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027A -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 Google Patents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027A
KR20010094027A KR1020000017388A KR20000017388A KR20010094027A KR 20010094027 A KR20010094027 A KR 20010094027A KR 1020000017388 A KR1020000017388 A KR 1020000017388A KR 20000017388 A KR20000017388 A KR 20000017388A KR 20010094027 A KR20010094027 A KR 20010094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terminal
product
sell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유종준
주식회사 마이그로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준, 주식회사 마이그로서리 filed Critical 유종준
Priority to KR102000001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4027A/ko
Publication of KR2001009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0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여 최적의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전자상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수,축산물과 관련된 1차산업상품 또는 2차산업상품의 생산자와 구매자 사이의 거래를 최적화된 조건으로 체결시키는 온라인상의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거래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과, 해당 복수의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거래시스템과, 거래의 결제를 실시하는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간에 있어서의 거래를 실시하는 전자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구매자용 단말과, 판매자용 단말을 갖고, 상기 판매자용 단말은 판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판매상품정보와 판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매자용 단말은 구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구매상품정보와 구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기 판매자용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판매상품정보와 판매상품가격을 기억하는 판매정보기억수단과; 상기 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구매상품정보와 구매상품가격을 기억하는 구매정보기억수단과; 상기 판매정보기억수단 및 구매정보기억수단에 각기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및 가격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거래조건을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최적 거래조건을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 쌍방에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상기 최적 거래조건을 승인하는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거래조건에 따른 결제요구를 상기 결제시스템에 송신하는 결제요청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NG AGRICULTURAL, MARINE AND STOCKBREEDING PRODUCTS ON THE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여 최적의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전자상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수,축산물과 관련된 1차산업상품 또는 2차산업상품의 생산자와 구매자 사이의 거래를 최적화된 조건으로 체결시키는 온라인상의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국방성의 군사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시작된 아파넷 (ARPANET)에서 시작된 인터넷은 현재 세계각지의 수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쇄된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축적매체 및 정보제공매체가 되고 있다. 인터넷은 전자메일, 뉴스그룹, 파일전송 및 정보전달, 검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의 상업적 이용 즉,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말한다. 전자상거래는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와 유사하게 상거래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게 된다. 가장 간단한 전자상거래의 경우 물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상점(cyber mall), 상점에서 물건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제품에 대한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 등이 전자상거래에서 거래의 주체가 된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소비자는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로 가상상점에 접속하여 쇼핑을 한다. 구매를 원하는 제품을 발견하면, 가상상점에 구매의사를 전달하고 예컨대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와 같은 결제수단을 제공한다.
가상상점은 고객이 제시한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에 조회하고, 대금지급을 요청한다.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가 대금을 가상상점에 지급하면 가상상점은 제품을 고객에게 배달함으로써 구매과정(거래)이 완료된다.
종래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모델로는 일반적으로 (1) 아마존(www. amazon.com), 인터넷 백화점 등과 같은 기업-소비자(BTC)간의 쇼핑몰 형태, (2) 이베이(www.eBay.com), 옥션(www.auction.co.kr)과 같은 경매 또는 역경매(미국특허 제 5,793,207 호)형태, (3) 제시된 가격에 제품을 구입할 구매자를 모집하는 공동구매 또는 이벤트 형태 (3) 수출입, 자재구매, 입찰 등과 같이 기업-기업(BTB)간 또는 정부-기업(BTG)간 거래 등의 형태가 알려져 있다.
