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730A -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730A
KR20010109730A KR1020000030310A KR20000030310A KR20010109730A KR 20010109730 A KR20010109730 A KR 20010109730A KR 1020000030310 A KR1020000030310 A KR 1020000030310A KR 20000030310 A KR20000030310 A KR 20000030310A KR 20010109730 A KR20010109730 A KR 2001010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whitening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남
Original Assignee
김국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남 filed Critical 김국남
Priority to KR102000003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730A/ko
Publication of KR2001010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천연물에서 분리하여 피부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싼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미백용 영양크림이나 미백용 에센스 및 미백용 스킨로션등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0.1 ∼ 5중량%를 첨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백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천연물에서 분리하여 피부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싼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백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of whitening cosmetics}
본 발명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어 피부의 미백 기능을 극대화시킨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로는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티노이드가 있으며, 피부, 모발, 눈의 다양한 색깔이 이들 색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특히, 피부의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색소는 멜라닌이며, 멜라닌의 양과 성질 그리고 분포의 정도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되어진다.
인체에 있어 피부나 모발의 색소는 햇빛(특히,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색소가 부족한 사람은 햇빛에 매우 민감하여 화상을 입기 쉬우며, 어린 나이에도 피부암 발생 확율이 높다. 단파장의 자외선 및 발암 물질은 피부에서 산소 라디칼을 형성시키는 데 이 산소 라디칼이 피부 세포를 공격하여 피부를 노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므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들로서는 상기한 햇빛 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프로스타글라딘 및 블레오미신과 같은 호르몬 등이 있다.
멜라닌의 생성과 소멸은 햇빛(자외선)에 의해 피부의 멜라노사이트가 분열이 일어나며 골지체에서 티로시나제가 합성되고 골지체와 소포체가 결합하여 멜라닌을 만드는 멜라노솜(melanosome)이 형성된 후 멜라닌이 생성되며, 멜라닌은 피부 세포에 전달되고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작용을 보인다.
멜라닌은 멜라노솜 내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시나제를 원료로 하여 생성되는 도파퀴논, 도파크로롬, 인돌-5,6-퀴논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복잡한 중합체이다.
멜라닌 생성 매카니즘의 특징은 티로시나제라는 단 한종의 효소가 관여하는 반응으로 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막아 줌으로서 미백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미백 화장품에 있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멜라닌 생성의 주원인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로서 광산란제 또는 광차단제를 함유케하여 미백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글루코사민과 같이 티로시나제가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의 합성을 저해하므로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시키거나, 효모산 또는 알부틴과 같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유일한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기능을 방해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하이드로퀴논과 같이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특이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어 세포분열을 방해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와 같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많은 화장료 조성물들이 알려져 있지만 화학 합성에 의하여 제조된 화학물질을 사용하므로서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끼고, 미백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한 사용량이 많이 요구되며,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천연물에서 분리하여 피부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싼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어 피부의 미백 기능을 극대화시킨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각종 미백제에 대한 티로시나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각종 미백제에 대한 티로시나제 저해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백제의 사용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저해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0.1 ∼ 5중량% 첨가한 것으로 특징 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백 기능의 혼합물은 티로시나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 중합체가 형성되는 것을 막아 멜라닌이 분산되어 갈색 침착이 엷어지는 다중미백작용을 수행하며, 각질 분해작용을 통해 멜라닌이 피부밖으로 빨리 방출되는 것을 촉진한다.
월귤나무 추출물에는 5 ∼ 15%의 알부틴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티로시나제의 작용을 억제하고, 메틸 알부틴도 함유되어 있으나 이는 쉽게 가수분해되어 D-글루코오즈와 하이드로퀴논을 형성하여 미백 효과가 저해되지만 10% 정도 함유되어있는 탄닌이 알부틴과 메틸 알부틴의 분해를 방지하므로서 미백 효과가 상승되고, 플라보노이드는 멜라닌 중합체의 형성을 방지하고 약간의 티로시나제 억제작용을 하며, 0.5% 정도 함유되어 있는 트리터펜스(triterpenes)는 코티손과 같은 작용으로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뽕나무 추출물에는 구와논(kuwanon)이 함유되어 있는 데 이는 미백제로 널리 알려진 코직산(효모산)으로 가수분해되어 미백효과를 가지며, 티로시나제의 형성을 저지하고 멜라닌 형성 전단계의 DOPA 크롬(chrome)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및 항염효과를 가진다.
감초 추출물에는 6 ∼ 12% 정도의 글리시리직산(glycyrrhizic acid)이 함유되어 있는 데 이는 코티손처럼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여 미백효과를 가지며, 항염효과도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의 피부 흡수를 도와 미백효과가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하며, 2% 정도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는 멜라닌 중합체의 형성을 방지하고 약간의 티로시나제 억제작용을 한다.
