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170Y1 -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170Y1
KR200143170Y1 KR2019960001611U KR19960001611U KR200143170Y1 KR 200143170 Y1 KR200143170 Y1 KR 200143170Y1 KR 2019960001611 U KR2019960001611 U KR 2019960001611U KR 19960001611 U KR19960001611 U KR 19960001611U KR 200143170 Y1 KR200143170 Y1 KR 200143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erminal
contact fitting
sock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320U (ko
Inventor
정진택
Original Assignee
정진택
한국몰렉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택, 한국몰렉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진택
Priority to KR2019960001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170Y1/ko
Priority to KR1019960034368A priority patent/KR19980015131A/ko
Priority to US08/785,119 priority patent/US5876249A/en
Priority to EP97101515A priority patent/EP0788198A3/en
Priority to JP09053801A priority patent/JP3082072B2/ja
Publication of KR9700523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3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21V19/006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spring-mounted contact plate in a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및 이와 유사한 것의 후미등에 사용되는 램프소켓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조립체를 구성하는 단자에 너얼링 및 엠보를 형성하므로서 조립성 및 전기적접촉성을 향상되게 한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대향되는 각각의 단자에 너얼링과 안내돌기를 형성시키되, 상기 너얼링은 단자의 대향되는 양 접촉끼움편의 상단 접촉끼움부 내면에 형성하므로서 이에 조립되는 램프의 리드선과의 전기적 접속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안내돌기는 단자의 접촉끼움편 외표면에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소켓몸체에 별도로 형성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조립되게 하므로서 단자의 조립성을 안정되고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안내돌기가 소켓본체에 형성시킨 가이드홈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므로서 연속적인 지지상태를 이루면서 조립되어 보다 안정되고 원활한 조립성을 가져오는 효과와 함께, 상기 단자의 접촉끼움편 상단의 접촉끼움부의 안쪽에는 너얼링을 형성하므로서 이에 장착되는 램프의 파지력을 증가시키게 됨과 램프의 리드선과의 전기적 접속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제1도는 종래의 소켓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소켓 및 이에 조립되는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로서 (a)는 정면도이며, (b)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를 구비한 소켓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소켓본체 2 : 플렌지부
3 : 램프삽착구 4 : 컨넥터삽착구
5 : 세로벽 6 : 형성벽
7 : 단차부 8 : 가이드홈
9 : 지지홈 10 : 가이드홈
20, 20' : 단자 21 : 접촉끼움편
22 : 접촉끼움부 23 : 부착부영역
24 : (컨넥터측)접촉부 25 : 굴곡부
26 : 돌기부 27 : 너얼링
28 : 안내돌기 30 : (웨지베이스)램프
31 : 베이스부 32 : 리드선
33 : 잘록부 40 : 켄넥터
50, 51, 52 : 고무패킹재
본 고안은 자동차 및 이와 유사한 것의 후미등에 사용되는 램프소켓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조립체를 구성하는 단자에 너얼링 및 엠보를 형성하므로서 조립성 및 전기적접촉성을 향상되게 한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의 후미등에 사용되는 램프는 베이스가 없는 이른바 웨지베이스벌브(램프)이다.
따라서, 이러한 램프를 전기적접촉상태로 조립시키는 소켓구성 역시 이에 따르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웨지베이스램프용 소켓을 설명한다. 제2도에서와 같이 웨지베이스램프용 소켓은 소켓본체(1)에 대향되는 단자(20)를 구비한 구성을 이룬다.
소켓본체(1)는 합성수지들의 절연재료에 의하여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에는 원반형상의 플렌지부(2)가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본체(1)의 일단 개구부에는 웨지베이스램프(30)의 베이스부(31)를 삽착지지하기 위한 램프삽착구(3)가 형성되고, 타단 개구부에는 컨넥터(40)를 삽착 지지하기 위한 컨넥터 삽착구(4)가 형성된다.
램프삽착구(3)는 대향하는 세로벽(5)과 소켓본체의 형성벽(6)에 둘러싸인 평면형상 대략 I 자형의 오목부이고, 내부에는 대향 접촉끼움편(21)을 구비한 2개(플러스용 및 어쓰용의 2개)의 단자(20)가 대향 배치된다.
한편,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지베이스램프(30)의 베이스부(31)에는 리드선(32)이 노출됨과 동시에 잘록부(33)가 형성된다.
따라서, 벌브삽착구(3)에 웨지베이스램프(30)를 삽착하면, 베이스부(31)의 잘록부(33)가 대향 접촉끼움편(21), 접촉끼움부(22)에 의하여 클렘핑되고, 빠짐이 저지됨과 동시에 리드선(32)과 접촉끼움편(21)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이다.
