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686Y1 -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686Y1
KR200141686Y1 KR2019960050076U KR19960050076U KR200141686Y1 KR 200141686 Y1 KR200141686 Y1 KR 200141686Y1 KR 2019960050076 U KR2019960050076 U KR 2019960050076U KR 19960050076 U KR19960050076 U KR 19960050076U KR 200141686 Y1 KR200141686 Y1 KR 200141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material layer
reflected
reflec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060U (ko
Inventor
문인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0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6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6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 미러 케이스(11)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2)에 2개의 미러(13,14)를 근접배치시키고, 미러(13)는 고정된 미러로서 배면에 광반사물질층(17)이 도포되고 수평선상으로 0.01~0.05mm의 폭으로 0.03~0.15mm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제거되어 있는 한편, 미러(14)는 미러(13)의 바로 뒤에서 90°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수평선상으로 0.02~0.1mm의 폭으로 0.02~0.1mm의 간격으로 광흡수물질층(18)이 도포되어 있으며 그위에는 광반사물질층(19)을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야간운행시 미러(13)의 광반사물질층이 제거된 부분(20)을 통과한 후방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의 광이 미러(14)의 광흡수물질층(18)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미러(13)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고, 주간운행시 미러(14)를 90°회전시켜 반사광의 감소를 최소화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사이드 미러로부터의 반사광량을 선택적으로 감소시켜 야간운행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을 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 운전시 후방 차량의 전조등 조명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도록 자동차 사이드 미러의 구조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보조석의 측부 사이드판넬에는 도 1과 같이 사이드 미러(1)가 장착되어 안전운전을 위해 후방 및 측방 관찰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야간운전시에는 직후방 자동차의 전조등 조명에 의해 눈이 부셔 운전자가 후방관찰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즉,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측후방차량의 속도, 거리 및 차량수 등을 관찰하여 주행속도조절 및 추월여부 등에 대하여 판단을 하여야 하는데 반사광에 의해 눈이 부셔 측후방 상태를 정확히 관찰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운전자는 선글라스 등을 착용할 수도 있으나 직후방 차량의 조명에 의한 눈부심은 방지되지만 야간에 상황관찰을 할 수 없어서 여전히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후방관찰이 방해되지 않으면서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는 사이드 미러가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사이드 미러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미러의 광반사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그 부분을 통과한 광이 흡수체에 흡수되도록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한 구조의 사이드 미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사이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선택적으로 반사광이 감소되도록 개선된 본 고안의 사이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이드 미러의 횡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미러에서 반사광 감소작용을 하도록 근접배치되는 2개의 미러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미러 11: 케이스 12: 하우징 13,14: 미러 15: 돌출부 16: 레버 17,19 : 광반사물질층 18: 광반사물질층 20: 광반사물질층의 제거부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사이드 미러는 배면에 도포된 광반사물질층을 수평선상으로 0.01~0.05mm의 폭으로 0.03~0.15mm의 간격으로 제거하여 조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된 고정미러와 상기 고정미러의 후방에서 90°회전가능하게 근접배치되고 배면에 광흡수물질층을 수평선상으로 0.02~0.1mm의 폭으로 도포한 다음 그 위에 광반사물질층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가동미러를 포함하며 주간에는 고정미러의 광반사물질층이 제거된 부분과 가동미러의 광흡수물질층의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야간에는 광흡수물질층이 중첩배치되도록 하여 조사된 광이 부분적으로 흡수되게 하여 반사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3에 있어서, 본 고안의 사이드 미러(10)는 케이스(11)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2)에 2개의 미러(13,14)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케이스(11) 내부 저면에서 돌출된 돌출부(15)를 감싸고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우징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레버(16)로 운전자가 미러각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미러(13)는 하우징(12)의 개구부 입구에 고정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통상의 광반사물질층(17)이 도포되고 광반사물질층(17)은 수평선상으로 0.01~0.05mm의 폭으로 0.03~0.15mm의 간격으로 제거되어 있다. 