자몽 추출물에는 나린진(Naringin)이 함유되어 있는 데 이는 플라보노이드의 주성분으로서 멜라닌 중합체의 형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염작용도 있고, 아스코르빈산도 함유되어 있는 데 이 역시 비타민 C로 미백작용을 가지며, 시트르산과 말레산이 함유되어 있어 AHA의 일종으로 미백효과에 상승작용을 갖는다.
자작나무 추출물에는 바이카레인(Baicalein)이 함유되어 있는 데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멜라민 중합체 생성 억제와 티로시나제 작용억제 효과가 있다.
월귤나무 추출물의 사용량은 10 ∼ 65중량%가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미백 효과를 완전히 얻을 수 없고, 6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나머지 성분들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효과적인 미백 작용의 발현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뽕나무 추출물은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은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은 10 ∼ 65중량%, 자작나무 추출물은 5 ∼ 6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사용량이 상기 범주를 벗어날 경우에는 미백 효과의 발현 정도가 미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미백 성분의 혼합물은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 5중량% 첨가되어 사용되며, 미백성분 혼합물의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 효과 발현 정도가 미약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 상승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월귤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자몽 추출물 및 자작나무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일반적으로는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월귤나무 추출물 30중량%, 뽕나무 추출물 30중량%, 감초 추출물 15중량%, 자몽 추출물 1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10중량%를 혼합하여 미백 기능 혼합물을 얻는다.
그 다음에 스테아린산 5중량부, 에탄올 4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4중량부, 밀납 2중량부, 유동파라핀 9중량부, 스쿠알렌 2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솔비탄 1중량부, 비타민 E 0.5중량부, 옥시벤젠 0.2중량부,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0.2중량부, 트리에탄올 아민 1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카모마일 추출액 0.5중량부, 하마멜리스 추출액 0.5중량부, 히아론산 1중량부, 키토산 추출액 1중량부, 조합 향료 0.3중량부, 상기의 미백 기능 혼합물 0.5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미백용 영양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2]
월귤나무 추출물 30중량%, 뽕나무 추출물 30중량%, 감초 추출물 15중량%, 자몽 추출물 1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10중량%를 혼합하여 미백 기능 혼합물을 얻는다.
그 다음에 에탄올 2중량부,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0.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 2중량부, 조합 향료 0.2중량부, 트리에탄올 아민 1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 글리세린 3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2중량부 히아론산 30중량부, 아미노카프론산 0.3중량부, 알란토인 0.2중량부, 카모마일 추출액 0.5중량부, 하마멜리스 추출액 0.5중량부, 상기의 미백 기능 혼합물 0.5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미백용 에센스(essence)를 얻었다.
[실시예 3]
월귤나무 추출물 30중량%, 뽕나무 추출물 30중량%, 감초 추출물 15중량%, 자몽 추출물 1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10중량%를 혼합하여 미백 기능 혼합물을 얻는다.
그 다음에 스테아린산 3중량부, 에탄올 3중량부, 밀납 2중량부, 유동파라핀 8중량부, 스쿠알렌 2중량부, 옥틸도데칸올 2중량부,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인산 솔비탄 2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5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2중량부, 히아론산 1중량부, 아미노카프론산 0.3중량부, 상기의 미백 기능 혼합물 0.5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미백용 스킨로션을 얻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미백 기능 혼합물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미백기능효과 실험을 행하였다.
