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403A -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403A
KR20010113403A KR1020000033713A KR20000033713A KR20010113403A KR 20010113403 A KR20010113403 A KR 20010113403A KR 1020000033713 A KR1020000033713 A KR 1020000033713A KR 20000033713 A KR20000033713 A KR 20000033713A KR 20010113403 A KR20010113403 A KR 20010113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list
buyer
proposal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환
Original Assignee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박원배
Priority to KR102000003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3403A/ko
Publication of KR2001011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4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60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물품(또는 용역)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용자들이 자신이 매도할 물품목록(또는 제공할 용역 목록)과 매수할 물품목록(또는 제공받고자 하는 용역 목록)을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올려 놓으면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는 상기 이용자들이 올려 놓은 매도/매수 물품목록(또는 제공할/제공받고자 하는 용역 목록)을 검색하여 상호 매칭되는 물품목록(또는 용역 목록)을 추려낸 후 상기 물품목록(또는 용역 목록)을 올려 놓은 이용자에게 상호 매칭되는 상대 거래자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거래자들이 물품 및 용역 교환 등을 용이하게 성사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물품을 진열하여 판매하는 것을 벗어나 이용자들 상호간에 물품 또는 용역을 서로 교환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매칭되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매칭되는 물품 또는 용역과 관련되는 광고를 삽입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거래대금 지불방식을 현금, 물품, 현금 또는 물품의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지불방법으로 인한 불편함을 제거한다.

Description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THE METHOD FOR OFFERING COMMODITY AND SERVICE BROKERAGE SERVICE}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이용인구와 국내도메인 등록수의 증가로, 최신 생활정보는 물론 다양한 물건의 구매 및 결재가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게 되었고, 원격교육 및 진료, 사이버 쇼핑몰, 화상통신, 인터넷 방송 등을 통해 수많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정보가 제공되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따라서, 더 이상 인터넷은 특정인에게 한정되지 않고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이용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상거래는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용역을 광고 또는 판매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사이버 상거래를 의미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 상거래 방법에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사이버 쇼핑몰 방법, 인터넷을 통해 판매를 희망하는 판매점이 자신의 쇼핑몰을 구축하는 대신에 기존의 대형 쇼핑몰에 별도의 코너를 마련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대형 쇼핑몰은 판매액의 일정 부분을 수수료로 징수하는 인터넷 몰-오브-몰스(mall of malls), 상식적인 경매(auction)를 인터넷 상에서 진행하는 방식인 경매에 의한 상거래방법, 상품을 사고자 하는 사람이 사이버 공간에 견적을 의뢰하면 사이버 운영사에 회원사로 가입되어 있는 판매점들이 서로 싼값으로 입찰을 하여 구매자에게 가장 유리한 판매조건을 제시하는 판매점과 구매자가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인 역경매에 의한 상거래방법, 물물교환 방법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한 사이버 쇼핑몰(또는 인터넷 몰-오브-몰스)은 판매점에서 정한 정찰가격(고정된 가격)으로만 거래가가능하고 가격에 대한 협상이 불가능한 판매자 중심 시스템이다. 인터넷 경매방법 또한 판매자 중심 시스템으로서 구매자는 판매자를 알 수 없다. 상기한 인터넷 역경매 방법은 구매자가 제시한 구매 의향서(희망가격, 조건 및 지불계좌번호 등을 포함)를 기초로 판매를 원하는 회원사(판매자)가 등록한 다수의 견적서(입찰서) 중에서 가장 좋은 조건과 가격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구매자 중심 거래방식이다.
