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4218A - 햇빛 보호제 - Google Patents

햇빛 보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4218A
KR20010114218A KR1020017011585A KR20017011585A KR20010114218A KR 20010114218 A KR20010114218 A KR 20010114218A KR 1020017011585 A KR1020017011585 A KR 1020017011585A KR 20017011585 A KR20017011585 A KR 20017011585A KR 20010114218 A KR20010114218 A KR 2001011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un protection
derivatives
glucan
b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테 그리에스바하
롤프 바치테르
베른트 파브리
마이클 헤이에르
롤프이 엔그스타드
Original Assignee
바이오텍 에이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텍 에이에스에이 filed Critical 바이오텍 에이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1011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42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수용성 β-(1,3) 글루칸과, (b) 자외선 보호 성분을 함유하는 햇빛 보호제(sun-protection agent)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햇빛 보호제{SUN PROTECTION AGENT}
화장용 햇빛 보호제는 UV-A 및 UV-B 복사선의 직접적인 결과, 즉 햇빛에 타는 것 외에도, 피부 노화 및 피부암 형태의 간접적인 결과로부터 사람의 피부를 보호한다. 따라서, 화학적 구조로 인해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유기 필터 물질(organic filtering substance)이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의 흡수를 통하여 상기 필터 분자내의 전자는 여기 상태가 된다. 다음에, 흡수되는 에너지는 열 복사선의 형태로 다시 유리됨으로써, 감광성 분자들은 다시 에너지 바닥 상태가 된다. 한편, 대부분의 공지된 햇빛 보호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필터의 경우에는, 이성질화 또는 라디컬 분해와 같은 화학적 변화가 일어난다. 상기 햇빛 보호제는 광안정성이 항상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 외에도, 화장용 기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한된 용해도 또는 분산성을 가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햇빛 보호제는 저장 동안 침전함으로써 상당한 부분의 효율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 특허 EP-B1 0500718호(Donzis)에는 햇빛 보호제에서 글루칸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글루칸은 추출을 통해 효모의 세포벽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 수불용성이고 (1,6) 결합을 함유한다. 또한, EP-A1 0681830호(Unilever)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자외선 보호 필터 및 임의적으로 10 중량% 이하의 글루칸을 함유하는 햇빛 보호제가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은 햇빛 보호 화장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수한 글루칸(glucan)을 함유하는 신규 제제, 자외선 보호 성분(UV light protection factor), 상기 자외선 보호 성분의 감광성 개선을 위한 상기 글루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보호 성분의 오일 안정성, 오일 분산성 및 감광성을 개선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품과 비교하여 구별되는 면역 조절성 또는 면역 자극성을 가지며 개선된 접착성, 막형성 특성 및 내수성을 갖는 제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a)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수용성 β-(1,3) 글루칸과,
(b) 자외선 보호 성분을 함유하는 햇빛 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β-(1,3) 글루칸을 첨가하면 화장용 기름에서 자외선 보호 성분의 용해도 또는 분산성이 증가할 뿐 아니라 상기 자외선 보호 성분의 감광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반면에, 수불용성이고 상당한 β-(1,6) 결합을 가지는 글루칸은 용해화 및 감광성 둘 모두의 측면에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제가 면역계를 자극하고 개선된 접착성, 막형성 특성 및 내수성을 가진다는 발견을 포함한다.
수용성 β-(1,3) 글루칸
용어 글루칸(glucan)은 글루코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호모폴리사카라이드를 의미하는 것이다. 입체 결합에 따라, β-(1,3), β-(1,4) 및 β-(1,6) 글루칸의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β-(1,3) 글루칸은 일반적으로 나선형 구조를 나타내는 반면에, (1,4) 결합을 갖는 글루칸은 일반적으로 선형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β-글루칸은 (1,3)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글루칸은 바람직하지 않은 (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다. 곁사슬이 오직 (1,3) 결합만을 나타내는 β-(1,3) 글루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제는 사카로마이세스류(Saccharomyces), 특히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부터 추출한 효모를 주성분으로 하여 얻어지는 글루칸을 함유한다. 이러한 유형의 글루칸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기술적인 양으로 얻어질 수 있다. 국제 특허 출원 WO 95/30022호(Biotec-Mackzymal)에는 이러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β-(1,3) 및 β-(1,6) 결합을 가지는 글루칸을 실제적으로 모든 β-(1,6) 결합이 유리되도록 β-(1,6) 글루카나아제와 접촉시킨다. 트리코데르미아 하지아넘(Trichodermia harzianum)을 주성분으로 하는 글루카나아제를 상기 글루칸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에 함유되는 글루칸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하여는 상기 인용된 공보를 참조한다.
자외선 보호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UV light protection factor)는 예를들어, 실온에서 액체 또는 결정 형태이며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의 형태와 같이 긴 파장의 복사선의 형태로 에너지를 유리시키는 유기 물질(빛 보호 필터)이다. UVB 필터는 기름 또는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다. 유용성(oil soluble) 물질의 예로는 하기의 것들이 있다:
· 3-벤질리덴 캄포르, 3-벤질리덴 노르캄포르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들어 EP-B1 0693471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3-(4-메틸벤질리덴)캄포르;
· 4-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옥틸에스테르 및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아밀에스테르;
· 신나몬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4-메톡시 신나몬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4-메톡시 신나몬산 프로필에스테르, 4-메톡시 신나몬산 이소아밀에스테르, 2-시아노-3,3-페닐 신나몬산 2-에틸헥실에스테르(옥토크릴렌);
· 살리실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살리실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살리실산 4-이소프로필 벤질에스테르, 살리실산 호모멘틸에스테르;
· 벤조페논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 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
· 벤즈말론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4-메톡시 벤즈말론산 2-에틸헥실 에스테르;
· 트리아진 유도체, 예를 들어 EP A1 0818450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2,4,6-트리아닐리노-(p-카보-2'-에틸-1'-헥실옥시)-1,3,5-트리아진 및 옥틸트리아진;
· 프로판-1,3-디온, 예를들어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디온; 및
· EP-B1 06945521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케토시클로(5,2,1,0)-데칸 유도체.
