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621A - 전자 렌지 - Google Patents

전자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621A
KR20010104621A KR1020010019959A KR20010019959A KR20010104621A KR 20010104621 A KR20010104621 A KR 20010104621A KR 1020010019959 A KR1020010019959 A KR 1020010019959A KR 20010019959 A KR20010019959 A KR 20010019959A KR 20010104621 A KR20010104621 A KR 20010104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view
field
heating chamb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777B1 (ko
Inventor
에이지후쿠나가
마사루노다
카즈오타이노
마사히로타나카
에이지무쿠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10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05B6/645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the sensors being infrared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적외선 검출소자를 탑재하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확실하게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적외선센서의 검출출력을, 피가열물의 상태의 검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전자렌지에 있어서, 양화살표 x 는 폭방향이고, 양화살표 y 는 안 길이 방향이고, 양화살표 z 는 높이방향이다. 적외선센서 (7) 는, 25 개의 적외선 검출소자 (7a) 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검출소자 (7a) 는, 각각 시야 (70a) 를 갖는다. 그리고, 25 개의 적외선 검출소자 (7a) 는 y 방향 및 z 방향에 5 개씩 병렬하여 있으므로, 가열실의 저판 (9 : 底板) 상에서는, y 방향 및 x 방향에 5 개씩 병렬한, 합계 25 개의 시야 (70a) 가 투영되어 있다. 저판 (9) 상의 모든 영역이 25 개의 시야 (70a) 의 어디엔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전자 렌지{electron range}
본 발명은 전자 렌지에 관하여, 특히 적외선 검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가열 조리가 실행되는 전자 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서는 일본 특허공보 평4-68756 호에 개시된 전자 렌지와 같이 적외선 검출 소자에 의해 턴테이블 상의 온도 분포를 검출함으로써 턴테이블 상의 피가열물의 탑재되는 위치 및 상기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고자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렌지에서는 적외선 검출 소자가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시할 수 있는 영역 (시야) 이 턴테이블 상에 한정되었다. 따라서, 이 같은 전자 렌지에서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은 예를 들어 턴테이블을 구비하지 않는 타입의 전자 렌지등에서 가열실 내의 턴테이블이 구비되어야 할 장소 이외의 장소에 식품이 탑재된 경우에는 가열실 내의 식품의 온도 검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다.
또, 종래의 전자 렌지에서는 적외선 센서의 설치 양태 등의 문제에 의해 가열실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도달할 수 없는 영역이 많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같은 경우라도 상기 시야가 도달할 수 없는 위치에 식품이 탑재된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의 검출 출력은 피가열물의 상태의 검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다.
또, 적외선 검출 소자가 적외선을 조사하는 부위에 가열실 내의 식품에서 비산되는 식품의 즙 등이 부착됨으로써 적외선 검출 소자가 정확히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 같은 경우에도 적외선 센서의 검출 출력은 피가열물의 상태의 검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외선 검출 소자를 탑재하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확실히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적외선 센서의 검출 출력을 피가열물의 상태의 검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전자 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전자 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자 렌지의 도어가 열린 상태로 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외장부를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전자 렌지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전자 렌지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적외선 센서에 함유되는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어 회로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9 는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1 변형예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저판 상을 이동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1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2 는 도 9 의 전자 렌지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의 이동 방향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도 10 의 전자 렌지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의 이동 방향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2 변형예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와 저판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2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7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2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8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3 변형예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와 저판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3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21 은 도 1 의 전자 렌지의 제 3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22 은 본 발명의 제 4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22 의 회전 안테나 및 보조 안테나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24 는 도 22 의 가열실 하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5 는 도 22 의 가열실 하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6 은 도 4 의 가열실 하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7 은 도 22 에 나타내는 전자 렌지의 보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28 은 도 22 에 나타내는 전자 렌지의 회전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29 는 도 22 에 나타내는 전자 렌지의 보조 안테나의 화전 안테나와 겹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5 변형예의 보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5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2 는 도 31 의 전자 렌지의 광학 센서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33 은 도 31 의 전자 렌지의 모터 부근의 종단면도이다.
도 34 는 본 발명의 제 6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모터 부근의 하면도이다.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7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모터 부근의 하면도이다.
도 36 은 일반적인 회전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37 은 가열실의 저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 은 본 발명의 제 9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외장부를 뺀 상태를 우상방에서 본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39 는 도 38 의 검출 경로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40 은 도 38 의 검출 경로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41 은 도 38 의 검출 경로 부재의 우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2 는 도 38 의 검출 경로 부재와 적외선 센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도면이다.
도 43 은 본 발명의 제 9 변형예의 가열실 내의 적외선 센서의 시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 는 도 43 의 적외선 센서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45 는 적외선 센서가 본 발명의 제 9 변형예의 비교되는 상태에서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 은 도 45 의 적외선 센서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47 은 본 발명의 제 10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제어 양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48 은 본 발명의 제 10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제어 양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49 는 본 발명의 제 11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시야의 이동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0 은 본 발명의 제 12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적외선 센서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51 은 본 발명의 제 12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52 는 본 발명의 제 12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적외선 센서의 구체적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 은 본 발명의 제 12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적외선 센서의 구체적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 은 본 발명의 제 13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적외선 센서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55 는 본 발명의 제 13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제어 양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6 은 본 발명의 제 13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제어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 은 본 발명에서 추장(推奬)되는 적외선 센서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8 은 본 발명에서 추장되는 적외선 센서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9 는 본 발명에서 추장되는 적외선 센서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렌지 5 : 본체틀
6 : 조작 패널 7 : 적외선 센서
7a : 적외선 검출 소자 9 : 저판 (底板)
10 : 가열실 12 : 마그네트런
40 : 검출 경로 부재 70a : 시야
90 : 턴테이블 700 : 총시야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있는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는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상기 가열실 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실에서 제 1 방향에 관해서는 피가열물을 어디에 탑재하여도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을 피가열물의 상태의 검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렌지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상기 가열실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가열실 전체를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에 넣기 위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의 이동 양태를 단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렌지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가열실 내의 어느 장소에 피가열물이 탑재되어도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가열실 내에 탑재된 식품의 일부 이상을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중 어느 하나 속에 포함할 수 있도록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이동시키지 않고 가열실 전체를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피가열물이 가열실 내의 어느 장소에 탑재되어도 조기에 피가열물을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에 넣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렌지는,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 시야 내의 물체의 온도인 시야 내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 산출 수단과, 상기 온도 산출 수단이 산출한 상기 시야 내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가열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열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각의 시야에 관하여 상기 시야 내 온도의소정 시간 내의 변화량인 소정 시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각의 시야에 관한 상기 소정 시간 변화량 중의 가장 큰 소정 시간 변화량 및 상기 가장 큰 소정 시간 변화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상기 소정 시간 변화량을 특정의 소정 시간 변화량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중의 상기 특정의 소정 시간 변화량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야를 특정의 시야로 하여, 상기 특정의 시야에서의 시야 내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먼저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중에서 시야 내 온도의 소정 시간 내의 변화량이 최대였다는 것과, 상기 최대의 것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상이었다는 것이 특정의 시야로서 추출된다. 그리고, 상기 특정의 시야 내에서 검출 온도가 가열 제어에 이용된다.
