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669A -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669A
KR20010112669A KR1020000031839A KR20000031839A KR20010112669A KR 20010112669 A KR20010112669 A KR 20010112669A KR 1020000031839 A KR1020000031839 A KR 1020000031839A KR 20000031839 A KR20000031839 A KR 20000031839A KR 20010112669 A KR20010112669 A KR 20010112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door handle
housing
tor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786B1 (ko
Inventor
전삼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3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786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아우터패널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레버와 도어핸들에 일체로 형성된 도어레버가 결합되어 그 도어레버가 하우징레버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은, 도어레버(6)(6')와 하우징레버(7)(7')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토션바(8)가 상기 도어레버(6)(6')의 회전운동에 대한 회전중심을 제공하고, 상기 토션바(8)는 도어레버(2)의 일측에 갖추어진 도어레버(6)에 압입으로 고정되는 일단부(8a)와, 도어레버(2)의 타측에 갖추어진 하우징레버(7')에 고정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단부(8b)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비틀림 스프링과 힌지핀에 의해 도어핸들이 아우터패널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를 하나의 토션바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그 토션바에 의해 도어핸들에 가해지는 탄성복원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수와 제작단가 감소, 동작성 향상 및 부품수명 향상의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A STRUCTURE FOR JOINING THE DOOR HANDL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틀림 스프링과 힌지핀에 의해 도어핸들이 아우터패널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구조를 하나의 토션바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그 토션바에 의해 도어핸들에 가해지는 탄성복원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수와 제작단가 감소, 동작성 향상 및 부품수명 향상의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아우터 사이드 핸들(이하, '도어핸들'이라 함)은 도어를 차외부로부터 열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링크계를 매개로 도어 로크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1은 풀업식(Full Up Type) 도어핸들이 도어의 아우터패널이 결합되는 종래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어의 아우터패널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레버(1)의 사이에 도어핸들(2)에 일체로 형성된 도어레버(3)가 위치되고, 이들 사이에 비틀림스프링(4)이 지지된 상태에서 힌지핀(5)으로 결합됨으로써, 도어핸들(2)이 힌지핀(5)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핸들에서, 그 도어핸들(2)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핀(5)은 결합된 후에 진동과 유동에 의한 이탈이 없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핀(5)은 일단부에 헤드부(5a)를 형성하고, 타단부에 확관부 또는 벤딩부(Bending Part)(5b)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핸들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헤드부 반대쪽 단부를 코킹(Caulking)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상기 코킹 처리공정중 힌지핀(5)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인바, 이는 조립성을 저하시키며,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도 도어핸들(2)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작동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임은 물론 힌지핀(5)과의 접촉부에 마모를 발생시켜 하우징레버(1)와 도어레버(3)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5)에 끼워지고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각각 하우징레버(1)와 도어레버(3)에 지지된 비틀림스프링(4)에 의한 도어핸들(2)의 탄성복원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이고,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에 과도한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경우 도어핸들(2)을 상부로 들어올렸다가 놓는 경우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하우징과 충돌하면서 부품을 파손시키는 문제점도 가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도어핸들이 하나의 토션바에 의해 하우징의 레버에 결합되어 회전을 지지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간단한 결합구조로 부품수량 및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토션바에 의한 도어핸들의 탄성복원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부품파손의 방지 및 회전동작성 향상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 결합구조에 의해 자동차의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의 도어핸들을 들어올린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도어핸들 6, 6' ... 도어레버
6b, 6b' ... 오목홈 7, 7' ... 하우징레버
7a, 7a' ... 돌기 7b, 7b', 7b" ... 조정홈
8 ... 토션바 8a ... 단부
