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932Y1 -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932Y1
KR200141932Y1 KR2019950050192U KR19950050192U KR200141932Y1 KR 200141932 Y1 KR200141932 Y1 KR 200141932Y1 KR 2019950050192 U KR2019950050192 U KR 2019950050192U KR 19950050192 U KR19950050192 U KR 19950050192U KR 200141932 Y1 KR200141932 Y1 KR 200141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exhaust manifold
flange
exhaus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645U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0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932Y1/ko
Publication of KR970040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4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엔진에 있어서,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머플러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에 직접연결하되, 진동및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생산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가 모아지는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를 연결한 통상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하단 끝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의 중앙이 좁혀진 통공과, 반구형의 돌출상접부를 가진 배기매니폴드의 관체와,상단 끝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의 중앙이 연장된후, 반구형의 오목 상접부를 가진 머플러의 관체와, 상기한 각각의 플랜지를 복수의 보울트로서 체결하되, 이들 사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개입시칸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엔진의 진동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일부분 확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매니폴드측 관체 2 : 머플러측 관체
3 : 보울트 4 : 스프링
11 : 플랜지 12 : 통공
13 : 돌출 상접부 21 : 플랜지
23 : 오목 상접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엔진에 있어서,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매니폴드와 배기 머플러를 연결하되, 이들을 직접연결하도록 하므로서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엔진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배출과정을 보면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엔진(d)일측의 배기매니폴드(a)에서 하나로 모아 다음에 연결된 머플러(b)를 통과하되, 촉매컨버터와 소음기를 지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기머플러에는 배기가스및 엔진의 작동에 의한 충격및 진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도입부의 에프.알.티 머플러(b1)와 리어머플러(b2)사이에 벨로우즈관(b3)을 개입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벨로우즈관(b3)을 별도로 개입시키는 구조는 벨로우즈관 때문에 생산원가가 높아짐은 이중적으로 조립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돤 목적은 머플러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에 직접연결하되, 진동및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생산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가 모아지는 배기매니홀드와 머플러를 연결한 통상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하단 끝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의 중앙이 좁혀진 통공과, 반구형의 돌출상접부를 가진 배기매니폴드의 관체와,상단 끝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의 중앙이 연장된후, 반구형의 오목 상접부를 가진 머플러의 관체와, 상기한 각각의 플랜지를 복수의 보울트로서 체결하되, 이들 사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개입시킨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엔진의 진동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배기매니폴드측의 관체(1)와 머플러측의 관체(2)를 연결하되,상기한 배기매니폴드측의 관체(1)는 하단 끝에 원형의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으로는 좁혀진 통공(12), 통공의 주위에서 반구형으로 형성된 돌출 상접부(13)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머플러측 관체(2)역시 원형의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으로는 관체가 조금 연장된후, 그 끝단이 오목 상접부(23)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각각의 플랜지(11)를 보울트(3)로 연결하되, 그 사이에는 스프링(4)을 개입시켜 상기한 양측 상접부(13)(23)에 직접적으로 과다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배기매니폴드측의 관체(1)와 머플러측의 관체(2)를 연결할때는 오목 상접부(23)위에 접하는 돌출 상접부(13)가 치밀하게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다한 힘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엔진측의 진동이나 충격이 있을때 그 힘은 배기매니폴드측의 관체(1)와 머플러측의 관체(2)가 맞닿은 양측 상접부(13)(23), 그리고 스프링(4)에 전달되는바, 양측 상접부(13)(23)는 구형의 접촉부로서 단면적이 크지 않기 때문에 진동이 크게 전달되지 않고, 나머지 힘은 스프링(4)에서 흡수하므로 머플러측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구조는 배기매니폴드측의 관체(1)와 머플러측의 관체(2)에 형성된 플랜지(11)(21)사이에 스프링(4)을 끼운후, 보울트(3)를 체결하기만 하면 연결이 끝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고, 별도의 완충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기매니폴드측의 관체(1)와 머플러측의 관체(2)를 연결하기가 쉬워 작업성이 좋고, 특히 별도의 완충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특히 진동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오래가고 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가 모아지는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를 연결한 통상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하단 끝에 플랜지(11)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의 중앙이 좁혀진 통공(12)과, 반구형의 돌출 상접부(13)를 가진 배기매니폴드의 관체(1);상단 끝에 플랜지(21)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의 중앙이 연장된 후, 반구형의 오목 상접부(23)를 가진 머플러의 관체(2);상기한 각각의 플랜지(11)(21)를 복수의 보울트(3)로서 체결하되, 이들사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개입시킨 스프링(4);으로 구성하여 엔진의 진동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KR2019950050192U 1995-12-28 1995-12-28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KR200141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192U KR200141932Y1 (ko) 1995-12-28 1995-12-28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192U KR200141932Y1 (ko) 1995-12-28 1995-12-28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645U KR970040645U (ko) 1997-07-29
KR200141932Y1 true KR200141932Y1 (ko) 1999-06-01

Family

ID=1944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192U KR200141932Y1 (ko) 1995-12-28 1995-12-28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9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645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0890B1 (en) Vibration absorbing apparatus for exhaust system of engine
US4494722A (en) Exhaust unit support device
US6374600B2 (en) Vehicle engine exhaust system
KR200141932Y1 (ko) 배기매니폴드와 머플러의 연결장치
JP2010150947A (ja) 排気系部材の支持構造
JP4071530B2 (ja) 排気系における球面ジョイント構造
KR100362406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마운팅 기구
KR101189564B1 (ko) 자동차 배기계용 러버행거
KR19980064316U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배기 장치의 프론트 배기 파이프
KR100580030B1 (ko) 자동차용 배기계통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534923B1 (ko) 자동차의 배기계구조
JPH04331891A (ja) 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装置
JPH0221544Y2 (ko)
KR101794845B1 (ko) 배기파이프의 장착구조
KR200299660Y1 (ko) 차량의 배기계용 촉매 컨버터
JPS6240088Y2 (ko)
JP3841393B2 (ja) 排気管のフレキシブルジョイント構造
JPH06248946A (ja) エンジンの排気管
JP2962638B2 (ja) 排気装置
KR19990003250U (ko) 배기 매니폴드와 배기 파이프의 플렉시블 연결 구조
KR100362407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마운팅 러버
KR100820687B1 (ko)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JPH05248235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19100193A (ja) 排気管の支持構造
KR100362403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