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069A -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069A
KR20010110069A KR1020010001897A KR20010001897A KR20010110069A KR 20010110069 A KR20010110069 A KR 20010110069A KR 1020010001897 A KR1020010001897 A KR 1020010001897A KR 20010001897 A KR20010001897 A KR 20010001897A KR 20010110069 A KR20010110069 A KR 2001011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ea
extract
juice
glyc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393B1 (ko
Inventor
공영준
홍거표
권혜정
홍정기
Original Assignee
황종복
강원도 고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복, 강원도 고성군 filed Critical 황종복
Priority to KR10-2001-000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393B1/ko
Publication of KR2001011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393B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화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화 부위별 생리활성 검정을 통하여 이들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해당화 착즙액 또는 추출물을 이용하여 해당화음료차, 해당화 가루를 이용하여 엽차 및 티백 그리고 해당화 과즙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당화 잎은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에탄올로 추출시 높은 수율과, 세포독성이 적고, 돌연변이원 억제효과, 인간 암세포에 대하여 강한 생육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해당화 뿌리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혈당 강하 능을 보였고, 높은 GST 활성과 해당화의 잎, 줄기, 뿌리의 추출물들이도 항산화능 및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해당화 엽차 제조시 해당화 잎을 열처리한 경우 색깔 및 관능이 양호하고, 해당화 30%, 현미 65%, 옥수수 5%로 제조한 곡류엽차에서 기호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해당화 티백제조시 입도분포가 조밀할수록 추출물의 색이 짙으나 관능검사에서는 150mesh이상으로 분쇄한 입자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화 뿌리 62.5% 첨가한 티백 추출물의 기능성을 검정한 결과 혈당강하 68%, 면역활성 123, 항암활성이 49%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당뇨병치료, 항염증, 진경작용, 혈당강하작용, 혈청 콜레스테롤치 저하작용, 혈압강하작용, 간장중의 중성지방 감소효과와 혈청중성 지방의 증가억제 작용 등이 있는 해당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ea and Beverage Using Rosa rugosa Thunberg}
본 발명은 해당화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화 부위별 생리활성 검정을 통하여 이들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해당화 착즙액을 이용하여 해당화음료차, 해당화 가루를 이용하여 엽차 및 티백 그리고 해당화 과즙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당화(Rosa rugosaThunberg)는 장미과 낙엽관목으로 키가 1.5m가량 자라며 줄기와 가시에 유털이 있고 꽃은 5-7개 홍자색으로 가지의 끝에 1-3개가 달리며 향기가 짙다. 잎과 주름살이 적고 열매가 작은 것을 개해당화, 겹꽃잎인 것을 겹해당화, 가지에 가시가 거의 없고 잎에 주름살이 적은 것을 민해당화 라고 하며 한국, 일본, 만주, 캄차카반도 등의 해안지대와 얕은 산간 지대에서 자생한다. 적색으로 익는 열매 또한 매우 크며 감상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식용하기도 하고 차나 쨈을 만들기도 하는데 특히 비타민C가 풍부하다.
해당화 꽃은 토혈 풍비, 월경과다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간위기통, 신구풍비, 토혈, 객혈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며 해당화의 지하부는 오랫동안 당뇨병 치료의 민간요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 추출물이 지질대사 개선 및 혈압강하효과 등이 동물실험으로부터 확인되고 있어 이에 따른 해당화 뿌리의 유효성분을 구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용순 등은 최근 흰쥐에 해당화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시 간장 중성지방의 현저한 감소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박종철 등은 민간 생약을 대상으로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검색하던 중 해당화의 줄기 및 잎의 덕성작용을 관찰하였다. 또한 생리활성작용에 관해서는 허 등이 지하부에서 얻은 부탄올 분획물이 항염증 및 진통작용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송 등은 물 엑기스가 실험적으로 고혈당을 일으킨 흰쥐에서 혈당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해당화 성분의 화학적 연구로는 과실에서 β,γ-카로틴, 포도당, 과당, 키실로스, 설탕 및 비타민 C, 꽃에서는 루고신(rugosin) A-G가 엽에서는 쿼세톨(quercetole), 이소쿼세틴(isoquercetin), 및 루틴(rutin), 지하부에서는 쿼세틴, 스테롤(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생리활성 연구로는 항염증, 진경작용, 혈당강하작용, 혈청 콜레스테롤치 저하작용, 혈압강하작용, 간장중의 중성지방 감소효과와 혈청 중성 지방의 증가억제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해당화 부위별 생리 활성 검정을 통하여 해당화의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한 음료, 쥬스, 엽차, 액상차, 과립차, 티백 등과 같은 기능성식품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당화의 일반성분 분석, 기능성 검정 및 해당화차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 및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해당화는 강원도 고성군에서 수확된 생체 또는 건조시료를 사용하였고, 부재료로 들어가는 포도당, 유당, 비타민 C, 각종 농축액 등은 식품첨가물용을 사용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일반성분은 AOAC법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를 정량하였고, 해당화 부위별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다음의 표 1, 2, 3에 나타냈다.
표 1. 해당화의 일반성분(단위 : %)
구 분 수 분 조회분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잎줄기뿌리 11.516.909.03 6.163.761.71 13.604.273.35 15.5233.8744.82 3.811.411.88
열매 7.82 0.10 7.02 14.20 3.31
해당화 잎의 경우 조단백질이 13.60%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표 2. 해당화의 무기성분(단위 : %)
구 분 Ca K Fe P Na
잎줄기뿌리 1.30.50.6 2.61.10.4 0.0070.0100.007 2.41.41.4 0.0470.0410.027
열매 1.2 4.3 - 1.4 -
표 3. 고형분(엑기스) 추출수율( % )
구 분 추출용매 수 율
해당화 잎줄기뿌리열매 증류수에탄올증류수에탄올증류수에탄올증류수에탄올 6.613.477.594.9212.238.437.85.7
해당화 부위별 추출수율은 잎을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13.47%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뿌리를 증류수로 추출하였을 때 추출수율이 12.23%로 나타났다.
<기능성 검정>
기능성 검정은 항암 및 세포독성, 항 돌연변이, 혈당강하, 고혈압 저해, 간기능 개선, 면역활성, 항산화, 항균 등을 검정하였다.
