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580A -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봉상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봉상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580A
KR20010109580A KR1020000029399A KR20000029399A KR20010109580A KR 20010109580 A KR20010109580 A KR 20010109580A KR 1020000029399 A KR1020000029399 A KR 1020000029399A KR 20000029399 A KR20000029399 A KR 20000029399A KR 20010109580 A KR20010109580 A KR 20010109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s
porous powder
vitamin
cosmetic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언
Original Assignee
윤동한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한,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동한
Priority to KR102000002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580A/ko
Publication of KR20010109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580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 또는 열에 약한 비타민류를 화장료 중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비타민류를 우선 캡슐화하여 안정화시킨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과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여타 화장료의 조성 중에 포함시켜 화장료로 구성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다공성 분체와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시키고,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고점도의 액상오일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며, 더욱 탄소수 16 내지 36의 에스테르화합물과 탄소수 16 내지 18의 고급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안정적이고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 {Vitamin capsule for cosmetics,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cosmetics composition of stick type containing it}
본 발명은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 또는 열에 약한 비타민류를 화장료 중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비타민류를 우선 캡슐화하여 안정화시킨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과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여타 화장료의 조성 중에 포함시켜 화장료로 구성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통상 '립스틱’으로 호칭되는 봉상 화장료는 입술에 도포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는기능에 더해 입술에 보습효과, 트리트먼트효과 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보습효과 및 트리트먼트효과의 개선을 위하여 종래의 봉상 화장료들은 (1) 천연 고형 유성원료를 다량으로 배합하거나, (2) 스쿠알렌, 피마자유, 실리콘오일 등의 유성 액상 원료를 다량으로 배합하거나, (3) 식물성 추출물, 히아루론산, 토코페롤(비타민류)의 첨가물을 다량으로 배합하거나, 또는 (4) 보습제 등으로 피복처리된 분체원료를 다량으로 배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었다.
그러나, (1)의 고형 유성원료의 다량 배합의 경우는 사용할 때 입술에 거친 감을 주며, 봉상 화장료의 경도의 증가 등으로 화장료가 입술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2)의 액상 유성 원료의 다량 배합의 경우는 봉상 화장료의 경도의 감소로 형태유지가 곤란하게 될 수 있으며, 입술에의 도포 후에도 경시적으로 화장료의 전이(접촉시 도포된 화장료의 일부가 묻어나오는 현상) 및 번짐 등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3)의 식물성 추출물, 히아루론산, 토코페롤(비타민류)의 첨가물의 다량 배합의 경우는 봉상 화장료 자체의 안정성이나, 자극성 및 알러지 발생 가능성 등의 이유로 배합비율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4)의 보습제로 피복처리된 분체원료의 다량의 배합의 경우는 분산의 문제점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화장료의 기능성의 강화를 위하여 비타민류를 안정적으로 화장료 중에 포함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빛 또는 열에 약한 비타민류의 안정화 및 유성베이스에 혼화하기에 적절한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빛 또는 열에 약한 비타민류의 안정화 및 유성베이스에 혼화하기에 적절한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빛 또는 열에 약한 비타민류를 캡슐화한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타민 캡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타민 캡슐의 외형을 확대하여 촬영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타민 캡슐의 내부를 확대하여 촬영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은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이 비어있는 다공성 분체와 혼합하여 상기 비타민류를 상기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시키고, 상기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의 제조방법은 액상의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이 비어있는 다공성 분체에 혼합하여 상기 비타민류를 상기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및 상기 액상의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과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의 다른 제조방법은 고체상의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상기 용융되어액화된 비타민류를 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이 비어있는 다공성 분체에 혼합하여 상기 비타민류를 상기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상기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및 냉각된 다공성 분체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과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은 10 내지 30중량의 봉상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형유성성분과, 15 내지 45중량의 탄소수 16 내지 36의 에스테르화합물과, 1 내지 10중량의 탄소수 16 내지 18의 고급알코올과, 5 내지 15중량의 전술한 비타민 캡슐과, 1 내지 15중량의 색소와, 0 내지 20중량의 봉상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체 및 잔량으로서 봉상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상유성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은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20)을 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이 비어있는 다공성 분체(이하 '다공성 분체'라 약칭함)(10)와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10) 내부의 비어있는 중심부로 상기 비타민류(20)를 흡수시키고, 비타민류(20)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10)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20)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30)로 코팅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다공성 분체는 상용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또는 나일론 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의 혼합물로서의 비타민류는 모두 공지의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 것들로서, 지용성 비타민에는 레티놀, 팔미틴산레티놀 등의 비타민A류, 비타민D류, 비타민E류 및 비타민F류(필수지방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수용성 비타민에는 비타민B2, 비타민B6, 비오틴 등의 비타민B류, 스테아린산아스코빌, 팔미틴산아스코빌 등의 비타민C류 및 비타민P류(프로폴리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캡슐화하는 데 사용되는 비타민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의 혼합물로서, 비타민류의 혼합물 중에서의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의 혼합비 등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에 전혀 제한을 받지 아니하고,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 내지 30중량의 비타민류를 70 내지 99중량의 다공성 분체와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으로 비타민류가 흡수되도록 한다.
