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838A -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838A
KR20010107838A KR1020010067295A KR20010067295A KR20010107838A KR 20010107838 A KR20010107838 A KR 20010107838A KR 1020010067295 A KR1020010067295 A KR 1020010067295A KR 20010067295 A KR20010067295 A KR 20010067295A KR 20010107838 A KR20010107838 A KR 2001010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current
room temperature
equa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영
Original Assignee
최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영 filed Critical 최창영
Priority to KR102001006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838A/ko
Publication of KR2001010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순히 실내온도만을 고려하는 종래의 팬코일유닛 제어방법보다 더 쾌적하게 실내의 공기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열원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를 여름철작동모드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하는 단계(S100)와,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여름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냉방하는 단계(S200) 및,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팬코일유닛에 부착된 가습기(10a)의 가습량을 조절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Method Of Controlling Fan Coil Units}
본 발명은 공기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건물의 실내온도뿐만 아니라 습도까지 고려하여 실내의 쾌적한 공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냉난방용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코일유닛은 병원, 오피스텔, 사무실, 호텔 등과 같은 건물에 사용되는 공기조절장치로서, 열교환용 코일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냉동기 또는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수(예컨대, 냉수나 온수)를 통과시켜 주변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러한 냉기 또는 온기를 송풍팬과 모터로 구성되는 송풍기의 송풍량을 조절하여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종래의 팬코일유닛(FCU; Fan Coil Unit)은 공기흡입구(11)와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흡입구(11) 쪽에 배치되는 필터(2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필터(20)와 근접하여 배치되는 송풍기(3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토출구(12) 쪽에 배치되는 열교환기(40)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0)의 감지신호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풍기(30)의 회전수(rpm)를 3단계(예컨대, 약풍, 중풍, 강풍)로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냉난방하는 송풍컨트롤러(6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팬코일유닛은 송풍컨트롤러(60)가 온도센서(50)에 의해 감지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서 송풍기(30)의 회전수를 3단계로 자동 조절하면, 냉동기(도시하지 않음) 또는 보일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나 온수와 같은 열원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40)에 의해 주변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공기토출구(12)를 통하여 건물의 실내로 토출됨에 따라서 건물의 실내가 최적의 온도상태로 냉난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지 온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온도만을 고려하여 송풍기(30)의 회전수를 3단계로 조절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는 종래의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은, 송풍기(30)의 회전수가 3단계로 조절됨에 따라서 냉난방 부하에 대한 응답특성이 느리고 에너지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난방으로 인한 상대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습도를 고려하여 실내를 냉난방할 수 없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건물의 실내온도뿐만 아니라 습도를 고려하여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제습을 위하여 가습기가 부착된 팬코일유닛의 송풍량을 무단으로 제어하는 한편, 겨울철에는 상기 팬코일유닛의 송풍량을 무단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가습기를 제어하도록 된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팬코일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팬코일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0a: 가습기
11 : 공기흡입구 12 : 공기토출구
20 : 필터 30 : 송풍기
40 : 열교환기 50a: 온습도센서
50b: 온도센서 60a: 송풍컨트롤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은 열원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를 여름철작동모드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여름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난방하는 단계 및, 상기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상기 팬코일유닛에 부착된 가습기의 가습량을 조절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유닛의 케이스(10)에는 공기흡입구(11)와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에는 가습기(10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필터(20)는 케이스(10) 내부의 공기흡입구(11) 쪽에 배치되며, 송풍기(3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필터(20)와 근접하여 배치되고, 열교환기(4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토출구(12) 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온습도센서(50a)는 건물 실내의 적소에 설치되어 실내온도와 습도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열교환기(40)의 열원수공급환의 표면에는 열원수의 온도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50b)가 장착된다.
아울러 송풍컨트롤러(60a)는 열원수의 온도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서 송풍기(30)의 작동모드를 여름철작동모드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하게 되는데, 여름철작동모드일 경우에는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상기 송풍기(30)의 회전수(rpm)를 조절하여 실내를 냉방하며, 겨울철작동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상기 송풍기(30)의 회전수(rpm)를 조절하여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10)에 부착된 가습기(10a)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때 상기 송풍컨트롤러(60a)는 단상 전기를 이용하여 PCB기판에서 하나의 극을 생성한 후 송풍기(30)의 모터를 3상과 같은 형식의 무단으로 제어하여송풍기(30)를 구동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유닛은 송풍컨트롤러(60a)에 의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어되어 작동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최초에 송풍컨트롤러(60a)는 열원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를 여름철작동모드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하게 된다.(S100)
이때 열원수온도(Tw)는 팬코일유닛이 설치되는 건물의 장소나 실내면적 등을 고려하여 소정치로 설정하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섭씨 35도로 설정하고 있다.