수용성 물질로서는 하기의 것들이 있다:
·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 및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알칸올암모늄 및 글루캄모늄 염;
· 벤조페논의 술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및 이의 염;
· 3-벤질리덴캄펜의 술폰산 유도체, 예를 들어 4-(2-옥소-3-보르닐리덴메틸)-벤젠 술폰산 및 2-메틸-5-(2-옥소-보르닐리덴)술폰산 및 이들의 염.
대표적인 UV-A 필터로는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디온, 4-3차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Parsol 1798), 또는 1-페닐-3-(4'-이소프로필페닐-프로판-1,3-디온과 같은 벤조일 메탄의 유도체를 특히 사용할 수 있다. 물론, UV-A와 UV-B 필터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옥토크릴렌 또는 캄포르 유도체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조합물이 특히 감광성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가용성 물질외에도, 미세 분산 금속 산화물 또는 염과 같은 불용성 빛 보호 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적당한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산화아연 및 산화 티타늄 외에도, 철, 지르코늄, 실리콘,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 세륨의 산화물뿐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염으로서는 규산염(탤크), 황산바륨 또는 스테아르산 아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및 염은 피부 보호 에멀션 및 화장품을 위한 안료의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입자는 100 nm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n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상기 입자는 구형 형상을 갖지만, 타원형이거나 구형이 아닌 형상을 갖는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햇빛 보호제(sun protecting agent)에서는 소위 마이크로 또는 나노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크론화된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적당한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는 다음 문헌[P. Finkel,SOFW-Journal 122,543(1996)]에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것으로는 자외선 흡수성 또는 항산화성을 갖는 허브 추출물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제제는
(a)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0.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수용성 β-(1,3) 글루칸과,
(b)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자외선 보호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언급된 양들은 물 및 추가의 적절한 보조 또는 첨가 물질과 함께 100 중량%를 구성한다.
상업적 이용성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β-(1,3) 글루칸을 첨가하면, 화장용 기름에서 자외선 보호 성분의 용해도 및 분산성이 개선될 뿐 아니라, 상기 자외선 보호성분의 감광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햇빛 보호제에서 자외선 보호 성분의 감광성 및 용해도의 개선을 위한 상술한 물질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햇빛 보호제
크림, 로숀, 오일, 겔, 스틱 등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햇빛 보호제는 추가의 보조 또는 첨가 물질로서, 순한 계면활성제, 오일 보디(oil body), 에멀션화제, 고지방화제(hyperfatting agent), 진주 러스터 왁스, 점조도 부여 물질(consistency substance), 증점제, 중합체, 실리콘 화합물, 지방, 왁스, 안정화제, 생물기원 활성 물질, 탈취제, 비듬억제제, 막 형성제, 팽윤제, 항산화제, 무기 착색 안료, 굴수성유발물질, 방부제, 방충제, 자기 탄닌제(self tanning agent), 가용성화제, 향료 기름, 착색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순한 계면활성제, 즉 피부와 상화성이 있는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설페이트, 모노- 및/또는 디알킬 술포숙신에이트, 지방산 이소티온에이트, 지방산 사코신에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지방산 글루타메이트, α-올레핀 설폰에이트, 에테르카르복시산,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지방산 글루카미드, 알킬아미도 베타인 및/또는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있다.
오일 보디(oil body)로서는 예를들어, 6 내지 18의 탄소수,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 알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게베트 알콜(Guerbetalcohol), 선형 C6-C22지방 알콜에 의한 선형 C6-C22지방산의 에스테르, C6-C22지방 알콜에 의한 측쇄 C6-C13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이소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올레이트, 미리스틸 베헨에이트, 미리스틸 에루케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세틸 이소스테이레이트, 세틸 올레이트, 세틸 베헨에이트, 세틸 에루케이트, 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올레이트, 스테아릴 베헨에이트, 스테아릴 에루케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베헨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이트,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팔미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레이트, 올레일 베헨에이트, 올에일 에루케이트, 베헨일 미리스테이트, 베헨일 팔미테이트, 베헨일 스테아레이트, 베헨일 이소스테아레이트, 베헨일 올레이트, 베헨일 베헨에이트, 베헨일 에루케이트, 에루실 미리스테이트, 에루실 팔미테이트, 에루실 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올레이트, 에루실 베헨에이트 및 에루실 에루케이트가 있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는 측쇄 알콜, 특히 2-에틸헥산올에 의한 선형 C6-C22지방산의 에스테르, 선형 또는 측쇄 C6-C22지방 알콜, 특히 디옥틸 말레이트에 의한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다가알콜(예, 프로필렌 글리콜, 이량체성 디올 또는 삼량체성 트리올) 및/또는 게베트 알콜에 의한 선형 또는 측쇄 지방산의 에스테르, C6-C10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C6-C18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노-/디-/트리글리세리드의 액상 혼합물, 방향족 카르복시산, 특히 벤조산에 의한 C6-C22지방 알콜 및/또는 게베트 알콜의 에스테르, 1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선형 또는 측쇄 알콜 또는 2 내지 10의 탄소수 및 2 내지 6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에 의한 C2-C12디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식물성 기름, 측쇄 1차 알콜, 치환된 시클로헥산, 선형 및 측쇄 C6-C22지방 알콜 카본에이트, 게베트 카본에이트, 선형 및/또는 측쇄 C6-C22알콜에 의한 벤조산의 에스테르(예, Finsolv™), 각각의 알킬기마다 6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선형 또는 측쇄의 대칭 또는 비대칭 디알킬 에테르, 에폭시화 지방산에스테르와 폴리올의 개환 생성물, 실리콘 오일 및/또는 지방족 또는 나프탈렌계 탄화수소, 예를 들어 스쿠알란, 스쿠알렌, 또는 디알킬 시클로헥산이 있다.
