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641B1 -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 Google Patents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641B1
KR101823641B1 KR1020170060784A KR20170060784A KR101823641B1 KR 101823641 B1 KR101823641 B1 KR 101823641B1 KR 1020170060784 A KR1020170060784 A KR 1020170060784A KR 20170060784 A KR20170060784 A KR 20170060784A KR 101823641 B1 KR101823641 B1 KR 101823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p
inner case
nipp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열 filed Critical 김정열
Priority to KR102017006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641B1/ko
Priority to PCT/KR2018/005436 priority patent/WO20182125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8Protective covers for bottles
    • A61J9/085Lids for closing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분유를 담는 수용부를 구비한 이너 케이스(10);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된 하부 케이스(20); 상기 하부 케이스(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20)와 함께 상기 이너 케이스(10)를 감싸는 상부 케이스(30);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상단 개구부에 구비된 젖꼭지(36); 상기 젖꼭지(36)를 덮어주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30)에 결합된 뚜껑(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Disposable babies bottle with milk powder conta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의 실내나 야외 외출시의 실외와 같이 여러 장소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할 때에는 사이즈가 작아진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일반적인 병의 형상과 같이 길게 몸체(101)가 직립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의 뚜껑(102)에 젖꼭지(103)가 끼워져 젖병 몸체(10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젖병은 수유가 필요한 영아 및 유아에게 장소와 관계없이 보다 간편하게 우유나 분유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의 상부에는 젖꼭지부가 결합된 캡으로 구성되어 있어, 캡을 분리한 후 용기의 내부에 분유 또는 모유를 담아 이를 아기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뚜껑으로는 젖꼭지부가 결합된 캡을 덮어주게 된다.
그런데, 젖병은 위생상 한번 사용한 후 세척 및 살균을 하여 재사용함으로 집안에서 사용할 때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외출이나 야외로 유아를 데리고 나갈 경우에는 젖병을 여러 개 준비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젖병 자체의 사이즈가 커서 여러 개의 젖병을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하며, 이처럼 사이즈가 큰 젖병을 여러 개 가지고 다니게 되면 그 부피가 커서 유아를 데리고 다니는 엄마들에게는 항상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젖병은 몇 번 사용한 후 위생상 자주 세척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었고, 특히 여행을 할 시 차량 속이나 불편한 숙소에서 일일이 세척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6581호(2001.11.26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8255호(2006.05.30 등록)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의 실내나 야외 외출시의 실외 장소와 같이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할 때에는 사이즈를 줄인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어서 휴대성이 우수한 새로운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분유를 담는 수용부를 구비한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함께 상기 이너 케이스를 감싸는 상부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에 구비된 젖꼭지; 상기 젖꼭지를 덮어주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이 제공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자바라 케이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젖꼭지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상기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젖꼭지는 하단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캡에 형성된 젖꼭지 결합홀에 상기 젖꼭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캡의 젖꼭지 결합홀 주위의 상부벽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자바라 케이스부 상단부에 연결된 캡결합부에 상기 캡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기 캡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을 열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기 자바라 케이스부의 내부에 분유를 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너 케이스에 분유를 담아서 휴대할 때에는 이너 케이스를 자바라 용기처럼 길이를 줄이고 하부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 안쪽으로 밀어넣어서 전체 길이를 줄인 상태로 가방 등에 본 발명의 젖병을 넣을 수 있으므로, 젖병 자체의 사이즈가 커서 여러 개의 젖병을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한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으며, 이처럼 사이즈가 줄어든 젖병을 여러 개 가지고 다니게 되더라도 그 부피가 커지는 경우가 없어서 유아를 데리고 다니는 엄마들에게는 부담을 주는 문제도 해결한 효과가 있다.
한편, 분유를 먹일 때에는 상부 케이스에 하부 케이스를 당겨서 빼주면 길이가 늘어나고 이너 케이스의 바닥부는 하부 케이스에 같이 결합되어 있어서 하부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에서 당겨 빼줄 때에 자바라식으로 접혀져 있는 이너 케이스의 자바라 케이스부가 같이 펴지게 되어 있어서, 분유를 먹일 때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즉, 분유를 먹일 때에는 길이를 늘려주면 되므로, 분유를 먹일 때에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의 길이를 줄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의 길이를 늘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도 9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은 내부에 분유를 담는 수용부를 구비한 이너 케이스(10)와, 이러한 이너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된 하부 케이스(20)와, 상기 하부 케이스(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20)와 함께 이너 케이스(10)를 감싸는 상부 케이스(30)와,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상단 개구부에 구비된 젖꼭지(36)와, 상기 젖꼭지(36)를 덮어주도록 상부 케이스(30)에 결합된 뚜껑(38)을 구비한다.
