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431Y1 - 서류 보관함 - Google Patents

서류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431Y1
KR200142431Y1 KR2019960005717U KR19960005717U KR200142431Y1 KR 200142431 Y1 KR200142431 Y1 KR 200142431Y1 KR 2019960005717 U KR2019960005717 U KR 2019960005717U KR 19960005717 U KR19960005717 U KR 19960005717U KR 200142431 Y1 KR200142431 Y1 KR 200142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oupling
case
engaging
dra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318U (ko
Inventor
이한천
Original Assignee
이한천
주식회사다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천, 주식회사다목 filed Critical 이한천
Priority to KR2019960005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431Y1/ko
Publication of KR970053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1) 및 서랍(2)과 서랍손잡이(26)를 조립식으로 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 부품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케이스(1)를 구성하는 측면부재(6)(6a)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3)과 결합돌기(4)를 각각 형성하고, 이 결합홈(3)과 결합돌기(4)를 결합함으로써, 케이스(1)를 상하로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구조로 서류보관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랍(2)(2a)(2b)(2c)...의 높이를 가장 낮은 높이의 서랍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서랍의 높이를 2배 또는 3배가 되도록 하여 하나의 케이스(1)내에 다양한 높이의 서랍이 상하 순서에 관계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서류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류 보관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보관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보관함의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제3도의 (a)는 제2도의 A부 확대도.
(b)는 제2도의 B부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서랍과 서랍손잡이의 분해사시도.
제5도(a) 및 제5도(b)는 본 고안의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서랍과 서랍손잡이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서랍의 저면에 형성된 리이브를 도시한 서랍의 저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서랍이 수용된 케이스가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8도(a) 및 제8도(b)는 케이스내에 다양한 크기의 서랍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L2, L3 : 서랍의 높이 1 : 케이스
2,2a,2b,2c... : 서랍 3 : 결합홈
4 : 결합돌기 5 : 뒷덮개
6,6a : 측면부재 7 : 상부덮개
8 : 하부덮개 9,9a : 결합부
10 : 걸림턱 11,11a : 안내홈
12,12a : 결합편 13,13a : 결합턱
14,14a : 결합홈 15 : 걸림돌기
16 : 슬라이딩턱 17 : 삽입구멍
18 : 결합돌기 19 : 걸림턱
20 : 걸림돌기 21 : 오목부
22 : 결합공간부 23 : 결합턱
24 : 바닥판 25,25a : 걸림돌기
26,26a : 서랍손잡이 29 : 결합구멍
30 : 결합돌기 31 : 리이브
32 : 바퀴 33 : 삽입홈
34 : 격판 41 : 전면부
42 : 내측면 49 : 외부케이스
50 : 수직면
본 고안은 서류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며, 케이스내에 다양한 크기의 서랍이 조합적으로 수용가능함과 동시에, 케이스 및 서랍과 서랍손잡이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서랍바닥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서류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류보관함에 대해서는 한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90-2088호 및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평1-15873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90-2088호는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다수의 서랍을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양측판의 내면이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거의 수평으로 연속되며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서랍안내홈과, 중앙우측에 서랍삽입홈을 가지고, 서랍안내홈과 중앙 우측에 서랍삽입홈을 가지며, 서랍삽입홈과 서랍안내홈 사이에 서랍걸림턱을 가지고, 인접한 서랍 안내홈들의 사이를 양측단에서 연결하는 걸림판을 구비하고 있는 파일박스이고,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58739호는 직방체의 프렘임체의 천판부 상면가장자리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판부 하면에서 상기 홈과 대응하는 돌조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천판상면 내측에 적어도 한쪽으로 다수개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저판부 하면에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돌부를 형성한 서류함으로서, 이들 종래의 서류함은 운반 및 설치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파손시에 부품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케이스에 다양한 크기의 서랍을 동시에 수용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를 상하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구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및 서랍과 서랍손잡이를 조립식으로 