특히, 역경매 방식의 상거래에 대하여 많은 특허들이 출원되거나 등록된 상태에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특허 제 5,793,207 호, 일본국 특개평11-66168 호, 일본국 특개평10-320370 호, 일본국 특개평10-230823 호 등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00-6699 호는 다수의 구매 희망자들이 구매를 희망하는 물품에 관한 조건을 등록하는 단계, 다수의 판매희망자들 역시 판매를 희망하는 물품의 조건을 등록하는 단계, 이때 판매 희망자들이 판매 희망물품을 등록하는 순간 판매 희망자의 조건과 구매 희망자의 조건이 일치하는 구매 희망자에게 원하는 조건의 판매 희망물품이 등록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 공통조건을 가지는 구매 희망자를 추출하여 공동구매를 유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인터넷 다대다 매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공동구매 형태의 다대다 매매의 경우는 거래 체결의 결정권을 구매자에게 넘김으로써 농,수,축산물과 같은 1차산업 상품의 가격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999-78767 호는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전자상거래용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 및 주문정보를 입력하고 결제하는 구매자주문수순과, 판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전자상거래용 서버에 접속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 및 판매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자주문수순과, 상품정보별 구매기간 또는 판매기간의 종료를 확인하고 거래의 성사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각 거래당사자에게 통보하는 거래체결수순으로 구성되는 구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자거래방법의 경우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거래체결을 전자상거래용 서버가 일방적으로 결정하여 이를 쌍방에 통보하는 형태의 거래방법으로서 구매자와 판매자 쌍방의 최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공산품과 달리 품질, 생산지, 품목 등에 따라 가격의 차등이 극심한 농,수,축산물과 같은 1차산업 상품의 최적거래를 보장할 수 있는 온라인 거래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농,수,축산물을 포함한 1차산업 상품 또는 2차산업 상품의 생산자와 도,소매상 또는 개인소비자의 직거래를 유도할 수 있는 전자거래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인터넷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서 쌍방의 합의하에 거래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민주적인 상거래 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일정한 가격기준이 제시되지 않는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쌍방에 객관적인 생산원가와 거래시세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거래의 체결을 담보할 수 있는 전자거래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복수의 단말과, 해당 복수의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거래시스템과, 거래의 결제를 실시하는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간에 있어서의 거래를 실시하는 전자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구매자용 단말과, 판매자용 단말을 갖고, 상기 판매자용 단말은 판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판매상품정보와 판매가격을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매자용 단말은 구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구매상품정보와 구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기 판매자용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판매상품정보와 판매상품가격을 기억하는 판매정보기억수단과; 상기 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구매상품정보와 구매상품가격을 기억하는 구매정보기억수단과; 상기 판매정보기억수단 및 구매정보기억수단에 각기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및 가격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거래조건을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최적 거래조건을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 쌍방에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상기 최적 거래조건을 승인하는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거래조건에 따른 결제요구를 상기 결제시스템에 송신하는 결제요청수단을 포함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거래상품은 농업, 수산업, 축산업과 관련된 1차산업 상품 또는 2차산업 상품이고; 상기 판매상품정보는 품목, 생산지, 판매수량, 납품가능시기, 결제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이고, 상기 구매상품정보는 품목, 구매수량, 배송지, 납기, 결제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기 거래상품의 품목별 생산원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기억하는 생산원가기억수단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의 실제 거래에 따른 상기 거래상품의 품목별 시세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거래시세기억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거래시스템은 특정 거래상품에 대한 생산원가 및 거래시세를 상기 생산원가기억수단과 거래시세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이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적정한 거래를 유도하는 적정거래유도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이 가장 잘 일치하는 최적 거래조건 뿐만 아니라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이 서로 호응하는 차순위 거래조건을 복수개 결정하여 이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정보기억수단과 구매정보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은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의 정정요구에 따라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해당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의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정보를 상기 거래시스템에 미리 등록하는 등록수단과; 상기 거래시스템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정보를 입력하고 송신하는 송신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기 단말로부터 미리 등록된 상기 이용자정보를 기억하는 이용자정보기억수단과; 상기 판매상품 및 구매상품 등록시에 상기 이용자정보의 입력요구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각기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로부터의 상기 이용자정보가 상기 이용자정보기억수단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품의 등록을 허가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의 청구항 8은 농,수,축산물과 관련된 1차산업 상품 또는 2차산업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단말과, 이러한 판매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단말과, 상기 판매자 및 구매자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거래시스템과, 거래의 결제를 실시하는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간에 있어서의 거래를 실시하는 전자거래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용 단말을 이용하여 판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판매상품정보및 판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용 단말을 이용하여 구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구매상품정보 및 구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단계에서 송신된 상기 판매상품정보, 판매상품가격 및 구매상품정보, 구매상품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거래상품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상품정보 및 가격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거래조건을 결정하는 결정단계와; 상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최적 거래조건을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 쌍방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시스템이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상기 최적 거래조건을 승인하는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가 모두 상기 거래조건을 승인함으로써 거래가 성립되는 경우 해당 거래조건에 따른 결제요구를 상기 결제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중 어느 일방이 상기 최적 거래조건을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된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중 서로 호응하는 차순위 거래조건을 복수개 결정하여 이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송신한다.