8b ... 절곡단부 9 ... 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아우터패널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레버와 도어핸들에 일체로 형성된 도어레버가 결합되어 그 도어레버가 하우징레버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레버와 하우징레버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토션바가 상기 도어레버의 회전운동에 대한 회전중심을 제공하고, 상기 토션바는 도어레버의 일측에 갖추어진 도어레버에 압입으로 고정되는 일단부와, 도어레버의 타측에 갖추어진 하우징레버에 고정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단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 결합구조에 의해 자동차의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의 도어핸들을 들어올린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로써, 도어레버(6)(6')가 하나의 토션바(8)에 의해 하우징레버(7)(7')에 결합되어 도어핸들(2)를 회전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도어가 초기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레버(6), 하우징레버(7), 도어레버(6'), 하우징레버(7')의 순서로 배치하고,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도어레버(6)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6')(7)(7')들 모두에는 토션바(8)가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구멍(6c')(7c)(7c')을 각각 형성한다. 물론, 이들 관통구멍(6c')(7c)(7c')을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이러한 관통구멍(6c')(7c)(7c')을 통해 끼워지는 토션바(8)의 일단부가 억지끼움으로 끼워 고정될 수 있는 억지끼움홈(6a)을 상기 도어레버(6)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억지끼움홈(6a)에 끼워지는 토션바(8)의 단부(8a) 형상을 사각단면을 가지도록 하고, 또한 억지끼움홈(6a)의 형상도토션바(8)의 단부(8a) 형상과 동일한 사각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이 결합부분에서 토션바(8)의 단부(8a)와 도어레버(6)의 억지끼움홈(6a)이 서로 상대회전운동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도어레버(6)와 하우징레버(7) 및 타측 도어레버(6')와 하우징레버(7')의 각각에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오목홈(6b)(6b')과 그 오목홈(6b)(6b')에 끼워지도록 원형단면을 가지는 볼록한 돌기(7a)(7a')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레버에 볼록한 돌기를 형성하고 하우징레버에 오목홈을 형성하여도 관계없다. 여기서 서로 결합되는 오목홈(6b)(6b')과 돌기(7a)(7a')에 대한 각각의 내경크기와 외경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오목홈(6b)(6b')의 내경크기가 돌기(7a)(7a')의 외경크기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상대회전운동할 때 요동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토션바(Torsion Bar Spring)(8)는 비틀림을 이용하는 봉상의 스프링으로, 일측 단부(8a)가 도어레버(6)의 억지끼움홈(6a)에 끼워 결합된 상태일 때의 하우징레버(7)와 도어레버(6') 사이의 위치에 비틀림 변형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다른 부분은 중실축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토션바(8)의 타측 단부는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단부(8b)를 형성하며, 상기 절곡단부(8b)는 하우징레버(7')에 관통구멍(7c')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다수개의 조정홈(7b)(7b')(7b")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다. 즉, 상기 토션바(8)의 일측 단부는 도어레버에 의해 고정지지된 반면 타측 단부는 하우징레버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어핸들(2)이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후 다시 놓여지면 토션바(8)에 의해 도어핸들(2)가 원상태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핸들(2)의 일측에 토션바 이탈방지를 위한 리브(9)가 연장형성되는바, 상기 리브(9)는 도어핸들(2)이 내려져 있는 초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조정홈(7b)(7b')(7b")을 덮은 상태로 위치하여 주행중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진동 등에 의해 토션바(8)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핸들(2)를 올린 상태일 때에는 조정홈(7b)(7b')(7b")을 개방시켜 후술하는 토션바(8) 장력조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힌지핀 결합구조에 의하면, 도어레버(6)의 억지끼움홈(6a), 하우징레버(7)의 관통구멍(7c), 도어레버(6')의 관통구멍(6c') 및 하우징레버(7')의 관통구멍(7c')의 순서로 위치하고 리브(9)가 조정홈(7b)(7b')(7b")을 개방한 상태에 있도록 도어핸들(2)을 위치시키고, 토션바(8)를 하우징레버(7')의 관통구멍(7c')을 통해 도어레버(6)의 억지끼움홈(6a) 까지 끼운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션바(8)를 비틀어 도어핸들(2)의 복원력이 적정한 정도가 되도록 하여 절곡단부(8b)를 조정홈(7b)(7b')(7b")의 어느 하나에 안착시키면,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도어핸들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장착완료된 도어핸들(2)을 일정횟수 또는 일정시간 사용하게 되면, 토션바(8)의 장력, 즉 탄성복원력이 저하되는 것이고, 이때에는 도어핸들(2)을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로 들어올려 리브(9)에 의해 가려져 있던조정홈(7b)(7b')(7b")을 개방시키며, 이 상태에서 토션바(8)의 절곡단부(8b)를 회전시켜 큰 장력을 가지도록 하여 조정홈(7b)(7b')(7b")에 안착시키면 도어핸들(2)이 적정한 정도의 회전복원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는, 토션바에 의한 도어핸들의 탄성복원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과도한 힘이 부품에 가해져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적정한 힘에 의해 