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512A -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512A
KR20010111512A KR1020000032039A KR20000032039A KR20010111512A KR 20010111512 A KR20010111512 A KR 20010111512A KR 1020000032039 A KR1020000032039 A KR 1020000032039A KR 20000032039 A KR20000032039 A KR 20000032039A KR 20010111512 A KR20010111512 A KR 2001011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humidifying
room
indo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714B1 (ko
Inventor
홍명선
Original Assignee
홍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명선 filed Critical 홍명선
Priority to KR102000003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714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은 (a) 물을 공급하여 미세 물방울로 형성시키는 단계, (b) 제습공기를 미세물방울과 함께 실내로 공급하여 미세 물방울을 기화시키는 단계, 및 (c)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뽑아내어 압축후 제습하여 제습공기를 얻고 이를 상기 공정(b)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면 높은 열교환 효율로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국소 냉방을 위해 적절한 용량으로 운전되어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고, 프레온 가스와 같은 냉매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다양하고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Air cond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기화 잠열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저하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온도는 가정이나 사무실, 업소 그리고 대규모 공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쾌적한 생활 환경 조성, 설비의 안정적인 운영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기 때문에,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온도를 낮추는 방법은 프레온 또는 이의 대체 화합물로 통칭되는 냉매의 압축과 팽창의 순환 과정에 공기를 통과시켜 차갑게 한 뒤 실내에 공급하는 방법과 얼음이나 차가운 물을 실내에 두거나 그로 인하여 냉각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냉매를 사용하는 일반화된 에어콘의 경우 냉매에 의해 차가워진 열교환기에 실내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이를 실내에 공급하므로 실내 온도는 낮아지나 이에 비례해서 상대습도가 상승하게 되어 쾌적성이 저하되므로 제습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어콘의 제습 기능은 냉매에 의해 차가워진 열교환기 표면 부근을 지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기중의 수분이 이슬점 온도에 도달하게 되므로 열교환기 표면에서 수분이 응축하게되면 이를 모아 물로 되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수분의 응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은 열교환기뿐만아니라 통과하는 공기에도 미치게 되므로 응축되는 수분이 많을수록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차가워진다. 또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가 빠를수록 열교환 시간이 짧아지므로 온도 저하 효과는 적으나 수분이 응축할 기회가 적어져 불필요한 열량의 공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에어콘에서 냉풍을 위하여는 다량의 공기를 빨리 열교환기를 통과시키고 제습을 위해서는 비교적 적은 량의 공기를 천천히 통과시켜 냉풍의 경우보다 제습풍의 경우 온도가 높게 운전된다. 그러나 냉풍의 경우 약간의 응축 효과로 소량 수분이 제거되었더라고 낮은 온도로 인하여 상대 습도가 높아진 상태이므로 직접 인체에 닿을 시 피부가 따갑거나 눈을 자극하는 등으로 인하여 자연의 바람과는 달리 그 품질이 열악한 것도 사실이다.
한편, 얼음을 사용하는 경우는 얼음의 온도와 녹을 때 필요로 하는 융해열을 주변에서 흡수하지면 냉각 능력이 적고, 차가운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물의 냉각을 위하여 부수적인 설비를 필요로 하므로 대규모 공장이나 다층의 사무용 건물과 같이 일괄적인 냉각 설비를 갖출 수 있는 곳을 제외하고는 사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특히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한정된 영역에서 냉매에 의해 차가워진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과시키되 수분의 응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공기의 통과 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하고 있어 왔다. 