에멀션화제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그룹중 한 그룹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1) 8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선형 지방 알콜, 12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산 또는 알킬기가 8 내지 15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 페놀에 대한 2 내지 30몰 산화에틸렌 및/또는 0 내지 5몰 산화프로필렌의 첨가 생성물;
(2) 1 내지 30몰 산화에틸렌과 글리세롤의 첨가 생성물의 C12/18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
(3) 6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 및 디에스테르 및 소르비탄 모노- 및 디에스테르 및 이들의 산화에틸렌 첨가 생성물;
(4) 알킬기가 8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이의 에톡시화 유사체;
(5) 피마자 기름 또는 경화 피마자 기름에 대한 15 내지 60몰 산화에틸렌의 첨가 생성물;
(6) 폴리올 및 특히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폴리글리세롤 폴리-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롤 다이머레이트 이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폴리글리세롤, 및 상기 화합물들의 혼합물;
(7) 피마자 기름 및/또는 경화 피마자 기름에 대한 2 내지 15몰 산화에틸렌의 첨가생성물;
(8) 선형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6/22지방산, 리시놀산 및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부분적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펜타에리트라이트, 디펜타에리트라이트, 당 알콜(예, 스르비톨), 알킬 글루코시드(예, 메틸 글루코시드, 부틸 글루코시드, 라우릴 글루코시드) 및 폴리글루코시드(예, 셀룰로오스);
(9) 모노-, 디-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및 모노-, 디- 및/또는 트리 PEG 알킬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염;
(10) 양모 왁스 알콜;
(11) 폴리실록산/폴리알킬/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응하는 유도체;
(12) DE 1165574 PS호에 따른 펜타에리트라이트, 지방산, 시트르산 및 지방 알콜의 혼합 에스테르 및/또는 6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산, 메틸 글루코스 및 폴리올(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또는 폴리글리세롤)의 혼합 에스테르;
(13)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14) 글리세롤 카본에이트.
지방 알콜, 지방산, 알킬 페놀,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 및 디에스테르, 지방산의 소르비탄 모노- 및 디에스테르에 대한 산화에틸렌 및/또는 산화프로필렌의 첨가 생성물 및 피마자 기름에 대한 산화에틸렌 및/또는 산화프로필렌의 첨가 생성물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지된 생성물이다. 이러한 첨가 생성물은 산화에틸렌 및/또는 산화프로필렌의 양과 기질의 양의 비에 상응하는 평균 알콕시화도를 갖는 동족 물질들의 혼합물이다. 글리세롤에 대한 산화에틸렌의 첨가 생성물의 C12/18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는 화장품 제제에 사용되는 복귀 지방화제(revertive fatting agent)인 것으로 DE 2024051 PS호에 개시되어 있다.
C8/18알킬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시드, 이의 제조 및 용도는 공지된 것이다. 이의 제조는 특히, 글루코스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8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1차 알콜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글리코시드 잔기로는, 고리형 당 기가 지방 알콜에 글리코시드 결합되어 있는 모노글리코시드와 바람직하게는 약 8 이하의 소중합도를 갖는 올리고머형 글리코시드가 적당하다. 소중합도는 기술적인 양의 상기 생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이게 되는 동족체들의 분포에 기초한 통계학적평균값이다.
또한, 에멀션화제로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surfactant)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어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에서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기 및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레이트기 및 하나의 술폰에이트기를 갖는 표면활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특히 적당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위 베타인인데, 이러한 베타인의 예로는 알킬 또는 아실기가 8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코코 알킬디메틸암모늄 글리신에이트와 같은 N-알킬-N,N-디메틸암모늄 글리신에이트, 알킬 또는 아실기가 8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코코 아실아미노프로필 디메틸 암모늄 글리신에이트와 같은 N-아실아미노프로필-N,N-디메틸암모늄 글리신에이트, 알킬 또는 아실기가 8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2-알킬-3-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린, 및 코코 아실아미노에틸 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 글리신에이트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CTFA의 용어로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 알려져 있는 지방산 아미드 유도체이다. 또한 적당한 에멀션화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ampholytic surfactant)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에서 C8/18알킬 또는 아실기 외에도 유리아미노기 및 하나 이상의 -COOH- 또는 -SO3H 기를 함유하며 불활성 염을 형성할 수 있는 표면 활성 화합물이다. 적당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기에서 약 8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N-알킬 글리신, N-알킬 프로피온산, N-알킬 아미노부틸산, N-알킬 이미노디프로피온산, N-히드록시에틸-N-알킬아미도프로필 글리신, N-알킬타우린, N-알킬사르코신, 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아미노 아세트산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N-코코 알킬아미노 프로피온에이트, 코코 아실아미노 에틸아미노프로피온에이트 및 C12/18아실사르코신이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외에도 4차 에멀션화제(quaternary emulsifer)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에멀션화제의 에스테르 염, 특히 메틸사차화(methylquaternised) 이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에스테르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지방화제(hyperfatting agent)로서는 예를들어, 라놀린 및 레시틴과 같은 물질 외에도 폴리에톡시화 라놀린 및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거품 안정화제로서도 작용한다.
진주 광택 왁스(pearl gloss wax)의 예로는 하기의 것들이 있다: 알킬렌 글리콜에스테르, 특히 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알칸올아미드, 특히 코코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부분적 글리세리드, 특히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리드; 6 내지 22의 탄소수의 지방 알콜에 의한 다가의 임의적으로 히드록시치환된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특히 타르타르산의 긴 사슬 에스테르; 탄소수의 합이 24개 이상인 지방 알콜, 지방 케톤, 지방 알데히드, 지방 에테르 및 지방 카본에이트와 같은 지방 물질, 특히 라우론(lauron) 및 디스테아릴에테르;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과 같은 지방산; 12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 알콜 및/또는 2 내지 15의 탄소수 및 2 내지 10 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에 의한 12 내지 22의 탄소수를 갖는 에폭시화 올레핀의 개환 생성물; 및 상기 화합물들의 혼합물.
