해 우유병의 우유를 빨 수 있는 새로운 분리형 우유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단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젖병의 사용상태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본체 2 : 캡
3 : 보조캡 4 : 젖꼭지
5 : 튜브 6 : 추
7 : 격판 8 : 접속부
9 : 암나사부 10 : 숫나사부
11 : 걸림홈 12 : 걸림돌기
본 고안에 따르면, 우유병용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대략 중앙부에 통공(14)이 형성된 캡(2)과, 상기 캡(2)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캡(3)과, 상기 보조캡(3)에 수밀하게 결합지지되며 저면에 격막(7)과 개구된 접속부(8)가 형성된 젖꼭지(4)와, 상기 캡(2)과 보조캡(3) 사이의 공간부(15)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젖꼭지(4)의 접속부(8)에 끼워지고 상기 캡(2)의 통공(14)을 통해 용기본체(1)내로 연장되는 튜브(5)로 구서오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우유병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명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를 사용상태도로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본체(1)와, 이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캡(2)을 포함한다. 이 캡(2)은 짧은 원통체형상의 테투리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9)가 형성되어 용기본체(1) 상단의 숫나사부(10)와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이 캡(2)의 내부에는 중앙에 통공(14)이 형성된 격판(16)에의해 차단된다.
이 캡(2)의 상부에는 보조캡(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캡(2)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걸림돌기(12)가 형성되고, 보조캡(3)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에 결합되는 걸림홈(11)이 형성된다. 그러나, 캡(2)과 보조캡(3)의 결합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보조캡(3)에는 젖꼭지(4)가 수밀하게 결합된다. 이 젖꼭지(4)의 저면부에는 격막(7)이 형성되고, 격막(7)의 중앙부에는 하향돌출되어 개구된 접속부(8)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젖꼭지(4)의 접속부(8)에는 본 고안의 연장튜브(5)의 일단이 수밀하게 끼워지고, 이 튜브(5)는 캡(2)과 보조캡(3)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5)에 코일형상으로 몇차례 감겨서 수용된다. 이 튜브(5)의 타단은 캡(2)의 통공(14)을 통해 용기본체(1) 속으로 삽입되어 연장된다. 이 튜브(5)의 용기 내부 단부에는 적절한 중량의 추(6)가 매달릴 수 있다. 이 추(6)는 우유병이 쓰러진 경우에도 튜브(5)의 단부가 우유 속에 잠겨서 우유가 흡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과 보조캡(3)을 서로 결합하여 용기본체(1)에 끼워서 통상적인 우유병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보호자 없이 아기가 혼자서 우유를 먹게 되는경우에는 보조캡(3)을 캡(2)에서 분리하여 튜브(5)가 길게 연장되도록 하여 둔다. 그러면, 아기는 젖꼭지(4)만을 입에 물고 용기본체(1)는 소능로 잡지 않더라도 튜브(5)를 통해 용기본체(1) 내의 우유가 원활하게 흡입되어 우유를 빨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기가 우유병을 놓치거나 뒤척여서 우유병이 쓰러지는 등, 제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아기는 보호자 없이도 우유를 빨 수 있어서 매우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우유병의 캡을 캡(2)과 보조캡(3)으로 착탈가능하게 분할제작하고, 젖꼭지(4)에는 격막(7)을 형성하여 보조캡(3)에 결합하고, 젖꼭지(4)와 용기본체(1) 사이에는 연장튜브(5)로 접속시킴으로써, 보호자가 없더라도 아기는 용기본체(1)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용기본체(1)와 분리된 젖꼭지(4)을 입에 물고 빨 수 있다. 따라서, 수유시에 어린아기를 옆에서 지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서 매우 간편하게 된다. 그리고, 튜브(5)를 캡(2)과 보조캡(3) 사이의 공간부(15)에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어서, 휴대성이나 보관성 또는 위생성이 우수하게 된다.

Claims (1)

  1. 우유병용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대략 중앙부에 통공(14)이 형성된 캡(2)과, 상기 캡(2)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캡(3)과, 상기 보조캡(3)에 수밀하게 결합지지되며 저면에 격막(7)과 개구된 접속부(8)가 형성된 젖꼭지(4)와, 상기 캡(2)과 보조캡(3) 사이의 공간부(15)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젖꼭지(4)의 접속부(8)에 끼워지고 상기 캡(2)의 통공(14)을 통해 용기본체(1)내로 연장되는 튜브(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우유병.
KR2019960023600U 1996-08-02 1996-08-02 분리형 우유병 KR200143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600U KR200143261Y1 (ko) 1996-08-02 1996-08-02 분리형 우유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600U KR200143261Y1 (ko) 1996-08-02 1996-08-02 분리형 우유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244U KR19980010244U (ko) 1998-05-15
KR200143261Y1 true KR200143261Y1 (ko) 1999-06-01

Family

ID=1946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600U KR200143261Y1 (ko) 1996-08-02 1996-08-02 분리형 우유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2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244U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896A (en) Nursing bottle with a liner and vent
US4570808A (en) Baby bottle with integral handle
US6279773B1 (en) Lid body of beverage container
JP2883740B2 (ja) 哺乳瓶
US4915242A (en) Dispensing insert for dispensing solid or liquid material from a baby bottle
US5607074A (en) Baby bottle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2987209A (en) Nursing bottle
US4754887A (en) Nursing bottle with a check valve
GB2067416A (en) Feeding device
KR100370438B1 (ko)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US20020139767A1 (en) Sipping lid for baby bottles
US4750630A (en) Baby bottle with integral handle
GB213990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eeding bottles
KR200143261Y1 (ko) 분리형 우유병
KR101823641B1 (ko)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JPH077966Y2 (ja) 幼児用哺乳瓶
KR200307225Y1 (ko) 젖병
CN218606053U (zh) 吸管和吸管杯
KR200202880Y1 (ko) 휴대용 목걸이가 부설된 유아용 음료용기
JP2002125831A (ja) ストロー
TWI797611B (zh) 容器組合及其蓋體
JP3483205B2 (ja) 飲料容器
JPH024580Y2 (ko)
JP4822821B2 (ja) 飲料容器
CN215690001U (zh) 奶嘴及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