단자(20)는 주로 네모꼴 평판형상의 부착부영역(23)과, 상기 부착부영역(23)의 좌우 양측면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작용을 하는 대향 접촉끼움편(21)과, 부착부영역(23)의 아래쪽에 형성된 띠형상의 컨넥터쪽 접촉부(24)로 구성된다. 부착부영역(23)은 단자(20)를 소켓본체(1)의 형성벽(6)에 형성된 설치홈(3) 내에 수용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부착부영역(23) 상부의 좌우 측연부에는 굴곡부(25)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25)는 설치홈(3) 내에 있어서, 단자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결정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부착부영역(23)의 대략 중앙에는 이면측으로 잘라세운 돌기부(26)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26)는 소켓본체(1)의 형성벽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7)에 걸리어 램프삽착부(3) 내에 장착된 단자(20)의 빠짐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접촉끼움편(21)은 부착부영역(23)과 직교함과 동시에 부착부영역(23)에 따라 상방으로 뻗어나와 있으며, 대향 접촉끼움편(21)의 선단 영역은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굴곡됨과 동시에 선단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절곡된 만곡형상을 나타낸다.
이 만곡부는 삽입되는 램프(30)의 베이스부(31)에 대하여 탄성부재로 작용하고, 베이스부(31)의 잘록부(32)를 끼우는 접촉끼움부(22)로 된다.
단자(20)의 컨넥터측 접촉부(24)는 컨넥터삽착구(4) 내에 돌출되어 컨넥터삽착구(4)에 삽착되는 컨넥터(40)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소켓본체(1)에서 부호 8은 단자(20)의 상단 굴곡부(25)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며, 부호 50, 51, 52는 실링을 위한 고무패킹재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즉, 대향되는 2개의 단자(20)가 소켓본체(1)의 램프삽착구(3)를 통하여 안정된 조립고정을 위하여서는 먼저, 단자의 선단 접촉부(24)가 소켓본체의 램프삽착구(3) 하단에 형성된 지지홈(9)으로 끼워져 1차적으로 지지되면서 안내 되어지며, 다음으로 단자의 후단양측에 형성된 굴곡부(25)가 소켓본체의 가이드홈(8)에 끼워져 안정된 지지상태를 이루게 됨과 동시에 마지막으로 단자의 돌기부(26)가 소켓본체의 단차부(7)에 걸리게 되므로서 단자(20)의 소켓본체(1)에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의 조립과정은 단자의 접촉부(24)가 지지홈(9)에 1차로 삽입되는 상태에서는 그 지지력이 안정되지 못하여 흔들리게 되며, 결국 단자의 굴곡부(25)가 가이드홈(8)으로 들어서야만이 먼저 삽입된 접촉부(24)와의 지지력에 의하여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굴곡부(25)가 가이드홈(8)에 들어서기까지는 그 안정된 상태로의 조립성이 보장받지 못하게 되어 단자(20)의 조립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나아가 불량율발생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문제점은 단자의 대향되는 접촉끼움편(21) 사이에 램프(30)의 조립시 단자의 접촉끼움부(22)와 램프(30)의 리드선(32)과의 전기적접촉성이 불량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 까닭은 램프(30)의 리드선(32)이 위치한 잘록부(33)가 단자(20)의 굴곡부인 양 접촉끼움부(22)에 접촉되어 이에 위치한 리드선(32)과의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리드선(32)이 잘록부(33)의 잘록형상에 따라 굴곡되어지는 형태가 각각 다르게 되고, 또한 단자의 접촉끼움부(22)는 그 면이 매끄러운 까닭에 불균일한 리드선(32)과의 접촉시 완전한 접촉을 어렵게 하며, 이에 따라 전기적 접속성의 불량이 발생될 소지를 항상 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불완전한 전기적 접속성은 이를 설치한 차량의 유동으로 말미암아 더욱 확대되는 염려를 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자동차용 램프 소켓 조립체의 기술이 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켓몸체에 단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조립된 단자에 램프의 전기적 접속성을 향상되게 한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향되는 각각의 단자에 너얼링과 안내돌기를 형성시키되, 상기 너얼링은 단자의 대향되는 양 접촉끼움편의 상단 접촉끼움부 내면에 형성하므로서 이에 조립되는 램프의 리드선과의 전기적 접속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안내돌기는 단자의 접촉끼움편 외표면에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소켓몸체에 별도로 형성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조립되게 하므로서 단자의 조립성을 안정되고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단자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다.