상기 거래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을 정정하는 것에 의해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서 거래조건에 대한 의견을 조율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가 상기 거래시스템에 상기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을 송신하는 단계전에 해당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의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정보를 상기 거래시스템에 미리 등록하는 단계와; 상품거래시에 상기 거래시스템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정보를 입력하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단계에서 송신된 상기 이용자정보가 상기 거래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별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품의 등록을 허가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명세서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네트워크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거래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판매자 대 구매자 관계도이다.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의 전자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판매자용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판매정보 입력화면이다.
도 4b는 판매자용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판매파트너 검색결과 조회/수정 화면이다.
도 5a는 구매자용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구매정보 입력화면이다.
도 5b는 구매자용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구매파트너 검색결과 조회/수정 화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생산자 단말 12: 개인소비자 단말
13: 도,소매상 단말 14: 거래최적화시스템
15: 네트워크망 16: 전자결제시스템
17: 생산자 DB 18: 생산원가관리 시스템
19: 구매자 DB 20: 고객 DB
21: 거래실적 DB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자거래시스템은 생산자 단말(판매자 단말)(11), 구매자 단말(개인소비자 단말, 도,소매상 단말)(12, 13), 거래시스템 (13, 17, 18, 19, 20, 21), 결제시스템(16) 및 네트워크망(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생산자 단말(11)은 농,수,축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가 자신의 생산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상기 거래시스템에 생산품을 등록하기 위한 단말이다. 이 생산자 단말은 표시부, 기억부, 입력부, 통신제어부 등을 갖고, 기억부는 상기 거래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프로그램, 판매상품의 등록처리를 실시하는 동작프로그램, 해당 단말을 특정하는 단말 ID 등을 기억한다.
상기 구입자 단말은 소량의 상품을 구매하는 개인 소비자 단말(12)과 일정 수량 이상의 상품을 구매하는 도,소매상 단말(13)로 이루어진다. 이 구입자 단말 (12, 13)은 표시부, 기억부, 입력부, 통신제어부 등을 갖고, 기억부는 거래시스템 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프로그램, 상품의 구입처리를 실시하는 동작프로그램, 해당 단말을 특정하는 단말 ID 등을 기억한다.
상기 거래시스템은 생산자에 의해 등록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중립기관이며, 서버 등의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이 거래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래최적화시스템(13)과, 생산자 DB(데이터베이스)(17)와, 구매자 DB(19)와, 고객 DB(20)와, 거래실적 DB(21)와, 생산원가관리시스템(18)을 구비한다.
상기 고객 DB(20)는 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판매자/구매자)의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기억한다. 이용자 정보는 예를들어,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 코드, 성명(판매자명, 구입자명), 주소,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항목을 구비한다. 이중 이용자 코드는 이용자가 본 시스템에 등록했을 때에 거래시스템에 의해 부여되는 식별부호이다.
거래시스템은 이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할때에 그 이용자의 이용자 코드가 고객 DB(20)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체크한다.
상기 생산자 DB(17)는 생산자(판매자)에 의해 생산자단말(11)을 이용하여 등록되는 각 상품에 대해서의 상품정보(판매가격, 품목, 생산지, 판매수량, 납품가능시기, 결제조건 등)를 기억한다.
상기 구매자 DB(19)는 구매자에 의해 구매자 단말(12, 13)을 이용하여 등록되는 각 구매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구매가격, 품목, 배송지, 구매수량, 납기, 결제조건 등)를 기억한다.
상기 거래실적 DB(21)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성립한 거래의 이력정보를 기억한다. 따라서, 상기 거래최적화시스템(서버 컴퓨터)(13)은 이 거래실적 DB(21)로부터 특정 품목의 상품에 대한 실제 거래시세를 판독하여 생산자 단말(17)이나 구매자 단말(19)에 송신함으로써 판매자나 구매자에게 특정 상품의 적정 가격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생산원가관리시스템(18)은 특정한 농,수,축산물의 생산원가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사정의 변화가 발생할 시 이 생산원가를 갱신한다. 따라서, 상기 거래최적화시스템(13)은 이 생산원가관리시스템(18)으로부터 특정 품목의 상품에 대한 객관적인 생산원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이를 생산자 단말(11)과 구매자 단말(12, 13)에 송신함으로써 판매자나 구매자로 하여금 공정한 거래를 유도한다.
본 발명을 기술함에 있어 생산자와 판매자는 동일한 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거래의 관점에서는 판매자로 정의되고, 상품의 공급측면에서는 생산자로 정의한다.