마지막으로, 물물교환 방식은 일반적으로 본인이 사용하던 물건중 버리기는 아깝지만 남에게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가치있는 물건, 애장품 등을 다른 물건과 교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물물교환은 상호간(판매자와 구매자 또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교류를 통한다는 점에서 상기한 거래 방식들과 차이를 가진다. 현재, 이러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물물교환 중개 사이트의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게시판은 전통적인 개념에서 물물교환의장소가 된다. 예를 들어, 특정 물물교환 사이트에서의 교환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회원 가입
2. 관심있는 품목 선택(물물교환)
3. 상품명 클릭 (상품에 대한 자세한 소개)
4. 개인 정보 조회 (물건 주인정보 : 거래가 성사된후의 결과 등)
5. 물건 주인과 직접 이메일로 연락(성사 여부 결정)
이와 같이, 게시판을 이용하는 현재의 물물교환은 회원이라면 누구라도 열람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거래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대부분이 개인이기 때문에 물품의 수량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교환방식에 있어서도 물품 대 물품이기 때문에 현금을 원하는 판매자인 경우에는 별의미가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물물교환에 있어서, 거래가 성사될 경우에 거래되는 물품 가격의 일정 비율만큼을 중개 수수료로 받아왔다. 한편, '거래중개'라는 특성상 상호 메일 발송의 빈도가 상당히 많은 편이지만, 상기 메일에 사용되는 메일 광고는 불특정 다수에게 무차별적으로 쓰여지는 메일광고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구매유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 대 기업간 거래(B2B)로 확장 가능하고 구매유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며, 물품에 있어서, 개개의물품뿐만 아니라 복수의 물품수량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고, 물품 또는 용역에 대한 지불형태로 현금, 물품, 현금 또는 물품의 세 가지를 제공하여 지불방법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물품 또는 용역 등록시 특정 가격에 거래동의를 원초적으로 표시하면 상대 거래자의 동의가 있을시 즉시 거래를 성사시킴으로써 거래 절차를 간소화하는데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물품은 물리적인 물품 뿐만 아니라 제공될 수 있는 용역(예를 들면, 과외 교육, 파출부, 경비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온라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용자들과 전자상거래 서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사용자간 거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사 및 개인의 회원가입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의 매도할 물품(용역 포함)리스트를 작성하는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의 매수할 물품(용역 포함)리스트를 작성하는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의 신용정보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의 물품(용역 포함)별 문의/답변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의 물품(용역 포함)소개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제안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h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제안 내역확인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i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제안 거절확인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5j는 본 발명에 다른 회원의 거래내역 리스트 대화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회원(개인)입력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회원(회사)입력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물품등록('가지고 있는 물품(용역 포함)'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물품등록('원하는 물품(용역 포함)'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거래제안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수신된 거래제안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h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거래성사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i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거래수정제안(재제안)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j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거래제안 거절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자상거래 사이트 2 : 매칭 프로세스
