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517Y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17Y1
KR200142517Y1 KR2019950024765U KR19950024765U KR200142517Y1 KR 200142517 Y1 KR200142517 Y1 KR 200142517Y1 KR 2019950024765 U KR2019950024765 U KR 2019950024765U KR 19950024765 U KR19950024765 U KR 19950024765U KR 200142517 Y1 KR200142517 Y1 KR 200142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ir conditioner
partition plate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4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518U (ko
Inventor
장영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24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17Y1/ko
Publication of KR970014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온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으로 만들어 토출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의 공기가 탁해지는데 이 탁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댐퍼장치를 착, 탈가능하게 마련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모든 부품이 내장되는 케비넷, 상기 케비넷의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획하며 실내측과 실외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그 일측에 형성된 분획판, 상기 연통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댐퍼와 일측이 결합되어 댐퍼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중앙은 비어있는 폐쇄된 사각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분획판에 착,탈시키는 착탈수단,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에 결합되어 일측이 회동되면서 상기 연통고을 개,폐하는 개폐판으로 마련된 구성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제 1 도는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댐퍼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버를 보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그릴 24 : 콘트롤판넬
30 : 증발기 33 : 분획판
45 : 콘트롤박스 50 : 댐퍼
51 : 프레임 52 : 결합부재
55 : 개폐판 60 : 레버
61 : 몸체 62 : 요철
66 : 하우징 67 : 걸림돌기
100 : 케비넷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온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으로 만들어 토출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의 공기가 탁해지는데 이 탁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댐퍼장치를 착,탈가능하게 마련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일체로 마련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를 간단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모든 부품이 내장되는 일면이 개구된 함체형상의 케비넷(100)이 마련되고, 케비넷의 하면에는 공기조화기 부품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받침판(10)이 설치된다. 케비넷(100)의 좌측면에서는 냉방싸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발생하는 탁해진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1a)가 형성된다. 공기조화기의 모든 부품은 받침판에 얹혀져 케비넷(100)내부에 내장되고 개구부에는 그릴(20)이 결합된다. 이 그릴(20)에는 공조장소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흡입구(21)와 토출구(22)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21) 후측에는 필터가 (23)가 내장된다. 미설명부호 24은 콘트롤판넬이다.
그릴(20)의 바로 후방에는 고온의 상태로 유입도는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아 저온의 공기로 만드는 증발기(30)와 구획판(31)이 설치된다. 이 구획판(31)의 배면에는 재질이 스치로폼인 증발기케이스(32)가 씌어지고, 증발기케이스(32)의 배면에는 케이스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획하는 분획판(33)이 마련된다. 이 분획판의 일측에는 실내측과 실외측을 연통시키며 탁해진 실내측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획판(33)의 배면에는 응축기케이스(34)가 마련된다.
위 구획판(31)과 증발기케이스(32)의 사이에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팬(35)이 마련되고, 분획판(33)과 응축기케이스(34) 사이에는 상기 송풍팬(35)을 구동시키는 모타(36)가 설치되고, 이 모타(9)의 일측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7)가 마련된다.
또 응축케이스(34)의 후방에는 압축기(37)로 부터 고온,고압의 냉매를 유입받아 실온, 고압의 냉매로 만드는 응축기(38)가 설치되고, 응축기케이스(34)에는 응축기와 외기가 원활하게 열교환을 하도록 송풍작용을 하는 팬(39)이 설치된다. 이 팬(39)은 모타(36)에 의해 구동되며, 미설명부호 33c는 응축기케이스의 덮개이다.
한편 분획판(33)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미도시)에는 이 연통공을 개,폐하는 댐퍼(40)가 결합되고, 이 댐퍼(40)는 레버(41)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 레버(41)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전기부품이 내장된 콘트롤박스(50)의 상면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콘트롤박스(50)내의 전기부품은 그릴(20)에 설치된 컨트롤판넬(24)과 전기,접속된다.
종래 공기조화기용 댐퍼장치는 제 2도에 도시하듯이, 응축기케이스(32)에 댐퍼와 동일현상의 댐퍼홈(32a)이 형성되고 분획판(33)의 일측에는 연통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획판(33)에 연통공(33a)을 개폐하는 댐퍼(40)가 나사 결합되고, 이 댐퍼(40)의 전면 하측에는 결합돌기(40a)가 마련되며, 이 결합돌기(40a)는 레버(41)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41a)에 결합된다. 그래서 레버(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댐퍼가 연통공을 개방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통공을 닫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6은 댐퍼가 더 이상 개방되지 못하도록 레버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이다.
