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892Y1 -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892Y1
KR200142892Y1 KR2019960043094U KR19960043094U KR200142892Y1 KR 200142892 Y1 KR200142892 Y1 KR 200142892Y1 KR 2019960043094 U KR2019960043094 U KR 2019960043094U KR 19960043094 U KR19960043094 U KR 19960043094U KR 200142892 Y1 KR200142892 Y1 KR 200142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hermostat
tube
evaporator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014U (ko
Inventor
김준경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60043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89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35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gas-air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증발기 본체 내외로의 냉매 유출입을 위한 냉매 출입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는 감온통을 냉매 유출관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매 유출관과 감온통을 상호 밀착되게 감싸서 고정하는 클램핑부재와, 감온통과 외부공기와의 단열을 위해 클램핑부재와 감온통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인 부품수가 감소되어 그 조립작업시간 및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본 고안은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팽창밸브의 개폐를 위한 감온통의 설치구조가 개선된 냉매 출입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 냉난방을 위한 공기조화장치 등에 주위 공기의 냉각을 위하여 채용되는 증발기에는, 그 증발기 본체 내외로의 냉매 유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냉매 출입관 조립체가 결합된다.
이러한 냉매 출입관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본체(10)에 마련된 냉매 유입구(11)에 접속되어 그 증발기 본체(10) 내로의 냉매 유입을 안내하는 냉매 유입관(31)과, 증발기 본체(10)의 냉매 유출구(12)에 접속되어 그 증발기 본체(10)로부터의 냉매 배출을 안내하는 냉매 유출관(3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매 유입관(31)의 관로중에 설치된 팽창밸브(40)와 이 팽창밸브(40)에 연결된 감온통(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냉매 유입관(31)은, 그 관로중에 상기 팽창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유입관(311)과 제2유입관(3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1유입관(311)과 제2유입관(312)은 팽창밸브(40)를 개재시켜 연결되어 있다. 팽창밸브(40)에는 중공 튜브(4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중공튜브(43)의 타단은 상기 감온통(42)에 접속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팽창밸브(40) 내의 일정 공간과 튜브(43) 및 감온통(42)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있는데, 그 연통된 공간들에는 온도변화에 의해 쉽개 열팽창 또는 수축되는 소정의 가스가 들어 있으며, 이 가스의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해 팽창밸브 내의 냉매유로 단면적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온통(42)은, 그 감온통(42) 내의 가스와 냉매 유출관(32) 내를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이 행해질 수 있도록, 감온통 지지수단(50)에 의해 냉매 유출관(32)에 밀착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연통공간 내의 가스는 냉매 유출관(32)을 지나는 냉매의 온도변화에 의해 열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팽창밸브 (40)내의 냉매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냉매 유입관(31) 내로의 냉매 유입량이 조절되어 증발기 본체(10)의 냉방부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 냉매 출입관 조립체(80)에 있어서 상기 감온통 지지수단(50)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유출관(32)과 감온통(42)을 상호 밀착되게 감싸서 고정하는 클램핑부재(51)와, 감온통(42)이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클램핑부재(51)의 외면에 감기는 단열부재(52)와, 단열부재(52)의 외면에 감겨서 단열부재(52)를 고정하는 밴드(53)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구성에 의해 감온통(42)을 지지하는 것은, 감온통(42)과 외부공기와의 단열을 위한 단열부재(52)의 길이가 클램핑부재(51)의 전주를 감아줄 수 있을 정도로 길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램핑부재(51)와 단열부재(52) 외에도 그 단열부재(52)의 고정을 위한 밴드(53)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대되어 냉매 출입관 조립체의 전체적인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매 유출관 을 지나는 냉매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밸브 내의 냉매 유로 단면적을 변화시켜서 증발기 본체로의 냉매 유입량을 조절하는 감온통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개선된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냉매 출입관 조립체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매 출입관 조립체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매 출입관 조립체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매 출입관 조립체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클램핑부재의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증발기 본체 80...냉매 출입관 조립체
31...냉매 유입관 32...냉매 유출관
40...팽창밸브 42...감온통
91...클램핑부재 92...단열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는, 증발기 본체에 접속되는 냉매 유입관 및 냉매 유출관과, 상기 냉매 유입관의 관로 중에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냉매 유출관을 지나는 냉매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팽창밸브 내의 냉매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온통과, 상기 감온통을 상기 냉매 유출관 내의 냉매와의 열교환이 행해질 수 있도록 그 냉매 유출관에 밀착고정하기 위한 감온통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감온통 지지수단은 상기 냉매 유출관과 상기 감온통을 상호 밀착되게 감싸서 고정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감온통과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억제하도록 상기 클램핑부재와 상기 감온통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냉매 출입관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냉매 출입관 조립체(80)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냉매 출입관 조립체(30)와 마찬가지로, 증발기 본체(10)의 냉매 유입구(11)에 접속되는 냉매 유입관(31)과, 증발기 본체(10)의 냉매 유출구(12)에 접속되는 냉매 유출관(32)을 구비하고 냉매 유입관(32)의 관로 중에 설치된 팽창밸브(40)와 중공의 튜브(43)를 통해 팽창밸브(40)에 연결된 감온통(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냉매 유입관(31)은 제1유입관(311)과 제2유입관(312)이 팽창밸브(40)를 개재시켜 연결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냉매 출입관 조립체(80)에도, 감온통(42) 내의 가스가 냉매 출입관(32) 내의 냉매의 온도 변화에 의해 열팽창 또는 수축되어 팽창밸브(40) 내의 냉매유로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감온통(42)을 냉매 유출관(32)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감온통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감온통 지지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램핑부재(91)와 단열부재(9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91)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911)와 이 몸체부(911)로부터 연장되며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된 탄성변형부(9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열부재(92)는 클램핑부재(91)의 몸체부(911) 내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80)에 있어서, 냉매는 냉매 유입관(31) 및 그 냉매 유입관(31)의 관로 중에 설치된 팽창밸브(40)를 거쳐 증발기 본체(10) 내로 유입되고, 증발기 본체(10) 내에서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행한 냉매는 냉매 유출관(32)을 통해 배출되는 점과, 감온통(42) 내의 가스는 냉매 유출관(32)을 지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팽창밸브(40) 내의 냉매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키도록 된 점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30)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냉매 출입관 조립체(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온통(42)을 지지하는 감온통 지지수단(90)의 구성면에 있어서 종래 냉매 출입관 조립체(30)와는 다른데, 상술한 감온통 지지수단(90)을 통해 감온통(42)을 냉매 유출관(32)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온통(42)을 냉매 유출관(32)에 밀착시켜 둔다. 그리고, 클램핑부재(91)를,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912)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킨 상태로, 냉매 유출관(32)과 감온통(42)을 감싸듯이 냉매 유출관(32)과 감온통(42)에 끼워둔다. 그 후, 탄성변형부(912)에 가해지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변형부(912)가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되면서 냉매 유출관(32)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램핑부재(91)는 냉매 유출관(32)과 감온통(42)을 상호 밀착되게 감싸서 고정하게 된다.
이 때, 클램핑부재(91)의 몸체부(911) 내면에 부착된 단열부재(92)는 감온통(42)을 감싸게 되고 이에 따라, 감온통(42)과 외부공기와의 단열을 행해져서 감온통(42) 내의 가스가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이 억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냉매 출입관 조립체(30)에 있어서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냉매 출입관 조립체(80)에 있어서는 감온통(42)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클램핑부재(91)와 이 클램핑부재(91)의 내면에 부착되어 클램핑부재(91)의 체결시에 감온통(42)을 감싸서 단열시키는 단열부재(9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인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단열부재(92)는 감온통(42)의 외주면 부위를 감싸줄 수 있는 길이만 가지면 되므로 그 단열부재(42) 자체의 부품비도 절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감온통(42)을 감싸는 단열부재(92)가 클램핑부재(91)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단열부재(92)를 클램핑부재(91)에 부착시키는 대신에 감온통(42)에 부착시켜 둘 수도 있으며, 단열부재(92)를 클램핑부재(91)나 감온통(42)에 부착시키지 않은 상태로 그 클램핑부재(91)의 내면과 감온통(4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는 감온통을 냉매 유출관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매 유출관과 감온통을 상호 밀착되게 감싸서 고정하는 클램핑부재와, 감온통과 외부공기와의 단열을 위해 클램핑부재와 감온통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인 부품수가 감소되어 그 조립작업시간 및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2)