따라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렌지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제 1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렌지에서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가 소정의 직사각형의 영역 내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소정의 직사각형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적외선 검출 소자의 이동 거리에 대하여 새롭게 적외선 검출 소자의시야에 포함되는 영역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즉, 보다 빠르게 가열실 전체의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르게 가열실 전체의 온도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실에 대하여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장착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적외선 검출 소자를 이동시켜도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의 가열실내에서의 영역의 넓이의 변화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으로부터 도출되는 피가열물의 온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실에 대하여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장착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형성되는 가장 상기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면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이동 수단이 적외선 검출 소자를 소정 각도 만큼 회전 이동시켰을 때, 가열실의 제 1 방향에 관한 일방측 및 타방측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에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즉, 가열실 전체를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적외선 검출 소자를 회전 이동시키는 각도를 보다 작은 각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르게 가열실 전체 내의 넓은 영역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시야 내에 피가열물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가열실 내에서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이동 수단에 제 1 속도로 상기 시야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열실 내의 일부의 영역 내에 피가열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이동 수단에 상기 제 1 속도보다도 낮은 제 2 속도로 상기 시야를 상기 일부의 영역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일부의 영역 내의 특정의 영역에 피가열물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조기에 가열실에서의 피가열물의 존재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가열물의 가열 시간이 짧은 경우라도 정확히 가열실 내의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피가열물의 가열 시간이 짧은 경우라도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창의 외주를 덮고 상기 창으로부터 상기 가열실의 외측을 향하여 뻗은 통과,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은 다른 부분보다도 높게 구성되는 특정한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 내에 적외선을 도입하기 위한 검출창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가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검출창이 상기 특정한 부분에 대향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통을 가열실 측벽을 버링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높게 된 특정한 부분을 적외선 검출 소자의 비검출시의 대기 장소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비검출시에 적외선 검출 소자가 더러워져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이 피가열물의 온도 검출에 의해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또 보다 용이하게 또한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검출시의 장소에서 가까운 위치에 적외선 검출 소자의 비검출시의 장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가열 수단과, 상기 가열 수단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 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가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창보다도 상기 팬의 송풍 방향에 관하여 바람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적외선 검출 소자의 비검출시에 적외선 검출 소자가 더러워져 검출 정밀도를 저하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이 피가열물의 온도 검출에 의해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 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그 시야의 중심선이 상기 창 부근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가열실에 형성된 창의 직경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실 내로부터의 피가열물의 즙 등이 외부로 비산되어 적외선 검출 소자가 더러워져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즉,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이 피가열물의 온도 검출에 의해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 렌지는 가열 수단과,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 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중의 소정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그 시야의 일부가 상기 가열실 밖에 위치하고, 피가열물이 상기 소정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내에 피가열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정지시키는 가열 정지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자 렌지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 중에서 그 시야의 일부가 가열실 밖에 위치함으로써 정확하게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없는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내에 피가열물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가열 동작이 정지된다.
가열실 내의 어떠한 장소에 피가열물이 탑재되어도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적절한 가열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전자 렌지의 구조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전자 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전자 렌지 (1) 는 주로 본체 (2) 와 도어 (3) 로 이루어진다. 본체 (2) 는 그 외곽이 외장부 (4) 로 덮혀 있다. 또 본체 (2) 의 전면에는 유저가 전자 렌지 (1) 에 각종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패널 (6) 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 (2) 는 복수의 다리 (8) 로 지지되고 있다. 도어 (3) 은 하단을 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3) 의 상부에는 손잡이 (3a) 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에 도어 (3) 가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의 전자 렌지 (1) 를 좌전방에서 본 전자 렌지 (1) 의 부분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체 (2) 의 내부에는 본체틀 (5) 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틀 (5) 의 내부에는 가열실 (10) 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실 (10) 의 우측면 상부에는 구멍 (10a)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10a) 에는 가열실 (10) 의 외측으로부터 검출 경로 부재 (40) 가 접속되어 있다. 가열실 (10) 의 저면에는 저판 (9) 이 구비되어 있다.
도 3 에 외장부 (4) 를 뺀 상태에 있는 전자 렌지 (1) 를 우상방에서 본 전자 렌지 (1)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에 도 1 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에 도 1 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체틀 (5) 의 우측면에는 가열실 (10) 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런 (12) (도 4 참조) 등의 각종의 부품이 탑재되어 있지만, 도 3 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도 3 ∼ 도 5 를 참조하여, 구멍 (10a) 에 접속된 검출 경로 부재 (40) 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를 구멍 (10a) 에 접속한 상자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검출 경로 부재 (40) 를 구성하는 상기 상자 형상의 저면에는 적외선 센서 (7) 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 경로 부재 (40) 를 구성하는 상자 형상의 저면에는 검출창 (11) 이 형성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 (7) 는 검출창 (11) 을 개재하여 가열실 (10) 내의 적외선을 캐치한다.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가열실 (10) 의 우하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런 (12) 이 구비되어 있다. 또, 가열실 (10) 의 하방에는 마그네트런 (12) 과 본체틀 (5) 의 하부를 접속시키는 도파관 (19) 이 구비되어 있다. 마그네트런 (12) 은 도파관 (19) 을 개재하여 가열실 (10) 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한다.
또, 본체틀 (5) 의 저부와 저판 (9) 사이에는 회전 안테나 (15) 가 구비되어 있다. 도파관 (19) 의 하방에는 안테나 모터 (16) 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15) 와 안테나 모터 (16) 는 축 (15a) 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 모터 (16) 가 구동함으로써 회전 안테나 (15) 가 회전한다.
가열실 (10) 내에서는 저판 (9) 상에 식품이 탑재된다. 마그네트런 (12) 이 발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9) 을 개재하여 회전 안테나 (15) 에 의해 교반되면서 가열실 (10)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저판 (9) 상의 식품이 가열된다.
또,가열실 (10) 의 후방에는 히터 유닛 (130) 이 구비되어 있다. 히터 유닛 (130) 에는 히터 및 상기 히터가 발하는 열을 가열실 (10) 내에 효율 좋게 보내기 위한 팬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가열실 (10) 의 상방에도 식품의 표면이 눋도록 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되어 있다.
2. 적외선 센서의 시야
적외선 센서 (7) 는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후술하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적외선 검출 소자는 시야를 갖는다.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는 각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맞춘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 (7) 를 도 4 및 도 5 에 총시야 (700) 으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는 저판 (9) 상의 전체를 덮는다. 이로써, 전자 렌지 (1) 에서는 저판 (9) 상의 어떠한 장소에 식품을 탑재해도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식품을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 내에 넣을 수 있다.
적외선 센서 (7) 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에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 에는 저판 (9) 과 적외선 센서 (7) 가 모식적으로 표시되고 있다. 또한 도 6 중에서 양쪽 화살표 (x) 는 전자 렌지 (1) 의 폭 방향이며, 양쪽 화살표 (y) 는 전자 렌지 (1) 의 안길이 방향이며, 양쪽 화살표 (z) 는 전자 렌지 (1) 의 높이 방향이다. 양쪽 화살표 (x, y, z) 는 서로 직교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 (7) 는 y 방향 및 z 방향으로 5 개씩 나열된 (5×5) 개, 즉 합계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검출 소자 (7a)는 각각 시야 (70a) 를 갖는다.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 (70a) 는 각각 저판 (9) 상에 투영된다. 저판 (9) 상에서는 y 방향 및 x 방향으로 5 개씩 나열된 합계 25 개의 시야 (70a) 가 투영되고 있다. 또한, y 방향으로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5 개 나열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저판 (9) 상에서는 y 방향으로 5 개의 시야 (70a) 가 나열되어 있다. 또, z 방향으로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5 개 나열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저판 (9) 상에서는 x 방향으로 5 개의 시야 (70a) 가 나열되어있다.
또한, 저판 (9) 상에서는 x 방향에 관하여 우측일수록 투영되고 있는 시야 (70a) 의 면적이 작아져 있다. 이것은 x 방향에 관하여 우측일수록 저판 (9) 과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1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 (70a) 는 저판 (9) 전체를 포함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7) 에 구비된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25 개의 시야 (70a) 를 맞추면 저판 (9) 의 거의 전체가 시야 (70a) 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25 개의 시야 (70a) 를 맞추는 것이 도 4 또는 도 5 에 나타낸 총시야 (700) 이다.