그러므로 열교환기의 표면적을 크게 하지 않으면 열교환 효율은 극히 낮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냉매는 열교환기에서의 효율과 관계없이 다시 압축기를 거쳐 압축되면서 액화되어 다시 열교환기에서 기화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이 낮을수록 에너지는 낭비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열교환기 표면에서만 이루어지는 공기의 냉각은 열교환기의 표면적을 넓히거나 통과 속도를 천천히 하거나 여러 번 통과시키는 등의 방법 외에는 개선이 어려우며 열교환 효율이 좋아져 온도가 지나치게 내려가면 수분의 응축이라는 열원이 역효과를 나타내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어 지속적인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나 획기적인 향상 방안은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상된 열교환 효율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에서, 본 발명자는 기화 잠열이 540kcal/kg인 물은 원활한 기화 작용을 촉진할 시 주변의 에너지를 기화열로 흡수하는 효과를 줄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안개와 같이 미세한 물방울을 발생시켜 제습공기와 접촉에 의해 가열하지 않고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증발할 때 필요로 하는 잠열 에너지를 주변 공기로부터 흡수토록 한 결과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에 따르는 실내 공기 온도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 따르는 실내 공기 온도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공기흡입구
2 : 흡입압축기(Compressor)
3 : 제습기(Dehumidifier)
4 : 미세물방울제조기(Humidifier)
5 : 제습공기방출구
A : 실내 공기(Air)
DA : 제습된 공기(Dehumidifyed Air)
MA : 미세 물방울 혼합 공기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물을 공급하여 미세 물방울로 형성시키는 단계, (b) 제습공기를 미세물방울과 함께 실내로 공급하여 미세 물방울을 기화시키는 단계, 및 (c)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뽑아내어 압축후 제습하여 제습공기를 얻고 이를 상기 공정(b)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흡입구, 상기 흡입구에 도관을 개재하여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흡입압축기, 상기 흡입압축기에 도관을 개재하여 연결되며 압축된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 물을 미세물방울로 형성하여 실내로 방출하는 미세물방울 제조기, 상기 제습기에 도관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미세물방울제조기의 미세물방울 방출구 직하부에 위치하여 실내로 제습공기를 방출하는 제습공기방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에 따르는 실내온도 조절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되는 장치는 실내에 위치하는 실내공기흡입구(1), 미세물방울 제조기(4) 및 제습공기 방출구(5)와, 실외에 위치하는 흡입압축기(2) 및 제습기(3)를 구비한다. 실내공기흡입구(1)는 공기도관(La)을 개재하여 흡입압축기(2)에 연결되고, 흡입압축기(2)는 압축공기도관(Lca)를 개재하여 제습기(3)에 연결되고, 제습기(3)는 제습공기도관(Lda)을 개재하여 제습공기방출구(5)에 연결된다. 제습공기방출구(5)는 미세물방울 제조기(4)의 미세물방울 방출구 직하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서, 제습공기는 실내에 공급되는 미세 물방울이 실내에 널리 퍼지도록 하고 또한 실내 공급부 직하면에 떨어져 바닥이 젖지 않도록 미세 물방울의 실내 공급부 하부에서 받쳐 주면서 넓은 면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실내공기흡입구(1)는 실내에서 미세물방울 제조기(4)의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장치에서 실내온도를 저하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미세물방울 제조기(4)에서 미세물방울을 형성시켜 방출함과 동시에 제습공기도관(Lda)을 통해 공급되는 제습공기(DA)를 불어넣으면 실내로 방출되는 미세 물방울이 제습공기와 접촉하여 실내에 널리 퍼지면서 기화되고, 기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실내에서 직접 흡수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는 소기의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성하게 된다. 미세 물발울의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 공기, 즉 냉각된 공기는 주위 공기온도를 낮추면서 상승하게 되고, 실내의 상부로 상승된 상대적으로 고온의 습한 공기(A)는 실외에 위치한 흡입압축기(2)의 흡입력에 의해 실내공기흡입구(1) 및 공기도관(La)를 거쳐 흡입압축기(2)에 공급되고, 여기서 압축된다. 흡입압축기(2)에서 압축된 공기(CA)는 공기도관(Lca)를 통해 제습기(3)로 보내어져서 제습된다. 제습된 공기(DA)는 다시 제습공기도관(Lda)을 거쳐 제습공기방출구(5)에 공급된다. 이러한 순환이 계속되는 중에는 실내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고 실내 습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실내습도조절은 제습된 공기와 미세 물방울의 공급 비율을 조절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에 따르는 실내온도 조절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의 장치는 제습공기도관(Lda)이 제1제습공기도관(Lda1)과 제2제습공기도관(Lda2)으로 분기되고, 제1제습공기도관(Lda1)은 미세물방울제조기(4)에, 제2제습공기도관(Lda2)에 연결된다는 점에 있어서 도 1의 장치와 다른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제습공기(DA)는 밸브를 조절하여 전부를 제습공기도관(Lda, Lda1)을 통해 미세물방울 제조기(4)로 공급하거나, 또는 전부를 제습공기도관(Lda, Lda2)을 통해 제습공기방출구(4)로 공급하거나, 또는 일부는 제습공기도관(Lda, Lda1)을 통해 미세물방울 제조기(4)로 공급하고 나머지는 제습공기도관(Lda, Lda2)을 통해 제습공기방출구(4)로 공급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미세물방울제조기(4)로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분사식 미세물방울 제조기(4)를 적용하고, 상기 미세물방울 제조용 압축공기로서 제1제습공기도관(Lda1)을 통해 공급되는 제습공기를 사용하면 추가적인 동력의 절약 및 발생한 미세 물방울의 기화촉진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는 온도를 낮추고자 하는 실내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렇게 하면 높은 온도의 실내의 공기가 제거되고 본 발명에 의해 냉각된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과정이 촉진된다. 