전자결제시스템(16)은 예를들어 본 시스템에 등록하고 있는 이용자에 대하여 이용자코드와 구좌번호를 대응지우는 테이블을 갖고, 거래최적화시스템(13)으로부터 통지된 결제정보에 따라서 구매자의 구좌로부터 판매자의 구좌로 소정 금액을 대체하도록 은행호스트(도면에 미도시)에 지시한다. 은행호스트는 본 시스템에 등록하고 있는 이용자의 결제용 구좌를 구비하고, 전자결제시스템(16)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대체처리를 실시한다. 이 전자결제시스템(16)에서는 거래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스템에 등록한 이용자(구매자/판매자)만이 거래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은행자동 대체처리의 경우만을 언급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결제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용카드결제, 전자화폐결제 등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결제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망(15)은 공중전화망(PSTN), 인트라넷(INTRANET) 또는 수백만개의 컴퓨터가 연결된 월드와이드 네트워크인 인터넷(INTERNET)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용자(판매자/구매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구입자는 구입자단말(12, 13)에 등록요구를 입력한다. 이 입력에 응답하여 구입자단말(12, 13)은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의 항목을 입력하기 위한 등록용 화면을 표시한다. 구입자는 전 항목을 입력하고, 예를들어 입력완료버튼을 선택한다. 이 선택에 응답하여 구입자단말(12, 13)은 입력된 데이터(등록용 데이터)를 이용자등록요구와 함께 네트워크망(15)을 통하여 거래최적화시스템(13)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된 데이터에는 송신원의 구입자단말(12, 13)의 단말 ID가 부여된다.
거래최적화시스템(13)은 이용자등록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등록용 데이터를고객 DB(20)에 저장한다. 이때, 거래최적화시스템(13)은 이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이용자 코드를 생성하고, 등록용 데이터와 함께 고객 DB(20)에 저장한다. 이용자 코드의 생성방법은 임의이며, 예를들어 도시하지 않은 난수생성부를 이용하여 무작위로 생성해도 좋다.
거래최적화시스템(13)은 고객 DB(20) 갱신 후, 등록용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던 단말 ID를 갖는 구입자 단말(12, 13)에 등록완료신호를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송신한다. 등록요구의 송신원의 구입자단말(11)은 갱신완료신호를 수신하고 등록이 완료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따라 등록처리가 완료되고 구매자는 본 시스템을 이용 가능하게 된다. 생산자 단말(11)을 이용한 판매자의 등록방법도 상기 등록방법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첨부도면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여 판매자가 판매자단말(11)을 이용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농,수,축산물 상품을 최적화거래시스템(13)에 등록하기 위한 상품등록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판매자는 판매자단말(11)에 상품의 등록요구를 입력한다.(STEP A1) 이 입력에 응답하여 판매자단말(11)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원 ID, 성명, 지역, 등록대상의 상품의 상품명(상품이미지 있을 경우 이미지 포함), 포장여부, 포장단위, 공급단위, 상품세부설명, 납기, 결재조건 등의 정보(상품등록용 데이터)와 판매희망수량 및 판매희망단가를 판매자로 하여금 입력시키게 하기 위한 상품 판매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판매자는 이들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고 예를들면 입력완료버튼을 선택한다. 판매자단말(11)은 이 선택에 응답하여 입력된 상품정보데이터와 가격데이터를 상품등록요구와 함께 네트워크망(15)을 통하여 최적거래시스템(13)에 송신한다. (STEP A3) 이때, 판매자가 판매가격을 결정함에 있어 보다 최적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최적거래시스템(13)은 해당 품목에 대한 객관적인 생산원가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최근 실제 거래시세정보를 생산원가관리시스템(18)과 거래실적 DB(21)로부터 판독하여 이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최적거래시스템(13)은 상품등록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품정보데이터와 가격데이터를 생산자 DB(17)에 등록한다.
