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165A - 절도감있는 수동이기 - Google Patents

절도감있는 수동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165A
KR20010106165A KR1020010015215A KR20010015215A KR20010106165A KR 20010106165 A KR20010106165 A KR 20010106165A KR 1020010015215 A KR1020010015215 A KR 1020010015215A KR 20010015215 A KR20010015215 A KR 20010015215A KR 20010106165 A KR20010106165 A KR 20010106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handle
blade
spring
circul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코 호리베
구니테루 가와시모
Original Assignee
카와시마 시로
카와시마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시마 시로, 카와시마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카와시마 시로
Publication of KR2001010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날 부분 등의 작용부를 작은 힘으로도 절도감있게 손잡이에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고, 전체적으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접이식 수동이기(手動利器)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공한다.
날부분(10)등의 작용부의 후단측에 일체화되며 중심축(22)이 통과하는 회동부재(30)와, 이 회동부재(30)를 전단부로 감싸면서 중심축(22)을 가지는 이분할된 손잡이 부재(21a, 21b)와, 이들 손잡이 부재(21a, 21b)의 적어도 한 쪽 전단부 내면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24) 또는 원형 돌출부와, 이들 원형 오목부(24) 또는 원형 돌출부에 끼워맞춰지도록 회동부재(30)측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32) 또는 원형 오목부와, 이 원형 돌출부(32)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원형 돌출부(32)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각 단부가 출입하는 대략 Ω자 형상의 스프링(40)과, 윈도우로부터 돌출된 스프링(40)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도록,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에 형성된 덴트(dent;25)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절도감있는 수동이기 {TWISTED HANDLE TONGS}
본 발명은 날 부분을 손잡이 내부에 접어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나이프, 가정용 칼, 혹은 나사돌리는 선단부를 손잡이 내부에 접어넣도록 이루어진 드라이버 등의 수동이기(手動利器)에 관한 것이다.
가령, 접이식 나이프와 같이, 작용부인 날 부분을 손잡이 내부에 접어 넣도록 하여 날 부분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납 공간을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이미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에 대하여 작용부를 접어넣는 방법은 가정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의 다른 수동 이기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온 것이다.
그리고, 가령 접이식 나이프를 살펴보면, 날 부분과 일체적인 슴베(tang)부분을 손잡이 내부에 수납하여 두고, 이 슴베 부분의 단부를 판 스프링으로 누르도록 하여 나이프의 개방 또는 수납을 안정감있게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과 슴베 부분을 사용한 접이식 구조에서는, 날 부분과 슴베 부분을 일체 성형하여야만 한다는 점, 판 스프링을 '손잡이'라는 매우 좁은 공간내부에 수납해야만 한다는 점 등 때문에, 손잡이나 날 부분 등을 금속 재료로 형성하여야만 하므로, 제조 공정이 많아지고 더욱이 기술적으로도 주의를 요하는 부분이 많아져 결국에는 전체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만다.
또, 상기 판 스프링과 슴베 부분을 이용한 접이식 구조에서는, 그 수납 및 개방이 확실히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날 부분 등과 같은 작용부를 손잡이로부터 꺼내거나 수납하는데 힘이 필요하므로 힘없는 어린이나 노인이 사용하기에는 약간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각종 물품에 대하여 쓰레기가 되었을 때 간단히 처리가능한 기능이 더욱 요망되고 있는데, 이는 이러한 종류의 수동 이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이러한 종류의 수동 이기를 개발할 때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수지 부분과 금속 부분이 간단히 분리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작용부를 손잡이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려면 어떤 구조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각종 검토를 거듭해 온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접이식 수동이기에 대한 상기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이 조작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날 부분 등의 작용부를 손잡이에 대하여 절도감있게 가볍게 넣거나 꺼낼 수 있고, 더욱이 전체적인 조립이 간단한 접이식 수동이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수동이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작용부인 날부분을 완전히 해방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수동이기의, 좌측 손잡이 부재를 떼어 내고 날부분을 약간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상기 수동이기의, 우측 손잡이 부재로부터 날부분을 떼어 내고, 날부분을 샌드위치하던 우반신체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수동이기의 날부분의 내측 단부에 조립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좌반신체에 조립되는 스프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기 수동이기의 날부분이 손잡이에 대하여 완전히 해방되었을 때, 중심축을 중심으로 본 부분 확대 횡단면도.