실내 공기는 다양한 흡입 설비를 사용하여 압축기(2)를 거쳐 제습기(3)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 때 흡입 설비에는 먼지,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제습기(3)는 냉각응축 방식과 제습제 방식이 모두 가능하며 냉각 응축 방식의 경우 흡입된 실내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기 위해서 수냉식, 냉매식, 공냉식의 어떤 방법을 채택하여도 좋으나 수냉식 또는 냉매식이 보다낮은 온도를 제공하므로 응축 효율이 높다. 제습제 방식의 경우 흡입된 실내 공기중의 수분은 제습제에 흡착되어 제거되며 일정량의 수분이 흡착된 제습제는 수분을 제거하여 재사용하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사용과 재생을 반복하여야 한다. 이러한 흡착제의 재생을 위하여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재생에 사용하는 폐회로 방식이 좋으며 제습된 공기의 일부를 재생에 사용할 경우 실내 공기의 유출로 그 만큼 실외의 더운 공기가 실내에 유입되므로 좋지 않다.
또한, 미세 물방울의 제조 장치(4)는 가습기의 원리가 적용되는 것으로서, 초음파 방식, 회전 날개 방식, 진동판 방식, 압축공기 분사식, 충돌식 등 미세 물방울을 제조할 수 있는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좋으나 다량의 미세 물방울 발생에는 회전 날개 방식이나 압축공기에 의한 분사식이 바람직하며 미세 입자화를 위하여 초음파 방식을 병행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회전 날개 방식에서 날개의 회전은 모터를 사용할 경우 모터 발열에 의해 열이 추가되므로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사식의 경우 물과 함께 분사에 사용되는 압축 공기와 마찬가지로 제습된 공기중 일부(DA1)를 사용하며 이렇게 하면 추가적인 동력의 절약 및 발생한 미세 물방울 기화의 촉진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
제습된 공기는 두 경로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일부는 미세 물방울 제조를 위한 동력 및 발생된 미세 물방울의 기화와 실내 공급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직접 미세 물방울과 나란히 실내에 공급되어 실내에서 미세 물방울의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세 물방울 제조를 위한 물의 공급은 별도의 물탱크 또는 물 공급관의 연결을 통해 가능하며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위하여 방향제, 살균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으며 미세 물방울 제조 설비에 도입하기 전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기본적인 설비 구성은 제습부와 가습부로 이루어지며 이들 제습 또는 가습을 위한 기술은 각기 공지의 사실로 일반화되어 있으나 본 발명자는 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기능인 물의 기화 잠열에 의한 실내 온도 저하 효과를 발휘토록 한 것이다. 제습기나 가습기는 독립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내 온도 저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며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만 기존의 냉방기와는 전혀 다른 원리가 적용될 수 있어 새로운 기술적 진보를 이룩하였다고 하겠으며 기존의 냉매식 에어콘에서는 설치 장소의 이동시 냉매 라인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냉매가 유출되어 오존층 파괴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만 본 발명에서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는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냉매식 제습기를 사용하여도 그 순환 범위가 제습기에 한정되므로 이동시에도 냉매가 유출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설비 구성으로 인하여 실내와 실외의 연결관에는 공기만이 이송되어 유연한 연결관을 사용하면 실내에서 이동이 자유롭고 또 다른 실내로의 이동도 간단히 연결관만을 탈착 및 부착하여 실시하므로 국소 냉방을 위해 적절한 용량으로 운전되어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의 설비를 체적이 약 30㎥인 실내의 온도 강하에 적용하였다. 실내외 경계면에 설치된 면적 0.15㎡의 공기 흡입구(1)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에 연결된 압축기(2)에서 가압하고 이를 역시 실외에 설치된 냉매식 제습기(3)에 연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제습 공기를 얻었다. 계속해서 제습공기는 실내로 연결하여 실내에 설치된 미세 물방울 제조기(4)로 30%정도가 도입되어 200g/hr의 속도로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였고, 제습 공기의 70%는 미세 물방울 공급구의 직하부의 제습공기방출구(5)에서 나란히 미세 물방울과 함께 실내로 공급되었다.