1) 항암 활성 및 세포독성 검정
본 실험에 이용된 세포주는 암세포로 인간 간암세포인 Hep3B (hepatocellular carcinoma, human), 인간 폐암세포인 A549(Lung carcinoma, human), 인간 유방암세포인 MCF7(brest adenocarcinoma, pleural effusion,human)을 사용하였고 시료 자체의 세포 독성을 알아 보기 위한 정상세포로는 인간 정상 간세포인 WRL68(Human embryo liver)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들 중 Hep3B, MCF7, WRL68 은 DMEM배지를 A549는 RPMI 1640배지에서 10% 가열비활성화 FBS(fetal bovin serum)으로 적응시켜 배양하였다.
아래의 표 4에 인간유방암세포(%/mg/ml), 표 5에 인간 간암세포(%/mg/ml) 및 표 6에 인간 폐암세포(%/mg/ml)에 대한 각각의 항암활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4. 항암활성; 인간유방암세포(%/mg/ml)
구 분 추출용매 MCF7(인간유방암세포)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5.2614.20 41.2621.40 28.2228.22 41.4341.43 45.5845.58
줄기 증류수에탄올 35.2317.08 49.2037.56 53.1477.67 57.1388.43 65.2696.56
뿌리 증류수에탄올 31.7028.80 51.7351.56 55.1557.83 60.5960.63 61.9070.97
열매 증류수에탄올 25.0313.02 46.0841.26 65.1264.25 78.2389.08 81.3590.36
효과 기준 50%이상
검정방법 SRB-assay
해당화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MCF7)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해당화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96%의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해당화는 잎의 추출물을 제외하고 나머지 줄기, 뿌리, 열매 추출물들은 60%이상의 높은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5. 항암활성; 인간 간암세포(%/mg/ml)
구 분 추출용매 Hep3B(인간간암세포)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24.4634.83 32.1943.70 51.5050.19 60.5256.85 74.1159.28
줄기 증류수에탄올 29.7187.46 47.7187.29 56.2387.57 59.2586.36 82.2685.71
뿌리 증류수에탄올 29.4943.90 31.7451.27 44.1053.41 55.1967.60 70.7877.64
열매 증류수에탄올 12.0321.36 54.2340.98 62.3656.09 70.9864.09 78.0386.09
효과 기준 50%이상
검정방법 SRB-assay
해당화 추출물의 인간 간암세포(Hep3B)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해당화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86%의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가장 높았고, 해당화 추출물은 잎, 줄기, 뿌리, 열매 모두가 1.0mg/ml의 농도에서 60%이상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6. 항암활성; 인간 폐암세포(%/mg/ml)
구 분 추출용매 A549(인간폐암세포)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2024 3735 5457 6266 7571
줄기 증류수에탄올 2729 4547 5260 5963 7174
뿌리 증류수에탄올 1621 3352 4571 6376 7284
열매 증류수에탄올 2134 4951 6080 7485 8291
효과 기준 50%이상
검정방법 SRB-assay
해당화 추출물의 인간 폐암세포(A549)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해당화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91%의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해당화의 나머지 추출물들도 70% 이상의 매우 높은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독성은 SRB(sulforhodamine B)방법으로 세포 단백질을 염색하여 세포의 증식이나 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험 대상 세포인 WRL68, Hep3B, MCF7(10% FBS, DMEM 배지)과 A549(10% FBS, RPMI 1640 배지)의 농도를 4∼5×104cell/㎖으로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100㎕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37℃, 5% CO2)한 후, 각각의 시료를 최종농도 0.2, 0.4, 0.6, 0.8, 1.0㎎/㎖로 100㎕씩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에 상등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10%(w/v) TCA(trichloroacetic acid) 100㎕를 가하여 4℃에서 1시간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로 4∼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플레이트를 건조한 후, 각 well에 1%(v/v) 초산에 녹인 0.4%(w/v) SRB용액을 100㎕씩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결합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 초산으로 4∼5회 정도 세척, 건조시킨 후에 10mM Tris buffer 100㎕를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54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7에 나타냈다.
표 7. 정상세포독성(%/mg/㎖)
구 분 추출용매 WRL68 (정상간세포)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14.571.14 28.575.71 27.149.71 3015.71 32.8628.29
줄기 증류수에탄올 4.4414.52 22.5819.03 2522.34 27.0226.77 29.4434.03
뿌리 증류수에탄올 10.914.48 17.867.46 24.3417.91 27.8121.39 33.7823.38
열매 증류수에탄올 7.1210.23 14.3812.31 16.2220.62 24.7226.19 26.9634.14
안정성 및 효과 기준 50%이하
검정방법 SRB-assay
사람 정상 간세포인 WRL-68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해당화의 세포독성은 35% 미만으로 나타나 시료 자체의 독성이 매우 낮았다. 그 중 독성이 가장 높은 추출물은 해당화 줄기와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이었고, 1.0 mg/ml의 농도에서 34%의 독성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해당화의 모든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높았다.
2) 항 돌연변이원성
Rec-assay법에 의하여 균주를 프랑카 자니(Franca Zani, Italy)로부터 분양받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PB 1652 rec+(repair proficient)와 PB 1791 rec-(repair deficient)이며 동결건조된 이 균주를 클린벤치에서 메스를 이용하여 영양아가(nutrient agar)를 고화 시킨 페트리디쉬에 접종시킨 후 24∼48시간 배양을 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멸균된 TSB 액체 배지에 1백금이 취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0.1㎖ spore 액이 첨가된 soft broth agar 10㎖를 페트리디시에 분주하여 고화시킨 후 페이퍼디스크를 올려놓고 각 추출물은 20㎕씩, 대조구인 MNNG는 10㎕ 접종하고 37℃에서 12∼24시간 배양한 후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측정하였다.