이 등록시 최적거래시스템(13)은 등록대상의 상품의 상품코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상품정보데이터 및 가격데이터와 함께 생산자 DB(17)에 기억한다. 생산자 DB(17)의 갱신후 최적거래시스템(13)은 상품등록요구의 송신원의 판매자단말(11)에 등록완료신호를 송신한다. 판매자단말(11)은 등록완료신호를 수신하고 상품의 등록이 완료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따라 판매자는 판매하고 싶은 상품을 최적거래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STEP A5)
다음으로 첨부도면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여 구매자가 구매자단말(12, 13)을 이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농,수,축산물 상품을 최적화거래시스템(13)에 등록하기 위한 상품등록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매자는 구매자단말(12, 13)에 상품의 등록요구를 입력한다.(STEP A2) 이 입력에 응답하여 구매자단말(12, 13)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원 ID, 성명, 지역, 등록대상의 상품의 상품명, 포장여부, 포장단위, 구입단위, 세부요구사항, 납기, 결재조건 등의 정보(상품등록용 데이터)와 구매희망수량 및 구매희망단가를 구매자로 하여금 입력시키게 하기 위한 상품 구매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구매자는 이들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고 예를들면 입력완료버튼을 선택한다. 구매자단말(12, 13)은 이 선택에 응답하여 입력된 상품정보데이터와 가격데이터를 상품등록요구와 함께 네트워크망(15)을 통하여 최적거래시스템(13)에 송신한다. (STEP A3) 이때, 구매자가 구매가격을 결정함에 있어 보다 최적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최적거래시스템(13)은 해당 품목에 대한 객관적인 생산원가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최근 실제 거래시세정보를 생산원가관리시스템(18)과 거래실적 DB(21)로부터 판독하여 이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최적거래시스템(13)은 상품등록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품정보데이터와 가격데이터를 구매자 DB(19)에 등록한다.
이 등록시 최적거래시스템(13)은 등록대상의 상품의 상품코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상품정보데이터 및 가격데이터와 함께 구매자 DB(19)에 기억한다. 이때의 상품코드는 동일 상품에 대하여 상기 생산자 DB(17)와 구매자 DB(19)에서 동일하게 부여되어야 한다. 구매자 DB(19)의 갱신후 최적거래시스템(13)은 상품등록요구의 송신원의 구매자단말(12, 13)에 등록완료신호를 송신한다. 구매자단말(12, 13)은 등록완료신호를 수신하고 상품의 등록이 완료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따라 구매자는 구매하고 싶은 상품을 최적거래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STEP A5)
다음으로, 첨부도면 도 3, 도 4b, 도 5b를 참조하여 최적거래시스템이 판매자와 구매자를 서로 연결하여 거래를 체결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판매자가 적극적으로 거래신청을 요청하는 것에 의해 거래가 체결되는과정을 살펴본다.
본 시스템에 이용자등록을 마친 판매자는 본 시스템에 거래요구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도 4b와 같은 구매파트너 검색결과 조회/수정 화면을 판매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거래를 원하는 판매자는 도 4b의 화면상에 회원 ID와, 성명,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명, 판매수량, 판매희망가격을 입력하여 거래신청 버튼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거래신청요구를 최적거래시스템에 송신한다.
판매자단말로부터 거래신청요구, 판매상품정보 및 판매가격을 수신한 최적거래시스템은 구매자 DB를 검색하여 상기 판매상품정보 및 판매가격과 일치하는 최적의 구매 파트너와 차순위 구매 파트너를 찾는다. (STEP A6)
최적거래시스템은 이렇게 검색된 거래 파트너 결과정보를 해당 판매자단말에 송신한다.(STEP A7) 도 4b에 이렇게 검색된 거래파트너 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판매자는 거래파트너 결과정보를 검토한 후, 자신의 요구와 일치하는 구매자 파트너가 있을 경우 그 구매자 파트너를 선택한다. 이 선택정보는 최적거래시스템에 전송되고, 최적거래시스템은 판매자의 선택정보를 해당 구매자에게 전달하여 거래의 체결을 요청한다. (STEP A8)
이때, 해당 구매자가 판매자의 거래조건을 승인하면, 최적거래시스템은 결제시스템에 거래가 체결되었음을 알린다. 결제시스템은 거래를 승낙한 해당 구매자의 존재 사실을 고객 DB로부터 확인한 후 판매자에게 구매자의 결제금액 입력사실을통보한다. (STEP A9)
구매자의 결제사실을 통보받은 판매자는 판매상품에 대한 배송처리를 수행하고, 상품수령을 한 구매자는 상품수령사실을 결제시스템에 통보한다. (STEP A10)
결제시스템은 구매자의 상품수령 사실을 통보 받은후에 결제금액을 판매자의 계좌에 입금함으로써 상품의 체결에 대한 모든 작업이 종료된다. (STEP A11)
만약, 상기 STEP A8에서 해당 구매자가 거래의 체결을 거부할 경우 최적거래시스템은 이 거부메시지를 해당 판매자 단말에 송신한다. 거부메시지를 전송받은 판매자는 최적거래가 불성립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거래를 취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TEP A12)
이때, 판매자가 해당 거래를 취소하면, 최적거래시스템은 이 거래취소 사실을 검색된 최적 파트너와 차순위 파트너 및 허브사이트에 전송하고 해당 품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한다. (STEP A13)
반대로, 판매자가 해당 거래를 취소하지 않으면, 최적거래시스템은 판매자가 조정신청을 요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TEP A13)
이때, 판매자가 조정신청을 요구하였다면, 최적거래시스템은 이러한 사실을 해당 구매자에게 통보하고, 판매자와 구매자 쌍방에 대화 채널창을 띄워서 또는 메시지의 송,수신을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 쌍방이 거래조건에 대하여 의견조율을 시도하게 한다. (STEP A15)
의견조율을 거친후 최적거래시스템은 새로운 거래조건에 대하여 쌍방간의 거래승낙여부를 묻는 상기 STEP A8로 복귀한다.