예컨대, 열교환기(40)의 열원수공급관의 표면에 설치된 온도센서(50b)에 의해 감지된 열원수의 온도가 섭씨 35도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팬코일유닛을 여름철작동모드로 작동시키고, 섭씨 35도 이상이면 겨울철작동모드로 작동시키게 된다.
먼저,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여름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송풍컨트롤러(60a)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S200)
만약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대실내온도(T1s) 이상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최대회전수(P1)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게 된다.(S201)(S202)
또한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상이고 최대실내온도(T1s)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회전수(Pms)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게 된다. (S203)(S204)
그리고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상이고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205)(S206)
이때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으로 판별되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 설정온도에서의 회전수(Pss)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키고,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하로 판별되면 현재의 회전수(Pms)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상기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게 된다. (S207)(S208)
한편,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하가 아니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서 현재 설정온도에서의 회전수(Pss)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키거나 현재의 회전수(Pms)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키게 된다.(S209)
이어서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210)
이때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이 아니면 송풍컨트롤러(60a)는 최소회전수(P2)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211)(S212)
만약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로 판별되면 송풍컨트롤러(60a)는 송풍기(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게 된다.(S212)(S213)
마지막으로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으로 판별되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인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가 아니면 현재 설정온도에서의 회전수(Pss)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하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209)로 리턴하고,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로 판별되면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인가를 판별하게 되는 단계(S212)로 리턴하게 된다.(S214)(S215).
다음으로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송풍컨트롤러(60a)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팬코일유닛에 부착된 가습기(10a)의 가습량을 조절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S300)
만약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w)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최대회전수(P1)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301)(S302)(S303)
그리고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w) 이상이고 최대조절온도(T1w)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회전수(Pmw)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304)(S305)(S303)
또한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대조절온도(T1w) 이상이고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최소회전수(P2)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306)(S307)(S303)
만약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대조절온도(T1w) 이상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인가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이면 송풍기(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가 아니면 최소회전수(P2)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키게 된다.(S308)(S309)
또한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한 결과,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가습기(10a)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게 된다.(S303)(S310)
반면에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이 아니면 송풍컨트롤러(60a)는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상이고 최대설정습도(H1) 이하인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상이고 최대설정습도(H1) 이하이면 현재의 가습량(HPmw)으로 가습기(10a)를 작동시킨 후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게 된다.(S311)(S312)
끝으로 온습도센서(50a)에 의해 감지된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하이면 송풍컨트롤러(60a)는 최대가습량(HP1)으로 가습기(10a)를 작동시키고,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하가 아니면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303)로 리턴하게 된다.(S313)(S314)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에 있어서, 여름철작동모드에서의 송풍기(30)의 현재 회전수(Pms)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상의 상관식; f(T)s=P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작동모드에서의 송풍기(30)의 현재의 회전수(Pmw)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상의 상관식; f(T)w=P에 의해 구할 수 있으며, 가습기(10a)의 현재 가습량(HPmw)은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상의 상관식: f(H)w=P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은 건물의 실내온도뿐만 아니라 습도를 고려하여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제습을 위하여 가습기가 부착된 팬코일유닛의 송풍량을 무단으로 제어하는 한편, 겨울철에는 상기 팬코일유닛의 송풍량을 무단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가습기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3단계로 송풍기의 송풍량을 조절하고 실내온도만을 고려하는 종래의 팬코일유닛 제어방법보다 더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냉난방부하에 대한 응답특성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쾌적하게 실내의 공기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유닛 제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열원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를 여름철작동모드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하는 단계(S100)와,