  1. 증발기 본체에 접속되는 냉매 유입관 및 냉매 유출관과, 상기 냉매 유입관의 관로 중에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냉매 유출관을 지나는 냉매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팽창밸브 내의 냉매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온통과, 상기 감온통을 상기 냉매 유출관 내의 냉매와의 열교환이 행해질 수 있도록 그 냉매 유출관에 밀착고정하기 위한 감온통 지지수단을 구비한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감온통 지지수단은,
    상기 냉매 유출관과 상기 감온통을 상호 밀착되게 감싸서 고정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감온통과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억제하도록 상기 클램핑부재와 상기 감온통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클램핑부재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KR2019960043094U 1996-11-28 1996-11-28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KR200142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94U KR200142892Y1 (ko) 1996-11-28 1996-11-28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94U KR200142892Y1 (ko) 1996-11-28 1996-11-28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014U KR19980030014U (ko) 1998-08-17
KR200142892Y1 true KR200142892Y1 (ko) 1999-06-01

Family

ID=1947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094U KR200142892Y1 (ko) 1996-11-28 1996-11-28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8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014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302B2 (en) Housing for a turbocharger
CA2220607C (en) Heat exchanger
US20080202724A1 (en)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Sealing Device for the Same
IT201800003444A1 (it) Cella di scambio di calore per una caldaia per riscaldamento
US5655387A (en) Expansion device for a refrigeration system
JP2000179959A (ja) 減圧器一体型熱交換器
KR200142892Y1 (ko) 증발기용 냉매 출입관 조립체
US8152121B2 (en) Bracket for thermal expansion valve bulb
JPH09269154A (ja) 凝縮器
JPH11159941A (ja) 電気冷蔵庫
US5913891A (en) Thermal expansion valve and system including such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uch device
KR20230139855A (ko) 진공단열배관 어셈블리
KR20060104123A (ko) 차량 공조장치용 파이프의 고정구조
JPS631157Y2 (ko)
JPH0240457Y2 (ko)
JP2578586Y2 (ja) 感温筒固定構造
KR19990027596U (ko) 냉장고용 바이메탈 서머스탯의 고정구
KR200434847Y1 (ko) 자동차용 히터코어의 수온센서 장착 구조
KR19980042342U (ko) 자동차공조장치의 감열형팽창밸브
JPH018980Y2 (ko)
KR101094847B1 (ko) 팽창밸브 조립체
KR2013009437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67956Y1 (ko) 온도센서구조
JPH02306077A (ja) 極低温冷却装置
KR19990060110A (ko) 김치의 발효 및 저장장치의 유로파이프 배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