상기 구조의 종래 공기조화기용 댐퍼장치는, 댐퍼가 분획판에 나사로 결합되므로 결합성이 떨어지는 단점, 분획판과 댐퍼의 결합면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지 못하여 댐퍼가 닫혔을 때도 공기가 누출되어 냉방능력이 저하되는 단점, 댐퍼가 토출공을 닫았을 때에도 댐퍼가 토출구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여 냉방능력이 저하되고 작동이 정확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댐퍼를 용이하게 분획판에 결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둘째, 댐퍼가 분획판에 완전히 밀폐되게 결합되어 댐퍼와 분획판의 결합면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지 않는 공기조화기, 새째, 댐퍼를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음은 물론 댐퍼가 토출공을 완전하게 밀폐시켜 냉기가 누설되지 않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모든 부품이 내장되는 케비넷, 상기 케비넷의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획하며 실내측과 실외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그 일측에 형성된 분획판, 상기 연통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댐퍼와 일측이 결합되어 댐퍼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중앙은 비어있는 폐쇄된 사각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분획판에 착,탈시키는 착탈수단,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에 결합되어 일측이 회동되면서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으로 마련된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을 제 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탁해진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1a)가 형성되고 일면은 개구된 케비넷(100)이 마련된다. 상기 케비넷(100)하측에는 공기조화기의 모든 부품들이 놓이는 받침판(10)이 설치된고 개구부에는 흡,토출구(21,22) 및 콘트롤판넬(24)이 마련된 그릴(2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1)의 바로 후방에는 고온 상태로 유입도는 실내공기의 열을 빼앗아 저온으로 만드는 증발기(30)가 마련되고, 이 증발기의 후측에는 단열기능을 하는 스치로폼재의 구획판(3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32)의 배면에는 상기 케비넷(100)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획하는 분획판(33)이 설치되는데, 이 분획판은 증발기를 통과하여 저온으로 된 공기가 케이스의 배면까지 가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즉 저온의 공기를 빨리 실내로 토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콘트롤판넬(24)의 후방에는 콘트롤판넬과 전기접속된 전기부품들이 내장된 콘트롤박스(45)가 설치된다. 또 상기 분획판(33)의 일측에는 케비넷(100)내의 탁해진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연통공(33a)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성과 동일하고 댐퍼장치의 구성만 상이한 것으로 이를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가 분획판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댐퍼장치는 상기 분획판(3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토출공을 개,폐하는 댐퍼(50)와, 상기 댐퍼를 작동시키는 레버(60)로 마련된다.
상기 댐퍼(50)는 폐쇄되어 중앙부는 비어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공(33a)을 개,폐하는 개폐판(55)으로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51)에는 프레임을 상기 분획판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이 마련된다.
이 착탈수단은 분획판(33)에 형성된 결합공(33b)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프레임(51)에 일체로 마련된 결합부재(52)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통공(33a)에 인접한 분획판에는 결합공(33b)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51)의 배면에는 그 형상이 ㄷ자인 결합부재(52)가 마련된다. 이 결합부재(52)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타단은 프레임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마련된다. 결합부재의 일단을 자유단으로 마련한 것은 탄성을 구비케하기 위함이다. 이 자유단의 외측면에는 걸림적(53)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53)은 상기 결합부재(52)가 결합공(33b)에 결합되었을때 연통공에 인접한 분획판에 걸려 댐퍼가 분획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폐판(55)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측 공간부에 결합되는데, 이 개폐판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프레임(51)에 결합된다. 또 개폐판(55)의 하측에는 결합돌기(56)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와 상기 레버의 일단이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레버는 일단을 상기 결합돌기(56)와 결합되고 타단을 상기 그릴의 배출구(22)로 연장되게 설치된 몸체(61)와 상기 몸체가 착,탈되는 하우징(66)으로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66)은 상기 몸체(61)가 착,탈가능하도록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콘트롤박스(45)의 상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내측면에 걸림돌기(67)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6)와 결합되는 상기 몸체(61)의 단부는 일측이 개구된 장공형상의 결합링(64)으로, 타단은 몸체보다 그 크기가 큰 손잡이(65)로 마련되다. 상기 몸체(61)는 상기 케비넷(100)의 전,후로 수평운동하면서 개폐판을 개폐시키는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67)에 걸려서 몸체가 하우징(66)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 )(62)이 형성된다. 