돌연변이원성은 무균 상태인 clean-bench하에서 여러 돌연변이원성 물질 중 강한 돌연변이원 물질인 MNNG(2㎍/㎕)를 돌연변이원성(DNA-damaging activity) 대조구로 하여 20㎍/paper disc의 양으로 멸균 처리된 paper disc에 첨가하였고 각 추출물을 4∼100㎍/paper disc가 되도록 첨가하고 rec(+)균과 rec(-)균에 의해 형성된 억제영역(㎝)의 차이로 돌연 변이원성을 측정하였다. 항돌연변이원성은 돌연변이원성을 확인한 후에 MNNG(10㎍/p.disc)와 추출물(50, 100㎍/p.disc)을 1 : 1 (10㎕:10㎕)로 혼합하여 돌연변이원성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한 후 각기 형성된 억제영역을 비교하여 각 추출물이 돌연변이원 물질인 MNNG의 돌연변이원성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가를 rec(+)균과 rec(-)균의 차이영역(㎝)과 차이율(sample+MNNG / MNNG)로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MNNG만 처리한 것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8에 나타냈다.
표 8. 항돌연변이
구 분 추출용매 amounttest(㎍/disc) Inhibition halodiameter(cm) differnce zone(cm) differnce ratio(sample/MNNG)
rec+ rec-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5010050100 1.21.01.11.0 2.31.72.01.5 1.10.70.90.5 0.660.410.530.3
줄기 증류수에탄올 5010050100 1.11.01.11.0 2.22.02.22.0 1.11.01.11.0 0.660.600.660.60
뿌리 증류수에탄올 5010050100 1.11.01.21.1 2.21.92.21.9 1.10.91.10.8 0.660.530.660.47
열매 증류수에탄올 5010050100 1.21.11.31.0 2.31.72.31.9 1.10.61.00.9 0.660.360.600.53
MNNG 10 1.25 2.72 1.67 1
안정성 및 효과기준 0.55이하
검정방법 Rec-assay
해당화에 대한 추출물(50, 100㎍/paper disc)과 MNNG(10㎍/paper disc)를 1 : 1로 혼합하여 추출물 농도에 따른 돌연변이원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대조구인 MNNG(20㎍/paper disc)에 비해 MNNG와 추출물이 1 : 1로 혼합된 것이 비교적 높은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고, rec(+)와 rec(-)의 돌연변이가 일어난 영역 지름의 차이로 대조구(MNNG)와 비교하여 항돌연변이원성을 알아낼 수가 있다. 대조구로 쓰인 강력한 돌연변이원성 물질인 MNNG를 기준으로 나머지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을 측정한 결과 해당화 잎 에탄올 추출물이 MNNG에 비해서 100㎍/paper disc의 농도에서 70%의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율을 보였고, 나머지 추출물들도 4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돌연변이원성은 해당화, 다시마 추출물들이 MNNG와 균주의 DNA, RNA와의 결합을 어느 정도 억제함으로서 항돌연변이원성을 지닌다고 추론할 수 있다.
3) 혈당 강하 기능 측정
생체 내에서 혈당 상승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α-글루코시다제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효소를 10mM PIPES buffer에 용해시켜 효소액을 제조하고 20mM 말토스와 각 추출물을 각각 10㎕, 40㎕, 10㎕를 혼합하여 최종 부피를 60㎕로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혼합한 후 37℃에서 20분간 배양한다. 반응액 60㎕에 1㎖ DNS 시약을 첨가하고 100℃ 물에서 열탕 처리(10min)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에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반응으로 생성된 환원당을 정량하여 각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효소활성 저해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9에 나타냈다.
표 9. 혈당강하(α-glucosidase) (%/mg/ml)
구 분 추출용매 혈당강하효과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1821 2722 3335 5749 6468
줄기 증류수에탄올 3439 4544 4749 5264 6772
뿌리 증류수에탄올 2928 3531 4443 5972 7980
열매 증류수에탄올 3632 4848 5256 6368 7072
효과 기준 50%이상
검정방법 α-glucosidase
α-글루코시다제는 생체내 혈당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사장애와 당뇨병, 바이러스성질병, 세균감염, 암형성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는 기질(maltose)과 해당화, 다시마 추출물들을 첨가해서 추출물에 의한 효소 활성 억제율을 검색한 것으로 결과, 해당화 추출물의 경우 전체적으로 60%이상의 억제율을 보였고, 특히 해당화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1.0 mg/ml 농도에서 80%로 가장 높은 혈당강하능을 보여 당뇨 조절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고혈압 저해능 측정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는 고혈압을 유도하는 효소이므로 이 효소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ACE 시약을 사용했다. 실험 전에 모든 반응물을 37℃로 유지시켜 놓은 후 37℃ 증류수 10㎖에 ACE 시약 1바이알을 용해시키고 1㎖씩 취하여 튜브에 넣었다. 각 튜브에 농도별 추출물과 ACE 캘리브레이터를 100㎕씩 첨가한 후 37℃에서 5분간 반응시켜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것을 초기 A 값으로 정하고 다시 5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를 최종 A라 정하였다. 대조구로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 100㎕를 첨가한 것으로 하였다. Control의 ACE(U/L) 값은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한 것으로 하였으며 ACE의 활성 계산은 다음 공식에 준하여 산출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0에 나타냈다.
ACE (U/L) = (Initial A - Final A)test/ (Initial A - Final A)control×
active of ACE reagent (50U/L)
표 10. 고혈압(ACE-system) (%/mg/ml)
구 분 추출용매 고혈압억제능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1923 3829 4458 5566 6468
줄기 증류수에탄올 2633 3736 4541 5463 6769
뿌리 증류수에탄올 1827 5733 6258 7465 7678
열매 증류수에탄올 1315 2523 3636 4246 5451
효과 기준 50%이상
검정방법 ACE
생체 내에서 혈압 상승의 주요 기작은 레닌 안지오텐신 시스템이 주요 역할을 하는데 ACE는 레닌에 의해 안지오텐신 Ⅰ의 히스티딜루이신 디펩티드를 분해하여 강력한 혈관 수축 작용을 일으키는 바소콘드릭터(vasocontrictor)인 안지오텐신 Ⅱ로 전환을 유도하는 효소이고 안지오텐신 Ⅱ는 신체 내에서 알도스테린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물과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하며 혈관 이완 작용을 가진 브래디키닌(bradykinin)을 불활성화 시킴으로 결과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ACE를 억제하면 고혈압의 치료가능성이 제시될 수 있다고 볼 수 있고 실제로 정상인에게도 현저한 혈압 강하 작용이 밝혀졌다. 본 실험에서는 ACE가 FAPGG(Furylacryloyl phenylalanylglycylglycine)를 FAP (Furylacryloylphenyl alanine)와 GG (glycylglycine)로 분해하는 원리를 이용한것으로 해당화, 다시마 추출물에 의한 ACE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해당화 뿌리 추출물들이 높은 억제능을 나타내어 1.0 mg/ml의 농도에서 80%에 가까운 매우 높은 고혈압 억제능을 보였다.
