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959A - 전자 타악기 - Google Patents

전자 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959A
KR20010110959A KR1020000030948A KR20000030948A KR20010110959A KR 20010110959 A KR20010110959 A KR 20010110959A KR 1020000030948 A KR1020000030948 A KR 1020000030948A KR 20000030948 A KR20000030948 A KR 20000030948A KR 20010110959 A KR20010110959 A KR 20010110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rum
sound collecting
electronic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형
Original Assignee
한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형 filed Critical 한기형
Priority to KR102000003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959A/ko
Publication of KR2001011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959A/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자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타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스틱의 손상시 교체 및 수리비용을 저감하고, 연주시 현실감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타격 부위에 따른 음감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전자 타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 타악기에 있어서, 깔때기 구조의 집음구조물; 상기 집음구조물의 상단을 덮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타격부; 상기 집음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타격음 채집부; 상기 타격음 채집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음파신호로부터 주파수와 진폭을 파악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상기 주파수와 진폭에 해당하는 샘플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모듈부; 상기 음원 모듈의 출력을 증폭시키기 위한 오디오 증폭부;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 타악기{A electrical percussion instrument}
본 발명은 전기/전자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타악기에 관한 것이다.
드럼(drum), 퍼쿠션(percussion) 등의 대부분의 타악기는 연주시 매우 큰 소음을 유발하기 때문에 방음 시설이 갖추어진 스튜디오나 연습실로 연습 공간이 제한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전자 드럼, 전자 퍼쿠션 등의 전자 타악기는 헤드폰을 사용하거나, 뮤트 기능을 이용하여 큰 소음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연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주로 연습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물론 전자 타악기는 실제 연주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기술(특허출원번호 제98-1474호)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이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드럼은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스틱(1)의 선단에 취부되어 그 드럼스틱(1)의 치는 세기에 비례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압전소자(2)와, 이 압전소자(2)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전압증폭기(3)와, 이 전압증폭기(3)의 출력신호 피크치를 검출하여 유지하는 피크검출기(4)와, 이 피크검출기(4)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5)와, 드럼악기패드(BD:Brass Drum, SD:Snare Durm, RS:Rim Shot, OH:Open Hi-hat, CH:Close Hi-hat)의 타악기부(7)를 갖는 드럼패드(8)와, 드럼종류에 따른 음색데이타 및 치는 세기에 따른 출력레벨데이타를 기억한 롬(10)과, 피크검출기(4)의 리세트를 제어하고, 드럼패드(8)의 드럼종류 및 상기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5)의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롬(10)으로부터 음색데이타 및 출력레벨 데이타를 읽어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9)와, 이 중앙처리장치(9)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1)와, 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1)의 출력신호를 여파하는 저역통과 여파기(12)와, 이 저역통과 여파기(12)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스피커(14)로 출력하는 증폭기(1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 드럼은 압전소자(2)와 피크검출기(4)를 채용하여 압전소자(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최대치를 설정하고, 롬(10)내의 출력 레벨 및 음색데이타를 저장하여 피크검출기(4)의 최대치에 해당하는 출력레벨로 음색데이타를 출력시킴으로써 드럼스틱(1)의 치는 세기에 따라 소리의 출력이 다르게 나타나도록 하여 보다 다이나믹한 사운드를 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드럼은 드럼스틱(1)의 일단에 압전소자(2)를 채용하고 있는 바, 연주 중 드럼스틱(1)을 꺼꾸로 잡고 치게 되면 소리가 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격시의 충격에 의해 압전소자(2)나 드럼스틱(1)이 손상될 경우 교체 및 수리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종래의 전자 드럼은 타악기부(7)의 형태가 어쿠스틱 드럼과는 큰 차이가 있다. 즉, 전자 드럼이 어쿠스틱 드럼과 같이 북의 형태를 가지지 못하고, 어쿠스틱 드럼의 북 구조를 대신하여 탄성 재질의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전자 드럼이 실제음과 유사한 사운드의 실현에만 치중하였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연주시 울림과 같은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쿠스틱 드럼의 경우 북의 중심부를 치는 소리와 북의 가장가리 부분을 치는 소리에 큰 차이가 있으며, 연주시 그 차이점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압전소자(2)를 사용한 종래의 전자 드럼은 타악기부(7)의 어느 부위를 치더라도 같은 사운드를 낼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드럼스틱의 손상시 교체 및 수리비용을 저감하고, 연주시 현실감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타격 부위에 따른 음감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전자 타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특허출원번호 제98-1474호)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음구조물 11 : 드럼피
12 : 드럼스틱 13 : 마이크로폰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 타악기에 있어서, 깔때기 구조의 집음구조물; 상기 집음구조물의 상단을 덮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타격부; 상기 집음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타격음 채집부; 상기 타격음 채집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음파신호로부터 주파수와 진폭을 파악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상기 주파수와 진폭에 해당하는 샘플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모듈부; 상기 음원 모듈의 출력을 증폭시키기 위한 오디오 증폭부;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은, 우선 기존의 전자 드럼과 달리 북 구조를 가진다. 즉, 깔때기 모양의 집음구조물(10)의 상단을 드럼피(11)로 덮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드럼스틱(12)은 압전소자와 같은 특수 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무 재질만으로만 구성하였다.
한편, 드럼피(11)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구성하였으며, 깔때기 모양의 집음구조물(10)의 최하단에는 마이크로폰(13)을 설치하였다.
마이크로폰(13)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신호 처리부(14), 음원 모듈(15), 오디오 증폭기(16)를 거쳐 스피커(17)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 전자 드럼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드럼스틱(12)으로 드럼피(11)를 가격하게 되면 집음구조물(10)을 통해 집음된 음파신호가 마이크로폰(13)에 입력된다. 마이크로폰(13)에 입력된 음파신호는 소정의 주파수와 진폭을 가지는 아날로그 신호로 신호 처리부(14)에 내장된 마이컴(micom)에서 이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파악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은 그 피크치 검출을 통해 역시 신호 처리부(14)에 내장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음원 모듈(15)에는 주파수 및 진폭별로 샘플링된 사운드가 저장되어 있어 신호 처리부(14)에서 파악된 주파수와 진폭을 통해 음질(음의 고저)과 사운드의 출력 레벨을 결정한다. 주파수는 드럼의 종류 즉, BD, SD, RS, OH, CH 중 어느 드럼의 음질을 낼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한편, 각 드럼에 대해 드럼피(12)의 중심부를 가격한 것인지 가장자리 부분을 가격한 것인지를 판단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음질(음의 고저)과 사운드의 출력 레벨이 결정되면,음원 모듈에 내장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며, 이 아날로그 신호는 오디오 증폭기(16)로 입력되어 증폭 과정을 거쳐 스피커(17)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연주를 할 경우, 드럼피(11)로 사용된 폴리우레탄 폼이 어쿠스틱 드럼의 드럼피와 유사한 느낌(롤링, 울림 등)을 주며, 매우 경쾌한 타격음을 내기 때문에 장시간 연주시에도 지루함이나 귀의 피곤함이 덜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피(11)와 함께 나무 재질의 통상적인 드럼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쿠스틱 드럼 연주시와 거의 비슷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드럼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퍼큐션, 봉고 등의 다른 타악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원 모듈 내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내장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나무 재질의 통상적인 드럼스틱을 사용하여 손상시 교체 및 수리비용을 저감하고, 폴리우레탄 폼을 드럼피로 사용하여 연주시 현실감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타격 부위에 따른 미묘한 음감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자 타악기에 있어서,
    깔때기 구조의 집음구조물;
    상기 집음구조물의 상단을 덮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타격부;
    상기 집음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타격음 채집부;
    상기 타격음 채집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음파신호로부터 주파수와 진폭을 파악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상기 주파수와 진폭에 해당하는 샘플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모듈부;
    상기 음원 모듈의 출력을 증폭시키기 위한 오디오 증폭부;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를 구비한 전자 타악기.
KR1020000030948A 2000-06-07 2000-06-07 전자 타악기 KR20010110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48A KR20010110959A (ko) 2000-06-07 2000-06-07 전자 타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48A KR20010110959A (ko) 2000-06-07 2000-06-07 전자 타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959A true KR20010110959A (ko) 2001-12-15