상기 이너 케이스(10)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자바라 케이스부(14)를 구비한다. 이너 케이스(10)의 자바라 케이스부(14)는 자바라관처럼 유연성이 있어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너 케이스(10)의 바닥부는 후술하는 하부 케이스(20)에 결합되어 있다. 즉, 이너 케이스(10)의 자바라 케이스부(14)가 하부 케이스(20)에 결합되어 있다. 이너 케이스(10)는 자바라 케이스부(14)의 상단부에 이어진 캡결합부(11)를 구비한다. 캡결합부(11)의 상단부에는 개방부가 구비된다. 개방부는 홀 형상이다. 본 발명에서 캡결합부(11)의 개방부는 원형홀 형상이다. 자바라 케이스부(14)는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자바라관 구조이고, 캡결합부(11)는 캡(34)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강성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상기 캡결합부(1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다. 캡결합부(11)는 상단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내향 플랜지부(IF)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캡결합부(11)에는 상부 외향 지지턱(US)과 하부 외향 지지턱(LS) 및 지지홈(SG)이 구비된다. 상부 외향 지지턱(US)은 상기 나사부의 아래쪽 외주면에 구비된다. 하부 외향 지지턱(LS)은 상부 외향 지지턱(US)의 아래쪽 외주면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 외향 지지턱(US)과 하부 외향 지지턱(LS) 사이에 지지홈(SG)이 구비된다. 상기 자바라 케이스부(14)의 상단부는 하부 외향 지지턱(LS)에 이어져 있다. 따라서, 이너 케이스(10)가 상단부에 개방부를 구비한 관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너 케이스(10)의 캡결합부(11)는 원형관 형상이고 자바라 케이스부(14)는 원형 자바라관 형상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상단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하부 케이스(20)는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20)는 이너 케이스(10)의 일부를 감싸고 있다. 하부 케이스(20)의 내경이 이너 케이스(10)의 외경보다 더 커서 이너 케이스(10)의 외주면과 하부 케이스(20)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공간부가 확보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리테이닝 돌기(42)를 구비한다. 하부 케이스(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한 쌍의 대칭되는 상향 연장편(21UE)이 구비되고, 상기 상향 연장편(20UE)의 상단부에 리테이닝 돌기(42)가 구비된다. 리테이닝 돌기(42)는 하부 케이스(20)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이다. 이때, 리테이닝 돌기(42)는 저면에서부터 둘레부로 이어진 가이드면을 더 구비한다. 가이드면은 리테이닝 돌기(42)의 저면에서 상면 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면은 리테이닝 돌기(42)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단면 곡선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외주면에는 포지션 돌편(20PP)이 구비된다. 포지션 돌편(20PP)는 하부 케이스(2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일자형 돌기 구조이다. 이때, 포지션 돌편(20PP)은 하부 케이스(2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포지션 돌편(20PP)은 하부 케이스(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대칭형 포지션 돌편(20PP)이 하부 케이스(2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포지션 돌편(20PP)은 하부 케이스(20)의 전체 외주면 중에서 상기 상향 연장편 사이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내주면에 이너 케이스 결합돌편(20IP)을 더 구비한다. 이너 케이스 결합돌편(IP)은 하부 케이스(20)의 하단부에 인접된 내주면에 구비된다. 이너 케이스 결합돌편(IP)은 하부 케이스(2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 구조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이너 케이스(10)가 내장된 상태에서 이너 케이스(10)의 로워 결합 걸림턱(10LP)이 하부 케이스(20)의 이너 케이스 결합돌편(IP) 아래에 걸려진다. 바람직하게, 이너 케이스(20)는 로워 결합 걸림턱(10LP)의 위쪽 외주면에 보조 로워 결합 걸림턱(10SP)을 더 구비하여, 상기 보조 로워 결합 걸림턱(10SP)의 아래에 하부 케이스(20)의 이너 케이스 결합돌편(IP)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30)에 하부 케이스(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케이스(30)는 상하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관형상으로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30)는 이너 케이스(10)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있다. 하부 케이스(20)는 아래에서 이너 케이스(10)의 일부를 감싸고 상부 케이스(30)는 위쪽에서 이너 케이스(10)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있다. 상부 케이스(30)의 내주면과 이너 케이스(10)의 외주면 사이에도 일정 간격 이격된 공간부가 확보된다. 상부 케이스(30)의 상측 일부는 테이퍼 케이스부(31)로 구성된다. 