도 6은 상기 날부분을 손잡이에 대하여 약간 접었을 때, 중심축을 중심으로 본 부분 확대 횡단면도.
도 7은 상기 날부분을 손잡이 내부에 수납하였을 때, 중심축을 중심으로 본 부분 확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수동이기 10 : 날부분
11 : 인출용 돌기 12 : 개구
20 : 손잡이 21a : 우측 손잡이 부재
21b : 좌측 손잡이 부재 22 : 중심축
23 : 날부분 수납용 오목부 24 : 원형 오목부
25 : 덴트(dent) 26 : 스토퍼 걸림 결합부
27 : 연결핀 30 : 회동부재
31a : 우반신체 31b : 좌반신체
32 : 원형 돌출부 33 : 통과홀
34 : 윈도우 35 : 스토퍼
36 : 고정핀 40 : 스프링
41 : 단부 50 : 중심지지 나사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후술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하자면,
「날 부분(10)등의 작용부를 손잡이에 대하여 하나의 중심축(22)에 관하여 접을 수 있도록 조립한 수동 이기(100)로서,
날 부분(10)등의 작용부의 후단측에 일체화되며 중심축(22)이 통과하는 회동부재(30)와, 이 회동부재(30)를 전단부로 감싸면서 중심축(22)을 가지는 이분할된 손잡이 부재(21a, 21b)와, 이들 손잡이 부재(21a, 21b)의 적어도 한 쪽의 전단부 내면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24) 또는 원형 돌출부와, 이들 원형 오목부(24)또는 원형 돌출부에 끼워 맞춰지도록 회동부재(30)측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32) 또는 원형 오목부와, 이 원형 돌출부(32)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원형 돌출부(32)에 형성된 윈도우(34)를 통해 각 단부(41)가 출입하는 대략 Ω자 형상의 스프링(40)과, 윈도우(34)로부터 돌출된 스프링(40)의 단부(41)를 걸어 고정하도록,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에 형성된 덴트(25)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이기(100).」이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된 수동 이기(100)는, 그 작용부인 예를 들면, 나이프의 날 부분(10)의 베어링부 내측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30)를 구성하는 우반신체(右半身??;31a)와 좌반신체(左半身??;31b)로 샌드위치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날 부분(10)의 내측에 회동부재(30)를 일체화하는 동시에, 이 회동부재(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우측 손잡이 부재(21a)측에 형성된 중심축(22)에 그 통과홀(33)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한 후, 회동부재(30)를 샌드위치하도록 하면서, 우측 손잡이 부재(21a)에 좌측 손잡이 부재(21b)를 끼워 맞추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실시형태의 수동 이기(100)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반신체(31b)의 외측면에 원형 돌출부(32)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두고, 이 원형 돌출부(32)의 내측에 스프링(40)을 수납하는 동시에 원형 돌출부(32)에 형성되어 있는 윈도우(34)를 통해 스프링(40)의 각 단부(41)가 출입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원형 돌출부(32)의 외측에는 도 2에 도시된 좌측 손잡이 부재(21b)측의 원형 오목부(24)가 배치되어 있고, 이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에 형성된 각 덴트(25)에는 스프링(40)측의 단부(41)가,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동 이기(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날부분(10)이 손잡이(20)로부터 꺼내어져 완전히 해방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0)의 각 단부(41)는, 회동부재(30)쪽의 원형 돌출부(32)에 형성된 각 윈도우(34)로부터 손잡이(20)쪽의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을 향하도록 돌출되고, 이 원형 오목부(24)에 형성되어 있는 각 덴트(25)내에 걸림 결합되어있는 것이다. 이들 각 단부(41)와 원형 오목부(24)측의 덴트(25)가 서로 걸림 결합됨으로써, 날부분(10)은 손잡이(20)에 대하여 그 개방 위치가 유지된다. 