3. 제어 블럭도
도 7 에 전자 렌지 (1) 의 제어 블럭도를 나타낸다. 전자 렌지 (1) 는 상기 전자 렌지 (1)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회로 (30) 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 (30) 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 (30) 는 조작 패널 (6), 적외선 센서 (7) 로부터 각종의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 회로 (30) 는 상기 입력된 전보 등에 근거하여 냉각팬 모터 (31), 차내등 (32), 마이크로파 발진 회로 (33) 및 히터 (13) 의 동작을 제어한다. 냉각팬 모터 (31) 는 마그네트런 (12) 을 냉각하기 위한 팬을 구동하는 모터이다. 차내등 (32) 은 가열실 (10) 내를 비추는 전등이다. 마이크로파 발진 회로 (33) 는 마그네트런 (12) 에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는 회로이다. 히터 (13) 란 히터 유닛 (30) 내의 히터 및 가열실 (10) 의 상방에 구비된 히터이다.
또한, 제어 회로 (30) 에는 개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검출 출력이 독립하여 입력된다.
4. 자동 조리 처리에서의 처리 내용
이어서, 전자 렌지 (1) 에서의 적외선 센서 (7) 에 의해 가열실 (10) 내의 식품의 온도를 검출시키고 자동적으로 가열을 종료시키는 가열 조리에 관하여 제어 회로 (30) 가 실행하는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 은 전자 렌지 (1) 에서 상기 가열 조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 (30) 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조작 패널 (6) 에서 가열 조리를 실행하는 취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 회로 (3) 는 먼저 스텝 (SA1) (이하 「스텝」 을 생략함) 에서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을 개시시키고 SA2 로 진행한다.
SA2 에서는 도 6 에서 나타낸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각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야 (70a) 내의 물체의 온도를 검출하고 SA3 로 진행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낸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는 각각의 위치에 따라 P (1) ∼ P (25) 로 되어 있다. 그리고, SA2 에서는 P (1) ∼ P (25) 의 각각의 검출 결과가 T0(1) ∼ T0(25) 로서 기억된다.
SA3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A1 에서 가열을 개시한 후, 미리 정해진 t 초가 경과하였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그리고 t 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SA4 로 진행한다.
SA4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상기한 P (1) ∼ P (25) 의 각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겸출 결과에 근거하여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상기 온도 검출치를 T (1) ∼ T (25) 로서 기억하고 SA5 로 진행한다.
SA5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상기한 P (1) ∼ P (25) 의 각각에 관하여 직전에 실행한 SA4 에서 기억한 검출치 T (n) (n 은 1∼25) 와 가열 개시 직후에 측정한 T0(n) 의 차이 △T (n) 를 산출하고 SA6 으로 진행한다.
SA6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A5 에서 산출한 25 개의 △T (n) 중에서 값이 가장 큰 것 (max △T1) 과 두 번째로 값이 큰 것 (max △T2) 을 추출하고 SA7 로 진행한다.
SA7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A5 에서 산출한 25 개의 △T (n) 로부터 SA6 에서 추출한 남은 23 개의 △T (n) 으로부터 하기의 식 (1) 의 조건을 만족하는 △T (n) 를 추출하고 SA8 로 진행한다. max △T1이란 SA6 에서 추출한 △T (n) 의 최대치이며, K 는 0<K≤1 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전자 렌지 (1) 에서는 복수의 조리 메뉴의 각각에 따라 가열 조리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정수 (K) 의 값은 실행되는 조리 메뉴에 따라 변경된다.
△T (n)≥(n)max △T1×K …(1)
또한, SA7 에서는 식 (1) 의 조건을 만족하는 △T (n) 은 max △T3∼ max △Tk로서 (k-2) 개 추출된다. 즉, SA6 및 SA7 에서는 25 개의 △T (n) 로부터△T (n) 은 max △T1∼ max △Tk라는 큰 것으로부터 k 개의 값이 추출되게 된다.
SA8 에서 제어 회로 (30) 는 하기의 식 (2) 에 따라 ave△T 를 산출하고 SA9 으로 진행한다.
수학식 1
또한, 식 (2) 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ave△T 는 상위 k 개의 가열 개시시로부터의 온도차의 평균치에 해당한다.
SA9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이하의 식 (3) 이 만족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식 (3) 에서 Tp 란 피가열물에 대한 설정 온도이며, 적외선 센서 (7) 에서 상기 설정 온도가 검출된 경우에는 피가열물이 충분히 가열되었다고 하여 가열을 종료시켜야 한다고 여겨지는 온도이다. 또한, 상기 설정 온도 (Tp) 도 조리 메뉴 마다 독립하여 값이 설정되어 있다.
(T0+ave△T)≥Tp …(3)
그리고, 제어 회로 (30) 는 SA9 에서 식 (3) 이 만족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SA10 으로 진행한다.
SA10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6 및 S7 에서 max △T1∼ max △Tk가 추출된 k 개의 각 위치에서 그 시점에서의 T (n) (적외선 검출 소자 (7) 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는 온도) 를 검출하고 SA11 로 진행한다.
SA11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직전의 SA10 에서 검출한 온도와 SA2 에서 검출한 T0에 근거하여 max △T1∼ max △Tk를 산출하고 SA8 로 진행한다. SA10 ∼ SA11 의 처리는 SA9 에서 식 (3) 이 만족된다고 판단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SA9 에서 식 (3) 이 만족된다고 판단되면 S12 에서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 동작을 종료시킨 후, 리턴한다.
상기 설명한 가열 조리 처리에서는 SA8 ∼ SA11 의 처리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중의 k 개의 검출 출력을 사용하여 피가열물의 가열이 완료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한 k 개의 검출 출력은 SA3 ∼ SA7 의 처리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 개시부터 소정 시간 (t 초) 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승 온도 △T (n) 가 식 (1)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식 (1) 의 조건이란 △T (n) 이 최대의 상승 온도 (max △T1) 에 K 를 곱한 것 이상의 값이라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회로 (30) 에 의해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의 각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 시야 내의 물체의 온도인 시야 내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 산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 회로 (30) 에 의해 온도 산출 수단이 산출한 시야 내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가열 제어 수단이 겸용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SA5 에서 검출되는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각에 관한 △T (n) 가 시야 내 온도의 소정 시간 내의 변화량인 소정 시간 변화량에 대응하고있다.
그리고, SA6 및 SA7 에서 추출한 max △T1∼ max △Tk가 소정 시간 변화량 중의 특정의 소정 시간 변화량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특정의 소정 시간 변화량은 가장 큰 소정 시간 변화량 및 상기 소정 시간 변화량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소정 시간 변화량이다.
그리고, SA10 에서 온도 검출의 대상이 되는 k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 (70a) 가 특정의 시야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특정의 시야란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중의 특정의 소정 시간 변화량에 대응하는 시야이다.
그리고, SA8 ∼ SA11 의 처리에 의해 제어 회로 (30) 는 특정의 시야에서의 시야 내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고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7) 는 5×5 의 메트릭스형으로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2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 (70a) 는 각각 저판 (9) 상의 다른 위치를 포함하고 25 개의 시야 (70a) 에 의해 저판 (9) 의 거의 전체가 덮혔다. 즉, 저판 (9) 상의 어느 장소에 식품이 탑재되어도 상기 식품은 25 개의 시야 (70a) 중 어느 하나 중에 들어간다.
즉,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가열실 내의 어느 장소에 피가열물이 탑재되어도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이동시키지 않고 가열실 내에 탑재된 식품의 일부 이상을 상기 복수의 적외선검출 소자의 시야에 포함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개시 후, 가장 큰 온도 변화가 보인 위치 (max △T1의 검출 위치) 에 식품이 탑재되어 있다고 하여 상기 가장 큰 온도 변화가 보인 위치에 관하여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을 실시한다 (SA8∼SA11).