5) 간 기능 개선 활성 측정
(1) 해독작용 - Glutathione S-transferase 측정
해당화, 다시마의 해독작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간의 중요 해독기전 중의 하나인 GST(gultathion-S-transfer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조제된 반응시약에 대조구로 추출물이 제외된 반응액을 대조구로 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기질로서 1-chloro-2,4dinitro benzene을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2분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20% TCA를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뒤 다음과 같이 GST의 specific activity와 활성율을 계산하여 다음의 표 11에 나타냈다.
Total activity (units) = (A340/ 9.6) × 희석배수 × (3ml / 0.1) ×
crude extract(㎖)
Specific activity ( units/㎖ protein ) = total activity / total protein
활성율 (%) = specific activitytest/ specific activitycontrol× 100
표 11. 간기능개선(%/mg/ml)
구 분 추출용매 간기능개선효과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189113 204126 246130 289148 318154
줄기 증류수에탄올 112102 118104 128112 138119 149125
뿌리 증류수에탄올 103110 108119 112129 118136 122146
열매 증류수에탄올 115120 123136 136148 148153 156162
효과 기준 100%이상
검정방법 GST
GST는 감소된 글루타치온에 다양한 친전자체를 결합시키는 반응을 촉매 하는 주요 해독 기전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또한 다양한 발암 원들이 대부분 친전자체이므로 이들 발암물질을 해독하는 경로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GST의 활성 측정은 화학적 발암원을 해독,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약재나 천연물질 구명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대조군의 GST 활성은 7613.32(units/㎎ protein)이였고 추출물을 0.2, 0.4, 0.6, 0.8, 1.0g/ℓ의 농도로 첨가한 결과 해당화 잎 증류수 추출물이 1.0 mg/mℓ의 농도에서 24210.36(units/㎎ protein)로 약 3.18배의 활성을 증가 시켜 가장 높았다. 또한 여러 추출물의 경우 1.0 mg/mℓ의 농도에서 1.6배이하의 낮은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6) 면역 활성 측정
면역이란 우리 몸의 내, 외부로부터의 자극 및 손상에 대항하는 방어기작을 총칭한다. 면역활성의 측정은 면역물질의 측정, 면역세포의 생육도 측정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면역 세포의 증가 및 감소는 우리 몸 면역계의 이상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주는 지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 면역 세포주 Raji(RPM1-1640 medium)을 접종하여 세포 정상 생육기에 도달(7일정도 소요)시킨 후 96-well Plate(5×104Cell/㎖로 농도 조절한 배지 100㎕/well)를 37℃에서 5% CO2상태로 24시간 incubation하고 각 농도로 100㎕의 시료를 투여한 후 37℃에서 5% CO2상태로 48시간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10%(w/v) TCA(trichloroacetic acid) 100㎕를 가하여 4℃에서 1시간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로 4∼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plate를 건조한 뒤 각 웰에 1%(v/v) 초산에 녹인 0.4%(w/v) SRB용액을 100㎕씩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결합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 초산으로 4∼5회 정도 세척, 건조시킨 후에 10mM Tris buffer 100㎕를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암세포 생육도(%) = test/control × 100는 면역세포인 Raji의 생육을 증가시키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세포생육이 증가함에 해당식품이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면역 기능 증강 효과는 인간 면역 세포인 B cell(Raji)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세포의 생육은 10% FBS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5% CO2, 37℃에서 배양하였으며, 면역 기능 증강 효과는 SRB 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냈다.
표 12. 면역활성(%/mg/ml)
구 분 추출용매 면역활성효과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111107 116125 127143 136158 154167
줄기 증류수에탄올 113104 126118 129132 148153 152163
뿌리 증류수에탄올 103109 107126 134145 169162 172166
열매 증류수에탄올 107113 126121 130141 140148 146152
효과 기준 100%이상
검정방법 SRB assay
인간 면역 체계에서 항체 생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B세포(Raji)로 SRB assay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각 해당화, 다시마 추추물의 농도 0.2에서 1.0 mg/mℓ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화 증류수 추출물이 1.0 mg/mℓ의 농도에서 1.72배의 증가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의 추출물들도 1.0 mg/mℓ의 농도에서 1.44∼1.67배까지의 증가를 나타냈다. 그리고 낮은 농도에서도 모든 추출물들이 0.2g/ℓ의 농도에서 1.03∼1.19배로 세포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항산화 활성 측정
산화는 우리 체내에서 세포막내 손상을 일으키고 노화를 촉진하며 발암이나 성인병 등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노화 및 성인병 예방의 측면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이 요구되어지며 산화 억제 물질에 대한 검색으로 4.5×10-3리놀레인산 수용액 5㎖에 시료 0.5㎖를 넣어서 50℃에서 배양시키면서 마개 달린 시험관에 1.1㎖씩 4일마다 채취하여 TCA 1㎖, TBA 2㎖, BHT 0.1㎖, SDS 1㎖를 각각 혼합한 후 N2개스를 취입하고 밀봉한 후 비등 수욕조에서 15분간 배양하고 방냉시킨 후 1㎖ 초산과 2㎖ 클로포름을 혼합 진탕후 2,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리놀레인산은 필수 지방산이며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산화되기쉽다. 그러한 리놀레인산에 대한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해당식품은 노화 방지 및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산화억제물질에 대한 검색은 TBA법으로 측정하여 다음의 표 13에 나타냈다.