점조도 부여제(consistency giver)로는, 12 내지 22의 탄소수, 바람직하게는16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 알콜 또는 히드록시 지방 알콜 외에도, 부분적 글리세리드, 지방산 또는 히드록시 지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질들과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또는 지방산-N-메틸글루카미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폴리-12-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의 조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증점제(thickening agent)의 예로는 에어로실 타입(친수성 실릭산), 폴리사카라이드, 특히 크산탄 검, 구아르-구아르, 아가-아가, 알긴산염 및 틸로오스(tylose),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외에도, 지방산, 폴리아크릴레이트(예, Goodrich로부터 입수가능한 Carbopol™ 또는 Sigma로부터 입수가능한 Synthalenes™),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고분자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 및 디에스테르 외에도, 에톡시화 지방산 글리세리드, 펜타에리트라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폴리올에 의한 지방산의 에스테르, 좁은 동족체 분포를 갖는 지방 알콜 에톡시레이트 또는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와 같은 계면활성제뿐 아니라, 염화나트륨 및 염화암모늄과 같은 전해질이 있다.
적당한 양이온성 중합체의 예로는 Amerchol로부터 JR400™의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4차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양이온성 전분, 디알릴 암모늄 염과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Luviquat™(BASF)와 같은 4차화 비닐피롤리돈/비닐이미다졸 중합체, 폴리글리콜과 아민의 축합 생성물, 라우릴 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콜라겐(Lamequat™L/Grunau)과 같은 4차화 콜라겐 폴리펩티드, 4차화 밀 폴리펩티드, 폴리에틸렌이민, 아미도메티콘과 같은양이온성 실리콘 중합체, 아디프산과 디메틸아미노 히드록시프로필 디에틸렌트리아민의 공중합체(Cartaretine™/Sandoz), 아크릴산과 디메틸 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Merquat™550/Chemviron), FR 2252840 A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아미노 폴리아미드, 및 상기 화합물들의 가교된 수용성 중합체, 임의적으로 미세 결정 분산되는 4차화 키토산과 같은 양이온성 키틴 유도체, 디브로모부탄과 같은 디할로겐 알킬과 비스-디메틸아미노-1,3-프로판과 같은 비스디알킬아민의 축합 생성물, Celanese로부터 입수가능한 Jaguar™ CBS, Jaguar™ C-17, Jaguar™ C-16과 같은 양이온성 구아르 검, Miranol로부터 입수가능한 Mirapol™A-15, Mirapol™AD-1, Mirapol™AZ-1과 같은 4차 암모늄 염 중합체가 있다.
음이온성, 양쪽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부틸 말레이트/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 비닐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에스테르, 비가교 및 폴리올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아미도 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메틸 메타크릴레이트/3차 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비닐 카프로락탐 삼중합체, 및 임의적으로 유도체화되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실리콘.
적당한 실리콘 화합물의 예로는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고리형 실리콘 외에도, 실온에서 액체 및 수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아미노, 지방산, 알콜, 폴리에테르, 에폭시, 플루오르, 글리코시드 및/또는 알킬 변형 실리콘 화합물이 있다. 또한 적당한 것으로는 200 내지 300 개의 디메틸 실록산 단위체의 사슬 길이를 갖는 디메티콘과 수소화 실리케이트의 혼합물인 시메티콘(simethicone)이 있다. 또한, 적당한 휘발성 실리콘의 상세한 내용이 다음 문헌[Todda 등,Cosm. Toil. 91 , 27(1976)]에서 확인될 수 있다.
대표적인 지방의 예는 글리세리드이고, 왁스로서는 칸데릴라 왁스(candellila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일본 왁스, 에스파르토그라스 왁스(espartogras wax),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guaruma wax), 쌀기름 왁스, 사탕수수 왁스, 오리커리 왁스(ouricury wax), 몬탄 왁스, 밀납, 스켈락 왁스(schellak wax), 라놀린(울 왁스), 브루젤 지방(burzel fat), 세레신(ceresin), 오조케리트(ozokerit; terrestrial wax), 석유,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왁스와 같은 천연 왁스; 몬탄에스테르 왁스, 사소트 왁스(sasot wax), 수소화 요요바 왁스(hydrogenated yoyoba wax)와 같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왁스(경질 왁스) 외에도, 폴리알킬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와 같은 합성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스테아르산 또는 리시놀레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또는 아연과 같은 지방산의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생물기원 활성 물질(biogenic active substance)로서는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데속시 리보핵산, 레티놀, 비스아보롤, 알란토인, 피탄트리올, 판테놀, AHA 산, 아미노산, 세라미드, 유사 세라미드, 정유, 식물 추출물 및 비타민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탈취 활성제(deo active agent)의 예로는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와 같은 항발한제(antiperspirant)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공기중에서 쉽게 용융하고 물에 용해된 염화알루미늄 용액의 증발을 통해 얻어지는 무색 흡습성 결정이다.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는 발한 억제 및 탈취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단백질 및/또는 폴리사카라이드의 침전에 의한 땀샘의 부분적 폐쇄를 통해 효과를 나타낸다[참조,J. Soc. Cosm. Chem. 24 , 281(1973)]. 예를 들어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는 독일 프랑크프루트에 소재한 Hoechst AG의 상표명 Locron™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 [Al2(OH)5Cl]·2.5H2O의 일반식을 가지며, 이러한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참조,J. Pharm. Pharmacol. 26, 531 (1975)]. 상기 클로로히드레이트 외에도, 알루미늄 히드록실락테이트 및 산 알루미늄/지르코늄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추가의 탈취 활성 물질로서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바람직한 예로는 트리메틸 시트레이트, 트리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및 특히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독일 뒤셀도르프의 Henkel KGaA의 Hydagen™)와 같은 트리알킬 시트레이트가 있다. 이러한 물질은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냄새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유리산이 시트르산 에스테르의 분열을 통해 유리됨으로써 효소가 억제되도록 피부의 pH 값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물질의 예로는 스테롤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라노스테롤, 콜레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시토스테롤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가 있다. 또한, 글루타르산, 글루타르산 모노에틸에스테르, 글루타르산 디에틸에스테르, 아디프산, 아디프산 모노에틸에스테르, 아디프산 디에틸에스테르, 말론산 및 말론산 디에틸에스테르와 같은 디카르복시산 및 이의 에스테르, 시트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또는 타르타르산 디에틸에스테르와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및 이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미생물 플로라에 영향을 주거나 땀 파괴 세균을 죽이거나 또는 이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 물질이 제제에 함유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키토산, 페녹시에탄올 및 클로로헥시딘 글루콘에이트가 있다. 또한, 5-클로로-2-(2,4-디클로로펜-옥시)-페놀이 특히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물질은 스위스 바젤의 Ciba-Geigy에 의해 상표명 Irgasan™으로 시판되고 있다.