왜냐하면, 스프링(40)은 그 각 단부(41)가 회동부재(30)측의 원형 돌출부(32)에 형성되어 있는 각 윈도우(34)내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회동부재(30)에 대하여 일체화되고, 그 회동부재(30)는 날 부분(10)에 대하여 일체화되어 있으며, 한편 각 단부(41)가 정지되어 있는 덴트(25)는 손잡이(20)와 일체적인 원형 오목부(24)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손잡이(20)내부에 수납하기 위하여 날부분(10)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접으면, 손잡이(20)쪽의 덴트(25)와 스프링(40)쪽의 각 단부(41)의 결합이 풀린다. 왜냐하면, 스프링(40)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Ω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20)와 일체적인 중심축(22)과 회동부재(30)측의 원형 돌출부(32)간의 공간 내부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날 부분(10)에 힘이 가해졌을 때 이 공간 내부에서 지름이 줄어들어 스프링(40)의 각 단부(41)가 원형 돌출부(32)의 윈도우(34)내부로 이끌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날 부분(10)은 여기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접어야만 하며, 이는도 5와 같은 개방 상태가 스프링(40)에 의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이 날부분(10)을 약간 힘주어 접어야만 한다는 것은, 그 때 사용자로 하여금 절도감(節度感)을 느끼도록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날 부분(10)이 일단 접히면, 스프링(40)은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 스프링(40)의 각 단부(41)는 원형 돌출부(32)의 각 윈도우(34)내부에 매설(埋設)된 상태가 되고, 그 각 외단면은 계속되는 날 부분(10)의 접기 조작에 따라 다음의 덴트(25)가 올 때까지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을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이다. 각 단부(41)의 외단면이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을 슬라이딩한다는 것은, 날부분(10)측과 손잡이(20)측 사이에 어느 정도의 마찰력이 발생함을 의미하며, 날부분(10)이 손잡이(20)에 대하여 함부로 회동하는 일이 없음을 의미한다. 물론, 스프링(40)은 문자그대로 스프링 기능, 즉, 지름이 줄어들 때에는 각 단부(41)가 외방으로 돌출하려는 탄발력을 가지므로, 도 6과 같은 상태의 각 단부(41)는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에 탄발적으로 맞붙고, 이로써 양자간의 마찰력이 강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날 부분(10)의 접기가 종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부(41)는 다른 덴트(25)내부에 걸림 결합된다. 즉, 각 단부(41)와 덴트(25)의 관계는 도 5와 같이 되며 접힌 상태는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다.
물론, 도 7의 접힌 상태로부터 날부분(10)을 일으키려면, 가령 날부분(10)의 인출용 돌기(11)를 이용해야하는데 이 경우에도 절도감이 느껴지는 것은, 개방된날부분(10)을 접을 때와 마찬가지이며 날부분(10)을 완전히 일으킬 때까지, 즉, 도 5와 같은 상태가 될 때까지는 상기한 도 6의 경우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을 발휘한다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그리고, 이 수동이기(100)의 날부분(10)이나 중심지지 나사(50)등과 같이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분이외의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형상은 「원」을 기조로 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중심지지 나사(50)를 떼어 내면, 그 수동이기(100)는 간단히 분해될 뿐만 아니라 날부분(10)이나 중심지지 나사(50)등과 같은 금속 부분과, 기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분이 간단히 분리되기 때문에, 쓰레기가 된 경우 자원을 간단히 분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손잡이(20)측에 원형 오목부(24)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원형 오목부(24)내부에 수납되는 원형 돌출부(32)를 회동부재(30)측에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손잡이(20)측에 원형 돌출부(32)를 형성하고 회동부재(30)측에 원형 오목부(24)를 형성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더욱이, 하나의 중심지지 나사(50)에 의해 전체적인 일체화를 완성하였으나, 중심지지 나사(50)대신에 수지 핀을 채용하여 수지핀의 웰더(용착)에 의해 일체화하거나, 우측 손잡이 부재(21a)와 좌측 손잡이 부재(21b)간을 용착함으로써 일체화하여도 된다.