    상기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여름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냉방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팬코일유닛의 작동모드가 겨울철작동모드로 결정되면 건물의 실내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팬코일유닛의 송풍기(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건물의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상기 팬코일유닛에 부착된 가습기(10a)의 가습량을 조절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코일유닛을 여름철작동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S200)는 현재 측정실내온도(Tm)가 최대실내온도(T1s) 이상이면 최대회전수(P1)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는 단계(S201)(S202)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상이고 최대실내온도(T1s) 이하이면 현재의 회전수(Pms)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는 단계(S203)(S204)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상이고 상기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이면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205)(S206)와,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으로 판별되면 현재 설정온도에서의 회전수(Pss)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키고 상기 현재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하로 판별되면 현재의 회전수(Pms)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상기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는 단계(S207)(S208)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하가 아니면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서 현재 설정온도에서의 회전수(Pss)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키거나 현재의 회전수(Pms)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키는 단계(S209)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하이면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210)와,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이 아니면 최소회전수(P2)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211)(S212)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로 판별되면 상기 송풍기(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는 단계(S212)(S213)와,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으로 판별되면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인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가 아니면 현재 설정온도에서의 회전수(Pss)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s) 이하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209)로 리턴하고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여름철설정실내온도(Tss) 이하로 판별되면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팬오프설정온도(Tf) 이하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212)로 리턴하는 단계(S214)(S215)로 작동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코일유닛을 겨울철작동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S300)는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w) 이하이면 최대회전수(P1)로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301)(S302)(S303)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저실내온도(T2w) 이상이고 최대조절온도(T1w) 이하이면 현재의 회전수(Pmw)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304)(S305)(S303)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대조절온도(T1w) 이상이고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이면 최소회전수(P2)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킨 후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306)(S307)(S303)와,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최대조절온도(T1w) 이상이면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인가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이면 상기 송풍기(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현재의 측정실내온도(Tm)가 실내최대설정온도(Th) 이하가 아니면 최소회전수(P2)로 상기 송풍기(3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8)(S309)와,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한 결과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이면 상기 가습기(10a)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작동모드 결정단계(S100)로 리턴하는 단계(S303)(S310)와,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이 아니면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상이고 최대설정습도(H1) 이하인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상이고 최대설정습도(H1) 이하이면 현재의 가습량(HPmw)으로 상기 가습기(10a)를 작동시킨 후 작동모드결정단계(S100)로 리턴하는 단계(S311)(S312) 및,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하이면 최대가습량(HP1)으로 상기 가습기(10a)를 작동시키고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소설정습도(H2) 이하가 아니면 현재의 측정실내습도(Hm)가 최대설정습도(H1)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303)로 리턴하는 단계(S313)(S314)로 작동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KR1020010067295A 2001-10-30 2001-10-30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KR20010107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95A KR20010107838A (ko) 2001-10-30 2001-10-30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95A KR20010107838A (ko) 2001-10-30 2001-10-30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838A true KR20010107838A (ko) 2001-12-07

Family

ID=4581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295A KR20010107838A (ko) 2001-10-30 2001-10-30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6659A (zh) * 2013-03-28 2013-08-21 汪洋 一种安装在室内墙体上的兼具对流与辐射功能的空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6659A (zh) * 2013-03-28 2013-08-21 汪洋 一种安装在室内墙体上的兼具对流与辐射功能的空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889B1 (ko) 환기시스템 및 제어방법
EP0947783B1 (en) Air conditioner
JP2001304645A (ja) 空気調和装置
KR910000263B1 (ko) 공기조화기
JP2001280663A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145012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3276028B2 (ja) 換気装置
JP3785866B2 (ja) 空気調和装置
JP3900608B2 (ja) 空調機
KR20010107838A (ko) 팬코일유닛 제어방법
CN110736142B (zh) 一种空调器及其不降温快速除湿控制方法
JP2000104978A (ja) 空気調和機
JP2002048468A (ja) 浴室乾燥システム
JPH08100943A (ja) 空気調和装置
JP3369337B2 (ja) 空気調和機
JP2000161685A (ja) 温風式床暖房システム
CN111895578B (zh) 一种空调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空调系统
JPH05248690A (ja) 空気調和装置
KR960001656A (ko) 에어콘의 트윈송풍장치 및 방법
JPH043653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ファン運転方法
JP4040727B2 (ja) 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の温湿度制御装置
JP2000154931A (ja) 空気調和機の給気温度設定値演算装置
JPH0926152A (ja) 空気調和機
JP2002333190A (ja) 空調制御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2004125230A (ja) 空調システムの暖房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