하여 제작, 설치 및 부품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하나의 케이스내에 다양한 크기의 서랍을 조합하여 끼울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서랍바닥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한 서류보관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을 지지하는 2개의 측면부재,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편이 돌출형성되고, 상부/하부덮개 및 후면을 덮는 뒷덮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류가 수납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서랍손잡이로 구성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높이가 다른 다수개의 서랍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랍중 서랍의 높이는 높이가 가장 낮은 서랍의 높이보다 각각 2배와 3배로 높게 되어있고, 상기 서랍의 전면부에는 내측으로 특정간격만큼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공간부와, 걸림턱과,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상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랍손잡이의 내측면에는 상기 서랍의 전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부에 꼭맞게 끼워지도록 외측으로 특정간격만큼 절곡된 걸림턱과, 상기 서랍의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서랍의 전면부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서랍손잡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서랍의 전면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랍의 바닥판 저면에는 서류의 무게로 인한 처짐을 방지하도록 리이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류 보관함은, 2개의 측면부재(6)(6a)와 상부덮개(7), 하부덮개(8), 그리고 뒷덮개(5)에 의해 케이스(1)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측면부재(6)(6a)의 상단면에는 특정간격을 두고 결합홈(3)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면 특정위치에는 상기 결합홈(3)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6)(6a)의 상부내측에는 일체로 상부지지대(4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지지대(43)와 측면부재(6)(6a)의 하단면(44)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홈(14)(1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측면부재(6)(6a)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6)(6a)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서랍(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홈(11)(11a)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덮개(7) 및 하부덮개(8)의 양측선단에는 상기 측면부재(6)(6a)에 형성된 결합홈(14)(14a)에 결합하는 결합편(12)(12a)이 일정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제3도(a) 및 제3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결합편(12)(12a)의 선단하부에는 결합턱(13)(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부재(6)(6a)의 전면에는 결합부(9)(9a)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면(46)(46a)에 걸림턱(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뒷덮개(5)의 각 모서리 부분은 직각을 이루도록 절개되고, 이 절개된 부분의 수직면(50)에 걸림돌기(1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부재(6)(6a)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부(9)(9a)에는 상기 뒷덮개(5)의 걸림돌기(15)가 각각 걸리는 걸림턱(4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에 수용되는 높이가 각각 다른 다수개의 서랍(2a)(2b)(2c)...은 서류가 수납되는 공간부(28)와, 상기 공간부(28)를 구획하는 서랍(2)의 전면부(41)에 부착되는 서랍손잡이(2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의 양단과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결합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서랍손잡이(26)의 내측면(42)의 양단과 하단에는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에 형성된 결합공간부(22)에 꼭맞게 끼워지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 하부에는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손잡이(26)의 내측면(42)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19)에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돌기(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 중앙상부에는 결합구멍(2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손잡이(26)의 내측면(42) 상부중앙에는 상기 결합구멍(29)과 결합되어서 서랍손잡이(26)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결합돌기(3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상단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결합돌기(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손잡이(26)의 상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8)가 끼워지는 삽입구멍(1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2)의 바닥판(24) 저면에는 서류의 무게로 인한 바닥판(24)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리이브(3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36, 38, 52은 측면부재(6)(6a)에 각각 형성된 