즉, 멜라닌 생성 효소인 티로시나제와 멜라닌 생성 원료인 티로신을 반응시켜 멜라닌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실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멜라닌 생성량의 감소분을 측정하므로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시료명 농도 티로시나제 활성(%) 티로시나제 저해율(%)
대조군 100 0
산토린(santolin) 3.33mg/ml 252 0
산토린(santolin) 6.66mg/ml 299 0
베르가몬(bergamot) 3.33mg/ml 115 0
베르가몬(bergamot) 6.66mg/ml 105 0
효모산(kojic acid) 10mg/ml 20 80
효모산(kojic acid) 1mg/ml 29 71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1mg/ml 34 66
하이드로퀴논 4mg/ml 241.9 0
하이드로퀴논 8mg/ml 229.41 0
하이드로퀴논 16mg/ml 112.53 0
"M"사 제품 50mg/ml 36.68 63.32
"M"사 제품 25mg/ml 69.94 30.06
"M"사 제품 17mg/ml 76.21 23.79
본 발명 시료 0.10mg/ml 36 64
본 발명 시료 0.20mg/ml 24 76
본 발명 시료 0.5mg/ml 2 98
본 발명 시료 1mg/ml 0.6 99.4
본 발명 시료 5mg/ml 0 100
본 발명 시료 25mg/ml 0 100
본 발명 시료 50mg/ml 0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0.1 ∼ 5중량%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서 미백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천연물에서 분리하여 피부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싼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4)

  1.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0.1 ∼ 5중량%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는 미백 기능 혼합물을 스테아린산 5중량부, 에탄올 4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4중량부, 밀납 2중량부, 유동파라핀 9중량부, 스쿠알렌 2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솔비탄 1중량부, 비타민 E 0.5중량부, 옥시벤젠 0.2중량부,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0.2중량부, 트리에탄올 아민 1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카모마일 추출액 0.5중량부, 하마멜리스 추출액 0.5중량부, 히아론산 1중량부, 키토산 추출액 1중량부, 조합 향료 0.3중량부,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는 미백용 크림 혼합물에 대하여 0.1 ∼ 5중량%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는 미백 기능 혼합물을 에탄올 2중량부,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0.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 2중량부, 조합 향료 0.2중량부, 트리에탄올 아민 1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 글리세린 3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2중량부 히아론산 30중량부, 아미노카프론산 0.3중량부, 알란토인 0.2중량부, 카모마일 추출액 0.5중량부, 하마멜리스 추출액 0.5중량부,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는 미백용 에센스 혼합물에 대하여 0.1 ∼ 5중량%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월귤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뽕나무 추출물 10 ∼ 65중량%, 감초 추출물 10 ∼ 65중량%, 자몽 추출물 10 ∼ 65중량% 및 자작나무 추출물 5 ∼ 60중량%로 구성되는 미백 기능 혼합물을 스테아린산 3중량부, 에탄올 3중량부, 밀납 2중량부, 유동파라핀 8중량부, 스쿠알렌 2중량부, 옥틸도데칸올 2중량부,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인산 솔비탄 2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5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2중량부, 히아론산 1중량부, 아미노카프론산 0.3중량부,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는 미백용 스킨로션 혼합물에 대하여 0.1 ∼ 5중량%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30310A 2000-06-02 2000-06-02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10109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10A KR20010109730A (ko) 2000-06-02 2000-06-02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10A KR20010109730A (ko) 2000-06-02 2000-06-02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730A true KR20010109730A (ko) 2001-12-12

Family

ID=4592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310A KR20010109730A (ko) 2000-06-02 2000-06-02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7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24A (ko) * 2002-05-22 2003-12-03 안창국 한방 에센스 화장품 제조방법
CN105943433A (zh) * 2016-05-11 2016-09-21 杭州西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20170011019A (ko) 2015-07-21 2017-02-02 (주)코스몰 아스코르빈산이 결합된 피리독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930021190A (ko) * 1992-04-06 1993-11-22 최근선 피부 화장료 조성물
WO1997002807A1 (fr) * 1995-07-07 1997-01-30 C 3 D Composition dermocosmetique depigmentante et son utilisation
JPH09227353A (ja) * 1996-02-26 1997-09-02 Tsumura & Co 美白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930021190A (ko) * 1992-04-06 1993-11-22 최근선 피부 화장료 조성물
WO1997002807A1 (fr) * 1995-07-07 1997-01-30 C 3 D Composition dermocosmetique depigmentante et son utilisation
JPH09227353A (ja) * 1996-02-26 1997-09-02 Tsumura & Co 美白化粧料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24A (ko) * 2002-05-22 2003-12-03 안창국 한방 에센스 화장품 제조방법
KR20170011019A (ko) 2015-07-21 2017-02-02 (주)코스몰 아스코르빈산이 결합된 피리독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CN105943433A (zh) * 2016-05-11 2016-09-21 杭州西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846B1 (ko) 피부노화방지 조성물
ES2334102T3 (es) Uso de extractos del hongo grifola frondosa.
US7651692B2 (en) Use of extracts of the plant Litchi chinensis sonn
KR20080079300A (ko) 안정화 조성물
KR20130008081A (ko) 카스타니아 사티바의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EP3510992B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mannosylerythritol lipid
KR20030061834A (ko) 식물 아르가니아 스피노사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및/또는 피부약학용 제제
AU3010701A (en) Use of the residues from wine production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9332A (ko) 미백용 합마유 추출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10109730A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0177018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2370962A (ja)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KR20080004742A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N115154339B (zh) 一种羟基酸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102488895B1 (ko)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1B1 (ko) 벌나무추출물 및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3565B1 (ko) 녹나무(樟腦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38697B1 (ko) 피부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60156A (ko) 상지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JP4959104B2 (ja) 美白剤及び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