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685A -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685A
KR20010105685A KR1020000026394A KR20000026394A KR20010105685A KR 20010105685 A KR20010105685 A KR 20010105685A KR 1020000026394 A KR1020000026394 A KR 1020000026394A KR 20000026394 A KR20000026394 A KR 20000026394A KR 20010105685 A KR20010105685 A KR 2001010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istortion
shell
compresso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853B1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2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853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압축기내 기구부 지지물의 접합부 형상을 개선하여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이상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셸(shell)과, 상기 셸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상기 전동기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가스의 압축을 수행하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셸과 상기 기구부에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ㆍ전달하는 매개물인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 구비된 스프링시트(spring seat)와,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구부의 수평진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에 작용되는 모멘트를 해소하기 위한 해소수단을 포함한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device for decreasing vibration in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의 운전시 내부의 기구부와 셸 사이의 스프링 지지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 지지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외형을 형성하는 셸(shell)(1)과, 상기 셸 내부에 구비되어 고정자(21)와 회전자(22)로 이루어지는 전동기구부(2)와, 상기 전동기구부(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가스의 압축을 수행하는 압축기구부(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구부(2)와 상기 압축기구부(3)는 프레임(4)에 고정되고, 상기 전동기구부의 회전자 중심에는 크랭크축이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압축기구부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기구부는 스프링(5)에 의해 상기 셸(1)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에서 스프링 지지물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프링시트(51)는 일면이 스프링을 끼울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지고, 타면은 상기 기구부와 상기 셸에 용접이나 나사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평판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구부와 셸과 스프링을 연결하는 매개물로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5)은 기구부에서 발생되는 수직력(Fy)과 진동을 셸로 전달하고, 압축과 인장을 통해 충격력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한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부의 수평방향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력(Fx)이 상기 스프링(5)에 전달될 경우, 상기 스프링은 일측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스프링시트(51)의 상단에 수평력(Fx)과 모멘트(M)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시트는 상기 수평력과 모멘트에 저항하려는 반력이 작용하고, 상기 스프링시트(51)의 상단에서,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되어서 스프링의 마모와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스프링시트 돌기에 경사각의 충격 내지 진동을 전하게 되어 스프링시트 돌기의 변형이나, 상기 셸과 상기 기구부의 접합부 변형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스프링(5)에 의해 상기 기구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력의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이상 소음 및 이상 진동이 야기(惹起)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시트의 형상을 변형하고, 이를 통해 상기 스프링에 작용되는 모멘트를 해소하여 이상 소음 및 이상 진동의 발생을 해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압축기의 "A"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스프링에 수직, 수평력이 작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스프링 지지물의 확대 단면도.
도 5a는 도 4에서 스프링에 수직, 수평력이 작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스프링 시트가 회동한 후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프링시트 100a 돌기부
100b 구형조인트부 200 홈
300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셸(shell)과, 상기 셸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상기 전동기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가스의 압축을 수행하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셸과 상기 기구부에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ㆍ전달하는 매개물인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 구비된 스프링시트(spring seat)와, 상기 스프링시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구부의 수평진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에 작용되는 모멘트를 해소하기 위한 해소수단을 포함한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 생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스프링 지지물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4에서 스프링에 수직, 수평력이 작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스프링 시트가 회동한 후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셸(shell)과, 상기 셸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상기 전동기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가스의 압축을 수행하는 압축기구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셸과 상기 기구부에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ㆍ전달하는 매개물인 스프링(300)을 장착하기 위해 구비된 스프링시트(10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기구부의 수평진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에 작용되는 모멘트를 해소하기 위한 해소수단으로,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에 형성된 구형 조인트부 (100b)와, 상기 구형 조인트부를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셸과 상기 기구부에 각각 형성된 홈(20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 