테이퍼 케이스부(31)는 상부 케이스(30)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3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테이퍼 케이스부(31)의 직경이 위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테이퍼 케이스부(31)에는 복수개의 상하 연장 절개부(31CG)가 구비된다. 상부 케이스(30)는 포지션홈(30PG)을 구비한다. 포지션홈(30PG)는 하부 케이스(20)의 포지션 돌편(20PP)이 결합되는 홈이다. 포지션홈(30PG)는 상부 케이스(30)의 내주면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케이스(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포지션홈(30PG)이 구비된다. 포지션홈(30PG)은 상부 케이스(30)의 내주면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홈 구조이다. 포지션홈(30PG)은 하부 케이스(30)의 포지션 돌편(20PP)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부 케이스(3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일자형 홈 구조를 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30)에는 리테이닝홈(44)이 구비된다. 상부 케이스(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의 리테이닝홈(44)이 구비된다. 한 쌍의 리테이닝홈(44)은 한 쌍의 포지션홈(30PG)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30)의 포지션홈(30PG)에 하부 케이스(20)의 포지션 돌편(20PP)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20)가 상부 케이스(30)의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부 케이스(30)의 내부에서 바깥으로 하부 케이스(20)가 슬라이드되어 나오도록 구성되는데, 하부 케이스(20)가 상부 케이스(30)의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삽입된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20)에 구비된 상향 연장편(20UE)이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정렬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0)에 캡(34)이 결합된다. 상기 캡(34)에는 젖꼭지 결합홀이 구비되고, 젖꼭지 결합홀에 젖꼭지(36)가 결합된다. 이때, 젖꼭지(36)는 하단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젖꼭지(36)의 플랜지부가 캡(34)의 젖꼭지 결합홀 주위의 상부벽 저면에 고정된다. 젖꼭지(36)의 플랜지부가 열접합 등의 방식으로 캡(34)의 상부벽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캡결합부(11)에 상기 캡(34)이 결합된다. 캡(34)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가 이너 케이스(10)의 캡결합부(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된다. 캡(34)이 이너 케이스(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캡(34)이 이너 케이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젖꼭지(36)의 플랜지부가 캡결합부(11)에 구비된 내향 플랜지부(IF)와 캡(34)의 젖꼭지 결합홀 주위의 상부벽 사이에서 가압된다. 상기 캡(34)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캡(34)에 뚜껑(38)이 결합된다. 뚜껑(38)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뚜껑(38) 내주면의 나사부가 캡(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된다. 뚜껑(38)이 캡(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젖꼭지(36)는 캡(34)에 뚜껑(38)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이너 케이스(10)에 내장된다. 젖꼭지(36)는 해롭지 않은 고무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뚜껑(38)이 캡(3)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로 이너 케이스(10)에 내장된다. 즉, 뚜껑(38)이 캡(34)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젖꼭지(36)의 상단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에서 젖꼭지(36)가 이너 케이스(10)에 내장된다.
상기 캡(34)은 상부 케이스(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34)을 열고 이너 케이스(10)에 분유를 담도록 구성된다. 캡(34)에는 젖꼭지(36)가 결합되어 있어서, 캡(34)을 나사식으로 이너 케이스(10)에서 풀어주면 젖꼭지(36)와 함께 캡(34)을 열어주고, 이너 케이스(1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서 분유를 투입할 수 있다. 분유를 먹일 때에는 이너 케이스(1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이너 케이스(10) 내부에 따뜻한 물을 부어 넣을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하고자 할 경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의 내부로 밀어넣어서 전체 상하 길이를 작게 줄여준다. 이때, 이너 케이스(10)의 자바라 케이스부(14)는 자바라처럼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젖병은 길이가 대략 반으로 줄어들게 되어서 가방 내부 수납부의 공간을 그만큼 덜 차지하므로, 가방 등에 넣고 휴대할 경우에 기존에 비하여 더 많이 넣고 휴대할 수 있다.
