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319Y1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319Y1
KR200142319Y1 KR2019960035317U KR19960035317U KR200142319Y1 KR 200142319 Y1 KR200142319 Y1 KR 200142319Y1 KR 2019960035317 U KR2019960035317 U KR 2019960035317U KR 19960035317 U KR19960035317 U KR 19960035317U KR 200142319 Y1 KR200142319 Y1 KR 200142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cable
terminal
cap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989U (ko
Inventor
오권태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2019960035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31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애노우드 캡의 내주에 배치되는 애노우드 단자와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 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을 제공하고자, 애노우드 단자(4)의 절곡부(10)의 애노우드 케이블(6)의 삽입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단부에 애노우드 케이블(6)이 납땜에 의존하지 않고 애노우드 단자(4)와 접속되도록 대각선으로 절개 형성되어,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20)가 삽입된 후, 조립 반대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지 않도록 미소 각만큼 절곡 형성된 체크 핑거(2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훤넬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애노우드 캡의 내주에 배치되는 애노우드 단자와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 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음극선관에 고압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된 고압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소정 개소에 장착된 애노우드 케이블을 통해서 음극선관의 훤넬에 형성된 삽입구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애노우드 단자가 삽입되어 음극선관에 전달된다.
제2도는 종래의 애노우드 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애노우드 캡(2)은 도전성의 애노우드 단자(4)와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애노우드 케이블(6)과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와 애노우드 케이블(6)의 접속부분으로 고압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재 캡(8)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는 도전성의 금속편이 소정 패턴 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부(10)와 탄성부(14)와 삽입부(16)를 형성한다.
상기한 절곡부(10)는 애노우드 케이블(6)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애노우드 케이블(6)의 외경에 상당하도록 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부(14)는 절곡부(10)와 음극선관의 훤넬에 형성된 삽입 공으로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의 삽입이 용이하게 하도록 탄성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가 훤넬의 삽입 공으로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공의 치수에 상당하게 도중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삽입부(16)는 훤넬의 삽입 공으로 삽입되어 고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가 훤넬의 삽입 공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돌기(19)가 종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의 절곡부(10)로 애노우드 케이블(6)을 끼워 넣어서 애노우드 케이블(6)을 위치 고정하고, 상기한 절곡부(10)로 삽입 고정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20)를 상기한 절곡부(10)의 외주로 절곡한 후, 납땜 접속하여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와 애노우드 케이블(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애노우드 케이블(6)과 애노우드 단자(4)가 접속된 접속 부분의 외주에는 절연성의 고무재 캡(8)을 씌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애노우드 캡(2)은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20)와 애노우드 단자(4)를 납땜에 의존하여 접속해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애노우드 단자가 납땜에 의존하지 않고 접속되게 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을 제공함에 두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의 절곡부의 애노우드 케이블의 조립 반대편에 위치되는 단부에 대각선으로 절개 형성되어 미소 각만큼 절곡 형성된 체크 핑거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가 체크 핑거의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애노우드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애노우드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애노우드 칩 4 : 애노우드 단자
6 : 애노우드 케이블 8 : 고무재 캡
10 : 절곡부 14 : 탄성부
16 : 삽입부 19 : 고정 돌기
20 :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 22 : 체크 핑거
24 : 삽입흠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애노우드 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애노우드 캡(2)은 도전성의 애노우드 단자(4)와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와 전기 적으로 접속되는 애노우드 케이블(6)과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와 애노우드 케이블(6)의 접속부분으로 고압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재 캡(8)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는 도전성의 금속편이 소정 패턴 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부(10)와 한성부(14)와 삽입부(16)를 형성한다.
상기한 절곡부(10)는 애노우드 케이블(6)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애노우드 케이블(6)의 외경에 상당하도록 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절곡부(10)의 애노우드 케이블(6)의 삽입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대각선으로 절개 형성되어 미소 각도 절곡 형성된 체크 핑거(22)가 면을 형성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부(14)는 절곡부(10)와 음극선관의 훤넬에 형성된 삽입 공으로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의 삽입이 용이하게 하도록 탄성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가 훤넬의 삽입 공으로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공의 치수에 상당하게 도중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삽입부(16)는 훤넬의 삽입 공으로 삽입되어 고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한 애노우드 단자(4)가 훤넬의 삽입 공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돌기(19)가 종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20)를 상기한 체크 핑거(22)의 삽입홈(24)으로 끼워 넣어서 애노우드 케이블(6)을 애노운드 단자(4)와 접속한 후, 상기한 절곡부(10)로 애노우드 케이블(6)을 삽입하여 위치 고정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애노우드 케이블(6)과 애노우드 단자(4)가 접속된 접속 부분의 외주에는 절연성의 고무재 캡(8)을 씌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20)와 애노우드 단자(4)가 납땜에 의존하지 않고 견고하게 접속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애노우드 단자가 납땜에 의존하지 않고, 체크 핑거에 의해서 접속 고정되는 것이므로, 납땜 작업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애노우드 단자(4)의 절곡부(10)의 애노우드 케이블(6)의 삽입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단부에 애노우드 케이블(6)이 납땜에 의존하지 않고 애노우드 단자(4)와 접속되도록 대각선으로 절개 형성되어,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20)가 삽입된 후, 조립 반대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지 않도록 미소 각만큼 절곡 형성된 체크 핑거(22)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KR2019960035317U 1996-10-25 1996-10-25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KR200142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17U KR200142319Y1 (ko) 1996-10-25 1996-10-25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17U KR200142319Y1 (ko) 1996-10-25 1996-10-25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89U KR19980021989U (ko) 1998-07-15
KR200142319Y1 true KR200142319Y1 (ko) 1999-06-01

Family

ID=1947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317U KR200142319Y1 (ko) 1996-10-25 1996-10-25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3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89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0835C (en)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base combination, and method of lamp-base assembly
JP3615551B2 (ja) ランプ
CA2227008C (en) Compact low pressure discharge lamp
US6008570A (en) Compact low-pressure discharge lamp with conductive spring element
JPH09259749A (ja) 小型蛍光ランプ
KR200142319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KR100562197B1 (ko) 플라이백트랜스
JPH0711747U (ja) 放電灯の給電部
KR2001457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US6469427B1 (en) Lamp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KR19980028077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KR20014231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US5742218A (en) Flyback transformer
KR19980028071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JPH09134833A (ja) トランス
KR960010379Y1 (ko) 텔레비젼의 안테나 단자판용 실드박스
US20060097616A1 (en) Lamp
KR19980015362U (ko) 메탈 할라이드 램프
KR200154303Y1 (ko) 편향 요크의 네크 밴드 결합구조
JP3510355B2 (ja) 差込みピンおよび同軸コネクタ
KR20014578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4229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 팩 케이블 고정구조
KR100266772B1 (ko)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JP2000012122A (ja) 接続端子並びに該接続端子を具えた接続機器及び電気機器
KR960006099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