또한, 미러(14)는 미러(13)의 후방에 근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배면에 광흡수물질층(18)이 수평선상으로 0.02~0.1mm의 폭으로 0.02~0.1mm의 간격으로 반복되게 도포되어 있으며 그 위에 광반사물질층(19)이 전체적으로 도포되어 있다. 상기 미러(14)의 광흡수물질층(18)은 미러(13)의 광반사물질층이 제거된 부분(20) 바로 뒤에 배치되어 미러(13)에 조사된 광이 상기 광반사물질층이 제거된 부분(20)을 통과하여 미러(14)의 광흡수물질층(18)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미러(13)에서 반사되는 광량이 감쇠되므로 야간 운전시에 후방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운전자의 눈부심이 방지된다. 또한, 주간이나 흐린날에는 사이드 미러의 반사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오히려 운전자의 후방관찰에 장애가 되므로 반사광량의 감소를 최소가 되도록 미러(14)를 90°회전시켜 미러(13)의 광반사물질이 제거된 부분(20)과 미러(14)의 광흡수물질층(18)이 직교되게 하면 미러(14)에서 흡수되는 광량이 최소화되므로 운전자의 후방관찰에 장애를 초래하지 않게 된다. 미러(13)에서 광이 반사되지 않는 부분은 폭이 0.01~0.05mm이고, 광이 반사되는 부분은 0.03~0.15mm의 폭을 가져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워 상황관찰에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 야간에 후방차량에 의해 조사되는 전조등에 의한 반사광량을 감소시켜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미러(14)는 그 배면측에 돌출되어 톱니부(21)가 형성되고 그와 맞물리는 섹션기어(22)를 단부에 구비하여 케이스(11) 외부로 레버(23)가 연장되어 운전자가 야간 또는 주간 운행시 필요에 따라 실내에서 레버(23)의 조작에 의해 미러(14)를 회전시켜 미러(13)으로부터의 반사광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야간주행시 후방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사이드 미러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간편하게 감소시켜 눈부심이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주간과 흐린날에는 사이드 미러에서의 반사광의 감소를 최대한 감소시켜 항상 후방관찰이 용이하여 안전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이드 미러 케이스(11)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2)에 2개의 미러(13,14)를 근접배치시키고, 미러(13)는 고정된 미러로서 배면에 광반사물질층(17)이 도포되고 수평선상으로 0.01~0.05mm의 폭으로 0.03~0.15mm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제거되어 있는 한편, 미러(14)는 미러(13)의 바로 뒤에서 90°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수평선상으로 0.02~0.1mm의 폭으로 0.02~0.1mm의 간격으로 광흡수물질층(18)이 도포되어 있으며 그위에는 광반사물질층(19)을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야간운행시 미러(13)의 광반사물질층이 제거된 부분(20)을 통과한 후방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의 광이 미러(14)의 광흡수물질층(18)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미러(13)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고, 주간운행시 미러(14)를 90°회전시켜 반사광의 감소를 최소화하게 조정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사이드 미러.
KR2019960050076U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0141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076U KR200141686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076U KR200141686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60U KR19980037060U (ko) 1998-09-15
KR200141686Y1 true KR200141686Y1 (ko) 1999-05-01

Family

ID=1947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076U KR200141686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6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60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5609A (en) Vehicle safety mirror
KR20014168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WO2015198847A1 (ja) 車両用ミラー装置
CA1278556C (en) Combination rear window brake light and convenience light
JP2000108786A (ja) 折り畳んだときに後方が見えるドアーミラー
KR19980037084U (ko) 자동차용 룸미러
JPH0351233Y2 (ko)
JPH0136666Y2 (ko)
JPS6322120Y2 (ko)
KR20020020147A (ko)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후사경
KR100229446B1 (ko) 차량용 눈부심 방지 후방 미러
KR200151404Y1 (ko) 자동차 후사경의 반사광 조절장치
KR0131897Y1 (ko)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KR19980019665U (ko) 사각지대 보완용 리어 미러가 장착된 선 바이저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200430486Y1 (ko)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KR950011222A (ko) 자동차용 백밀러
KR19980050547A (ko) 야간 운전시 눈부심 방지를 위한 빛 에너지 상쇄장치
KR19990027549U (ko) 반사광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룸미러
KR19980041033U (ko) 차광판 내장형 썬바이저
JPH0124094B2 (ko)
KR19980057714U (ko) 자동차의 후사경
KR19980059628A (ko) 하부 관찰용 보조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백 미러
KR19990010801A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의 회전수단
KR19980018601U (ko) 다중식 선바이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