3 : 메일링 프로세스1 4 : 메일링 프로세스2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소정의 회원가입후, 이용자가 인터넷 망을 통하여 '가지고 있는 물품(용역 포함)(Haves)'과 '원하는 물품(용역 포함)(Wants)'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보는 Haves 리스트와 Wants 리스트로 정리되며; (2)상기 리스트를 기초로 매칭 프로세스(2)를 진행하여 매칭되는 물품에 대해 상기 '원하는 물품'으로 등록한 이용자(이하, 구매자)에게 상기 매칭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매칭 내역)를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메일링 프로세스1(3)을 통해 전달하는 단계; (3)상기 구매자가 상기 매칭되는 물품을 상기 '가지고 있는 물품'으로 등록한 이용자(이하, 판매자)에게 지불형태를 포함한 거래제안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거래제안은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거래제안을 알리는 메일이 상기 판매자에게 발송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4)상기 판매자가 상기 거래제안을 확인한후 상기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상기 구매자에게 거래제안에 대한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판매자는 상기 구매자의 거래제안에 대하여 동의 또는 거절을 할 수 있으며; (5)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거래내역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 및 (6)상기 거래내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4)단계는, (a)상기 판매자(또는 구매자)는 상기 구매자(또는 판매자)의 거래제안에 대해 수정제안을 하는 단계; (b)상기 수정제안이 상기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상기 구매자(또는 구매자)에게 발송되는 단계; 및 (c)상기 구매자(또는 판매자)가 상기 판매자(또는 구매자)의 수정제안에 대한 결과(동의 또는 거절)를 상기 메일링 프로세서2(4)를 통해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제안에 대한 결과가 또다른 수정제안일 경우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지고 있는 물품(Haves)'과 '원하는 물품(Wants)'에 대한 정보는, 현금 또는 물품의 지불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지고 있는 물품(Haves)'과 '원하는 물품(Wants)'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물품 갯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불 형태는 현금만으로 한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지불 형태를 현금으로 등록하고 특정 가격에 대한 거래 동의를 선택할 경우, 상기 구매자의 동의만 있으면 바로 거래 성사 결과를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 단계는, (3) 단계에서 상기 물품과 관련된 광고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4) 단계에서 물품거래가 성사되지 않았을 경우(판매자가 거래제안에 대해 거절하였을 경우) 웹서버가 거절이유를 포함한 거래결과를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거절이유에 관한 정보, 상기 Haves 리스트, 상기 Wants 리스트, 및 상기 거래 내역 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거절이유와 관련된 광고를 상기 거래결과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4) 단계에서 물품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판매자가 거래제안에 대해 동의하였을 경우), 웹서버가 성사결과를 포함한 거래결과를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Haves 리스트, 상기 Wants 리스트, 및 상기 거래 내역 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성사된 물품와 관련된 광고를 상기 거래결과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계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웹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웹서버는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가공하기 위한 회원/상품/거래정보 DB와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우선, 이용자들(A와 B)은 '가지고 있는 물품(Haves)'과 '원하는 물품(Wants)'을 중개사이트(상기 웹서버와 회원/상품/거래정보 DB를 포함하며 일명 My Uga라 칭함)(1)에 등록한다. 여기에서, 종래 중개 사이트들은 주로 개인 대 개인 거래 중심이기 때문에 물품 수량이 대개 1개로 한정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중개사이트는 물품 수량에 한정을 두지않는다. 즉, 대량의 물품 거래가 가능하여 기업간의 거래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정보는 중개 사이트(1)에 Haves 리스트 및Wants 리스트로 각각 저장된다. 다음에, 중개사이트(1)는 상기 리스트를 기초로 매칭 프로세스(2)를 진행한다. 상기 매칭 프로세스(2)는 이용자 A와 이용자 B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양측의 요구를 만족하는 최적의 조건을 찾아주는 과정이다. 