표 13. 항산화활성(%/mg/ml)
구 분 추출용매 항산화효과
0.2 0.4 0.6 0.8 1.0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1526 1938 4344 5947 6365
줄기 증류수에탄올 1724 2637 3349 4856 5761
뿌리 증류수에탄올 1619 2537 5448 6251 6669
열매 증류수에탄올 2616 3223 3636 3939 4245
효과 기준 50%이상
검정방법 TBA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인산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으로 산화되기 매우 쉽다. 이러한 리놀레인산에 대한 산화를 억제시키는 것은 노화방지 및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해당화, 다시마 추출물들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해당화의 잎, 줄기, 뿌리의 추출물들이 60%이상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해당화의 이런 항산화능은 식물을 원료로서 식품을 제조할 경우 체내에서 필요한 식품 내 필수지방산의 산화 억제로 식품의 안정성 연장 및 흡수시 체내 활성 라디칼의 소거 등의 작용으로 노화억제 및 체내 산화작용으로 발생하는 성인병 등의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8) 항균 활성 측정
항균력 검색은 공시균주로서 그람음성세균(Gram positive bacteria;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ocus aureus),그람양성세균(Gram negative bacteria;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을 배지(Tryptic soy broth and agar)에서 검색방법(paper disc, bioscreen C)으로 항균력 검색한다. 항균력 검색은 TSB배지를 121℃에서 15분간 살균한 후 냉각하여 무균적으로 페트리디시에 15ml씩 분주하여 무균상에서 하룻밤 방치하여 굳힌 후 준비된 피검균 배양액 0.1ml를 평판배지에 주입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각 시료를 멸균된 8.0mm 여과지디스크(Whatman No.2)에 농도별로 흡수시킨 후 시험용 평판배지에 올려놓고 난 다음, 30℃의 인큐베이터에서 24-48시간 배양하면서 디스크주변의 명확한 영역(mm)을 측정하여 항균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였다.
최소저해농도 측정은 각 시료를 0.45㎛의 멤브레인필터(Whatman No.2)로 제균하고 농도별로 멸균한 브로스에 첨가한다. 전배양된 각 균의 농도를 105CFU/㎖되도록 접종하여 바이오스크린 C로 35℃에서 24시간 배양하면서 피검균의 생육을 O.D값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5에 나타냈다.
표 14. 항균활성; 항균력(mm: 5mg/disc)
구 분 추출용매 사용균주 *
LM BC SA ST EC PA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110 16.50 130 00 10.50 140
줄기 증류수에탄올 89 814 8.211 00 88 1013
뿌리 증류수에탄올 88.5 12.511.5 89 00 8.58.5 119.5
열매 증류수에탄올 00 00 00 00 00 00
다시마 증류수에탄올 00 00 00 00 00 00
효과기준 14mm이상
검정방법 Paper disc법
*LM :L. monocytogenesATCC 19111 BC :B. cereusKCCM 11204
SA :Staphy. aureusKCCM 32395 ST :S. typhimuriumATCC 14028
EC :E. coliO157:H7 932 PA :Ps. aeruginosaATCC 27853
표 15. 최소저해농도(mg/㎖)
구 분 추출용매 사용균주 *
LM BC SA ST EC PA
해당화 증류수에탄올 2.50+ 0.62+ 2.50+ ++ 2.50+ 1.25+
줄기 증류수에탄올 2.502.50 2.501.25 +2.50 ++ ++ 2.501.25
뿌리 증류수에탄올 ++ 2.501.25 ++ ++ 3.283.28 2.501.25
열매 증류수에탄올 ++ ++ ++ ++ ++ ++
효과기준 1.25 mg/㎖이상
검정방법 Bioscreen C법
항균력이란 식품의 저장 및 유통기간을 연장하는 주요한 실험으로 식품의 품질을 변하게 하는 요인으로 미생물, 화학반응 등이 주요한 작용을 하는 요인들이다. 특히 미생물은 부패에 관련하는 미생물, 식품의 안전성에 관여하는 식중독 미생물로 나눌 수 있다. 시료에 대한 페이퍼디스크법으로 실험한 결과 다시마는 항균력이 없었으며, 해당화의 경우 잎은 증류수 추출물, 줄기는 에탄올 추출물, 뿌리는 증류수 추출물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바이오스크린 C 방법을 이용한 최소저해농도 실험결과도 다시마에서는 항균력이 없었으며, 해당화의 경우 잎, 줄기 추출물에서 미약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해당화 추출물 또는 착즙액을 함유하는 해당화 음료의 제조방법은 해당화 추출물 또는 착즙액, 과당, 레몬농축액, 정백당, 솔비톨, 비타민C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와, 전기의 혼합액을 28∼35℃에서 1∼3시간 동안 균질하게 교반하여 여과하는 단계와, 전기의 여과액을 85∼95℃에서 5∼10초간 살균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해당화 추출물 또는 착즙액 5∼15 중량%, 과당 8∼10 중량%, 레몬농축액 0.1∼0.5 중량%, 정백당 0.5∼1.5 중량%, 솔비톨 0.5∼1.5 중량%, 비타민C 0.1∼0.3 중량% 및 정제수 63.4∼83.4 중량%가 함유되거나 또는 해당화 착즙액 10∼15중량%와 머루 과즙 10∼15 중량%, 과당 8∼10중량%, 정백당 1∼3중량%, 솔비톨 1∼3중량%, 탄산나트륨 0.01∼0.03중량% 및 정제수 60∼64 중량%가 함유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해당화 추출물 또는 착즙액, 과당, 정백당, 솔비톨을 제외한 조성물은 예상 가능한 과일이나 채소로부터 얻은 추출물 또는 착즙액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해당화 음료는 해당화 잎 또는 뿌리를 세척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해당화 엽차, 해당화 곡류엽차, 해당화 뿌리 티백 또는 해당화 과립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해당화 엽차는 해당화 잎을 4초∼12초간 스티밍 또는 블렌칭하여 열처리하고, 해당화 곡류엽차는 열처리된 해당화 잎을 25∼35중량%에 현미 45∼65 중량%, 옥수수 5∼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해당화 과립차는 해당화 과즙 10∼13 중량% 및 머루과즙 3∼6 중량%에 정제포도당 50∼70 중량%, 유당 14∼34 중량% 및 비타민C 0.1 중량%를 혼합한 후, 과립기에 넣고 35∼55메쉬 크기의 해당화 과립차를 얻는다.
또한, 해당화 뿌리를 분쇄하여 130∼160메쉬 크기로 하여 62.5∼87.5 중량%에 현미 또는 옥수수 12.5∼37.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해당화 음료를 얻는다.