최초 실내의 온도는 31℃, 상대습도는 72% 였으며 한 시간후의 실내 온도 및 상대습도는 21℃, 62%로 되었다. 제습기를 통하여 제거된 수분의 량은 약 540g이었으며 실내의 냉방된 열량은 실질적으로는 응축 제거되었지만 기화 상태에 도달했던 미세 물방울에 의하여 약 100kcal/hr의 효과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제습기만을 제습제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제습제 방식에서는 수분이 흡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착열로 제습된 공기가 가열되므로 이를 냉각하기 위하여 공냉식 열교환기를 통과토록 하였다. 에너지의 절약을 위하여 제습된 공기와 열교환된 외부 공기는 흡착제의 재생을 위한 가열기로도입되어 가열된 후 흡착제의 재생에 사용되어 외부로 방출되었다. 이렇게 상온으로 냉각된 제습 공기를 실내로 연결하여 실내에 설치된 미세 물방울 제조기로 35%정도가 도입되어 200g/hr의 속도로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였고 제습 공기의 65%는 미세 물방울 공급구의 직하부에서 나란히 미세 물방울과 함께 실내로 공급되었다.
최초 실내의 온도는 31℃, 상대습도는 72% 였으며 한 시간후의 실내 온도 및 상대습도는 22℃, 59%로 되었다. 냉매를 사용한 제습기의 경우보다는 제습 공기의 온도가 높아 온도 저하가 약간 적었고, 실내에서 제거된 열량은 실질적으로는 흡착 제거되었지만 기화 상태에 도달했던 미세 물방울에 의하여 약 100kcal/hr의 효과를 얻었다.
[비교예 1]
일반 분사식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실내 조건에서 온도 저하 효과를 비교하였다. 가습기에서 공급되는 미세 물방울의 증발에 의해 실내 온도는 24℃까지 떨어졌으나 상대습도는 94%로 상승되었고 습도의 상승에 따라 가습기 주변에서는 미세 물방울의 증발이 늦어져서 미세 물방울간에 결합이 일어나 바닥으로 떨어져 젖었으며 습도가 높아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비교예 2]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된 일반 에어콘의 제습 기능만을 가동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실내 조건에서 온도 저하 효과를 비교하였다. 제습 기능을 계속적으로 가동함에 따라 비교적 높은 온도의 실내 공기가 제습 및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되면서 나머지 실내 공기와 혼합되므로 상대 습도가 저하되고 온도는 낮은 쪽으로 이동하여 한 시간후 응축된 수분의 량은 550g 정도이고 실내 습도는 25% 정도가 되었다. 실내 습도가 저하함에 따라 열교환기 표면에서 응축되는 수분의 양이 적어지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응축열도 적게 되었으나 열교환기에서는 계속적으로 열을 빼았아 가므로 열교환기 표면에 성에가 생겼다. 성에는 조금씩 성장하여 얼음층을 이루었으며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켜 한 시간후 실내 온도는 26℃까지 저하하는데 그쳤다. 한편 지나치게 낮은 습도로 인해 정전기가 일어나기 쉬운 환경이 되었고 실내 습도가 낮아진 후에는 얼음층이 열교환기의 표면을 덮어 열교환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었으므로 실내 온도의 저하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에 미치지 못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실내 조건에서 실내기와 실외기를 갖춘 일반 에어콘을 사용하여 온도 저하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내 온도는 21℃까지 낮추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상대 습도는 포화 상태에 이르고 제습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에어콘 주변에서 응축된 물방울이 발생하여 쾌적성을 저해하였다. 냉풍 기능과 제습 기능을 교호로 운전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실내의 상태를 온도 21℃, 상대습도 62%로 하였을 때 응축된 물의 량은 340g이었다. 일반 에어콘에서는 실내기에 별도의 송풍 모터를 사용하므로 이로 인한 전력의 소모 및 모터에서의 발열외에도 제습보다 열교환 효율이 낮은 냉풍 기능이 주된 실내 온도 저하 요인이라는 점 등으로 실내기에 송풍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본 발명 보다 더많은 에너지가 투여되었으며 열교환 효율도 제습과 기화 잠열을 이용한 본발명의 효과에 미치지 못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예 1에서의 분사식 가습기와 비교예 2에서의 제습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제습 및 가습의 원리로 작동하게 하여 실내 온도 저하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 경우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실내 온도 24℃, 상대 습도 65%에 도달하였으나 제습기가 실내에 있어 제습기의 가동열뿐만아니라 응축열이 제습기에서 발생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한 에너지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안으로 제습기를 실외에 배치할 경우 본 발명의 구성과 같이 가습기의 미세 물방울이 제습기의 제습 공기와 함께 실내로 공급되지 않고 분리 상태로 설치되어 거리가 멀게 되면 미세 물방울의 증발 속도가 느려져 가습기 주변의 습도가 급격히 상승되므로 미세 물방울이 기화되지 못하고 서로 결합하여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쾌적성이 떨어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은 열교환 효율로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국소 냉방을 위해 적절한 용량으로 운전되어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고, 프레온 가스와 같은 냉매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다양하고 유용한 효과를 갖는 신규, 유용의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실내공기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물을 공급하여 미세 물방울로 형성시키는 단계, (b) 제습공기를 미세물방울과 함께 실내로 공급하여 미세 물방울을 기화시키는 단계, 및 (c)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뽑아내어 압축후 제습하여 제습공기를 얻고 이를 상기 공정(b)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습공기의 일부를 미세물방울의 제조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로 공급되는 제습공기의 양과 미세물방울의 양을 조절하여 실내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방법.