도어핸들이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종래에는 힌지핀과 비틀림스프링(2개의 부품)에 의해 도어핸들의 회전지지 및 회전복원력 부여기능을 하였던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은 토션바(즉, 1개의 부품)만에 의해 힌지핀과 비틀림스프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종래에 비해 간단한 결합구조를 가짐에 의해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부품수량의 감소로 자동차 제조단가를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에 의하면, 도어핸들이 하나의 토션바에 의해 하우징의 레버에 결합되어 도어핸들의 회전을 지지함과 동시에 원상태로 복원하도록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간단한 결합구조에 의해 부품수량 및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토션바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도어핸들의 작동력을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도어핸들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어핸들을 열고 닫을 때 주변 부품 및 자체에 과도한 충격력을 주지 않으므로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어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자동차 도어의 아우터패널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레버와 도어핸들(2)에 일체로 형성된 도어레버가 결합되어 그 도어레버가 하우징레버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레버(6)(6')와 하우징레버(7)(7')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토션바(8)가 상기 도어레버(6)(6')의 회전운동에 대한 회전중심을 제공하고, 상기 토션바(8)는 도어레버(2)의 일측에 갖추어진 도어레버(6)에 압입으로 고정되는 일단부(8a)와, 도어레버(2)의 타측에 갖추어진 하우징레버(7')에 고정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단부(8b)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레버(6)(6')와 하우징레버(7)(7')는 인접한 하우징레버(7)(7')와 도어레버(6)(6')에 서로 끼워지는 오목홈(6b)(6b')과 돌기(7a)(7a')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8)의 일단부(8a)는 다각(多角)단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8)의 절곡단부(8b)는 관통구멍(7c)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레버(7')의 조정홈에 안착되고, 상기 조정홈(7b)(7b')(7b")은 관통구멍(7c)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2)의 일측에는 도어핸들(2)을 들어올렸을 때 조정홈(7b)(7b')(7b")을 개방시키고 도어핸들(2)을 내렸을 때 조정홈(7b)(7b')(7b")을 차단하는 토션바(8) 이탈방지용 리브(9)가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
KR1020000031839A 2000-06-09 2000-06-09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 KR100352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839A KR100352786B1 (ko) 2000-06-09 2000-06-09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839A KR100352786B1 (ko) 2000-06-09 2000-06-09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669A true KR20010112669A (ko) 2001-12-21
KR100352786B1 KR100352786B1 (ko) 2002-09-16

Family

ID=1967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839A KR100352786B1 (ko) 2000-06-09 2000-06-09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37B1 (ko) * 2008-08-18 2014-02-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743B1 (ko) 2010-08-11 2017-05-3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37B1 (ko) * 2008-08-18 2014-02-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786B1 (ko)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680B1 (ko) 회전규제기능 부착 2축 힌지 장치
US5905796A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CN113266222B (zh) 一种剪刀门铰链及车辆
US5697124A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US7100240B2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US20090261224A1 (en) Seat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US6543090B2 (en) Automobile handle device
WO2001048773A1 (fr) Actionneur de commutateur de securite
KR20020021641A (ko) 힌지장치
JP623715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N110001460B (zh) 用于车辆的座椅泵送装置
JP2000289431A (ja) ダンパ取付構造及びダンパ取付方法
KR100352786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 결합구조
JP2009228314A (ja) 車両用ドアヒンジ装置
JP396339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2004249823A (ja) ワイパアーム
JPH08270314A (ja) 窓ガラスの昇降装置
KR20010056670A (ko)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WO2003056415A1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KR100330065B1 (ko) 엘.씨.디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KR200323294Y1 (ko)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JPH1018676A (ja) 扉セット
KR100302812B1 (ko) 디턴트 스톱퍼
KR100329484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
KR200248524Y1 (ko) 도어 스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