결합구멍(51)(53)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덮개(7)(8)와 측면부재(6)(6a)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돌기이고, 16은 서랍(2)의 양측면(48)에 설치된 슬라이딩턱으로서, 이 슬라이딩턱(16)은 상기 케이스(1)의 측면부재(6)(6a)에 형성된 안내홈(11)(1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고, 25,25a는 측면부재(6)(6a)의 상단면(46)(46a)에 형성된 결합부(9)(9a)의 걸림턱(10)에 걸려서 케이스(1)로 부터 서랍(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서류보관함의 작용 및 그 효과를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상기 측면덮개(7), 하부덮개(8) 및 뒷덮개(5)를 결합시켜 케이스(1)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하부덮개(8)의 결합편(12)과 측면부재(6)의 결합홈(14)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덮개(8)의 결합편(12a)과 측면부재(6a)의 결합홈(14a)을 결합시키되 각각의 결합홈(14)(14a)에 상기 결합편(12)(12a)의 결합턱(13)(13a)이 걸리도록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상부덮개(7)의 결합편(12)과 상기 측면부재(6)의 결합홈(14) 및 상부 덮개(7)의 결합편(12a)과 측면부재(6a)의 결합홈(14a)을 각각 결합시킨 후, 뒷덮개(5)의 걸림돌기(15)를 측면부재(6)(6a)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부(9)(9a)의 걸림턱(47)에 결합시켜서 케이스(1)를 조립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서랍(2)의 조립은 서랍손잡이(26)를 서랍(2)의 전면부(41)상단으로부터 하부로 밀어내려서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에 형성된 결합공간부(22)에 서랍손잡이(26)의 내측면(42)에 형성된 결합턱(23)를 기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의 걸림턱(19)에 서랍손잡이(26)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가 걸리게 되고,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멍(29)에는 서랍손잡이(26)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0)가 끼워지며, 서랍(2)의 전면부(41)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8)가 서랍손잡이(26)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구멍(17)에 끼워진다.
이상과 같이 서랍(2)과 서랍손잡이(26)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서류보관함은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어 파손시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리이브(31)가 상기 서랍(2)의 바닥판(24)저면에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어 서랍(2)에 수납되는 서류의 무게로 인한 서랍(2)의 바닥판(24)이 처지지 않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서랍(2)을 상기 케이스(1)에 삽입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의 측면부재(6)(6a)의 내측벽에 형성된 안내홈(11)(11a)에 상기 서랍(2) 측면하단의 슬라이딩턱(16)을 끼우고, 서랍(2)을 케이스(1)내부로 밀어넣는다. 여기에서 상기 서랍손잡이(26)의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21)가 상기 측면부재(6)(6a)의 결합부(9)(9a)와 꼭맞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서랍(2)의 측면(48)에 형성된 걸림돌기(25)(25a)는 상기 결합부(9)(9a)의 상단면(46)(46a)에 형성된 걸림턱(10)에 걸리게 됨으로써 서랍(2)을 빼낼 때 서랍(2)의 케이스(1)의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1도 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케이스(1)에는 다양한 높이를 갖는 서랍(2a)(2b)(2c)...이 수용가능하며, 상기 서랍(2b)(2c)...의 높이(L2)(L3)를 가장 낮은 서랍(2a)의 높이(L1)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서랍(2b)의 높이(L2)는 상기 서랍(2a)의 높이(L1)의 2배(2L1), 상기 서랍(2c)의 높이(L3)는 상기 서랍(2a)의 높이(L1)의 3배(3L1)로 함으로서, 상기 케이스(1)내에서 상하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의 서랍(2)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2a)(2b)(2c)..이 수용된 케이스(1)는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구조로 배치할 수 있는데 다수개의 케이스(1)를 상하로 적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부재(6)(6a)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에 케이스(1)의 측면부재(6)(6a)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4)를 끼움으로서 케이스(1)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배치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배치된 케이스(1)는 그 외측에 별도의 외부케이스(49)를 씌워 더욱더 견고히 케이스(1)를 적충시킬 수 있으며 그 외관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브(49)의 저면에 바퀴(32)가 장착되어 있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서류보관함의 서랍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9도에 도시한 서랍에는 상기 서랍손잡이(26a)의 전면을 투명재질로 하여 서랍(60)내에 수납되어 있는 서류나 물품의 내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6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삽입홈(33)을 배설해서 다수개의 격판(34)을 적절히 배치하여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류보관함은 케이스를 구성하는 측면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하고, 이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다른 