또, 가열 개시 후, 두 번째로 큰 온도 변화가 보인 위치 (max △T2의 검출 위치) 에 관해서도 식품이 탑재되어 있다고 하여 상기 위치에 관하여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을 실시한다 (SA8∼SA11).
또한, 가열 개시 후, 가장 큰 온도 변화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K : SA7 참조) 이상의 온도 변화가 보이면 이 같은 위치에 관해서도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을 실시한다 (SA8∼SA11).
이 같은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저판 (9) 상에 복수의 피가열물이 탑재된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피가열물의 온도를 모두 참조하면서 가열 조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max △T2의 검출 위치에 대해서는 max △T2가 max △T1의 K 배 이상인가 아닌가에 관계없이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이 실시되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는 2 개 이상의 위치 (max △T1,max △T2의 검출 위치) 에대하여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이 실시되지만, 이것을 1 개의 위치에 대해서만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이 실시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SA6 에서 max △T1만을 추출하도록 처리 내용이 변경된다. 또, 이 경우 SA7 에서 max △T2∼ max △Tk의 (k-1) 개의 값이 추출된다.
적외선 센서 (7) 가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복수 구비하는 경우, 반드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 (9) 의 거의 전체가 어느 하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 (70a) 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로서 적외선 센서 (7) 가 소정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구비하고 있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5. 제 1 변형예
도 9 는 적외선 센서 (7) 가 가열실 (10) 의 안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적외선 검출 소자 (7a) (도 9 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렌지 (1) 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 에서는 가열실 (10) 의 내부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외장부 (4) 및 도어 (3) 를 생략하고 또한 본체틀 (5) 중의 가열실 (10) 의 좌측벽을 구성하는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또, 도 9 에서는 가열실 (10) 의 폭 방향으로 x 축이, 안길이 방향으로 y 축이, 높이 방향으로 z 축이 정의되고 있다. 이들의 3 축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 (1) 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에 y 축 방향으로 나열된 6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구비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 (7) 가 6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구비하기 때문에 저판 (9) 상에서는 실선으로 기재된 y 축 방향으로 나열되는 6 개의 시야 (70a) 가 동시에 투영된다. 또한, 저판 (9) 은 6 개의 시야 (70a) 에 의해 x 방향의 어느 영역에 관하여 y 방향의 일방단으로부터 타방단까지가 덮혀 있다.
또, 전자 렌지 (1) 에는 적외선 센서 (7) 를 양쪽 화살표 (9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부재 (도시하지 않음) 가 구비되어 있다. 양쪽 화살표 (93) 는 x-z 평면 상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적외선 센서 (7) 가 양쪽 화살표 (9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위치도 이동되며, 저판 (9) 상에 투영되는 시야 (70a) 의 위치가 양쪽 화살표 (91) 방향 (x 축 방향) 으로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 (7) 가 양쪽 화살표 (9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시야 (70a) 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시야 (70a) 의 위치에서 파선으로 표시되는 시야 (70a) 의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0 은 시야 (70a) 가 저판 (9) 상을 이동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 은 본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 (30) 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의 플로 차트이다. 이하에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서 적외선 센서 (7) 에 구비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 검출 출력이 어떻게 가열 조리에 이용되는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가열실 (10) 의 안길이방향으로 나열된 전자 렌지 (1) 전반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도 10 에서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수를 한정하지 않고, y 방향으로 나열되는 시야 (70a) 의 수를 n 개로 하고 있다. 또, 도 10 에서는 시야 (70a) 의 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m 개의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다. 즉, 저판 (9) 상의 시야 (70a) 의 위치는 P (x, y) 라는 좌표 형식을 사용하면 P (1, 1) ∼ P (m, n) 으로 기재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는 그 시야가 저판 (9) 을 y 방향에 관하여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동시에 덮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 P (x, y) 의 좌표로서는 항상 x 좌표가 동일한 값이 되며 y 좌표가 1 ∼ n 의 값을 갖는 n 개의 좌표가 존재하게 된다.
조작 패널 (6) 에서 가열 조리를 실행하는 취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 회로 (30) 는 먼저 S1 에서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을 개시시키고 S2 로 진행한다.
S2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 시야 (70a) 의 좌표가 「x = 1」 에 위치하도록 적외선 센서 (7) 를 이동시키고 S3 으로 진행한다. 「x = 1」 의 위치란 저판 (9) 의 우단의 위치이다.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 시야 (70a) 의 좌표가 「x = 1」에 위치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 에서는 시야 (70a) 는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존재함으로써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의 좌표는 P (1, 1) ∼ P (1, n) 이 된다.
S3 에서는 현재의 각 시야 (70a) 의 위치에서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각 시야 (70a) 내의 물체의 온도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 온도를 T0(x, 1) ∼ T0(x, n) 로서 기억하고 S4 로 진행한다. T0(x, 1) ∼ T0(x, n) 의 x 의 값으로서는 현재의 각 시야 (70a) 의 x 좌표의 값이 대입된다.
S4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각 시야 (70a) 의 x 좌표의 값을 「1」가산 갱신하고 S5 로 진행한다. 또한, 시야 (70a) 의 x 좌표의 값이 「1」가산 갱신됨으로써, 시야 (70a) 의 x 좌표가 가산 갱신 후의 x 좌표의 위치로 이동된다.
S5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4 에서 가산 갱신된 결과 x 좌표의 값이 m 을 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S3 로 복귀하며 넘는다고 판단되면 S6 으로 진행된다. 이로써, S3 및 S4 에서의 처리는 시야 (70a) 의 x 좌표가 1 에서 m 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저판 (9) 전체가 n×m 개의 시야 (70a) 의 어느 하나에 포함되게 된다.
S6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3 에서 x=1 에서의 온도 검출을 실시한 후 미리 정해진 t 초가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경과하였다고 판단하면 S7 로 진행한다.
S7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 시야 (70a) 의 좌표가 「x=1」 에 위치하도록 적외선 센서 (7) 를 이동시키고 S8 로 진행한다.
S8 에서는 현재의 각 시야 (70a) 의 위치에서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각 시야 (70a) 내의 물체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온도를 T (x, 1) ∼ T (x, n) 으로서 기억하고 S9 로 진행한다.
S9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각 시야 (70a) 의 x 좌표의 값을 「1」가산 갱신하고 S10 으로 진행한다.
S10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9 에서 가산 갱신된 결과 x 좌표의 값이 m 을 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S8 로 복귀하며 넘는다고 판단되면 S11 로 진행한다. 이로써, S8 및 S9 에서의 처리는 시야 (70a) 의 x 좌표가 1 에서 m 까지 계속된다.
S11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3 에서 기억한 T0(1, 1) ∼ T0(m, n) 과 S8 에서 기억한 T (1, 1) ∼ T (m, n) 을 사용하여 각 좌표에 관하여 △T (x, y) 를 산출하고 S12 로 진행한다. 즉, S11 에서는 n×m 개의 △T (x, y) 가 산출된다. 또한, △T (x, y) 는 이하의 식 (4) 에 따라 산출된다.
△T (x, y) = T (x, y) - T0(x, y) …(4)
또한, T0(x, y) 는 개시 직후의 각 좌표 (x, y) 에서의 검출 온도이며 T (x, y) 는 T0(x, y) 가 검출된 후, t 초 후의 각 좌표 (x, y) 에서의 검출 온도이다. 즉, △T (x, y) 는 t 초간의 각 좌표에서의 상승 온도이다.
S12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11 에서 산출된 n ×m 개의 △T (x, y) 중에서 최대의 것을 추출하여 max△T (x, y) 로서 기억하고 S13 으로 진행한다.
S13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11 에서 산출된 n ×m 개의 △T (x, y) 중에서 이하의 식 (5)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추출하고 △Ta (x, y) 로서 기억하고S14 로 진행한다.
△T (x, y)≥max△T (x, y)×K …(5)
또한, 식 (5) 에서 K 는 0<K≤1 을 만족하는 정수이며, 그 값은 실행되는 조리 메뉴에 따라 변경된다.