상기 STEP A13에서 판매자가 조정신청을 요구하지 않으면, 최적거래시스템은 차순위파트너에게 동일한 방식의 거래를 신청하거나 판매자로 하여금 판매상품정보에 대한 정정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STEP A16)
상기 차순위파트너에 대한 거래요청과 거래조건의 정정작업의 수행후에는 STEP A8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구매자가 적극적으로 거래신청을 요청하는 것에 의해 거래가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시스템에 이용자등록을 마친 구매자는 본 시스템에 거래요구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도 5b와 같은 판매파트너 검색결과 조회/수정 화면을 구매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거래를 원하는 구매자는 도 5b의 화면상에 회원 ID와, 성명,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 구입수량, 구입희망가격을 입력하여 거래신청 버튼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거래신청요구를 최적거래시스템에 송신한다.
구매자 단말로부터 거래신청요구, 구매상품정보 및 구매가격을 수신한 최적거래시스템은 생산자 DB를 검색하여 상기구매상품정보 및 구매가격과 일치하는 최적의 판매 파트너와 차순위 판매 파트너를 찾는다. (STEP A6)
최적거래시스템은 이렇게 검색된 거래 파트너 결과정보를 해당 구매자단말에 송신한다.(STEP A7) 도 5b에 이렇게 검색된 거래파트너 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구매자는 거래파트너 결과정보를 검토한 후, 자신의 요구와 일치하는판매자 파트너가 있을 경우 그 판매자 파트너를 선택한다. 이 선택정보는 최적거래시스템에 전송되고, 최적거래시스템은 구매자의 선택정보를 해당 판매자에게 전달하여 거래의 체결을 요청한다. (STEP A8)
이때, 해당 판매자가 구매자의 거래조건을 승인하면, 최적거래시스템은 결제시스템에 거래가 체결되었음을 알린다. 결제시스템은 거래를 승낙한 판매자의 존재 사실을 고객 DB로부터 확인한 후 판매자에게 구매자의 결제금액 입력사실을 통보한다. (STEP A9)
구매자의 결제사실을 통보받은 판매자는 판매상품에 대한 배송처리를 수행하고, 상품수령을 한 구매자는 상품수령사실을 결제시스템에 통보한다. (STEP A10)
결제시스템은 구매자의 상품수령 사실을 통보 받은후에 결제금액을 판매자의 계좌에 입금함으로써 상품의 체결에 대한 모든 작업이 종료된다. (STEP A11)
만약, 상기 STEP A8에서 해당 판매자가 거래의 체결을 거부할 경우 최적거래시스템은 이 거부메시지를 해당 구매자 단말에 송신한다. 거부메시지를 전송받은 구매자는 최적거래가 불성립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거래를 취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TEP A12)
이때, 구매자가 해당 거래를 취소하면, 최적거래시스템은 이 거래취소 사실을 검색된 최적 파트너와 차순위 파트너 및 허브사이트에 전송하고 해당 품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한다. (STEP A13)
반대로, 구매자가 해당 거래를 취소하지 않으면, 최적거래시스템은 구매자가 조정신청을 요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TEP A13)
이때, 구매자가 조정신청을 요구하였다면, 최적거래시스템은 이러한 사실을 해당 판매자에게 통보하고, 판매자와 구매자 쌍방에 대화 채널창을 띄워서 또는 메시지의 송,수신을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 쌍방이 거래조건에 대하여 의견조율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한다. (STEP A15)
의견조율을 거친후 최적거래시스템은 새로운 거래조건에 대하여 쌍방간의 거래승낙여부를 묻고 상기 STEP A8로 복귀한다.