제3도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소켓조립체를 구성하는 단자(20')는 평판형상의 부착부영역(23)과, 상기 부착부영역(23)의 좌우양측 연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작용을 하는 대향 접촉끼움편(21)과 부착부영역(23)의 아래쪽에 형성된 띠형상의 컨넥터쪽 접촉부(24)와, 부착부영역(23) 상부의 좌우측연부에 굴곡부(25)를 형성하며, 부착부영역(23)의 대략 중앙으로 이면측으로 잘라 세운 돌기부(26)를 형성한 웨지베이스램프용 소켓단자에 있어서, 상기 양 접촉끼움편(21)의 상부 접촉끼움부(22)의 안쪽으로 각각 너얼링(27)을 형성하며, 상기 양 접촉끼움편(21)의 중앙 외면에는 각각 안내돌기(28)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와 같이 상기 대향되는 단자(20')를 구비시키는 소켓본체(1')는 합성수지들의 절연재료에 의하여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에는 원반형상의 플렌지부(2)가 형성되며, 일단 개구부에는 웨지베이스램프(30)의 베이스부(31)를 삽착 지지하기 위한 램프삽착구(3)가 형성되고, 타단 개구부에는 컨넥터(40)를 삽착 지지하기 위한 컨넥터 삽착구(4)를 형성하며, 램프삽착구(3)은 대향하는 세로벽(5)과형성벽(6)을 형성하고, 램프삽착구(3)의 하방에는 단자의 지지홈(9)을 형성하며, 형성벽(6)의 중앙에는 단자의 돌기부(26)가 걸리는 단차부(7) 및 단자의 상단 굴곡부(25)가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홈(8)을 형성한 소켓본체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세로벽(5)의 일측으로 가이드홈(8)과 직교하는 또 다른 가이드홈(10)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가이드홈(10)으로 단자(20')의 안내돌기(28)가 삽입 안내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웨지베이스램프용 소켓조립체의 조립방법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소켓본체(1')의 램프 삽착구(3)를 통하여 대향되도록 양 단자(20')를 조립시키게 하면, 먼저, 단자(20')의 컨넥터쪽 접촉부(24)가 소켓본체의 지지홈(9)에 삽입되어 1차적인 지지상태를 이루면서 조립되어진다.
그러나, 곧이어 본 고안의 기술인 단자의 접촉끼움편(21)에 각각 형성된 안내돌기(28)가 소켓본체에 형성시킨 가이드홈(10)으로 삽입되어져 조립되어지므로서 보다 안정된 조립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단자의 끝단에 형성된 굴곡부(25)가 소켓본체의 가이드홈(8)으로 삽입되어지는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서 더한층 안정된 조립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단자의 굴곡부(25)가 가이드홈(8)에 이르러서야만이 먼저 지지홈(9)에 삽입된 접촉부(24)의 지지력과 함께 안정된 지지력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안내돌기(28)가 가이드홈(10)에 삽입 지지되어지게 하므로서 단자의 연속적인 지지상태를 갖게 되어 보다 원활하고 안정된 조립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즉, 단자의 조립과정에서 조립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됨과 동시에 불량율 발생을 저하시키게 되며, 보다 정밀한 지지상태를 이루게 하므로서 결국 단자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된 단자(20')를 통하여 웨지베이스램프(30)가 조립 장착된다.