또, 이하에 △Ta (x, y) 에 대응하는 시야 (70a) 의 위치를 「특정한 위치」 라 한다.
S14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13 에서 △Ta (x, y) 로서 추출된 특정한 위치에 관하여 각각 S3 에서 기억한 가열 개시 직후의 검출 온도 T0(x, y) 를 호출하여 Ta0(x, y) 로 하고 상기 Ta0(x, y) 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치를 Ta0로서 기억하고 S15 로 진행한다.
S15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13 에서 추출한 △Ta (x, y) 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치를 △Ta 로서 기억하고 S16 으로 진행한다.
S16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14 에서 산출한 Ta0에 S15 에서 산출한 △Ta 를 가한 것이 Tp 에 도달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아직 도달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S17 로 진행하고 이미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S19 로 진행한다. Tp 란 피가열물에 대한 설정 온도이며, 피가열물이 충분히 가열되었다고 하여 가열을 종료시켜야 한다고 여겨지는 온도이다.
S19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을 종료시키고 가열 조리 처리를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한편, S17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13 에서 Ta (x, y) 로서 추출된 특정한 위치 (좌표 Pa (x, y) 라 함) 에 관하여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S18 로 진행한다.
S18 에서는 특정한 위치의 각각에 관하여 직전의 S17 에서의 검출 온도와 S3 에서 검출한 온도의 차이 △Ta (x, y) 를 산출하고 S15 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서는 저판 (9) 에서 P (1, 1) ∼ P (m, n) 로 표시되는 n×m 개의 위치에 관하여 시야 (70a) 내의 온도 검출이 실행된다. 또한, n×m 개의 각 위치에 관한 온도 검출은 가열 개시 직후 (S2 ∼ S5) 및 가열 개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S7 ∼ S10) 에 실시된다.
그리고, n×m 개의 각 위치에서 가열 개시부터 소정 시간 (t 초간) 의 온도 변화가 △T (1, 1) ∼ △T (m, n) 으로서 산출된다 (S11).
그리고, △T (1, 1) ∼ △T (m, n) 중에서 최대치 max△T (x, y) 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K 이상의 값을 갖는 △Ta (x, y) 가 추출된다 (S12, S13). 또한, max△T (x, y) 는 △T (1, 1) ∼ △T (m, n) 중의 최대치이며, △Ta (x, y) 에는 max△T (x, y) 가 포함된다. 또는, 저판 (9) 상의 n×m 개의 위치 중에서 추출된 △Ta (x, y) 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를 특정한 위치라고 부르고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이 이상의 처리는 n×m 개의 위치 중의 특정한 위치만이 온도 검출의 대상이 된다.
즉, 상기 특정한 위치의 각각에 관한 가열 개시시의 온도 Ta0(x, y) 의 평균치로서 Ta0가 산출된다 (S14). 또, 상기 특정한 위치의 상승 온도 △Ta (x, y) 의 평균치로서 △Ta 가 산출된다 (S15). 그리고, Ta0와 △Ta 의 합이 설정 온도 (Tp) 이상인가 아닌가가 가열 종료의 판단 기준이 된다 (S16).
또한, Ta0와 △Ta 의 합이 설정 온도 (Tp) 이상이 될 때까지 특정한 위치에서만 온도가 검출된다 (S17, S18, S15).
즉, 본 변형예에서는 가열 개시 후, 가장 큰 온도 변화가 보인 위치에 식품이 탑재되고 있다고 하여 상기 가장 큰 온도 변화가 보인 위치에 관하여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가장 큰 온도 변화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K : S13 참조) 이상의 온도 변화가 보이면 이 같은 위치에 관해서도 가열 종료까지 계속하여 온도 검출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가장 큰 온도 변화가 보인 위치와 상기 위치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상의 온도 변화가 보인 위치를 맞추어 본 변형예에서는 「특정한 위치」로 하였다.
이같은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저판 (9) 상에 복수의 피가열물이 탑재된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피가열물의 온도를 모두 참조하면서 가열 조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는 그 시야 (70a) 를 맞추면 저판 (9) 의 x 축 방향 (가열실 (10) 의 폭 방향) 의 어느 영역에 관하여 y 축 방향 (가열실 (10) 의 안길이 방향) 의 일방단에서 타방단까지를 덮도록 구비되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도 9 및 도 10 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시야 (70a) 를 x 축 방향으로 이동시켰다.
또한, 전자 렌지 (1) 에서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야 (70a) 의 어느 하나에 의해 저판 (9) 의 x 축 방향의 일방단에서 타방단까지가 덮히도록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시야 (70a)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여 가열실 (10) 내에서 복수의 시야 (70a) 는 각각 양쪽 화살표 (99) 방향으로, 즉 y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시야의 위치를 x-y 좌표 P (x, y) 로 나타낸 경우, P (1, n) ∼ P (m, n) 에 위치하는 시야는 그 y 좌표가 변화하도록 이동된다.
또,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는 그 시야 (70a) 가 y 축 방향 또는 x 축 방향에 관하여 저판 (9) 의 일방단에서 타방단까지를 덮도록 구비될 필요는 없다. 이하에 전자 렌지 (1) 의 제 2 변형예로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그 시야 (70a) 를 맞춘 것의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의 수치가 모두 저판 (9) 의 대응하는 수치보다도 작아지도록 구비된 전자 렌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6. 제 2 변형예
도 14 는 적외선 센서 (7) 가 가열실 (10) 의 안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도 14 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렌지 (1) 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 에서는 가열실 (10) 의 내부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도 9 와 동일하게 전자 렌지 (1) 의 각종의 구성 부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14 에서는 가열실 (10) 의 폭방향, 안길이 방향, 높이 방향에 관하여 서로 직교한 x 축, y 축, z 축의 3 축을 정의하고 있다. 가열실 (10) 내에도 x 축, y 축, z 축이 턴테이블 (90) 의 중앙에서 교차하도록 기재되고 있다. 화살표 (92) 는 턴테이블 (90)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 (1) 는 가열실 (10) 의 저면에 원형의 턴테이블 (90)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가열실 (10) 의 저면에 턴테이블 (90) 이 구비되기 때문에 전자 렌지 (1) 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은 가열실 (10) 의 측면으로부터 가열실 (10) 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에 수반하여 도파관 (19) 및 회전 안테나 (15) 도 가열실 (10) 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는 그 시야 (70a) 가 y 축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턴테이블 (90) 상에 투영된 5 개의 시야 (70a) 를 맞추면 턴테이블 (90) 의 중앙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시야 (70a) 가 연속하고 있게 된다. 이로써, 턴테이블 (90) 이 회전하면 턴테이블 (90) 상의 모든 영역이 5 개의 시야 (70a) 의 어느 하나에 포함되게 된다.
도 15 는 복수의 시야 (70a) 와 턴테이블 (90) 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 및 도 17 은 본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 (30) 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이하에 도 15 ∼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서 적외선 센서 (7) 에 구비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 검출 출력이 어떻게 가열 조리에 이용되는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가열실 (10) 의 안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전자 렌지 (1) 전반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도 15 에서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수를 한정하지 않고, y 방향으로 나열되는 시야 (70a) 의 수를 n 개로 하고 있다. 즉, 턴테이블 (90) 상의 시야 (70a) 의 위치는 Pn이라는 형식을 사용하면 P1∼ Pn이라 기재할 수 있다. 또한, P1은 턴테이블 (90) 의 중심에 위치하며 P 의 첨자 수가 커질수록 Pn으로 표시되는 위치는 턴테이블 (90) 의 외주에 가깝다. 그리고, 턴테이블 (90) 의 가장 외주부에 위치하는 것이 Pn이다.
조작 패널 (6) 에서 가열 조리를 실행하는 취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 회로 (30) 는 먼저 S20 에서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을 개시시키고 S21 로 진행한다.