비타민류의 비율이 1중량미만인 경우에는 생산되는 비타민 캡슐에서의 비타민함량이 너무 낮아져서 비타민의 함유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타민함량이 너무 높아져서 비타민류가 충분히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아 적절한 비타민 캡슐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의 표면에는 고점도의 액상오일이 코팅될 수 있으며, 고점도의 액상오일의 코팅은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와 고점도의 액상오일의 혼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 21 내지 70중량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 30 내지 79중량와 혼합하므로써 최종적으로 소정의 비타민 캡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고점도의 액상오일로는 피마자유, 폴리부텐,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또는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 캡슐은 특히 피부에로의 이행시에 피부의 상태에 따라 특히 피부가 건성일수록 상기 비타민 캡슐을 구성하는 액상오일의 작용에 의하여 피부에로 비타민이 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의 제조방법은 액상의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다공성 분체에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 중에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및 액상의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고점도의 액상오일과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수단계에서는 단지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다공성 분체와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다공성 분체내로 액체상의 비타민류가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단계에서 수득된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는 계속해서 상기 코팅단계에서 고점도의 액상오일과의 혼합에 의하여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의 표면에 액상오일이 코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타민류가 실온에서 고체상인 경우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의 제조방법은 다공성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상기 용융되어 액화된 비타민류를 다공성 분체에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 중에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및 냉각된 다공성 분체를 실온에서 고점도의 액상오일과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고체상의 비타민류를 다공성 분체 중에 용이하게 흡수시키기 위하여 우선 고체상의 비타민류를 액상으로 용융시키는 용융단계를 거쳐 비타민류를 다공성 분체에 흡수시키고,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냉각단계에서 냉각시켜 다공성 분체 중에 흡수된 비타민류가 다시 고체상으로 되도록 하거나, 적어도 점도를 증대시켜 다공성 분체로부터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한 후, 계속해서 코팅단계에서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 21 내지 70중량를 실온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 30 내지 79중량와 혼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소정의 비타민 캡슐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10 내지 30중량의 고형유성성분과, 15 내지 45중량의 에스테르화합물과, 1 내지 10중량의 고급알코올과, 5 내지 15중량의 비타민 캡슐과, 1 내지 15중량의 색소와, 0 내지 20중량의 분체 및 잔량으로서 액상유성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고형유성성분은 화장료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 화장료의 성형성을 높이면서도 피부와의 접촉시 피부에로의 이행 및 피부에의 접착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고형유성성분은 립스틱과 같은 통상의 봉상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형유성성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세레신, 파라핀, 카르바우나납, 칸데릴라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형유성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10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고형유성성분이 10중량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성형성이 좋지 않아 소정의 형상으로의 성형이 곤란하게 될 수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거친 사용감을 줄 수 있으며, 또한 피부에로의 이행이 잘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에스테르화합물은 특히 화장료의 사용에 있어서 피부에 보습성 및 트리트먼트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 에스테르화합물 역시 립스틱과 같은 통상의 봉상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에스테르화합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에스테르화합물로서 탄소수 16 내지 36의 에스테르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지방산과 탄소수 6 내지 20의 고급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탄소수 14 내지 18의 직쇄지방산과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탄소수 8 내지 17의 분기지방산과 탄소수 16 내지 20의 분기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에스테르화합물의 예로서는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옥틸도데실, 유산세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15 내지 4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되는 고급알코올과 함께 사용자의 사용감 및 보습성 등을 고려하여 다수에게서 높은 사용감을 느낄 수 있는 함량을 선택한 것이다.