이상은 작용부인 날부분(10)이 나이프인 경우가 아닌, 가정용 칼일 경우나드라이버의 선단부와 같은 공구 등이라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된 수동이기(100)에 따르면, 날부분(10)등의 작용부의 개방 조작이나 수납 조작을 절도감있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및 개방시에 날부분(10)등의 작용부를 손잡이(20)에 대하여 확실히 유지하고, 조작 도중에도 함부로 개방 또는 수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수동이기(100)는 그 각 부분을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원도 간단히 분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형태의 수동이기(100)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며, 본 수동 이기(100)는 작용부로서 날부분(10)을 채용한 나이프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나이프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정용 칼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다른 수동이기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에는 작용부인 날 부분(10)을 손잡이(20)로부터 완전히 개방한 상태의 수동이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수동이기(100)는 도 1에 도시된 중심지지 나사(50)를 손잡이(20)측에 형성된 후술되는 중심축(22)에 나사부착함으로써 날부분(10)을 손잡이(20)에 대하여 개방 및 수납가능하도록 연결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날부분(10)은, 금속이나 세라믹을 재료로 형성한 것으로서 그 등부분에는 상기 날부분(10)을 손잡이(20)내부로부터 간단히 꺼낼 수 있도록(개방을 위한) 인출용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날부분(10)에는 도 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가 형성되어 있어 자른 부분이 간단히 떨어질 수 있도록되어 있다.
이 날부분(10)의 내측 단부(날 끝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30)가 일체화되어 있고, 이 회동부재(30)는 날부분(10)의 내측 단부와 함께, 손잡이(20)를 구성하는 우측 손잡이 부재(21a) 및 좌측 손잡이 부재(21b)의 단부에 의해 샌드위치되는 것이다. 물론, 날부분(10)은 손잡이(20)내부에 수납되는 것이기 때문에, 손잡이(20)의 우측 손잡이 부재(21a) 및 좌측 손잡이 부재(21b)의 내면에는 도 2와 같이 날부분 수납용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손잡이(20)를 구성하는 우측 손잡이 부재(21a)의 날부분(10) 측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22)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중심축(22)에 대하여 회동부재(30)측의 통과홀(33)이나 좌측 손잡이 부재(21b)의 중심지지 홀이 삽입 통과되는 동시에, 이러한 삽입 통과가 완료된 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지지 나사(50)가 나사부착된다. 상기 우측 손잡이 부재(21a)의, 중심축(22)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연결핀(27)이 부착되고, 이 연결핀(27)은 좌측 손잡이 부재(21b)측의 부착홀 내부에 삽입되어 우측 손잡이 부재(21a)와 좌측 손잡이 부재(21b)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좌측 손잡이 부재(21b)의 날부분(10)측 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 오목부(24)의 외측 내면에는 중심축(22)을 중심으로 한 점대칭 위치에 2개의 덴트(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손잡이 부재(21b)측의 원형 오목부(24)내부에는 상기 좌측 손잡이 부재(21b)에 우측 손잡이 부재(21a)를 끼워 맞추었을 때, 회동부재(30)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원형 돌출부(32)가 수납되며, 또 각 덴트(25) 내부에는 후술되는 스프링(40)의 단부(41)가 각각 걸림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 손잡이 부재(21b)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우측 손잡이 부재(21a)측의 중심축(22) 단부가 삽입되는 중심지지 홀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우측 손잡이 부재(21a) 및 좌측 손잡이 부재(21b)의, 중심축(22)에 근접하는 외측 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걸림 결합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토퍼 걸림 결합부(26)에 대하여 날 부분(10)의 내측 단부쪽에 일체화되는 회동부재(30)측의 스토퍼(35)가 맞붙게 된다. 