상기 매칭 프로세스(2)를 통해 최적의 조건이 검색되는 경우, 중개 사이트(1)는 정기적으로(예를 들면 1일 1회) 메일링 프로세스(3)를 통해 이용자 A와 이용자 B에게 각각 매칭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매칭 내역)을 발송한다. 이용자들은 중개 사이트(1)에 접속한 후 그런 매칭 내역을 확인하고 거래제안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 A가 상기 매칭 내역에 만족하여 거래제안을 한 경우에,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상대방(이용자 B)에게 거래제안 메일을 발송하게 된다. 이용자 B는 제안 내역을 확인한 후 승인/거부/수정제안 여부를 결정한다.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용자 B가 승인할 경우 곧바로 거래가 성사된다. 그런 결정내용은 다시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이용자 A에게 통보되며, 이용자 B의 승인/거부/수정 제안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언제든지 이용자 A 및 이용자 B 는 서로 물품에 관한 질문이나 답변 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회원가입을 신청해야 하는데, 도 5 및 도 5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회원 가입 신청서를 작성후 등록하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가입 신청서에 작성된 정보는 회원/상품/거래정보 DB에 저장되며 등록은 완료된다. 회원으로 가입되면, 중개 거래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중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각종 이벤트 행사나 다양한 서비스를 받아볼수 있다. 회원 가입한 이용자는 '가지고 있는 물품' 또는 '원하는 물품'을 본 사이트를 통하여 회원/상품/거래정보 DB에 등록할 수 있으며, 그런 자료를 바탕으로 본 사이트로부터 「거래제안 메일」을 받아볼 수 있다. 등록 리스트는 '있습니다(Haves)'와 '원합니다(Wants)'로 나누어지며, 도 5b의 '있습니다' 등록화면과 도 5c의 '원합니다' 등록 화면의 안내에 따라 등록이 이루어진다. 단, 모든 물품을 등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제품, 비매품, 장물, 불법 영상물, 음란물 등 법에 저촉되는 물품들은 등록대상에서 제외된다. 물품등록에 있어서 거래제안에서의 지불 형태는 물품 또는 현금도 가능하지만, 현금만으로 제한가능하다. 또한, 특정가격에 대한 거래 동의를 원칙으로 하여 상대 거래자가 동의만 하면 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쇼핑몰에서와 같이 판매자가 일정 가격 이상으로 물품을 등록하고, 소비자가 그 가격에만 동의하면 거래가 성사될 수 있기 때문에, 물품등록후에도 상대 거래자의 거래동의와 물품등록자가 다시 거래에 동의를 하는 중복적인 거래 구조가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사이트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물품목록을 매칭 프로세스에 따라서 검색을 하고(S10) 그 결과를 당사자들에게 메일로써 알려준다(S11).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매칭 결과(매칭 내역) 메일을 확인한 후 거래를 원하면 로그인하여 상대방에게 거래제안 메일을 보내게 된다(S30 내지 S50). 거래제안에 앞서, 구매자는 도 5d의 상대자의 신용정보, 도 5e의 상대자가 직접 관리하는 물품별 Q & A, 도 5f의 물품 소개하기 등을 통해 거래제안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다음에, 도 5g의 거래제안 및 거래제안 수정 화면 / 도 5h의 제안내역확인 화면을 통해, 「거래제안」을 받은 이용자에게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거래제안 메일」이 발송된다(S50). 그러한 메일에 대하여 상대방은 거래 제안에 대한 응답을 행한다(S60, S70). 상기 거래제안에 동의하는 경우에 거래 성사 확인 메일이 발송되어(S80) 물품배송이 이루어지고(S90), 거부하는 경우에 거래 거부 메일이 발송되며(S71), 수정제의가 있는 경우에 수정거래 메일이 발송된다(S72). 예를 들어, 최종 거래거절되는 경우에 도 5i와 같은 화면을 통해 거래 제안 거절을 확인할 수 있다. 거래가 성사되는 경우에는 거래 수수료가 부과되게 되며, 배송 방법 및 물품 대금 지급 안내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거래 내역들은 도 5j의 나의 거래 History 리스트에 저장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성사 History와 거래거절 Histroy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거래중개'라는 특성상 상호 메일 발송의 빈도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특히, 이용자의 '가지고 있는 물품'과 '갖기를 원하는 물품'에 관련한 정보를 거래중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거래중개자는 거래 성사시에 직접적인 중개 수수료 수익을 취할 수도 있지만, 거래의 협상(거래제안-다시제안-동의 또는 거절) 단계에 따라서 관련 물품이나 용역 서비스에 관련된 적절한 광고(이를 테면, DB 마케팅)를 할 수 있다. 또한 거래자들간의 거래행태(소비자 행동)를 분석하여 가장 구매력이 발생할 수 있는 물품을 선정하여 구매자에게 메일 발송시 광고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를 원하는 사람(A:구매자)과 판매하고자 하는 사람(B:판매자)이 있을 경우, A 또는 B가 상대 거래자에게 거래 제의에 관한 메일(가격, 배송방법, 지불방법을 지정)을 발송한다(S50). 메일을 수신받은(거래제의를 받은)상대 거래자는 거래 조건에 대하여 만족하면 동의(거래성사)하고, 만족스럽지 못한다면 거래제의를 거부(거래거절)하거나 거래조건을 수정하여 다시 거래제안을 한다(S60, S70, S71, S72, S80).