시트(100)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 (100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기구부와 상기 셸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기 위한 구형 조인트부(10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 상기 스프링시트(100)가 상기 홈에서 수직ㆍ수평력의 작용방향과 모멘트의 작용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홈(200) 입구의 폭을 상기 구형 조인트의 구형지름보다 작게 하여, 입구 형상이 오목하게 이루어 지도록 구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압축기에서 작용력과 진동의 전달과정을 상기 기구부에서 상기 스프링으로 수직력만이 작용하는 경우와, 수직력과 수평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력(Fy)만이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은 수직력(Fy)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면서 상기 기구부에서 발생되는 수직력(Fy)을 상기 셸에 전달함과 동시에, 이 때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과 충격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력(Fy)과 수평력(Fy)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0)은 수평력(Fy)에 의해 상기 기구부의 수평 이동방향으로 좌굴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상기 수평력(Fx)의 작용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M)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상기 구형 조인트부(100b)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어서 상기 구형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모멘트(M)의 작용방향으로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시트(100)의 회전에 의해 모멘트가 상쇄됨으로써, 상기 스프링(300)에는 수직력(Fv)만 남게 되고, 상기 기구부에서 발생되는 수직력을 상기 셸로 전달하며 상기 스프링의 압축과 인장을 통해 진동과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 시트의 구형 조인트부(100b)와 상기 홈(200)사이에 윤활재를 개재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회동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추가적 구비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스프링시트가 구형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소정범위내를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과 스프링시트에는 수직방향의 작용력만 남게되어 수평력과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스프링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의 좌굴에 의해 스프링이 엇갈리면서 인장ㆍ압축이 일어날때 발생되는 스프링의 이상마모와 이상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력만이 스프링에 작용하여, 스프링의 본래 목적인 스프링 길이 방향의 충격력과 진동을 흡수 전달하는 장치로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기구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력을 스프링에서 흡수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셸(shell)과,
    상기 셸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상기 전동기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가스의 압축을 수행하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셸과 상기 기구부에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ㆍ전달하는 매개물인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 구비된 스프링시트(spring seat)와,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구부의 수평진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에 작용되는 모멘트를 해소하기 위한 해소수단을 포함한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해소수단은,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에 형성된 구형 조인트부와,
    상기 구형 조인트부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셸과 상기 기구부에 형성된 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KR1020000026394A 2000-05-17 2000-05-17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KR10036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94A KR100362853B1 (ko) 2000-05-17 2000-05-17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94A KR100362853B1 (ko) 2000-05-17 2000-05-17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685A true KR20010105685A (ko) 2001-11-29
KR100362853B1 KR100362853B1 (ko) 2002-12-11

Family

ID=1966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394A KR100362853B1 (ko) 2000-05-17 2000-05-17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66B1 (ko) * 2002-03-27 2007-09-20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턴 인식
CN109356815A (zh) * 2018-11-05 2019-02-19 北京沐羽科技有限公司 一种空压机放置座及空压机
KR102349748B1 (ko) * 2020-08-12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66B1 (ko) * 2002-03-27 2007-09-20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턴 인식
CN109356815A (zh) * 2018-11-05 2019-02-19 北京沐羽科技有限公司 一种空压机放置座及空压机
CN109356815B (zh) * 2018-11-05 2023-10-20 北京沐羽科技有限公司 一种空压机放置座及空压机
KR102349748B1 (ko) * 2020-08-12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853B1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828B1 (ko) 양두 사판식 압축기
EP2345827B1 (en) Anti-Vibration Device
KR100741594B1 (ko) 와이어로프 진동격리장치.
CN101469757A (zh) 一种缓冲器
CN110739796B (zh) 具有减振传递的驱动系统
KR20010105685A (ko) 압축기의 진동저감장치
US20160273611A1 (en) Damping structure
JP4303225B2 (ja) 連結用軸受
CN112227562B (zh) 一种装配式建筑抗震墙体
CN216242026U (zh) 一种减振限位装置及设置其的机械设备
WO2022071074A1 (ja) バランサ装置
EP2390503B1 (en) Compressor for vehicle air-conditioners
JP5112226B2 (ja) 締結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振装置
JPH06159897A (ja) 冷蔵庫におけるコンプレッサの防振支持装置
JPH05196244A (ja) 空気調和機の防振装置
JP2003154829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
KR100351413B1 (ko) 광각 유니버셜 조인트의 소음 흡수구조
CN219450496U (zh) 一种声屏障
JP2920264B2 (ja) 排気管支持装置
JPH08326842A (ja) モータ用マウント
JP4237594B2 (ja) 滑り支承型免震装置
CN110417164A (zh) 一种电机吸振结构
JP2000220111A (ja) 落橋防止用緩衝装置
CN213448959U (zh) 缓震隔音装置
CN213358987U (zh) 墙体隔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