한편, 분유를 먹이고자 할 때에는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에서 당겨서 빼내주면, 하부 케이스(20)에 이너 케이스(10)의 바닥부가 연결되어 있어서 길이가 자바라관처럼 줄어 있던 이너 케이스(10)도 함께 펼쳐지게 된다. 이너 케이스(10)의 자바라 케이스부(14)가 하부 케이스(20)와 함께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너 케이스(10)에서 뚜껑(38)과 캡(34) 및 젖꼭지(36)를 열고, 이너 케이스(1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서 따뜻한 물을 투입하여 분유를 탈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든 분유를 먹이면 된다.
본 발명의 젖병은 분유를 먹인 다음에는 버리도록 되어 있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 젖병이어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의 실내나 야외 외출시의 실외와 같이 여러 장소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너 케이스(10)에 분유를 담아서 휴대할 때에는 이너 케이스(10)를 자바라 용기처럼 길이를 줄이고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 안쪽으로 밀어넣어서 전체 길이를 줄인 상태로 가방 등에 본 발명의 젖병을 넣을 수 있으므로, 젖병 자체의 사이즈가 커서 여러 개의 젖병을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한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으며, 이처럼 사이즈가 줄어든 젖병을 여러 개 가지고 다니게 되더라도 그 부피가 커지는 경우가 없어서 유아를 데리고 다니는 엄마들에게는 부담을 주는 문제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10)는 자바라 용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 내부로 밀어넣을 때에 이너 케이스(10)도 원활하게 길이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젖병의 길이를 줄일 때에 보다 원활하게 편리해진다.
한편, 분유를 먹일 때에는 상부 케이스(30)에 하부 케이스(20)를 당겨서 빼주면 길이가 늘어나고 이너 케이스(10)의 바닥부는 하부 케이스(20)의 바닥부에 같이 붙어 있어서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에서 당겨 빼줄 때에 자바라식으로 접혀져 있는 이너 케이스(10)가 같이 펴지게 되어 있어서, 분유를 먹일 때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즉, 분유를 먹일 때에는 길이를 늘려주면 되므로, 분유를 먹일 때에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 케이스(20)와 상부 케이스(30)는 리테이너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고 늘어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테이너는 하부 케이스(20)와 상부 케이스(3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리테이닝 돌기(42)와, 상기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다른 면에 구비되어 리테이닝 돌기(42)에 결합되는 리테이닝홈(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닝홈(44)은 상부 케이스(30)에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20)의 상향 연장편(20UE)에는 리테이닝 돌기(4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20)가 상부 케이스(30)의 안으로 들어가서 젖병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20)의 리테이닝 돌기(42)가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정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0)가 상부 케이스(30)의 밖으로 나와서 젖병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20)의 상향 연장편(20UE)가 상부 케이스(20)의 리테이닝홈(44)에 들어가 있으면서 동시에 리테이닝 돌기(42) 위에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의 상단부가 걸려지게 되므로, 젖병이 늘어난 상태(즉, 하부 케이스(20)가 상부 케이스(30)의 밖으로 인출되어 나온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를 의도적으로 밀어넣는 힘을 주지 않는 이상 상부 케이스(30)에 하부 케이스(20)가 쉽게 들어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젖병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0)가 상부 케이스(30)의 밖으로 나와 있는 상태에서 다시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 내부로 밀어넣으려면 상기 하부 케이스(20)가 적어도 누르는 힘에 의해 직경이 축소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20)를 손으로 중심부 쪽으로 눌러주면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상향 연장편(20UE)과 리테이닝 돌기(42)가 하부 케이스(20)의 중심부 쪽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리테이닝 돌기(42)가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의 상단부에서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의 안으로 밀어넣으면, 상부 케이스(30)의 내부에 하부 케이스(20)를 손쉽게 밀어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10)는 상단부에 내향 플랜지부(IF)를 구비하며, 상기 내향 플랜지부(IF)를 구비하여, 상기 캡(34)이 이너 케이스(10)에 결합될 때 젖꼭지(36)의 하부 플랜지부가 이너 케이스(10)의 내향 플랜지부(IF)와 캡(34)의 캡(34)의 젖꼭지 결합홀 주위의 상부벽 사이에서 가압된다.