한편 본 발명의 해당화 음료와 같이 해당화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해당화 추출물 또는 해당화로부터 착즙하여 얻은 해당화 착즙액을 간기능 개선, 암세포 생육억제, 혈당강하 및 면역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식품학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당화 음료
해당화를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한 후, 1∼3cm 크기로 절단하여 착즙기에 넣고 착즙액을 얻었다. 표 16과 같이 해당화 착즙액 5, 10, 15 중량%에 따른 과당 9 중량%, 레몬농축액 0.4 중량%, 정백당 1 중량%, 솔비톨 1 중량%, 비타민C 0.2 중량%, 정제수 63.4∼83.4 중량%를 넣고 28∼35℃에서 1∼3시간 동안 균질하게 교반하고, 여과하여 85∼95℃에서 5∼10초간 살균한 후, 용기에 저장하였다.
표 16. 해당화 음료 제조시 재료 혼합비율(단위 : 중량%)
해당화착즙액 과당 레몬농축액(49Bx) 정백당 솔비톨 비타민C 정제수
5 9 0.4 1 1 0.2 83.4
10 9 0.4 1 1 0.2 78.4
15 9 0.4 1 1 0.2 63.4
상기의 배합비와 같이 제조한 해당화 음료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브릭스(Brix), pH, 색도를 측정하였고,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0명으로 하여금 5점척도법으로 색, 맛, 향 및 종합적인 맛 등의 관능검사를 하여 그 결과를 표 17에 나타냈다.
표 17. 해당화 음료의 품질특성
해당화착즙액 Brix pH 색도* 관능검사**
L a b 종합
5 중량% 10.2 5.34 86.66 -0.10 6.33 3.1 3.3 3.3 3.2
10 중량% 10.5 5.35 86.50 0.19 5.72 3.3 3.4 3.4 3.4
15 중량% 10.0 5.35 86.41 0.22 4.28 3.3 3.4 3.3 3.3
*: L, + white, - black, a : +Red, - Green, b :Yellow, -Blue
**: 1. 아주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해당화 착즙액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음료를 제조한 결과 착즙액 10 중량% 첨가구가 종합적인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해당화 음료 배합비 중에서 관능검사 결과가 우수한 해당화 착즙액 10중량% 첨가시의 간기능 개선, 혈당강하, 면역활성, 항암 등의 기능성 검정을 하여 표 18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표 18. 해당화 음료의 기능성 검정 결과(%/㎍/㎖)
해당화(10%) 간기능개선 혈당강하 면역활성 항암(폐암)A549
활성 139 67 138 53
관능검사에서 양호한 해당화 착즙액 10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음료의 기능성 검정결과, 간기능 개선 측정에서 139%, 혈당강하 67%, 면역활성 138%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암 활성의 경우, 인간 폐암세포에서 53%의 낮은 활성을 나타났다.
<실시예 2>; 해당화 + 머루 혼합음료
해당화 착즙액 10∼15 중량%와 머루 과즙 10∼15 중량%을 표 19과 같이 과당9중량%, 정백당 2중량%, 솔비톨 1중량%, 탄산나트륨 0.02중량%, 정제수 62.98 중량%를 넣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해당화 및 머루과즙 음료를 얻었다.
표 19. 재료 혼합비율(단위 : 중량%)
시료 해당화착즙액 머루과즙 과당 정백당 솔비톨 탄산나트륨 정제수
1 10 15 9 2 1 0.02 62.98
2 15 10 9 2 1 0.02 62.98
3 15 15 9 2 1 0.02 57.98
상기의 배합비와 같이 제조한 해당화와 머루 혼합 음료의 품질특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브릭스, pH, 색도를 측정하였고,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0명으로 하여금 5점척도법으로 색, 맛, 향 및 종합적인 맛의 관능검사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0에 나타냈다.
표 20. 품질특성
구분(시료) Brix pH 색도* 관능검사**
L a b 종합
1 12.8 4.55 47.18 26.18 15.82 3.5 3.4 3.5 3.5
2 12.5 4.53 44.12 25.33 14.88 3.3 3.3 3.4 3.3
3 13.0 4.47 46.31 27.29 13.27 3.4 3.3 3.4 3.4
*: L, + white, - black, a : +Red, - Green, b :Yellow, -Blue
**: 1. 아주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해당화, 머루과즙의 첨가비율을 각각 달리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한 결과,Brix, pH, 색도에서는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종합적인 관능검사에서 해당화 착즙액 10 중량%, 머루과즙 15 중량% 첨가구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해당화 엽차제조
해당화 잎을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한 후, 0.5∼1.0cm 크기로 절단하여 스티밍 및 블렌칭을 4초∼12초간 실시하여 얻은 엽차를 각각 5g 티백에 넣어 1개씩을 100℃로 끓인 후 70∼80℃로 식힌 물 100㎖에 30초 정도 침출한 후 색도를 측정하고,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으로 하여금 관능검사를 통하여 색, 맛, 향기, 기호도를 평가하여 표 2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21. 엽차 제조를 위한 전처리 결과
구 분 색 도 * 관능검사**
L a b 향기 전반적인 기호도
무처리 78.29 -3.94 22.69 + ++ ++ +
steam 4초 90.71 -3.21 12.29 ++ +++ ++ ++
8 88.47 -4.55 20.03 ++ +++ ++ ++
12 87.09 -5.01 23.25 ++ +++ ++ ++
blanching 4초 92.15 -2.96 10.10 +++ ++ ++ ++
8 91.17 -2.81 10.23 +++ +++ +++ +++
12 93.23 -2.00 6.57 ++ +++ ++ +
*: L, + white, - black, a : +Red, - Green, b :Yellow, -Blue
** : + 나쁨, ++ 보통, +++ 양호
해당화 엽차 제조를 위한 잎의 처리방법에 따른 색도 및 관능 검사결과는 색도의 경우 해당화 잎을 스팀으로 8초 처리한 것이 색이 가장 파란계열을 나타내었지만,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브랜칭 8초 처리한 잎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해당화 곡류엽차
해당화 잎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후,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해당화 잎 30 중량%에 현미 45∼65 중량%, 옥수수 5∼15 중량%를 아래의 표 22의 혼합비율로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해당화 곡류엽차를 얻었다.