B가 A에게 최초로 거래제안을 하는 메일에는 컴퓨터 관련 신제품을 소개하는 광고나 쇼핑몰 배너를 첨부함으로써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S50).
만약, 거래가 성사되는 경우 그후에 일반적으로 구매자가 하는 행동(프린터나 스캐너 같은 컴퓨터 주변기기의 추가적인 구입)에 맞는 상품에 관한 광고를 메일에 첨부하여 보낸다(S80).
거래자간의 거래가 실패하는 경우에, 그 실패원인(구매자나 판매자의 불만족)을 분석하여 상대방의 거래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선정하여 거래취소 메일에 첨부하여 광고한다(S71). 예를 들어, 거래실패가 어느 한쪽의 가격조건의 불만족에 의한 것이라면 가격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컴퓨터 상품(일반적으로 저기능 저가격의 컴퓨터)을 거래거절 메일에 첨부한다(S71). 또한, 물품 배송 조건이나 지불 조건이 거래실패원인인 경우에는 이를 만족시키는 상품을 거래거절 메일에 첨부한다(S71).
상기 각 단계는 중개 사이트(1)의 웹서버에서 관리를 하며, 거래자가 선택하거나 기입하는 내역은 항상 중개 사이트에서 관리를 하게 되므로 거래내역과 거래과정은 모두 중개 사이트에서 분석 할 수 있다. 때문에, 중개 사이트는 각 거래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거래성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메일링 프로세스1(3) 또는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발송되는 메일(예를 들면, 거래제안)에 포함되거나 첨부되는 광고를 효과적으로 선정할 수 있게 된다(예를 들면, 거절된 물품 또는 거절 이유에 관련된 광고를 거절통지 메일에 첨부).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자 A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물품거래의 매칭결과를 확인한 후 상호 매칭이 성립된 이용자 B에게 먼저 거래 제안을 하는 경우에, 이용자간의 거래 절차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다.
1. 이용자 B가 동의하는 경우: 곧바로 거래가 성사됨 (도 4의 a)
2. 이용자 B가 거부하는 경우: 거래가 성사안됨 (도 4의 b)
3. 이용자 B가 수정제안하는 경우(이용자 A의 결정에 따라 성사가 결정됨)
1) 이용자 A가 이용자 B의 수정제안에 동의하는 경우: 거래성사 (도 4의 c)
2) 이용자 A가 이용자 B의 수정제안에 거절하는 경우: 거래가 성사안됨 (도 4의 d)
상기한 프로세스중에서 수신된 거래제안 리스트와 발신된 거래제안 리스트가 각각 2줄이상이면 가운데의 거래제안 내역은 테이블상에서 삭제된다. 즉, 수신된 거래제안과 발신된 거래제안의 초기값과 마지막 값은 거래 테이블상에서 항상 가지고 있다. 또한 거래가 최종적으로 이루어지거나(양쪽에서 동의) 어느 한쪽이 거부한 경우(한쪽은 동의, 한쪽은 거부) 마이 우가의 수신된 거래제안과 발신된 거래제안에 리스트 업되는데 로그인 유저가 이를 삭제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최종동의나 최종거부의 액션이 발생하지않은 거래에 대해서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또한최종동의나 최종거부된 거래내역에 대해 마이 우가의 초기화면인 수신된 거래제안에서는 비록 삭제되지만, 테이블상에서는 관련정보를 가지고 있다(삭제가 되더라도 마이 우가의 거래 내역에서 확인가능하다).