비듬억제제로서는 클림바졸(climbazol), 옥토피록스(octopirox) 및 아연 피레티온(zinc pyrethion)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막 형성제(film formation agent)의 예로는 키토산, 미소결정 키토산, 4차 키토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 중합체, 셀룰로오스의 4차 유도체, 콜라겐,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및 기타 유사한 화합물이 있다. 수성상을 위한 팽윤제로는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점토 무기 물질, 피뮬렌(pemulen)외에도 알킬 변형 Carbopol 타입(Goodrich)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중합체 또는 팽윤제들이 다음문헌[R.Lochhead,Cosm. Toil. 108 , 95(1993)]에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1차 광 보호 물질 외에도,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할 때 개시되는 광화학적 반응 사슬을 차단하는 항산화제 타입의 2차 광 보호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아미노산(예, 글리신,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및 이들의 유도체, 이미다졸(예, 유로카닌산) 및 이의 유도체, D,L-카모신, D-카모신, L-카모신 및 이들의 유도체(예, 안세린)와 같은 펩티드, 카로틴(예,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핀) 및 이의 유도체, 클로로겐산 및 이의 유도체, 리폰산 및 이의 유도체(예, 디히드로리폰산), 아우로티오글루코스, 프로필티오우라실 및 기타 티올(예, 티오레독신,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카민 및 이들의 글루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밀, 부틸, 라우릴, 팔미토일, 올레일, γ-리놀레일, 콜레스테릴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이의 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온에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온에이트, 티오디프로피온산 및 이들의 유도체(예, 에스테르, 에테르, 리피드, 누클레오티드, 누클레오시드 및 염) 외에도, 아주 소량의 상화성 투여량(예, pmol 내지 μmol/kg)의 술폭시민 화합물(예, 부티오닌 술폭시민, 호모시스테인 술폭시민, 부티오닌 술폰, 펜타-, 헥사-, 헵타-티오닌 술폭시민), (금속) 킬레이트제(예, α-히드록시 지방산, 팔미트산, 피틴산, 락토페린), α-히드록시산(예,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휴민산, 갈산, 갈산 추출물, 빌리루빈, 비피베르딘(bifiverdin), EDTA, EGTA 및 이들의 유도체, 불포화 지방산 및 이의 유도체(예, γ-리놀렌산, 리놀산, 올레산), 폴산 및 이의 유도체, 유비키논(ubichinon) 및 유비키놀 및 이들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유도체 (예,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Mg-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유도체(예,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A 및 유도체(비타민 A 팔미테이트), 벤젠 수지의 코니페릴(koniferyl) 벤조에이트, 루틴 산 및 이의 유도체, α-글리코실루틴, 페룰라 산(ferula acid), 푸르푸릴리덴 글루시톨, 카르노신, 부틸히드록시 톨루엔, 부틸히드록시 아니졸, 노르디히드로 구아잭(guajak) 수지산, 노르디히드로 구아자리트(guajaret) 산, 트리히드록시 부티로페논, 요산 및 이의 유도체, 만노오스 및 이의 유도체, 초산화물 디스무타제, 아연 및 이의 유도체(예, ZnO, ZnSO4), 셀렌 및 이의 유도체(예, 셀렌-메티오닌), 스틸벤 및 이의 유도체(예, 산화스틸벤 및 트랜스-산화스틸벤), 및 상기 언급된 활성 물질들의 본 발명에 따른 적당한 유도체(예, 염, 에스테르, 에테르, 당, 누클레오티드, 누클레오시드, 펩티드 및 리피드)가 있다.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또는 폴리올과 같은 굴수성 유발 물질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은 2 내지 15의 탄소수 및 2 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올은 추가의 작용기, 특히 아미노기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질소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의 것들이 있다:
· 글리세롤;
· 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100 내지 1,000 달톤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 1.5 내지 10의 자기 축합도를 갖는 기술적 품질의 올리고글리세롤 혼합물, 예를 들어 40 내지 50 중량%의 디글리세롤 함량을 갖는 기술적 품질의 디글리세롤 혼합물;
· 메틸올 화합물, 예를들어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에틸올 프로판, 트리메틸올 부탄, 펜타에리트라이드 및 디펜타에리트라이트;
· 알킬기가 1 내지 8의 탄소수를 갖는 저급 알킬 글루코시드, 예를들어 메틸 및 부틸 글루코시드;
· 5 내지 12의 탄소수를 갖는 당 알콜, 예를 들어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 5 내지 12의 탄소수를 갖는 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또는 사카로스;
· 글루카민과 같은 아미노당; 및
· 디알콜아민, 예를 들어 디에탄올아민 또는 2-아미노-1,3-프로판디올.
방부제의 예로는 페녹시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용액, 파라벤, 펜탄디올 또는 소르브산이 있다. 또한, 추가의 방부제가 화장품 법규(cosmetic regulation)의 첨부물 6의 A 및 B 부(part)에 기재되어 있다. 방충제로서는 N,N-디에틸-m-톨루아미드, 1,2-펜탄디올 또는 방충제 3535가 있으며, 자기 탄닌제(self tanning agent)로서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이 적합하다.