표 22. 재료 혼합비율(단위 : 중량%)
시료 해당화 잎 현미 옥수수
123 303030 655545 51015
상기의 해당화 곡류엽차에 실시예 3과 같이 더운 물에 침출시켜 색도를 측정하고,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0명으로 하여금 5점척도법으로 색, 맛, 향 및 종합적인 맛을 표 23에 나타냈다. 또한 해당화 곡류엽차의 간기능개선효과를 측정해 본 결과, 시료1(해당화 잎 30, 현미 65, 옥수수 5)의 간기능개선효과는 136 (%/1.0mg/ml)를 나타냈다.
표 23. 해당화 곡류엽차의 품질특성
시 료 색 도* 관능검사(1∼5)**
L a b 향기 기호도
123 91.1289.4690.98 -1.98-1.83-1.69 6.787.155.89 3.13.13.1 3.43.23.2 3.33.13.0 3.33.13.1
*: L, + white, - black, a : +Red, - Green, b :Yellow, -Blue
**: 1. 아주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해당화 엽차의 부재료로 현미, 옥수수를 첨가하여 차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관능검사에서는 시료 1(해당화 30 중량%, 현미 65 중량%, 옥수수 5 중량%)의 해당화 곡류엽차에서 기호도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5>; 해당화 잎 티백제조
해당화 잎을 세척 및 건조한 후 100, 150메쉬(mesh) 크기별로 각각 해당화 티백을 제조하였다. 메쉬별에 따른 추출물의 색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표 24에 나타냈다.
표 24. 해당화 티백의 색도 및 관능검사
구 분 색 도* 관능검사(1∼5)**
L a b 종합
100 mesh 93.68 1.08 10.47 3.1 3.1 3.2 3.1
150 mesh 95.95 1.14 7.01 3.4 3.4 3.3 3.4
해당화 티백제조를 위해 분쇄를 메쉬별로 달리하여 차를 제조한 후 추출물의 색도와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 분쇄 메쉬가 조밀할수록 추출물의 색이 짙어 졌으나 조밀한 입자가 부직포 밖으로 나와 관능검사에서는 150메쉬 이상으로 분쇄한 입자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해당화 뿌리 티백제조
해당화 뿌리를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150메쉬 크기만을 골라 62.5∼87.5 중량%에 옥수수 12.5∼37.5 중량%를 넣고 해당화 뿌리를 각각 5g 티백에 넣어 아래의 표 25의 혼합비율과 같이 제조하였다.
표 25. 해당화 뿌리와 옥수수의 혼합비율(%)
해당화 뿌리(150 mesh) 옥수수
87.575.062.5 12.525.037.5
해당화 뿌리 티백을 대상으로 색도를 측정하고,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0명으로 하여금 5점척도법으로 색, 맛, 향 및 종합적인 맛의 관능검사(끓는 물 1ℓ에 티백을 넣은 후 15분간 추출 후 음용)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6에 나타냈다.
표 26. 해당화 뿌리 티백의 품질특성
해당화 뿌리(%) 색 도* 관능검사(1∼5)**
L a b 종합
87.57562.5 93.8690.6391.86 1.400.972.01 8.238.896.97 3.33.43.3 3.23.23.4 3.13.23.4 3.23.23.4
*: L, + white, - black, a : +Red, - Green, b :Yellow, -Blue
**: 1. 아주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상기의 해당화 뿌리 62.5 중량%를 사용한 티백을 대상으로 혈당강하, 면역활성, 항암 기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7에 나타냈다.
표 27. 해당화 티백의 기능성 검정 결과(%/㎎/㎖)
해당화뿌리 혈당강하 면역활성(B-cell) 항암(폐암)A549
62.5 중량% 68 123 49
옥수수를 부재료로 사용하여 해당화 티백을 제조한 결과 해당화 75 중량% 첨가시 추출물의 색도는 짙어 졌으나, 75 중량% 이상 첨가시에는 부직포내 부피증가로 인해 추출이 잘되지 않았고, 관능검사에서는 해당화 뿌리 62.5 중량% 첨가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화 뿌리 62.5 중량% 첨가한 티백 추출물의 기능성을 검정한 결과 혈당강하 68, 면역활성 123, 항암활성이 49%로 나타나 음료수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7>; 해당화 과립차 제조
해당화 열매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과즙을 얻어 여과한 해당화 과즙 10∼13 중량%, 머루과즙 3∼6 중량%에 정제포도당 45∼70 중량%, 유당 14∼34 중량% 및 비타민C 0.1 중량%를 혼합한 후, 과립기에 넣고 50메쉬 크기의 해당화 과립차를 얻었다. 표 28의 배합비에 상세한 배합비를 나타냈다.
표 28. 해당화 과립차의 재료 혼합비율(단위 : 중량%)
구 분 해당화과 즙 머루과즙 정제포도당 유당 비타민 C
Sample 123456 101310131013 636363 60.960.949.949.964.964.9 141434341919 0.10.10.10.10.10.1
상기의 재료 혼합비율에 따른 해당화 과립차의 품질특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브릭스, 용해도, 색도, 수율을 측정하였고,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0명으로 하여금 5점척도법에 따라 색, 향,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여 표 29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표 29. 해당화 과립차의 품질특성
구 분 Brix 용해도(sec) 색도* 수율(%) 관능검사(1∼5)**
L a b 종합
Sample 123456 8.58.88.78.68.58.5 333333 89.9789.8689.1789.2889.7489.81 0.29-0.050.10-0.210.28-0.13 90.243.554.274.163.713.61 969696969696 3.12.93.33.03.33.0 3.12.93.22.93.43.0 3.22.93.22.93.42.9 3.12.93.22.93.42.9
*: L, + white, - black, a : +Red, - Green, b :Yellow, -Blue
**: 1. 아주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해당화 과즙을 첨가한 과립차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Brix, 용해도, 색도, 수율등은 처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머루과즙, 정제포도당 등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해당화의 약리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관능적인 기호성을 향상시켜 해당화 음료, 해당화 엽차, 해당화 티백, 해당화 과립차 등으로 개발함으로써 해당화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질병예방 효과도 거둘 수 있다.