거래제안이 발생하지 않은 물품들은 수정삭제가 가능하고, 거래제안이 발생한 물품은 사진필드만 추가 등록 수정이 가능하고, 나머지 필드는 불가능하다. 반면에, 가능한 거래가능 리스트의 물품들은 언제든지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
비록 거래가능 리스트에 있는 물품에 관련하여 거래제안을 하였더라도 거래가 완료(최종 승인, 최종 거부)될 때까지 계속 디스플레이한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의 화면을 본 발명에 따른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제안시 물품수량에 제한을 두지않음으로써 기업 대 기업간의 거래(B2B)가 가능하며, 거래과정에서 얻어진 내역을 검토한후 이를 다시 이용함으로써 구매 유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둘째, 물품거래에 있어서, 거래대금 지불을 현금, 물품, 현금 또는 물품의 세가지가 제공되기 때문에 실거래자들이 거래대금에 대한 지불방법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셋째, 특정가격에 대한 거래동의를 원칙으로 하여 상대거래자가 동의만 하면 바로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는 프로세스도 포함함으로써 물품등록후에도 상대 거래자의 거래동의와 물품등록자가 다시 거래에 동의를 하는 중복적인 거래구조가 개선될 수 있다.
넷째, 등록된 거래물품이 매칭되어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때 상기 매칭된 물품과 관련된 광고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내어 광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만약 매칭된 결과에 따라 실거래자들이 거래접촉을 취하였으나 거래가 성사되지 못하였을 때에는 그 실패원인을 분석하여 거래성사율을 높일뿐만 아니라 실거래자들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선정하여 거래취소 메일에 첨부하여 광고함으로써 구매유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단순한 쇼핑몰이 아니라 물물교환부터 현금거래까지 제공이 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활성화시키고 인터넷 사용을 널리 보급할 수 있는 잇점 등이 있다.

Claims (10)

  1.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1)소정의 회원가입후, 이용자가 인터넷 망을 통하여 '가지고 있는 물품(용역 포함)(Haves)'과 '원하는 물품(용역 포함)(Wants)'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보는 Haves 리스트와 Wants 리스트로 정리되며;
    (2)상기 리스트를 기초로 매칭 프로세스(2)를 진행하여 매칭되는 물품에 대해 상기 '원하는 물품'으로 등록한 이용자(이하, 구매자)에게 상기 매칭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매칭 내역)를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메일링 프로세스1(3)을 통해 전달하는 단계;
    (3)상기 구매자가 상기 매칭되는 물품을 상기 '가지고 있는 물품'으로 등록한 이용자(이하, 판매자)에게 지불형태를 포함한 거래제안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거래제안은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거래제안을 알리는 메일이 상기 판매자에게 발송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4)상기 판매자가 상기 거래제안을 확인한후 상기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상기 구매자에게 거래제안에 대한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판매자는 상기 구매자의 거래제안에 대하여 동의 또는 거절을 할 수 있으며;
    (5)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거래내역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 및
    (6)상기 거래내역 리스트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a)상기 판매자(또는 구매자)는 상기 구매자(또는 판매자)의 거래제안에 대해 수정제안을 하는 단계; (b)상기 수정제안이 상기 메일링 프로세스2(4)를 통해 상기 구매자(또는 구매자)에게 발송되는 단계; 및 (c)상기 구매자(또는 판매자)가 상기 판매자(또는 구매자)의 수정제안에 대한 결과(동의 또는 거절)를 상기 메일링 프로세서2(4)를 통해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제안에 대한 결과가 또다른 수정제안일 경우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고 있는 물품(Haves)'과 '원하는 물품(Wants)'에 대한 정보는, 현금 또는 물품의 지불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고 있는 물품(Haves)'과 '원하는 물품(Wants)'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물품 갯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형태는 현금만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지불 형태를 현금으로 등록하고 특정 가격에 대한 거래 동의를 선택할 경우, 상기 구매자의 동의만 있으면 바로 거래 성사 결과를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 단계는, (3) 단계에서 상기 물품과 관련된 광고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 단계는, (4) 단계에서 물품거래가 성사되지 않았을 경우(판매자가 거래제안에 대해 거절하였을 경우) 웹서버가 거절이유를 포함한 거래결과를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거절이유에 관한 정보, 상기 Haves 리스트, 상기 Wants 리스트, 및 상기 거래 내역 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거절이유와 관련된 광고를 상기 거래결과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6) 단계는, (4) 단계에서 물품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판매자가 거래제안에 대해 동의하였을 경우), 웹서버가 성사결과를 포함한 거래결과를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Haves 리스트, 상기 Wants 리스트, 및 상기 거래 내역 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성사된 물품와 관련된 광고를 상기 거래결과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00033713A 2000-06-19 2000-06-19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113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713A KR20010113403A (ko) 2000-06-19 2000-06-19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713A KR20010113403A (ko) 2000-06-19 2000-06-19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403A true KR20010113403A (ko) 2001-12-28