상기에서 고급알코올은 특히 화장료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화합물과 함께 피부에 보습성 및 트리트먼트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 고급알코올 역시 립스틱과 같은 통상의 봉상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알코올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급알코올로서 탄소수 16 내지 18의 고급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코올의 예로서는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또는 올레일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코올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에스테르화합물과 함께 사용자의 사용감 및 보습성 등을 고려하여 다수에게서 높은 사용감을 느낄 수 있는 함량을 선택한 것이다.
상기에서 비타민 캡슐은 화장료 조성물에 최초로 도입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것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입된 것으로서, 화장료의 피부에로의 이행시 피부에 비타민을 서방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기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는 1 내지 15중량의 색소와 0 내지 20중량의 분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색소와 분체 등은 화장료의 색상 및 제형의 조절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화장료의 제형의 조절을 위하여 통상의 액상유성성분을 잔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액상유성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마자유, 메틸페닐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오일 및 스쿠알란 등의 통상적인 액상유성성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현미경사진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타민류의 캡슐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비타민 캡슐의 사진은 각각 그 외형 및 내부를 확대하여 촬영한 것이다(OLYMPUS BX40, 배율 40*/0.65, ∞/0.17).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이것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의 조성으로 봉상의 화장료를 제조하여 성인 여성 100인으로 구성된 관능평가단에 의하여 보습성과 사용감 및 발색성의 항목에 대하여 다음의 5단계의 품평기준으로 최초 도포시와 도포 후 1시간 경과 후로 관능평가하여 그 평가결과를 평균으로 표시하여 표 2(최초 도포시) 및 표 3(1시간 경과 후)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의 비타민 캡슐은 본 발명에 따라 30g의 액상의 비타민 혼합물을 나일론 재질의 다공성 분체인 NYLONPOLY WL-12(상표명; CREATIONS COULEURS사 제조)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의 다공성 분체인 PMMA(MP-2700M)(상표명; Sokenchemical & Engineering사 제조) 40g에 흡수시킨 후, 이를 과량의 피마자유에 침적시켜 상기 다공성 분체의 표면을 코팅한 것을 사용하였다.
품평기준(5단계 품평기준)
(1) 보습성
5 : 매우 촉촉하다, 4 : 조금 촉촉하다, 3 : 보통이다, 2 : 조금 건조하다,
1 : 매우 건조하다
(2) 사용감
5 : 매우 부드럽다, 4 : 조금 부드럽다, 3 : 보통이다, 2 : 조금 나쁘다,
1 : 매우 나쁘다
(3) 발색성
5 : 매우 좋다, 4 : 조금 좋다, 3 : 보통이다, 2 : 조금 나쁘다,
1 : 매우 나쁘다
조성원료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고형유성성분 세레신 8.0 8.0 8.0 8.0 8.0 8.0
파라핀 5.0 5.0 5.0 5.0 5.0 5.0
카르바우나납 3.0 3.0 3.0 3.0 3.0 3.0
칸데릴라납 3.0 3.0 3.0 3.0 3.0 3.0
라놀린 10.0 10.0 10.0
에스테르화합물 라우린산헥실 5.0 5.0 5.0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5.0 5.0 5.0
팔미틴산이소프로필 5.0 5.0 5.0
미리스틴산미리스틸 5.0 5.0 5.0
디메틸옥탄산옥틸도데실 5.0 5.0 5.0
유산세틸 5.0 5.0 5.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0.0 10.0 10.0
고급알코올 세탄올 5.0 5.0 5.0
비타민 캡슐 비타민 캡슐 10.0 10.0 10.0
색소 적색 201호 4.0 4.0
적색 202호 4.0 4.0
황색 5호 2.0 2.0
산화제이철 3.0 2.0 3.0 2.0
황색산화철 5.0 2.0 5.0 2.0
흑색산화철 1.0 0.5 1.0 0.5
울트라마린 1.0 0.5 1.0 0.5
분체 운모 10.0 10.0
액상유성성분 피마자유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0 10.0 10.0
스쿠알란 10.0 10.0 10.0
처음 도포시 품평 결과
품평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보습성 4.8 4.5 4.5 4.5 4.0 3.8
사용감 4.8 4.5 4.8 4.8 4.5 4.0
발색성 4.8 4.5 4.5 4.5 3.5 4.0
품평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보습성 4.8 4.5 4.5 4.0 3.5 3.5
사용감 4.8 4.5 4.8 4.5 4.0 3.5
발색성 4.8 4.5 4.5 4.3 3.0 4.0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수득되는 봉상 화장료의 경우, 상기 비교예로 나타나는 기존의 봉상 화장료에 비하여 보습성, 사용감 및 발색성의 면에서 동일하거나 특히 피부 적용 후, 경시적으로 보다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온에서의 장기간 방치 후의 육안검사에 따른 형태안정성 및 경시안정성에서도 유의할 만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화장료로서의 안정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적이고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이 비어있는 다공성 분체와 혼합하여 상기 비타민류를 상기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시키고, 상기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로 코팅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류 1 내지 30중량를 70 내지 99중량의 상기 다공성 분체에 혼합시켜 흡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 21 내지 70중량를 상기 액상오일 30 내지 79중량에 혼합시켜 상기 다공성 분체 표면을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과량의 상기 액상오일에 침적시키므로써 상기 다공성 분체 표면을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오일이 피마자유 또는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6. 액상의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이 비어있는 다공성 분체에 혼합하여 상기 비타민류를 상기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및
    상기 액상의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과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가 상기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과량의 상기 액상오일에 침적시켜 코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의 제조방법.