즉, 회동부재(30)측의 스토퍼(35)가 이들 스토퍼 걸림 결합부(26)에 맞붙음으로써, 날부분(10)은 손잡이(20)에 대하여 도 1과 같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이상으로는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회동부재(30)는, 날부분(10)의 내측 단부 부분을 샌드위치하는 우반신체(31a) 및 좌반신체(31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들 우반신체(31a) 및 좌반신체(31b)의 중심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측의 중심축(22)이 삽입 통과하는 통과홀(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우반신체(31a) 및 좌반신체(31b)에는 도 3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내부에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날부분(10)의 내측 단부가 수납된다. 즉, 각 우반신체(31a) 및 좌반신체(31b)는 그 원형 오목부를 이용하여 날부분(10)의 내측 단부에 끼움결합되어 이 날부분(10)을 샌드위치하는 것이며,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통과홀에 고정핀(36)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날부분(10)에 대한 일체화가 완료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회동부재(30)에서는 그 좌반신체(31b)의 외측면에 도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손잡이 부재(21b)측의 원형 오목부(24)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형의 원형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 돌출부(32)의, 중심축(22)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위치에 2개의 윈도우(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윈도우(34)는 날부분(10)을 손잡이(20)내부에 수납하였을 때(도 7에 도시된 상태일 때), 및 날부분(10)을 손잡이(20)로부터 완전히 해방시켰을 때(도 5에 도시된 상태일 때)에는 손잡이(20)측의 원형 오목부(24)내부에 형성된 각 덴트(25)에 대향되는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 이 원형 돌출부(32)의 내경은, 원형 돌출부와 중심축(22)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40)이 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정도이다.
또한, 이들 우반신체(31a) 및 좌반신체(31b)에는 날부분(10)을 손잡이(20)에 대하여 완전 해방하였을 때, 손잡이(20)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 걸림 결합부(26)에 맞붙을 수 있는 스토퍼(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상의 회동부재(30)측의 원형 돌출부(32)와 손잡이(20)측의 중심축(22)간에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대략 Ω자 형상인 스프링(40)이 수납되어 있고, 이 때 상기 스프링(40)의 각 단부(41)는 원형 돌출부(32)에 형성되어 있는 각 윈도우(34) 내부에 삽입되어 통과된다. 이들 각 단부(41)는 스프링(40)자체의 탄성력때문에 생기는 확개력(擴開力)에 의해 원형 돌출부(32)의 윈도우(34)내부에 탄발적으로 수납되어 있다. 즉, 각 단부(41)의 끝에 원형 오목부(24)의 각 덴트(25)가 존재하면 각 단부(41)의 외단(外端)이 각 덴트(25)내부에 걸림 결합되며, 각 덴트(25)가 존재하지 않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부(41)의 외단은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에 맞닿아 있어 스프링(40) 전체가 그 자체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그 지름이 근소하게 축소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수동이기(100)에서는 손잡이(20)를 구성하고 있는 양 우측 손잡이 부재(21a) 및 좌측 손잡이 부재(21b), 회동 부재(30)를 구성하는 양 우반신체(31a) 및 좌반신체(31b), 그리고 스프링(40)자체를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도 그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날부분(10) 등의 작용부를 손잡이에 대하여 하나의 중심축(22)에 대해 접을 수 있도록 조립한 수동이기(100)로서,