Claims (10)

  1. 해당화 추출물 또는 착즙액에 과당, 레몬농축액, 정백당, 솔비톨, 비타민C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와, 전기의 혼합액을 28∼35℃에서 1∼3시간 동안 균질하게 교반하여 여과하는 단계와, 전기의 여과액을 85∼95℃에서 5∼10초간 살균하는 단계가 포함된 해당화 추출물 또는 착즙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해당화 추출물 또는 착즙액 5∼15중량%에 과당 8∼10중량%, 레몬농축액 0.1∼0.5중량%, 정백당 0.5∼1.5중량%, 솔비톨 0.5∼1.5중량%, 비타민C 0.1∼0.3중량% 및 정제수 63.4∼83.4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해당화액, 과당, 정백당, 솔비톨을 제외한 조성물은 예상 가능한 과일이나 채소로부터 얻은 추출물 또는 착즙액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해당화 착즙액 10∼15중량%와 머루 과즙 10∼15 중량%, 과당 8∼10중량%, 정백당 1∼3중량%, 솔비톨 1∼3중량%, 탄산나트륨 0.01∼0.03중량% 및 정제수 60∼64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5. 해당화 잎 또는 뿌리를 세척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해당화 엽차, 해당화 곡류엽차, 해당화 뿌리 티백 또는 해당화 과립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해당화 엽차는 해당화 잎을 4초∼12초간 스티밍 또는 블렌칭하여 열처리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해당화 곡류엽차는 열처리된 해당화 잎을 25∼35중량%에 현미 45∼65 중량%, 옥수수 5∼1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해당화 뿌리를 분쇄하여 130∼160메쉬 크기로 하여 62.5∼87.5 중량%에 현미 또는 옥수수 12.5∼37.5 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해당화 과립차는 해당화 과즙 10∼13중량% 및 머루과즙 3∼6중량%에 정제포도당 50∼70중량%, 유당 14∼34중량% 및 비타민C 0.1중량%를 혼합한 후, 과립기에 넣고 35∼55 메쉬 크기의 해당화 과립차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화음료의 제조방법
  10. 해당화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해당화 추출물 또는 해당화로부터 착즙하여 얻은 해당화 착즙액을 간기능 개선, 암세포 생육억제, 혈당강하 및 면역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식품학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1-0001897A 2001-01-12 2001-01-12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KR10041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897A KR100414393B1 (ko) 2001-01-12 2001-01-12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897A KR100414393B1 (ko) 2001-01-12 2001-01-12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069A true KR20010110069A (ko) 2001-12-12
KR100414393B1 KR100414393B1 (ko) 2004-01-07

Family

ID=4592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897A KR100414393B1 (ko) 2001-01-12 2001-01-12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39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943B1 (ko) * 2002-11-15 2005-06-16 강원도 고성군 (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머루 와인의 제조방법
KR100767799B1 (ko) * 2005-06-30 2007-10-18 강원도 머루 분말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7431B1 (ko) * 2007-10-16 2009-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당화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006375B1 (ko) * 2010-06-28 2011-01-05 전라남도 항당뇨와 항산화 효능이 있는 해당화잎차 제조방법
KR101358718B1 (ko) * 2011-06-10 2014-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마자 추출물 및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7963A (ko) * 2014-02-19 2015-08-2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항당뇨 조성물
KR101662281B1 (ko) * 2015-11-04 2016-10-05 김태현 돼지감자-산양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돼지감자-산양삼 음료
KR102147058B1 (ko) * 2019-08-05 2020-08-24 최면 현삼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 구기자뿌리 추출물, 여주 추출물 및 해당화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95B1 (ko) * 2018-03-19 2019-07-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도락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2795A (ja) * 1984-08-03 1986-03-01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の行デコ−ダ系
JPH04271770A (ja) * 1991-02-27 1992-09-28 Asahi:Kk お茶
KR0173814B1 (ko) * 1995-08-24 1999-02-01 전기엽 해당화 근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262296B1 (ko) * 1997-10-25 2000-08-01 박호군 베타-그루코갈린 화합물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및 그의 분리·정제 방법.
KR100282168B1 (ko) * 1997-12-24 2001-02-15 전기엽 해당화지하부의추출물및그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943B1 (ko) * 2002-11-15 2005-06-16 강원도 고성군 (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머루 와인의 제조방법
KR100767799B1 (ko) * 2005-06-30 2007-10-18 강원도 머루 분말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7431B1 (ko) * 2007-10-16 2009-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당화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006375B1 (ko) * 2010-06-28 2011-01-05 전라남도 항당뇨와 항산화 효능이 있는 해당화잎차 제조방법
KR101358718B1 (ko) * 2011-06-10 2014-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마자 추출물 및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7963A (ko) * 2014-02-19 2015-08-2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항당뇨 조성물
KR101662281B1 (ko) * 2015-11-04 2016-10-05 김태현 돼지감자-산양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돼지감자-산양삼 음료
KR102147058B1 (ko) * 2019-08-05 2020-08-24 최면 현삼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 구기자뿌리 추출물, 여주 추출물 및 해당화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393B1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72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혼합발효되고 우수한 기호성과 증진된 가바 함량 및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여주-과채 발효음료
KR102386296B1 (ko) 증진된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파바톤 콩잎과 오미자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7142A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414393B1 (ko)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KR20070089309A (ko) 항균,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우뭇가사리 농축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조성물
KR20010069130A (ko) 대나무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1962766B1 (ko) 여주 액상 차의 고미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미 개선 여주 액상 차의 제조방법
KR101276157B1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JP4031544B2 (ja) クロロフィラーゼ抑制剤、それを含む食品、飼料及び化粧料
KR100402421B1 (ko) 산사음료의 제조방법
KR100536083B1 (ko) 솔잎 착즙 상징액의 발효액과 비수리 추출물의 혼합액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KR101646516B1 (ko) 올리브잎, 연꽃씨, 연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KR20160104219A (ko) 와송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와송식초를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KR101146115B1 (ko)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옻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29997B1 (ko) 헛개나무 열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조성물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100428480B1 (ko) 호박청주의 제조방법
KR20030057911A (ko)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KR101935538B1 (ko) 부추를 이용한 추출 또는 발효 혼합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6086B1 (ko) 솔잎 엑기스 및 보리싹 엑기스 혼합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KR100423100B1 (ko) 는쟁이냉이 소스의 제조방법
KR100516888B1 (ko) 마가목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114374A (en) Goya koji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