S21 에서 제어 회로 (30) 는 P1∼ Pn의 각 위치에 시야 (70a) 를 갖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S22 로 진행한다. 또한, 제어 회로 (30) 는 S21 에서 검출한 온도를 검출 위치 (P1∼ Pn) 의 각각에 대응시키고 T1∼ Tn로서 기억하고 있다. 또, 제어 회로 (30) 는 검출 위치 (Pn) 에 대응한 검출 온도 (Tn) 를 특별히 T0t 로서 기억하고 있다.
S22 에서 제어 회로 (30) 는 T0t 에서 K (℃) 를 뺀 것이 Tp 보다도 큰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Tp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S23 으로 진행하고 Tp 이하이라고 판단되면 S40 으로 진행한다.
S40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T0t 에 K (℃) 를 더한 것이 Tp 보다도 작은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Tp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S41 로 진행하고 Tp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30 으로 진행한다.
Tp 란 피가열물에 대한 설정 온도이며 피가열물이 충분히 가열되었다고 하여 가열을 종료시켜야 한다고 여겨지는 온도이다. 또, K 란 5 정도의 정수이다. 즉, K ℃ 란 5 ℃ 정도가 된다. 또한, 전자 렌지 (1) 에서 가열 조리 처리가 복수의 조리 메뉴의 각각에 대응한 양태로 실행되는 경우, K 는 조리 메뉴 마다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가열 조리 처리의 S23 이후의 스텝은 S23 ∼ S29, S30 ∼ S38, S41 ∼ S46 의 크게 3 개의 블럭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 (30) 가 어느 블럭의 스텝을 실행하는가는 S22 및 S 40 의 판단시의 T0t 의 크기에 의존한다. 여기에서, 표 1 에 Tot 와 제어 회로 (30) 가 실행하는 블럭의 관계를 정리한다.
표 1
먼저, S23 ∼ S29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S23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이어서 실행하는 S24 에서 판단의 대상으로서 추출하는 검출 온도의 검출 위치의 y 축 상의 값을 「1」 로 설정하고 S24 로 진행한다. 즉, S23 의 처리에서 제어 회로 (30) 는 S24 에서 T1을 판단 대상으로 하는 설정을 실시한 것이 된다.
S24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그 시점에서 판단 대상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검출 온도 (Ty) 를 추출하고,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Tp) 보다도 낮은 온도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Tp 보다도 낮다고 판단되면 S25 로 진행하고, Tp 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27 로 진행한다. 또한, S24 에서 판단 대상으로 되는 검출 온도는 직전에 실행된 S21 또는 S29 에서의 검출 온도 중의 직전에서 실행된 S23 또는 S26 에서 설정된 검출 위치의 것이다.
S25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현재 판단 대상으로서 추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y 축 상의 위치가「n-1」이하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n-1」이하라고 판단되면 S26 으로 진행한다. 한편,「n-1」을 넘고 있는, 즉 「n」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28 로 진행한다.
S26 에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y 축 상의 위치를「n」가산 갱신하여 S24 로 복귀한다. 즉, S24 에서의 판단은 y 축 상의 위치가 「1」에서「n」이 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S28 에서는 전회 S29 또는 S21 에서 T1∼ Tn이 검출된 후, 미리 정해진 a초가 경과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a 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29 로 진행한다. S29 에서는 검출 위치 (P1∼ Pn-1) 의 각각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새롭게 T1∼ Tn-1로서 기억하고, S23 으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a 초란 T1∼ Tn-1의 검출 주기이다. 또한 a 초는 턴테이블 (90) 의 회전 주기를 b(bpm) 으로 한 경우, 상기 회전 주기와 이하의 식 (6) 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 = b / i …(6)
(i 는 정수)
식 (6) 의 관계가 있는 경우, T1∼ Tn-1는 턴테이블 (90) 이 1 회전하는 동안에 i 회 검출된다. 즉, 턴테이블 (90) 상의 서로 (360/i)°의 각도를 이루는 반경의 위치에서 온도 검출이 실행되게 된다.
한편, S24 에서 Ty가 Tp 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 회로 (30) 는 S27 에서 상기 Ty가 T0t 보다도 낮은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T0t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25 로 복귀하고 T0t 보다도 낮다고 판단되면 S39 에서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이상 설명한 S23 ∼ S29 의 처리는 a 초마다 검출 위치 (P1∼ Pn-1) 의 각각에서 온도 검출이 실시되며 검출된 온도는 T1∼ Tn-1로서 기억된다. 그리고 T1∼ Tn의 어느 하나가 설정 온도 (Tp) 에 도달하면 S27 의 처리를 거쳐 가열이종료된다. 또한, 이 경우의 Tn에 관해서는 S21 에서 검출된 온도이다.
이어서, S30∼ S38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S30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이어서 실행하는 S31 에서 판단의 대상으로서 추출하는 검출 온도의 검출 위치의 y 축 상의 값을「1」로 설정하고 S31 로 진행한다.
S31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그 시점의 판단 대상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검출 온도 (Ty) 를 추출하여 상기 검출 온도가 설정 온도 (Tp) 에서 K 를 뺀 온도, 「T0t-K」 보다도 낮은 온도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T0t-K」 보다도 낮다고 판단되면 S32 로 진행하고,「T0t-K」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34 로 진행한다. 또한 S31 에서 판단 대상으로 되는 검출 온도 (Ty) 는 직전에 실행된 S21 또는 S38 에서의 검출 온도 중의 직전에서 실행된 S30 또는 S33 에서 설정된 검출 위치의 것이다. 또, T0t 란 S21 에서 검출된 Tn이다.
S32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현재 판단 대상으로서 추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y 축 상의 위치가「n-1」이하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n-1」이하라고 판단되면 S33 으로 진행한다. 한편,「n-1」을 넘고 있는, 즉 「n」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37 로 진행한다.
S33 에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y 축 상의 위치를「n」가산 갱신하여 S31 로 복귀한다. 즉, S31 에서의 판단은 y 축 상의 위치가 「1」에서「n」이 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S37 에서는 전회 S38 또는 S21 에서 T1∼ Tn이 검출된 후, 미리 정해진 a 초가 경과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a 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38 로 진행한다. S38 에서는 검출 위치 (P1∼ Pn-1) 의 각각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새롭게 T1∼ Tn-1로서 기억하고, S33 으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a 초란 S28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T1∼ Tn-1의 검출 주기이다.
한편, S31 에서 Ty가 「T0t-K」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 회로 (30) 는 S24 에서 상기 Ty가 T0t 보다도 낮은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T0t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32 로 복귀하고 T0t 보다도 낮다고 판단되면 S35 로 진행한다.
S35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Tp 가 T0t 보다도 낮은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낮다고 판단되면 S39 에서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한편, S35 에서 Ty가 T0t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 회로 (30) 는 S36 에서 그 시점에서 상기 처리에서의 K 의 값에 대응한 시간만큼 추가로 마그네트런 (12) 에 가열 동작을 실행시킨 후, S39 에서 가열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K 는 조리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값이다. 따라서, S36 에서는 조리 메뉴에 대응한 시간만큼 추가로 가열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이어서, S41∼ S46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S41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이어서 실행하는 S42 에서 판단의 대상으로서 추출하는 검출 온도의 검출 위치의 y 축 상의 값을「1」로 설정하고 S42 로 진행한다.
S42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그 시점의 판단 대상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검출 온도 (Ty) 를 추출하여 상기 검출 온도가 설정 온도 (Tp) 보다도 낮은 온도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Tp 보다도 낮다고 판단되면 S43 으로 진행하고, Tp 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39 에서 가열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또한, S42 에서 판단 대상으로 되는 검출 온도는 직전에 실행된 S21 또는 S46 에서의 검출 온도 중의 직전에서 실행된 S41 또는 S44 에서 설정된 검출 위치의 것이다.