날부분(10)등의 작용부의 후단측에 일체화되며 중심축(22)이 통과하는 회동부재(30)와, 이 회동부재(30)를 전단부로 감싸면서 중심축(22)을 가지는 이분할된 손잡이 부재(21a, 21b)와, 이들 손잡이 부재(21a, 21b)의 적어도 한 쪽 전단부 내면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24) 또는 원형 돌출부와, 이들 원형 오목부(24) 또는 원형 돌출부에 끼워 맞춰지도록 회동부재(30)측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32) 또는 원형 오목부와, 이 원형 돌출부(32)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원형 돌출부(32)에 형성된 윈도우(34)를 통해 각 단부(41)가 출입하는 대략 Ω자 형상의 스프링과, 윈도우(34)로부터 돌출된 스프링(40)의 단부(41)를 걸어 고정하도록, 원형 오목부(24)의 내면에 형성된 덴트(25)로 구성된 것」에 그 구성상의 특징이 있으며, 이로써 날부분 등의 작용부가 손잡이에 대하여 가벼운 힘으로 절도감있게 수납되거나 꺼내어질 수 있어 전체 조립이 간단하며, 더욱이 금속 부분과 수지 부분을 간단히 분별할 수 있는 접이식 수동이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날 부분 등의 작용부를 손잡이에 대하여 하나의 중심축에 관하여 접을 수 있도록 조립한 수동 이기로서,
    상기 날 부분 등의 작용부 후단측에 일체화되며 상기 중심축이 통과되는 회동부재와, 이 회동 부재를 전단부로 감싸면서 상기 중심축을 가지는 이분할된 손잡이 부재와, 이들의 손잡이 부재중 적어도 한 쪽의 전단부 내면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 또는 원형 돌출부와, 이들 원형 오목부 또는 원형 돌출부에 끼워맞춰지도록 상기 회동 부재측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 또는 원형 오목부와, 이 원형 돌출부내에 수납되며 상기 원형 돌출부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각 단부가 출입되는 대략 Ω자 형상의 스프링과, 상기 윈도우로부터 돌출된 스프링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도록, 상기 원형 오목부의 내면에 형성된 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이기.
KR1020010015215A 2000-05-17 2001-03-23 절도감있는 수동이기 KR20010106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4462A JP3548861B2 (ja) 2000-05-17 2000-05-17 節度感を持たせた手動利器
JP2000-144462 2000-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65A true KR20010106165A (ko) 2001-11-29

Family

ID=1865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215A KR20010106165A (ko) 2000-05-17 2001-03-23 절도감있는 수동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8861B2 (ko)
KR (1) KR200101061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885B2 (ja) * 2009-12-28 2011-08-17 株式会社壽 カバー付きディスペンサー
JP4750886B2 (ja) * 2009-12-28 2011-08-17 株式会社壽 カバー付きディスペンサー
JP4750887B2 (ja) * 2009-12-28 2011-08-17 株式会社壽 カバー付きディスペン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8861B2 (ja) 2004-07-28
JP2001321582A (ja)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050B1 (en) Hinge device to be used for a foldable apparatus
US5915792A (en) Foldable knife
JP2633823B2 (ja) 万能ナイフ
US6270274B1 (en) Pen for receiving eyeglasses
US5010645A (en) Foldable T-shaped shaver
US4073057A (en) Folding blade knife
KR20010106165A (ko) 절도감있는 수동이기
KR20030048117A (ko) 커팅인써트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키
KR960027448A (ko) 벨트클립의 이중잠금장치
KR100365720B1 (ko)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200170804Y1 (ko) 손톱깎이
JP2001269205A (ja) 結合ピン
JPS6133600B2 (ko)
KR200362044Y1 (ko) 가위
JPH0932846A (ja) 軸 具
JPH11230154A (ja) ヒンジ装置およびフリップならびに携帯式電話機
KR200178811Y1 (ko) 유모차의 안전 잠금장치
JPH033508B2 (ko)
KR200319263Y1 (ko) 손톱깍이
JPS5818835Y2 (ja)
JPS5827741Y2 (ja) ポケツトナイフ
KR200184866Y1 (ko) 절첩가능한 면도기
US20190126499A1 (en) Folding tool with an assisted opening mechanism
KR100327920B1 (ko) 휴대폰용 커버 개방장치
JPH1198228A (ja) 折畳み型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