따라서, 캡(34)을 이너 케이스(10)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캡(34)과 젖꼭지(36) 및 이너 케이스(10) 사이에 밀봉 상태가 유지되므로, 이너 케이스(10)에 담긴 분유가 외부로 세어 나오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외주면과 하부 케이스(20) 및 상부 케이스(30) 사이에 일정 간격의 공간부가 확보되어 있어서 상기 공간부가 보온 공간부 역할을 하게 되므로, 분유를 먹이는 동안 분유가 식어버리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0)와 하부 케이스(20)는 포지션홈(30PG)와 포지션 돌편(20PP)이 서로 맞물려 있어서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과 하부 케이스(20)의 리테이닝 돌기(42)의 위치가 서로 틀어지는 경우가 방지되어, 상부 케이스(30)에서 하부 케이스(20)가 밖으로 나와 있는 상태(인출된 상태)에서 리테이닝홈(44)과 리테이닝 돌기(42)가 서로 걸리지 않는 경우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닝 돌기(42)는 저면에서부터 둘레부로 이어진 가이드면을 더 구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30)에서 하부 케이스(20)를 당겨서 빼줄 때에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면을 타고 올라가서 더 원활하게 하부 케이스(20)의 리테이닝 돌기(42) 위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면은 리테이닝 돌기(42)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단면 곡선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 상단부가 곡선면인 상기 가이드면을 타고 더욱 원활하게 타고 올라가므로, 하부 케이스(20)의 리테이닝 돌기(42) 위에 상부 케이스(30)의 리테이닝홈(44)의 상단부가 더욱더 잘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이너 케이스(10)가 내장된 상태에서 이너 케이스(10)의 로워 결합 걸림턱(10LP)이 하부 케이스(20)의 이너 케이스 결합돌편(IP) 아래에 걸려지므로, 상기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에서 당기거나 상부 케이스(30) 내부로 집어넣을 때에 확실하게 이너 케이스(1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너 케이스(20)는 로워 결합 걸림턱(10LP)의 위쪽 외주면에 보조 로워 결합 걸림턱(10SP)을 더 구비하여, 상기 보조 로워 결합 걸림턱(10SP)의 아래에 하부 케이스(20)의 이너 케이스 결합돌편(IP)이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하부 케이스(20)를 상부 케이스(30)에서 당기거나 상부 케이스(30) 내부로 집어넣을 때에 더욱 확실하게 이너 케이스(20)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상부 케이스(30)의 상측 일부를 형성하는 테이퍼 케이스부(31)의 상단부가 이너 케이스(10)에 형성된 상부 외향 지지턱(US)과 하부 외향 지지턱(LS) 사이의 지지홈(SG)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 케이스(30)와 이너 케이스(10) 사이의 결합 구조가 견고한 효과가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0)를 의도적으로 이너 케이스(10)의 하단부로 빼내려 하지 않는 이상 상부 케이스(30)의 테이버 케이스부(31)의 상단부측 저면이 이너 케이스(10)의 하부 외향 지지턱(LS)에 걸려지므로, 상부 케이스(30)가 이너 케이스(10)에서 아래쪽으로 쉽게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30)가 이너 케이스(10)의 상단부 쪽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부 케이스(30)의 테이버 케이스부(31)의 상단부가 이너 케이스(10)의 상부 외향 지지턱(US)에 걸려지므로, 상부 케이스(30)가 이너 케이스(10)에서 위쪽으로 쉽게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30)를 이너 케이스(10)에 조립할 때에는 이너 케이스(10)의 하단부에서 상부 케이스(30)를 끼운 다음에 테이퍼 케이스부(31)를 이너 케이스(10)의 상부 외향 지지턱(US)과 하부 외향 지지턱(LS) 사이의 지지홈(SG)에 삽입시키는데, 상기 테이퍼 케이스부(31)에는 상하 연장 절개부(31CG)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테이퍼 케이스부(31)를 이너 케이스(10)의 하부 외향 지지턱(LS)의 아래에서부터 상기 지지홈(SG)으로 밀어넣을 때에 상기 상하 연장 절개부(31CG)에 의해 테이퍼 케이스부(31)가 상부 케이스(30)의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살짝 벌어지므로, 상기 상부 케이스(30)의 테이퍼 케이스부(31)를 이너 케이스(10)의 지지홈(SG)에 결합하기가 보다 수월해진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30)를 이너 케이스(10)에 조립할 때에 보다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이너 케이스 12. 상부 플랜지부
20. 하부 케이스 30. 상부 케이스
34. 캡 36. 젖꼭지
38. 뚜껑 42. 리테이닝 돌기
44. 리테이닝홈

Claims (5)

  1. 내부에 분유를 담는 수용부를 구비한 이너 케이스(10);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된 하부 케이스(20);
    상기 하부 케이스(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20)와 함께 상기 이너 케이스(10)를 감싸는 상부 케이스(30);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상단 개구부에 구비된 젖꼭지(36);