S43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현재 판단 대상으로서 추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y 축 상의 위치가「n-1」이하로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n-1」이하라고 판단되면 S44 로 진행한다. 한편,「n-1」을 넘고 있는, 즉 「n」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45 로 진행한다.
S44 에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y 축 상의 위치를「n」가산 갱신하여 S42 로 복귀한다. 즉, S42 에서의 판단은 y 축 상의 위치가 「1」에서「n」이 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S45 에서는 전회 S46 또는 S21 에서 T1∼ Tn이 검출된 후, 미리 정해진 a 초가 경과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a 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46 으로 진행한다. S46 에서는 검출 위치 (P1∼ Pn-1) 의 각각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새롭게 T1∼ Tn-1로서 기억하고, S41 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a 초란 S28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T1∼ Tn-1의 검출 주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의 가열 조리 처리에서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T0t 의 값에 따라 다른 블럭의 스텝이 실행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블럭에서도 온도 검출은 a 초마다 실행된다. 온도의 검출 주기인 a 초는 회전 주기 b(bpm) 와 상기 식 (6) 에 나타낸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서는 S29 또는 S38 에서의 온도 검출은 검출 위치 (P1∼ Pn-1) 에서 실시되며, 검출 위치 (Pn) 에서의 온도 검출은 생략된다. 이것은 턴테이블 (90) 에서 식품이 탑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낮은 검출 위치 (Pn) 에서의 온도 검출을 생략하고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극력 단축하기 위해서이다.
본 변형예에서 전자 렌지 (1) 에서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모든 시야 (7a) 를 맞추어도 동시에 가열실 (10) 의 저면 전체를 덮을 수는 없었다. 그 한편에서 가열실 (10) 의 저면에는 턴테이블 (90) 이 구비되었다. 그리고, 턴테이블 (90) 이 회전함으로써 턴테이블 (90) 상의 거의 전역이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중 어느 하나의 시야 (7a) 에 포함되었다.
이어서, 전자 렌지 (1) 의 다른 변형예로서 가열실 (10) 의 저면의 거의 전역이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어느 하나의 시야 (7a) 내에 포함되며 또한가열실 (10) 의 저면의 턴테이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한다.
7. 제 3 변형예
도 18 은 적외선 센서 (7) 가 가열실 (10) 의 안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나열된, 즉 m×n 의 메트릭스형으로 나열된 적외선 검출 소자 (7a) (도 18 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렌지 (1) 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 에서는 가열실 (10) 의 내부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도 9 와 동일하게 전자 렌지 (1) 의 각종 구성 부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18 에서는 가열실 (10) 의 폭 방향, 안길이 방향, 높이 방향에 관하여 서로 직교한 x 축, y 축, x 축의 3 축을 정의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 (1) 는 가열실 (10) 의 저면에 원형의 턴테이블 (90)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턴테이블 (90) 이 구비되기 때문에 전자 렌지 (1) 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은 가열실 (10) 의 측면으로부터 가열실 (10) 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또 도파관 (19) 및 회전 안테나 (15) 가 가열실 (10) 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는 y 축 방향으로 m 개, z 축 방향으로 n 개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실 (10) 저면에는 y 축 방향으로 m 개 (도 18 에서는 일예로서 6 개), x 축 방향으로 n 개의 시야 (70a) 가 나열되어 있다. m×n 개의 시야 (70a) 중에는 턴테이블 (90) 상에 투영되고 있는 것도 있고, 턴테이블 (90) 밖에 투영되고 있는 것도 있다. 또한, 턴테이블 (90) 상의 모든 영역이 m×n 개의 시야 (70a) 의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다.
도 19 는 m×n 개의 시야 (70a) 와 턴테이블 (90) 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 및 도 21 은 본 변형예에서 제어 회로 (30) 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이하에 도 19 ∼ 도 21 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서 적외선 센서 (7) 에 구비된 m×n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각 검출 출력이 어떻게 가열 조리에 이용되는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야 (70a) 의 위치는 P (x, y) 라는 형식을 사용하면 P (1, 1) ∼ P (n, m) 으로 기재할 수 있다. 또한, P (1, 1) 은 가열실 (10) 의 안쪽의 우단에 위치하고 (도 19 에서는 우상단), P (n, m) 은 가열실 (10) 의 앞쪽의 좌단에 위치한다 (도 19 에서는 좌하단). 또, 가열실 (10) 내에서는 시야 (70a) 는 x 방향으로 좌측에 있는 것일수록 x 좌표가 큰 것이 된다. 또, 시야 (70a) 는 y 방향으로 전측 (도 19 에서는 하방) 에 있는 것일수록 y 좌표가 큰 것이 된다.
조작 패널 (6) 에서 가열 조리를 실행하는 취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 회로 (30) 는 먼저 S49 에서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을 개시시키고 S50 으로 진행한다.
S50 에서 제어 회로 (30) 는 P (1, 1) ∼ P (n, m) 의 각 위치에 시야 (70a) 를 갖는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S51 로 진행한다. 또한, 제어 회로 (30) 는 S50 에서 검출한 m×n 개의 온도를 검출 위치 P (1, 1) ∼ P (n, m) 의 각각에 대응시키고 T (1, 1) ∼ T (n, m) 로서 기억하고 있다. 또, 제어 회로 (30) 는 검출 위치 P (1, 1) 에 대응한 검출 온도 T(1, 1) 를 특별히 T0t 로서 기억하고 있다.
S51 에서 제어 회로 (30) 는 T0t 에서 K (℃) 를 뺀 것이 Tp 보다도 큰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Tp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S53 로 진행하고 Tp 이하이라고 판단되면 S52 로 진행한다.
S52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T0t 에 K (℃) 를 더한 것이 Tp 보다도 작은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Tp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S68 로 진행하고 Tp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60 으로 진행한다.
Tp 란 피가열물에 대한 설정 온도이며 피가열물이 충분히 가열되었다고 하여 가열을 종료시켜야 한다고 여겨지는 온도이다. 또, K 란 5 정도의 정수이다. 즉, K ℃ 란 5 ℃ 정도가 된다. 또한, 전자 렌지 (1) 에서 가열 조리 처리가 복수의 조리 메뉴의 각각에 대응한 양태로 실행되는 경우, K 는 조리 메뉴 마다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가열 조리 처리의 S53 이후의 스텝은 S53 ∼ S59, S60 ∼ S66, S68 ∼ S73 의 크게 3 개의 블럭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 (30) 가 어느 블럭의 스텝을 실행하는가는 S51 및 S52 의 판단시의 T0t 의 크기에 의존한다. 여기에서, 표 2 에 Tot 와 제어 회로 (30) 가 실행하는 블럭의 관계를 정리한다.
표 2
먼저, S53 ∼ S59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S53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직전에 실행된 S50 또는 S59 에서 검출된 T (x, y) [T (1, 1) ∼ T (n, m)] 중에서 T0t 에 K (℃) 를 더한 것보다도 낮은 것을 추출하여 Te (x, y) 로 하고 S54 로 진행한다.
S54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53 에서 추출한 Te (x, y) 중의 최대치를 추출하여 maxTe 로서 기억하고 S55 로 진행한다.
S55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Te (x, y) 중에서 maxTe 와 정수 (d) 의 곱보다 이상의 온도를 갖는 것을 추출하여 Ted (x, y) 로서 기억하고 S56 으로 진행한다. 또한, 「d」란 조리 메뉴마다 미리 정해져 있는 정수로 0<d<1 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S56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55 에서 추출한 Ted (x, y) 의 평균을 산출하여 aveTed (x, y) 로서 기억하고 S57 로 진행한다.