향료 기름(perfume oil)으로서는 천연 및 합성 향기 물질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천연 향기 물질로는 꽃(백합, 라벤더, 장미, 자스민, 네놀리, 일랑일랑) 추출물, 줄기 및 잎(현초, 파튜리, 페이티그레인) 추출물, 열매(아니스, 고수풀, 캐러웨이, 주니퍼) 추출물, 열매 껍질(베르카모토, 레몬, 오랜지) 추출물, 뿌리(메이시스, 안젤리카, 셀러리, 카다몬, 코스터스, 붓꽃, 칼머스) 추출물, 나무(돌소나무, 산델, 구아잭, 삼목, 장미나무) 추출물, 허브 및 풀(타라곤, 레몬그래스, 세이지, 타임) 추출물, 잎 및 가지(스프루스, 전나무, 소나무, 트래이프스드) 추출물, 수지 및 발삼(갈바넘, 엘레미, 벤조이, 미르라, 올리바넘, 오포포낙스) 추출물이 있다. 또한, 지비트(zibet) 및 카스토리엄(castoreum)과 같이 동물로부터 얻은 원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표적인 합성 향기 화합물로는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류로부터 얻은 생성물이 있다. 에스테르 유형의 향기 화합물의 예로는 벤질 아세테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3차-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리날릴(linalyl)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빈일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름에이트, 에틸메틸페닐 글리신에이트, 알릴시클로헥실 프로피온에이트, 스티랄릴 프로피온에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있다. 에테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는 벤질에틸 에테르가 있으며, 알데히드에 속하는 것으로는 8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선형 알카날(alkanale),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 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 시트로넬랄, 리리알 및 부르게오날(bourgeonal)이 있으며, 케톤에 속하는 것의 예로는 아이오논, α-이소메틸 아이오논 및 메틸세드릴 케톤이 있으며, 알콜에 속하는 것으로는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이소유게놀, 제라니올, 리날룰, 페닐에틸 알콜 및 데르핀올이 있으며, 탄화수소류에 속하는 것으로는 테르펜 및 발삼(balsam)이 있다. 그러나, 함께 좋은 냄새를 주는 상이한 향기 물질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 성분으로서 흔히 사용되는 저휘발성의 에테르성 오일이 향료 기름으로서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예로는 세이지 기름, 카모마일기름, 카네이션 기름, 멜리사 기름, 박하 기름, 계피잎 기름, 라임플라워 기름,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기름, 베티버 기름(vetiver oil), 올리반 기름, 갈바넘 기름, 라볼라넘 기름 및 라반딘 기름이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는 베르가모트 기름, 디히드로미르세놀(dihydromycenol), 릴리얼(lilial), 라이럴(lyral), 시트로넬롤, 페닐에틸 알콜, α-헥실신나몬 알데히드, 제라니올, 벤질아세톤, 시클라멘 알데히드, 리날룰, 보이삼브렌 포르테(boisambrene forte), 암브록산,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레몬 기름, 만드린 기름, 오랜지 기름, 알릴아밀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베르탈(cyclovertal), 라반딘 기름, 머스카텔러 세이지 기름(muskateller sage oil), β-다마스콘, 제라늄 기름,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베르토픽스 코우어(vertofix coeur), 이소-E-슈퍼, 픽솔라이드 NP, 이브밀(evemyl), 이라이데인 감마(iraidein gamma), 페닐아세트산, 제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장미 t산화물, 로밀레이트(romillate), 이로틸(irotyl) 및 플로라메이트(floramate)의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가 있다.
착색제로서는 화장품용으로 적당하고 승인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의 예로는 다음문헌["Kosmetische Farbemittel" (cosmetic dyes) of the "Farbstoffkommission der Deutschen Forschungsgemeinschaft", Verlag Chemie 발행, Weinheim, 1984, p.81-106]에서 언급된 것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료는 전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미생물 억제 물질의 대표적인 예는 그램 양성 세균에 대하여 특별한 효과를 갖는 방부제인데, 그 예로는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클로로헥시딘(1,6-디-(4-클로로페닐-비구아니도-헥산) 또는 TCC-(3,4,4'-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가 있다. 또한 많은 향기 물질 및 에테르성 기름도 항균성을 가진다. 대표적인 예는 카네이션중의 활성 물질인 유게놀, 멘톨 및 티몰, 박하 및 타임 기름이다. 중요한 천연 탈취(deo) 물질은 라임 플라워(lime flower)의 형태로 존재하며 계곡의 백합 향기를 갖는 테르펜 알콜 파메졸 (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이다. 또한,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가 정균제(bacteriostaticum)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상기 미생물 억제제의 함량은 제제의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2 중량% 이다.
상기 보조 및 첨가 물질의 누적 함량은 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이다. 제제의 제조는 일반적인 냉간 또는 열간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전상온도법(phase inversion temperature method)에 따라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이한 오일 성분들과 혼합된 형태의 상이한 UV-A 필터의 감광성을, 1997년 9월 17일 및 18일에 플로리다에서 개최된 APV 세미나에서 Merck company가 발표한 방법에 따라 평가했다. 결과는 표 1에서 요약된다. 오일 용해도의 측정을 위하여, 0.5 중량%의 β-(1,3) 글루칸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상이한 화장품 오일에서 상이한 자외선 보호 성분의 포화 농도를 측정하였다. 예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것이고, 예 V1 및 V2는 비교를 위한 것이다.