상기 STEP A13에서 구매자가 조정신청을 요구하지 않으면, 최적거래시스템은 차순위파트너에게 동일한 방식의 거래를 신청하거나 구매자로 하여금 구매상품정보에 대한 정정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STEP A16)
상기 차순위파트너에 대한 거래요청과 거래조건의 정정작업의 수행후에는 STEP A8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거래방법은 도 2과 같이 하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 또는 하나의 구매자와 다수의 판매자를 상호 연결하는 일대다 형식의 새로운 거래방식이다. 즉, 거래의 성사를 원하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는 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대 파트너 정보로부터 최적의 거래조건을 검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양한 거래채널을 형성할 수 있어 거래에서 발생되는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을 포함하는 1차산업상품 또는 2차산업상품의 전자상거래 도입과정에서 까다로운 유통(구매, 보관, 가공, 포장, 배송, 판매등)방법상의 문제와 함께 유통의 구조적 문제로 지적되는 고질적인 가격/품질 왜곡현상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농,수,축산물의 진정한 직거래를 유도하며,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서 쌍방 합의하에 거래를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농,수,축산물의 수급 불균형과 가격왜곡현상을 해결한다.

Claims (12)

  1. 복수의 단말과, 해당 복수의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거래시스템과, 거래의 결제를 실시하는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간에 있어서의 거래를 실시하는 전자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구매자용 단말과, 판매자용 단말을 갖고,
    상기 판매자용 단말은 판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판매상품정보와 판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매자용 단말은 구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구매상품정보와 구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기 판매자용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판매상품정보와 판매상품가격을 기억하는 판매정보기억수단과;
    상기 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구매상품정보와 구매상품가격을 기억하는 구매정보기억수단과;
    상기 판매정보기억수단 및 구매정보기억수단에 각기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및 가격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거래조건을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최적 거래조건을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 쌍방에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상기 최적 거래조건을 승인하는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거래조건에 따른 결제요구를 상기 결제시스템에 송신하는 결제요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상품이 농업, 수산업, 축산업과 관련된 1차산업 상품 또는 2차산업 상품이고;
    상기 판매상품정보는 품목, 생산지, 판매수량, 납품가능시기, 결제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이고, 상기 구매상품정보는 품목, 구매수량, 배송지, 납기, 결제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기 거래상품의 품목별 생산원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기억하는 생산원가기억수단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의 실제 거래에 따른 상기 거래상품의 품목별 시세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거래시세기억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시스템은
    특정 거래상품에 대한 생산원가 및 거래시세를 상기 생산원가기억수단과 거래시세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이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적정한 거래를 유도하는 적정거래유도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이 가장 잘 일치하는 최적 거래조건 뿐만 아니라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이 서로 호응하는 차순위 거래조건을 복수개 결정하여 이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정보기억수단과 구매정보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은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의 정정요구에 따라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해당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의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정보를 상기 거래시스템에 미리 등록하는 등록수단과;
    상기 거래시스템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정보를 입력하고 송신하는 송신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거래시스템은
    상기 단말로부터 미리 등록된 상기 이용자정보를 기억하는 이용자정보기억수단과;
    상기 판매상품 및 구매상품 등록시에 상기 이용자정보의 입력요구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각기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로부터의 상기 이용자정보가 상기 이용자정보기억수단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품의 등록을 허가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8. 농,수,축산물과 관련된 1차산업 상품 또는 2차산업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단말과, 이러한 판매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단말과, 상기 판매자 및 구매자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거래시스템과, 거래의 결제를 실시하는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간에 있어서의 거래를 실시하는 전자거래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용 단말을 이용하여 판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판매상품정보및 판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용 단말을 이용하여 구매대상의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구매상품정보 및 구매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단계에서 송신된 상기 판매상품정보, 판매상품가격 및 구매상품정보, 구매상품가격을 상기 거래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거래상품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상품정보 및 가격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거래조건을 결정하는 결정단계와;
    상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최적 거래조건을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 쌍방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시스템이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로부터 상기 최적 거래조건을 승인하는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가 모두 상기 거래조건을 승인함으로써 거래가 성립되는 경우 해당 거래조건에 따른 결제요구를 상기 결제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상품정보는 품목, 생산지, 판매수량, 납품가능시기, 결제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이고, 상기 구매상품정보는 품목, 구매수량, 배송지, 납기, 결제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중 어느 일방이 상기 최적 거래조건을 승인하지 않는경우에는
    상기 등록된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중 서로 호응하는 차순위 거래조건을 복수개 결정하여 이를 상기 판매자용 단말과 구매자용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을 정정하는 것에 의해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서 거래조건에 대한 의견을 조율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가 상기 거래시스템에 상기 상품정보 및 상품가격을 송신하는 단계전에
    해당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의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정보를 상기 거래시스템에 미리 등록하는 단계와;
    상품거래시에 상기 거래시스템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정보를 입력하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단계에서 송신된 상기 이용자정보가 상기 거래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별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품의 등록을 허가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 전자거래방법.