Family

ID=4592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48A KR20010110959A (ko) 2000-06-07 2000-06-07 전자 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9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0109B2 (ja) 伝達特性を算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060021495A1 (en) Electric percussion instruments
JP3262625B2 (ja) 電子楽器
JP3803187B2 (ja) 電気ドラム
US68007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WO2009010713A1 (en) Tuning or training device
US8916763B2 (en) Transducer
JP3749788B2 (ja) 電気スネアドラム及び電気スネアドラム用拡声装置
JP3506340B2 (ja) 電子ドラム
EP1031962B1 (en) Electric musical instrument
JP2007333757A (ja) 楽器
KR20010110959A (ko) 전자 타악기
JPH0695673A (ja) 電子打楽器
WO2017200427A1 (ru) Лазерный триггер для большого барабана
Dahl Spectral changes in the tom-tom related to striking force
US10614783B2 (en) Percussion instrument with a plurality of sound zones
JP2015079272A (ja) 楽器
JP5287328B2 (ja) 打楽器
JPS5939754Y2 (ja) 打楽器の振動検出装置
US9767774B2 (en) Synthesizer with cymbal actuator
JP5834301B2 (ja) 弦楽器
JPS5939755Y2 (ja) 電気打楽器
JP5668437B2 (ja) 楽器
JPS5937828Y2 (ja) 電気打楽器
US3405585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u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