감광성
조성/성능 1 2 3 4 5 6 V1 V2
옥토크릴렌 1.0 - - - - - 1.0 -
벤조페논-3 - 1.0 - - - - - 1.0
이소아밀 p-메톡시 신남에이트 - - 1.0 - - - - -
옥틸 메톡시 신남에이트 - - - 1.0 - - - -
옥틸 트리아존 - - - - 1.0 - - -
4-3차-부틸-메톡시-디벤조이메탄 - - - - - 1.0 - -
베타글루칸* 0.5 0.5 0.5 0.5 0.5 0.5 - -
코코 글리세리드 8.5 8.5 - - - - 9.0 9.0
디카프릴 에테르 - - 8.5 8.5 - - - -
파라핀 기름 - - - - 8.5 8.5 - -
100 중량%를 구성하는 양
감광성(% rel.) 100 100 100 99 99 98 93 92
오일 용해도(중량%) 40 35 42 45 47 45 35 31
*) Highcareen™GS(Henkel KGaA, 뒤셀도르프)
상기 예는 β-(1,3) 글루칸이 존재하는 경우 자외선 보호 성분의 감광성뿐 아니라 화장용 기름에서의 자외선 보호 성분의 용해도가 상당히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음 표 2는 여러 가지의 제형 예를 보여준다.
햇빛 보호제(물, 방부제, 100 중량%를 구성하는 양)
조성(INC) 1 2 3 4 5 6 7 8 9 10
Dehymuts™PGPH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2.0 3.0 - 5.0 - - - - - -
Lamaform™TGI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4.0 1.0 - - - - - - - -
Ambil™EM 90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 - 3.0 - - - - - - -
Emulgade™PL 68/50세테아릴 글리코시드(및)세테아릴알콜 - - - - 4.0 - - - 3.0 -
Eumulgin™B2 Ceteareth-20 - - - - - - - 2.0 - -
Tegocare™PS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 - - - - - 4.0 - - -
Eumulgin™VL 75폴리글리세릴-2-디폴리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및)라우릴 글루코시드(및)글리세롤 - - - - - 3.5 - - 2.5 -
밀랍 3.0 2.0 5.0 2.0 - - - - - -
Cutina™GMS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 - - - 2.0 4.0 - - 4.0
Lanette™O 세테아릴 알콜 - - 2.0 - 2.0 4.0 2.0 4.0 4.0 1.0
Antaron™V216PVP/헥사데센 공중합체 - - - - - 3.0 - - - 2.0
Myritol™331코코 글리세리드 5.0 - 10.0 - 8.0 6.0 6.0 - 5.0 5.0
Finsolv™TNC12/15 알킬 벤조에이트 - 6.0 - 2.0 - - 3.0 - - 2.0
Cetiol™J600 올레일 에루케이트 7.0 4.0 3.0 5.0 4.0 3.0 3.0 - 5.0 4.0
Cetiol™OE 디카프릴 에테르 3.0 - 6.0 8.0 6.0 1.0 4.0 3.0 4.0 6.0
광물성 기름 - 4.0 - 4.0 - 2.0 - 1.0 - -
Cetiol™PGL헥사데칸올(및)헥실데실 라우레이트 - 7.0 3.0 7.0 4.0 - - - 1.0 -
판테놀/비스아볼롤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Highcareen™GS 베타글루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Copherol™F1300토코페롤/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 1.0 1.0 2.0 1.0 1.0 1.0 2.0 0.5 2.0
Neo Heliopan™Hydro소듐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에이트 3.0 - - 3.0 - - 2.0 - 2.0 -
Neo Heliopan™303 옥토크릴렌 - 5.0 - - - 4.0 5.0 - - 10.0
Neo Heliopan™BB 벤조페논-3 1.5 - - 2.0 1.5 - - - 2.0 -
Neo Heliopan™E 1000이소아밀 p-메톡시 신남에이트 5.0 - 4.0 - 2.0 2.0 4.0 10.0 - -
Neo Heliopan™AV옥틸 메톡시 신남에이트 4.0 - 4.0 3.0 2.0 3.0 4.0 - 10.0 2.0
Uvinul™T150 옥틸 트리아존 2.0 4.0 3.0 1.0 1.0 1.0 4.0 3.0 3.0 3.0
산화아연 - - - - 4.0 - - - - 5.0
이산화티타늄 - 2.0 2.0 - - - - 5.0 - -
글리세롤(88중량%)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1) W/O 햇빛 보호 크림, (2-4) W/O 햇빛 보호 로숀, (5,8,10) O/W 햇빛 보호 로숀, (6,7,9) 헷빛 보호 크림.

Claims (10)

  1. (a)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수용성 β-(1,3) 글루칸과,
    (b) 자외선 보호 성분을 함유하는 햇빛 보호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카로마이세스류(Saccharomyces)로부터 추출한 효모를 주성분으로 하여 얻은 글루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보호제.
  3. 제 1 항 및/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β-(1,3) 및 β-(1,6) 결합을 실제적으로 모든 β-(1,6) 결합이 유리되도록 β-(1,6) 글루카나아제와 접촉시켜서 얻은 글루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보호제.