케이스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와 결합함으로써 케이스를 상하로 안정적으로 적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구조로 서류보관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및 서랍과 서랍손잡이를 분리가능한 조립식으로 하여 설치, 분리할 수 있어 부품 파손시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서랍의 높이를 가장 낮은 높이의 서랍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다른 서랍의 높이를 2배, 또는 3배가 되도록 하여 하나의 케이스내에 다양한 크기의 서랍들이, 상하 순서에 관계없이 수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랍의 바닥판 저면에 리이브를 형성하여 서류등의 무게로 인해 서랍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잇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양측을 지지하는 2개의 측면부재(6)(6a),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편(12)(12a)이 돌출형성되고, 상부/하부덮개(7)(8) 및 후면을 덮는 뒷덮개(5)로 이루어진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류가 수납되는 서랍(2)과, 상기 서랍(2)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서랍손잡이(26)로 구성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서랍(2)은 높이가 다른 다수개의 서랍(2a)(2b)(2c)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랍(2a)(2b)(2c)중 서랍(2b)(2c)의 높이(L2)(L3)는 높이가 가장 낮은 서랍(2a)의 높이(L1)보다 각각 2배와 3배로 높게 되어있고,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에는 내측으로 특정간격만큼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공간부(22)와, 걸림턱(19)과,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멍(29)과, 상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돌기(1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랍손잡이(26)의 내측면(42)에는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에 형성된 결합공간부(22)에 꼭맞게 끼워지도록 외측으로 특정간격만큼 절곡된 걸림턱(23)과,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에 형성된 걸림턱(19)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0)와,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에 형성된 결합구멍(29)에 끼워져서 상기 서랍손잡이(26)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결합돌기(30)와, 상기 서랍(2)의 전면부(41)에 형성된 결합돌기(18)와 결합되는 삽입홈(1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랍(2)의 바닥판(24) 저면에는 서류의 무게로 인한 처짐을 방지하도록 리이브(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보관함.
KR2019960005717U 1996-03-23 1996-03-23 서류 보관함 KR200142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717U KR200142431Y1 (ko) 1996-03-23 1996-03-23 서류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717U KR200142431Y1 (ko) 1996-03-23 1996-03-23 서류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318U KR970053318U (ko) 1997-10-13
KR200142431Y1 true KR200142431Y1 (ko) 1999-06-01

Family

ID=1945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717U KR200142431Y1 (ko) 1996-03-23 1996-03-23 서류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995B1 (ko) * 2001-03-07 2008-07-01 벨-아트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모듈식 실험용 캐비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995B1 (ko) * 2001-03-07 2008-07-01 벨-아트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모듈식 실험용 캐비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318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4037A (en) Collapsible letter tray kit
EP1392571B1 (en) Enclosure assembly
US4428487A (en) Dual side wall locking attachment for trays to vertical legs in sectional display rack
US5454634A (en) Unitary interlocking frame for storage containers
WO2021040009A1 (ja) 収納ケース
US11350744B2 (en) Storage box
US5396996A (en) Storage crate for hanging file folders
KR200142431Y1 (ko) 서류 보관함
KR200363445Y1 (ko) 가변형 서랍 구획판
US4934531A (en) Storing box for cassette
GB210187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drawer
US6328178B1 (en) Collapsible container
US6662949B2 (en) Package for mechanical or electrical components
JP4220179B2 (ja) 基板のキャリアケース
JP3012553U (ja) 組立式収納ケース
KR200334987Y1 (ko) 서랍식 보관함
KR101823395B1 (ko) 수납 상자 조립체
JP4535593B2 (ja) 収納ケース
KR100709143B1 (ko)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KR200237584Y1 (ko) 붙박이장용 서랍
KR100284681B1 (ko) 분유 케이스
KR950005667Y1 (ko) 파일 꽂이
KR102203358B1 (ko)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서랍 분리함
GB2258452A (en) Stackable/nestable containers
KR200464048Y1 (ko) 핸들 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