즉, 레버가 오동작되어 개폐판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 몸체의 타측에는 스토퍼(63)가 형성되는데, 이 스토퍼는 몸체를 케이스의 전방으로 당겼을때 상기 스토퍼가 하우징의 단면(端面)에 걸려 몸체가 케이스의 전방으로 더이상 돌출되지 못하게 한다. 즉, 개폐판이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분획판(33)에 형성된 결합공(33b)에 결합부재(52)를 끼워서 댐퍼(50)를 분획판에 결합하고, 하우징(66)을 콘트롤박스(45)의 상면 적소에 고정한다. 그리고 몸체(61)의 결합링(64)을 개폐판의 결합돌기(56)에 결합하고, 요철(62)에 하우징의 걸림돌기(67)가 끼워지도록 하여 손잡이(65)를 배출구(2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한다. 모든 부품들을 설치한 후, 공기조화기를 가동시켜 실내의 냉방을 하다보면 실내의 공기가 탁해지고 이로인해 공기조화기 내의 공기는 더욱 탁해지게 된다. 그러면 레버(60)를 케비넷(100)의 외측(전방)으로 당기면 개폐판이 연통공을 개방하므로 탁해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적정시간 동안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난후, 레버를 케이스의 내측(후방)으로 밀면 연통공이 닫혀 저온으로 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는, 댐퍼를 용이하게 분획판에 착,탈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프레임이 분획판과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프레임과 분획판 사이로 냉기가 누출되지 않고 개폐판이 프레임이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개폐판을 닫았을때에는 냉기가 전혀 누설되지 않아 냉방능력이 향상된 특징이 있으며, 또 레버를 전,후로 당기거나 밀기만 하면 댐퍼가 개,폐되므로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댐퍼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공기조화기의 모든 부품이 내장되는 케비넷(100), 상기 케비넷의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획하며 실내측과 실외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33a)이 그 일측에 형성된 분획판(33), 상기 연통(33a)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댐퍼와 일측이 결합되어 댐퍼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50)는,
    중앙은 비어있는 폐쇄된 사각형상의 프레임(51),
    상기 프레임(51)을 분획판(33)에 착,탈시키는 착탈수단,
    상기 프레임(51)의 공간부에 결합되어 일측이 회동되면서 상기 연통공(33a)을 개,폐하는 개폐판(55)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연통공(33a)에 인접한 분획판(33)에 형성된 결합공(33b),
    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고정단 타단은 탄성을 구비케하기 위해 자유단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결합부재(52),
    상기 자유단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3b)에 인접한 분획판(33)에 걸려서 댐퍼가 분획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걸림턱(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0)는,
    일단은 상기 개폐판과 착탈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구(22)로 연장되어 상기 케비넷의 전,후로 수평운동하는 몸체(61),
    상기 콘트롤박스(45)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61)가 착,탈되는 하우징(66),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67),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67)에 걸려서 몸체가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62),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단면에 걸려서 몸체가 더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9950024765U 1995-09-14 1995-09-14 공기조화기 KR200142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765U KR200142517Y1 (ko) 1995-09-14 1995-09-1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765U KR200142517Y1 (ko) 1995-09-14 1995-09-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18U KR970014518U (ko) 1997-04-28
KR200142517Y1 true KR200142517Y1 (ko) 1999-06-01

Family

ID=1942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4765U KR200142517Y1 (ko) 1995-09-14 1995-09-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18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605B1 (ko) 냉장고
KR200142517Y1 (ko) 공기조화기
JP2001033148A (ja) 冷却貯蔵庫
JP3714715B2 (ja) 冷却貯蔵庫
JP2001133125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3989157B2 (ja) 冷却ユニット
KR10029177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CN220287813U (zh) 一体式可换向热泵机组
KR20030042713A (ko)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조립체
JP3615328B2 (ja) 壁掛型空気調和機
KR20160009232A (ko) 제습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2538124B1 (ko) 바람 손실을 줄여 향상된 제습량을 확보한 제습장치
CN217058085U (zh) 冰箱
CN217330337U (zh) 冰箱
KR100289121B1 (ko) 공기조화기
KR200159709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토출구 개폐장치
KR200275680Y1 (ko) 냉수공급기능을갖는패캐지에어콘
JP2000105053A (ja) 冷蔵庫
JP3030154B2 (ja) 空気調和機
KR101257539B1 (ko) 냉장고
KR100226821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결합장치
KR910000730Y1 (ko) 냉각장치
KR980010184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토출구 개폐장치
CN114221235A (zh) 机电设备散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