  8. 고체상의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의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상기 용융되어 액화된 비타민류를 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이 비어있는 다공성 분체에 혼합하여 상기 비타민류를 상기 다공성 분체 내부로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상기 비타민류가 흡수된 다공성 분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및
    냉각된 다공성 분체를 실온에서 상기 비타민류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액상오일과 혼합하여 다공성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의 제조방법.
  9. 10 내지 30중량의 봉상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형유성성분과, 15 내지 45중량의 탄소수 16 내지 36의 에스테르화합물과, 1 내지 10중량의 탄소수 16 내지 18의 고급알코올과, 5 내지 15중량의 제1항의 비타민 캡슐과, 1 내지 15중량의 색소와, 0 내지 20중량의 봉상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체 및 잔량으로서 봉상화장료의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상유성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화합물로서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지방산과 탄소수 6 내지 20의 고급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탄소수 14 내지 18의 직쇄지방산과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탄소수 8 내지 17의 분기지방산과 탄소수 16 내지 20의 분기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화합물로서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옥틸도데실, 유산세틸 또는 이들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알코올로서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또는 올레일알코올 등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캡슐을 포함하는 봉상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29399A 2000-05-30 2000-05-30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봉상화장료 조성물 KR20010109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399A KR20010109580A (ko) 2000-05-30 2000-05-30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봉상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399A KR20010109580A (ko) 2000-05-30 2000-05-30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봉상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580A true KR20010109580A (ko) 2001-12-12

Family

ID=4586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399A KR20010109580A (ko) 2000-05-30 2000-05-30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봉상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5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04A (ko) * 2018-06-12 2019-12-20 이원목 투명성상의 이중구조를 갖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0966A (ko) 2021-02-24 2022-08-31 한국콜마주식회사 비타민c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04A (ko) * 2018-06-12 2019-12-20 이원목 투명성상의 이중구조를 갖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0966A (ko) 2021-02-24 2022-08-31 한국콜마주식회사 비타민c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0760B2 (en) Coloured cosmetic sticks
US4695452A (en) Cosmetic stick
AU2006261991B2 (en) Encapsulated cosmetic compositions
US5225186A (en) High cosmetic powder lipstick composition
JP2002154927A (ja) 多層構造を有する角度依存性色材を含有する親油性連続相を有する化粧用組成物とそのメークアップのための使用
JPH02295912A (ja) 肌用化粧料
US11273119B2 (en) Lipid mixture of octyldodecanol and hydrogenated rapeseed oil
US5106625A (e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sisting essentially of a dextrin fatty acid ester, a glycerol fatty acid ester and an oil
US20170319454A1 (en) Makeup cosmetic
JPH0532363B2 (ko)
JP2010280692A (ja) 透明オイルゲル化系
JP2008105951A (ja) スティック状口唇用化粧料
KR100294792B1 (ko) 화장료용비타민캡슐,비타민캡슐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봉상화장료조성물
JP4606187B2 (ja) 化粧料
KR101899869B1 (ko) 메이크업 화장료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10109580A (ko) 화장료용 비타민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봉상화장료 조성물
MXPA04006849A (es) Masa de gel conteniendo pigmento basada en lipidos.
JP2003321318A (ja) 非水系基剤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82348B1 (ko)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KR101076308B1 (ko) 스프레이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WO2017163980A1 (ja) 化粧品
JP2571098B2 (ja) 油性化粧料
KR102622689B1 (ko)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