즉, 램프(30)를 소켓본체(1')에 조립시킨 대향되는 단자(20')에 삽입시키게 되면, 램프(30)의 베이스부(31)는 대향되는 양 단자(20')의 접촉끼움편(21) 사이로 끼워져 상기 접촉끼움편(21)의 상단 접촉끼움부(22) 사이로 램프의 잘록부(33)가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잘록부(33)에는 리드선(32)이 노출되어 있는 까닭에 그 리드선(32)은 단자의 접촉끼움부(22)와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단자(20')의 접촉끼움부(22) 안쪽에는 너얼링(27)이 형성되어 있어 접촉되는 리드선(32)과의 마찰력이 발생되어져 미끄럼을 일으키지 않게 되며, 상기 너얼링(27)과의 접촉성이 향상되어 결국 안정되며, 전기적 접속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너얼링(27)과의 마찰력증대로 인한 차량의 심한 유동에도 흔들리지 않는 파지력으로 안정된 전기적 접속성을 보장받게 되어 불량 발생이 없는 본래의 램프기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는 단자의 대향되는 접촉끼움편의 외면에 각각 안내돌기를 형성하여 그 안내돌기가 소켓본체에 형성시킨 가이드홈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므로서 연속적인 지지상태를 이루면서 조립되어 보다 안정되고 원활한 조립성을 가져오는 효과와 함께, 상기 단자의 접촉끼움편 상단의 접촉끼움부의 안쪽에는 너얼링을 형성하므로서 이에 장착되는 램프의 파지력을 증가시키게 됨과 램프의 리드선과의 전기적 접속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들의 절연재료에 의하여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에는 원반형상의 플렌지부(2)가 형성되며, 일단 개구부에는 웨지베이스램프(30)의 베이스부(31)를 삽착 지지하기 위한 램프삽착구(3)가 형성되고, 타단 개구부에는 컨넥터(40)를 삽착 지지하기 위한 컨넥터 삽착구(4)를 형성하며, 램프삽착구(3)는 대향하는 세로벽(5)과 형성벽(6)을 형성하고, 램프삽착구(3)의 하방에는 단자의 지지홈(9)을 형성하며, 형성벽(6)의 중앙에는 단자의 돌기부(26)가 걸리는 단차부(7) 및 단자의 상단 굴곡부(25)가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홈(8)을 형성한 소켓본체(1), 그리고 평판형상의 스프링작용을 하는대향 접촉끼움편(21)과, 부착부영역(23)의 좌우측 연부에 굴곡부(25)를 형성하며, 부착부영역(23)의 대략 중앙으로 이면측으로 잘라 세운 돌기부(26)를 형성한 단자(20)로 구성되는 웨지베이스 램프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양 접촉끼움편(21)의 상단 접촉끼움부(22) 안쪽으로 각각 너얼링(27)을 형성하므로서 이에 장착되는 램프(30)의 리드선(32)과의 전기적 접속성을 향상되게 하며, 양 접촉끼움편(21)의 중앙 외면에는 각각 안내돌기(28)를 형성하므로서 소켓본체에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소켓본체에서는 대향하는 세로벽(5)의 일측으로 가이드홈(8)과 직각방향의 또 다른 가이드홈(10)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가이드홈(10)으로 단자(20')에 형성시킨 안내돌기(28)가 삽입 안내되면서 조립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KR2019960001611U 1996-02-02 1996-02-02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KR200143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611U KR200143170Y1 (ko) 1996-02-02 1996-02-02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KR1019960034368A KR19980015131A (ko) 1996-02-02 1996-10-18 대칭형의 봉상 리드를 가진 전자소자 정렬 장치
US08/785,119 US5876249A (en) 1996-02-02 1997-01-21 Wedge-base lamp socket
EP97101515A EP0788198A3 (en) 1996-02-02 1997-01-31 Wedge-base lamp socket
JP09053801A JP3082072B2 (ja) 1996-02-02 1997-01-31 ウェッジベース型ランプ用ソケ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611U KR200143170Y1 (ko) 1996-02-02 1996-02-02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320U KR970052320U (ko) 1997-09-08
KR200143170Y1 true KR200143170Y1 (ko) 1999-06-01

Family

ID=1945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611U KR200143170Y1 (ko) 1996-02-02 1996-02-02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1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320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1294B2 (ja) 低プロフィル・ランプソケット組立品および製造法
US5087213A (en) Lamp socket
EP0031069B2 (en) A baseless incandescent lamp assembly
US4647132A (en) Retaining mechanism for securing a lamp base within a socket
US5536174A (en) Lamp socket assembly for use with a backplat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29535A (en) Lamp socket and backplat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752241A (en) L-shaped bulb socket
JP3082072B2 (ja) ウェッジベース型ランプ用ソケット
US5120233A (en) Retaining mechanism for securing a lamp base with a socket
US4595859A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and socket combination, particularly for direct assembly into a fixture with bayonet lock
US5250874A (en) Socketless lamp with spring side contacts
US5637020A (en) Socket for electrical elements
US5879186A (en) Bulb socket
US5536175A (en) Backplat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8102351A (ja) ランプホルダ及びその組立方法
JPH0896602A (ja) ランプソケット
US4958429A (en) Method of making low profile lamp socket assembly
KR200143170Y1 (ko) 자동차용 램프 소켓조립체
JP3264474B2 (ja) ウエッジベースバルブ用ソケット
EP0713269B1 (en) Bulb socket and method for using
US3614713A (en) Electric lampholder
US5411411A (en) Bulb socket
KR0137990Y1 (ko) 자동차용 웨지베이스램프 소켓조립체
US3533050A (en) Electrical socket
KR20080088880A (ko) 전구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