    상기 젖꼭지(36)를 덮어주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30)에 결합된 뚜껑(3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10)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자바라 케이스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젖꼭지(36)는 상기 이너 케이스(10)에 상기 뚜껑(38)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케이스(10)에 내장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리테이닝 돌기(42)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30)에는 리테이닝홈(44)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20)가 상기 상부 케이스(30)의 밖으로 나와서 젖병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상향 연장편(20UE)이 상기 상부 케이스(30)의 상기 리테이닝홈(44)에 들어가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리테이닝 돌기(42) 위에 상기 상부 케이스(30)의 상기 리테이닝홈(44)의 상단부가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36)는 하단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캡(34)에 형성된 젖꼭지 결합홀에 상기 젖꼭지(36)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캡(34)의 젖꼭지 결합홀 주위의 상부벽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자바라 케이스부(14) 상단부에 연결된 캡결합부(11)에 상기 캡(3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34)은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상기 캡결합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34)을 열고 상기 이너 케이스(10)의 상기 자바라 케이스부(14)의 내부에 분유를 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KR1020170060784A 2017-05-17 2017-05-17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KR101823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784A KR101823641B1 (ko) 2017-05-17 2017-05-17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PCT/KR2018/005436 WO2018212512A1 (ko) 2017-05-17 2018-05-11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784A KR101823641B1 (ko) 2017-05-17 2017-05-17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641B1 true KR101823641B1 (ko) 2018-03-14

Family

ID=6166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784A KR101823641B1 (ko) 2017-05-17 2017-05-17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3641B1 (ko)
WO (1) WO20182125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03381C2 (ru) * 2018-07-23 2023-09-12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KR20240028671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비스윙 유아용품의 뚜껑 분실방지 연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4775B2 (ja) * 2012-04-23 2015-05-07 アジアン モ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Asian Mos Co.Ltd. 使い捨て哺乳瓶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763Y1 (ko) * 2001-01-20 2001-07-03 박철희 신축성이 있는 젖병
KR20090055432A (ko) * 2007-11-28 2009-06-02 김현진 신축젖병
KR101248768B1 (ko) * 2011-07-25 2013-03-28 신재곤 신축성 젖병
KR20170035444A (ko) * 2015-09-23 2017-03-31 최준혁 접이식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4775B2 (ja) * 2012-04-23 2015-05-07 アジアン モ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Asian Mos Co.Ltd. 使い捨て哺乳瓶キ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03381C2 (ru) * 2018-07-23 2023-09-12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KR20240028671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비스윙 유아용품의 뚜껑 분실방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512A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29542B2 (en) Child feeding system
US5653353A (en) Unitary cap and collar with integral tether construction for bottle feeder
US10080707B2 (en) Modular pacifier assembly
US10004665B2 (en) Baby bottle assembly
US8915386B2 (en) Disposable baby bottle kit
US8029538B2 (en) Baby teething/feeding device
KR101823641B1 (ko) 분유가 내장된 일회용 젖병
US8210350B1 (en) Storage and dispenser for baby bottle nipples and collar
WO2017197461A1 (en) Baby bottle assembly
US20230147362A1 (en) Combined Infant Feeding and Pacifier Retention Device
JPH02119865A (ja) 哺乳ビン
JP2008189385A (ja) ペットボトル等飲料容器の蓋体
KR200259683Y1 (ko) 휴대용 젖병
US3384257A (en) Drink container
KR100768672B1 (ko) 젖병
KR200240775Y1 (ko) 우유컵을 부착하는 우유컵의 소켓트
KR200143261Y1 (ko) 분리형 우유병
KR200307225Y1 (ko) 젖병
CN209751690U (zh) 一种伸缩奶瓶
CN216536158U (zh) 一种创新型新生儿奶瓶
KR102133517B1 (ko) 젖병 구조체
KR200223459Y1 (ko) 유아용 젖병
US11564869B2 (en) Combined infant feeding and pacifier retention device
US20160022067A1 (en) Beverage cup holder with separable handles
KR200212797Y1 (ko) 수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