Family

ID=1967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713A KR20010113403A (ko) 2000-06-19 2000-06-19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340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20A (ko) * 2001-01-16 2002-07-24 주식회사 프로컨텐츠 자동 매매중개 시스템을 이용한 영업방법
KR20040002355A (ko) * 2002-06-28 2004-01-07 (주)아이템즈 온라인 거래 중계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 정보의 실시간제공 방법
KR100664699B1 (ko) * 2002-11-14 2007-01-04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인터넷을 통한 교품 시스템 및 방법
KR100922112B1 (ko) * 2008-02-25 2009-10-16 (주) 케이팜텍 의약품 교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3909A (ko) * 2014-06-13 2015-12-24 김건무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1864538B1 (ko) * 2017-05-24 2018-06-04 박성근 키워드 코딩 매매시스템.
KR20200021120A (ko) * 2018-08-20 2020-02-28 박정희 개인별 니즈 매칭 서비스 시스템, 개인별 니즈 매칭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20A (ko) * 2001-01-16 2002-07-24 주식회사 프로컨텐츠 자동 매매중개 시스템을 이용한 영업방법
KR20040002355A (ko) * 2002-06-28 2004-01-07 (주)아이템즈 온라인 거래 중계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 정보의 실시간제공 방법
KR100664699B1 (ko) * 2002-11-14 2007-01-04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인터넷을 통한 교품 시스템 및 방법
KR100922112B1 (ko) * 2008-02-25 2009-10-16 (주) 케이팜텍 의약품 교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3909A (ko) * 2014-06-13 2015-12-24 김건무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1864538B1 (ko) * 2017-05-24 2018-06-04 박성근 키워드 코딩 매매시스템.
WO2018217036A3 (ko) * 2017-05-24 2019-02-28 박성근 구매자 주도로 저렴한 가격에 물품이 매매되게 하는 키워드 베이스드 매매시스템.
KR20200021120A (ko) * 2018-08-20 2020-02-28 박정희 개인별 니즈 매칭 서비스 시스템, 개인별 니즈 매칭 서비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94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bids on products and services
US7430523B1 (en) Automated competitive bidding system and process
Klein et al. Business‐to‐business market making on the Internet
US20090192873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donation-coordinating electronic market platform
US200300410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among disparate entities
Dasgupta et al. E-commerce in the Indian insurance industry: Prospects and future
US201201367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On-Line Auctions
Bichler et al. A brokerage framework for Internet commerce
US20030041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dynamic pricing
US200800979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a User to Make A Plurality of Offers to a Plurality of Advertisers
US20070226125A1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ng business
KR20010113403A (ko)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49383A (ko) 길드 기반 전자상거래
KR20010094027A (ko)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KR20000006716A (ko) 비밀경쟁입찰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
Yu et al. Setting up an e-marketplace: a three-stage approach
KR20010111983A (ko) 공동 구매 사용자 그룹 형성을 통한 역경매 방법
WO2001095224A1 (en) Interactive business matching and promotion
Arvaniti The Evolution of E-Business Environment in Fashion Sector
JP2002157474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100907220B1 (ko) 개인별 맞춤 상품 및 서비스 입찰 방법
KR20010073531A (ko)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435881B1 (ko)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할인경매를 이용한 물품 판매 및구매 방법
KR20000012588A (ko) 다수 당사자의 경쟁을 통해 다수의 거래가 가능한 상거래장치 및 방법
KR20010084926A (ko) 쌍방향 조건부 공시에 따른 대출상환 및 금융수익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