  4. 실내공기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흡입구(1), 상기 흡입구에 도관(La)을 개재하여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흡입압축기(2), 상기 흡입압축기에 도관(Lca)을 개재하여 연결되며 압축된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3), 물을 미세물방울로 형성하여 실내로 방출하는 미세물방울 제조기(4), 상기 제습기에 도관(La)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미세물방울제조기의 미세물방울 방출구 직하부에 위치하여 실내로 제습공기를 방출하는 제습공기방출구(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습공기도관(Lda)이 제1제습공기도관(Lda1)과 제2제습공기도관(Lda2)으로 분기되고, 제1제습공기도관(Lda1)은 미세물방울제조기(4)에, 제2제습공기도관(Lda2)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3)가 냉각응축 방식 또는 제습제 방식 제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물방울의 제조기(4)가 압축공기 분사식, 초음파 방식, 회전 날개 방식, 진동판 방식 또는 충돌식 미세 물방울의 제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조절장치.
KR1020000032039A 2000-06-12 2000-06-12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 KR100350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39A KR100350714B1 (ko) 2000-06-12 2000-06-12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39A KR100350714B1 (ko) 2000-06-12 2000-06-12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512A true KR20010111512A (ko) 2001-12-19
KR100350714B1 KR100350714B1 (ko) 2002-08-28

Family

ID=4593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039A KR100350714B1 (ko) 2000-06-12 2000-06-12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7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48B1 (ko) * 2012-12-27 2014-11-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열진공챔버의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진공챔버의 온도조절방법
CN109642741A (zh) * 2016-06-19 2019-04-16 亚伯·M·谢尔 用于调节和纯化空气的方法、设备、组件、装置和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48B1 (ko) * 2012-12-27 2014-11-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열진공챔버의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진공챔버의 온도조절방법
CN109642741A (zh) * 2016-06-19 2019-04-16 亚伯·M·谢尔 用于调节和纯化空气的方法、设备、组件、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714B1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94B1 (ko)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968241B2 (ja) 除湿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782839B1 (ko) 냉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664791B1 (ko)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H11101520A (ja) エアサイクル式空気調和装置
JP7285410B2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9115335A (ja) 空調機および空調方法
CN105823171B (zh) 一种增强除湿功能的空调系统
JP3635295B2 (ja) 空気調和装置
CN102149976A (zh) 空调机
CN105737286B (zh) 带湿度调节功能的空调系统及其调湿溶液再生的控制方法
JP2002147794A (ja) 除湿空調装置
JP4022842B2 (ja) 空気調和装置
CN206959551U (zh) 一种热泵烘干除湿一体机
JPH11311438A (ja) 空気調和装置
JP2002310465A (ja) 空気調和装置
KR100350714B1 (ko) 실내온도조절방법 및 장치
CN109073243A (zh) 空气调节机
US20090293526A1 (en) Water mist cooling system
JP2003166730A (ja) 除湿空調装置
JP3411958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3130382A (ja) 空気調和機
JP4439534B2 (ja) 空気調和装置
JP3933264B2 (ja) 除湿空調システム
JP7429835B2 (ja) 調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