  4. 제 1 항 및/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코데르미아 하지아넘(Trichodermia harzianum)을 주성분으로 하는 글루카나아제로 처리한 글루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보호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벤질리덴 캄포르 또는 3-벤질리덴 노르캄포르 및 이들의 유도체, 4-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신남산 에스테르, 살리실산 에스테르, 벤잘말론산 에스테르, 벤조페논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및 프로판 1,3-디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용성 UVB 빛 보호 성분을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보호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 및 이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킬 암모늄, 알칸올 암모늄 및 글루캄모늄 염, 및 벤조페논 및 3-벤질리덴 캄포르의 술폰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용성 UVB 빛 보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보호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디온, 4-3차-부틸-4'-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및 1-페닐-3-(4'-이소프로필페닐)-프로판-1,3-디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UVB 빛 보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보호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 티타늄, 철, 지르코늄, 실리콘,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 세륨의 미세 분산 산화물, 및 미세 분산 규산염, 황산바륨 및 스테아르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불용성 UVB 빛 보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보호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0.01 내지 25 중량%의 수용성 β-(1,3) 글루칸과,
    (b) 0.05 내지 10 중량%의 자외선 보호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언급된 양들은 물 및 임의적으로 추가의 보조제 및 첨가제와 함께 100 중량%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0. β-(1,6) 결합이 실제적으로 없는 수용성 β-(1,3) 글루칸의, 햇빛 보호제에서 자외선 보호 성분의 감광성 및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
KR1020017011585A 1999-03-12 2000-03-03 햇빛 보호제 KR20010114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1052.2 1999-03-12
DE19911052A DE19911052A1 (de) 1999-03-12 1999-03-12 Sonnenschutzmittel
PCT/EP2000/001835 WO2000054734A2 (de) 1999-03-12 2000-03-03 Sonnenschutzmitt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4218A true KR20010114218A (ko) 2001-12-31

Family

ID=790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585A KR20010114218A (ko) 1999-03-12 2000-03-03 햇빛 보호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00410B1 (ko)
EP (1) EP1162941B1 (ko)
JP (1) JP4756742B2 (ko)
KR (1) KR20010114218A (ko)
CN (1) CN1184954C (ko)
AT (1) ATE326946T1 (ko)
AU (1) AU776776B2 (ko)
CA (1) CA2363597C (ko)
DE (2) DE19911052A1 (ko)
DK (1) DK1162941T3 (ko)
ES (1) ES2265335T3 (ko)
PT (1) PT1162941E (ko)
WO (1) WO20000547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22B1 (ko) * 2001-06-29 2006-08-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E10229997A1 (de) * 2002-07-03 2004-01-15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zum Schutz fotolabiler Wirkstoffe
US7018986B2 (en) * 2002-09-20 2006-03-28 Immudyne Use of beta glucans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and other diseases of bone resorption
JP2004002484A (ja) * 2003-09-29 2004-01-08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US20100267661A1 (en) * 2009-03-17 2010-10-21 Immudyne, Inc. Beta gluca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TWI496586B (zh) * 2012-03-14 2015-08-21 Univ Asia 改質複合微粒、其製造方法及其防曬配方
CN103735566A (zh) * 2013-12-26 2014-04-23 南京理工大学 索拉胶在抑制紫外线对皮肤损伤中的应用
CN107997976A (zh) * 2017-11-24 2018-05-08 广西大学 防晒护肤品添加剂和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0303C (en) * 1989-02-20 1994-06-21 Libor Henry Nikl Composition and process to enhance the efficacy of a fish vaccine
US5223491A (en) * 1989-11-09 1993-06-29 Donzis Byron A Method for revitalizing skin by applying topically water insoluble glucan
NO300692B1 (no) * 1994-04-29 1997-07-07 Biotec Mackzymal As Solubilisert forgrenet ß-1,3-glukan og anvendelse derav samt anvendelse av usolubilisert forgrenet ß-1,3-glukan
US5505935A (en) * 1994-05-09 1996-04-09 Elizabeth Arden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unscreen compositions
US5576015A (en) * 1995-03-02 1996-11-19 Donzis; Byron A. Substantially purified beta (1,3) finely ground yeast cell wall glucan composition with dermatological and nutritional uses
FR2754713B1 (fr) * 1996-10-22 1999-01-08 Roc Sa Utilisation de complexes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pour le traitement des peaux sensibles,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hypoallergeniques
DE19710368A1 (de) * 1997-03-13 1998-09-17 Henkel Kgaa Verwendung von wasserlöslichen beta-Glucanen als Wirkstoffe zur Herstellung von therapeutischen Mitteln zur Hautbehandlung
DE69838405T2 (de) * 1997-05-02 2008-06-12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Mikrostrukturierte, kosmetisch verträgliche Zusamensetzungen
DE19720339A1 (de) * 1997-05-15 1998-11-19 Beiersdorf Ag Wirkstoffe und Zubereitungen für die Hautaufhellung und zur Verhinderung der Hautbräu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63597A1 (en) 2000-09-21
EP1162941B1 (de) 2006-05-24
CN1347306A (zh) 2002-05-01
DK1162941T3 (da) 2006-09-11
ATE326946T1 (de) 2006-06-15
WO2000054734A3 (de) 2000-12-28
CN1184954C (zh) 2005-01-19
CA2363597C (en) 2010-11-30
DE19911052A1 (de) 2000-09-21
AU776776B2 (en) 2004-09-23
JP4756742B2 (ja) 2011-08-24
WO2000054734A2 (de) 2000-09-21
EP1162941A2 (de) 2001-12-19
US6500410B1 (en) 2002-12-31
ES2265335T3 (es) 2007-02-16
DE50012824D1 (de) 2006-06-29
JP2002539142A (ja) 2002-11-19
PT1162941E (pt) 2006-10-31
AU3163400A (en) 200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9975C (en) Deodorizing preparations comprising water soluble beta-(1,3)glucans
JP4988987B2 (ja) 高粘性化粧用清浄剤の製法
KR20010109519A (ko) 화장용 모발 보호제
JP4678953B2 (ja) 化粧品調合物
KR20010108349A (ko) 나노스칼라 수용성 β-(1,3) 글루칸의 용도
KR20010114219A (ko) 화장용 및/또는 약학적 제제
KR20010114218A (ko) 햇빛 보호제
KR20020011983A (ko) 무콜라겐 화장용 제제
US6800293B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P4358995B2 (ja) 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アルキルおよび/またはアルケニルオリゴグリコシドエステルを含有するサンスクリーン製剤
JP2002527373A (ja) 化粧品製剤
KR20010114245A (ko) 화장용 제제
US7001591B1 (en)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silicone compounds and esters of hydroxycarboxylic acids and alk(en)yl oligoglycosides
KR20010100995A (ko) 양이온 활성 혼합물의 용도
JP2002541179A (ja) 化粧品製剤
DE19858819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JP2003514836A (ja) エマルジョンの感覚的評価を改善するためのアルキルおよび/またはアルケニルオリゴグリコシド脂肪酸エステル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