KR1020000017388A 2000-04-03 2000-04-03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KR20010094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388A KR20010094027A (ko) 2000-04-03 2000-04-03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388A KR20010094027A (ko) 2000-04-03 2000-04-03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027A true KR20010094027A (ko) 2001-10-31

Family

ID=1966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388A KR20010094027A (ko) 2000-04-03 2000-04-03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402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23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육류지수를 통한 온라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4032A (ko) * 2000-12-30 2001-08-04 변경대 인터넷을 이용한 낙농 정보와 물품 공급 커뮤니티 시스템
WO2011085151A2 (en) * 2010-01-07 2011-07-14 United Cattle Company Online purchasing method
KR20190047652A (ko) 2018-11-07 2019-05-08 휴먼타이틀인슈 주식회사 수산물 및 축산물 창업 서비스 시스템
KR20210033673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파머스페이스 작물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264512B1 (ko) 2020-11-24 2021-06-14 주식회사 마이샵클라우드 건어물 판매 지원 시스템
KR102324148B1 (ko) * 2020-05-21 2021-11-10 주식회사 허브넷컴퍼니 잔존농산물 매칭시스템
KR20210157680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어상13호 수산물 공동구매 시스템 및 수산물 견적 추천 방법
KR102562844B1 (ko) * 2023-02-21 2023-08-03 주식회사 그린랩스 농산물의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정방향 및 역방향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23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육류지수를 통한 온라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4032A (ko) * 2000-12-30 2001-08-04 변경대 인터넷을 이용한 낙농 정보와 물품 공급 커뮤니티 시스템
WO2011085151A2 (en) * 2010-01-07 2011-07-14 United Cattle Company Online purchasing method
WO2011085151A3 (en) * 2010-01-07 2011-11-17 United Cattle Company Online purchasing method
KR20190047652A (ko) 2018-11-07 2019-05-08 휴먼타이틀인슈 주식회사 수산물 및 축산물 창업 서비스 시스템
KR20210033673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파머스페이스 작물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324148B1 (ko) * 2020-05-21 2021-11-10 주식회사 허브넷컴퍼니 잔존농산물 매칭시스템
KR20210157680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어상13호 수산물 공동구매 시스템 및 수산물 견적 추천 방법
KR102264512B1 (ko) 2020-11-24 2021-06-14 주식회사 마이샵클라우드 건어물 판매 지원 시스템
KR102562844B1 (ko) * 2023-02-21 2023-08-03 주식회사 그린랩스 농산물의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정방향 및 역방향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20470A (ja) 電子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00053815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역 거래 장치 및 방법
JP2003030438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における融資申請処理方法
KR20160075017A (ko) 온라인상에서 물품 직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4027A (ko) 농,수,축산물 전자거래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KR20010094138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채팅을 통한 실시간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326870B1 (ko) 비밀경쟁입찰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
KR100978527B1 (ko) 물품 거래 정보를 이용한 중고물품 경매 방법 및 그 시스템
JPH10320481A (ja) 通信型競りシステム
KR20000049963A (ko) 인터넷에서 상품교환 시스템
WO2001035286A1 (en) Auctioning system, auctioning apparatus, auction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2023026171A (ja) システム、スタッフ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20005840A (ko) 인터넷을 통한 입찰을 이용한 공동구매 방법
KR20050019594A (ko) 인터넷을 통한 도소매 시스템의 통합관리시스템 및통합관리방법
JP2001273416A (ja) 多対多双方向競売方式による通信商品取引所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523808B1 (ko) 판매자의 예치금을 이용한 안전한 전자상거래 대금결제방법
KR20010113403A (ko)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245284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20210104236A (ko) 중고 패션 상품 이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JP2002259743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オークション用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0334666B1 (ko) 전자상거래 중개방법
KR20000012588A (ko) 다수 당사자의 경쟁을 통해 다수의 거래가 가능한 상거래장치 및 방법
KR20000059196A (ko) 전자상거래의 방법
KR20010078673A (ko) 수산물 인터넷경매 시스템
CN110310181B (zh) 交易项目推荐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