S57 에서는 S56 에서 산출한 aveTed (x, y) 가 Tp 보다 낮은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낮다고 판단하면 S58 로 진행한다. 한편, aveTed (x, y) 가 Tp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67 에서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S58 에서는 전회 S59 또는 S50 에서 T (x, y) 가 검출된 후, 미리 정해진 a 초가 경과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a 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59 로 진행한다. S59 에서는 검출 위치 P (1, 1) ∼ P (n, m) 의 각각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새롭게 T (1, 1) ∼ T (n, m) 로서 기억하고, S53 으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a 초란 T (1, 1) ∼ T (n, m) 의 검출 주기이다. 또한 a 초는 턴테이블 (90) 의 회전 주기를 b(bpm) 으로 한 경우, 상기 회전 주기와 이하의 식 (7) 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 = b / i …(7)
(i 는 정수)
식 (7) 의 관계가 있는 경우, T (1, 1) ∼ T (n, m) 은 턴테이블 (90) 이 1 회전하는 동안에 i 회 검출된다. 즉, 턴테이블 (90) 상의 서로 (360/i)°의 각도를 이루는 반경의 위치에서 온도 검출이 실행되게 된다.
이어서, S60 ∼ S66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S60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직전에서 실행된 S50 또는 S64 에서 검출된 T (x, y) [T (1, 1) ∼ T (n, m)] 중에서 T0t 에서 K (℃) 를 뺀 것보다도 낮은 이상의 것을 추출하여 Tf (x, y) 로 하고 S61 로 진행한다.
S61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60 에서 추출한 Te (x, y) 중에서 T0t 보다도 낮은 것을 추출하여 Tft (x, y) 로서 기억하고 S62 로 진행한다.
S62 에서는 S61 에서 추출한 Tft (x, y) 의 수가 0 이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0 이라고 판단되면 S63 으로 진행하고, 0 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S65 로 진행한다.
S63 에서는 전회 S64 또는 S50 에서 T (x, y) 가 검출된 후, 미리 정해진 a 초가 경과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a 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64 로 진행한다. S64 에서는 검출 위치 P (1, 1) ∼ P (n, m) 의 각각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새롭게 T (1, 1) ∼ T (n, m) 로서 기억하고, S60 으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a 초란 S58 에서의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 (1, 1) ∼ T (n, m) 의 검출 주기이다.
S65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Tp 가 T0t 보다도 낮은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낮다고 판단되면 S67 에서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한편, S65 에서 Tp 가 T0t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 회로 (30) 는 S66 에서 그 시점에서 상기 처리에서의 d 의 값에 대응한 시간만큼 추가로 마그네트런 (12) 에 가열 동작을 실행시킨 후, S39 에서 가열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d 는 조리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값이다. 따라서, S66 에서는 조리 메뉴에 대응한 시간만큼 추가로 가열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이어서, S68 ∼ S73 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S68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직전에 실행된 S50 또는 S59 에서 검출된 T (x, y) [T (1, 1) ∼ T (n, m)] 의 최대치를 추출하고 maxT 로 하고 S69 로 진행한다.
S68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직전에서 실행된 S50 또는 S59 에서 검출된 T (x, y) 중에서 maxT 와 정수 (d) 의 곱보다 이상의 온도를 갖는 것을 추출하고 Td (x, y) 로서 기억하고 S70 으로 진행한다. 또한, 「d」란 S55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 메뉴마다 미리 정해져 있는 정수이다.
S70 에서는 제어 회로 (30) 는 S69 에서 추출한 Td (x, y) 의 평균을 산출하여 aveTd (x, y) 로서 기억하고 S71 로 진행한다.
S71 에서는 S70 에서 산출한 aveTd (x, y) 가 Tp 보다 높은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높다고 판단하면 S72 로 진행한다. 한편, aveTd (x, y) 이 Tp 이하라고 판단되면 S67 에서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S72 에서는 전회 S73 또는 S50 에서 T (x, y) 가 검출된 후, 미리 정해진 a 초가 경과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a 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59 로 진행한다. S73 에서는 검출 위치 P (1, 1) ∼ P (n, m) 의 각각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새롭게 T (1, 1) ∼ T (n, m) 로서 기억하고, S68 로 복귀한다. a 초란 T (1, 1) ∼ T (n, m) 의 검출 주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의 가열 조리 처리에서는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T0t 의 값에 따라 다른 블럭의 스텝이 실행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블럭에서도 온도 검출은 a 초마다 실행된다. 온도의 검출 주기인 a 초는 회전 주기 b(bpm) 와 상기 식 (7) 에 나타낸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제 4 변형예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4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2 는 전자 렌지에서의 도 4 에 해단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는 가열실 (10) 하방에 회전 안테나 (15) 대신에 회전 안테나 (20) 이 장착되어 있다.
또, 회전 안테나 (20) 에는 보조 안테나 (21) 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부근의 측면도를 도 23 에 나타낸다.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는 판형이다. 그리고, 보조 안테나 (21) 는 회전 안테나 (20) 에 절연체 (61, 62) 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즉, 회전 안테나 (20) 와 보조 안테나 (21) 는 절연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안테나 (20) 는 축 (15a) 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20) 의 하방에는 축 (15a) 이 1 회전할 때마다 1 회 ON 되는 스위치 (89) 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 (15a) 의 회전은 박스 (88) 내의 주지의 기구를 개재하여 스위치 (89) 에 전해진다.
도 24 및 도 25 는 도 22 의 가열실 (10) 하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양쪽 도 중에서 세선의 화살표 및 하얀 화살표는 마이크로파의 방사 패턴을 나타내고, 굵은선의 양쪽 화살표는 전계가 발생하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으로부터 도파관 (19) 를 개재하여 유도된 마이크로파는 회전 안테나 (20) 내를 거쳐 회전 안테나 (20) 의 외주로부터 방사됨과 동시에 (도 24 및 도 25 중의 세선의 화살표), 회전 안테나 (20) 의 외주 부분과 본체틀 (5) 의 저면 사이 및 보조 안테나 (21) 와 본체틀 (5) 의 저면의 사이를 거쳐 (도 24 및 도 25 중의 굵은선의 화살표) 보조 안테나 (21) 의 외주 부분 근방에서 방사된다 (도 24 및 도 25 중의 하얀 화살표).
회전 안테나 (20) 의 외주 부분에서 효율 좋게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기 위해서는 축 (15a) 의 선단에서 회전 안테나 (20) 의 외주 선단까지의 거리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2 또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정수배를 가한 것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수치로 됨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의 외주 부분에서의 전계 강도가 극대치 또는 그에 가까운 값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파가 회전 안테나 (20) 내에서 확산될 때에는 전송 로스가 발생하지만, 보조 안테나 (21) 와 본체틀 (5) 의 저면의 사이를 거치는 경우에는 상기 전송 로스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 안테나 (21) 의 형상은 마이크로파가 방사되는 가열실 (10) 의 형상에 맞춘 것으로 할 수 있다.
보조 안테나 (21) 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25 는 보조 안테나 (21) 의 구멍으로부터 전파가 전파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파관 (19) 로부터 보내져 오는 전파는 축 (15a) 을 개재하여 회전 안테나 (20) 중심에서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를 향하여 전해진다.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까지 전해진 전파는 그대로 가열실 (10) 내에 공급되는 것도 있고, 보조 안테나 (21) 에 전해지는 것도 있다. 보조 안테나 (21) 에 전해진 전파는 보조 안테나 (21) 의 단부로부터 가열실 (10) 에 공급되는 것도 있고 구멍 (후술하는 구멍 (21A ∼ 21F) 등의 단부로부터 가열실 (10) 에 공급되는 것도 있다.
또한, 도 29 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 안테나 (20) 는전체적으로 보조 안테나 (21) 에 덮혀 있다. 즉, 보조 안테나 (21) 의 외주는 회전 안테나 (20) 의 외측에 있다. 이 때문에, 보조 안테나 (21) 는 회전 안테나 (20) 보다도 가열실 (10) 측에 또한 가열실 (10) 에 대향하는 면과 평형한 면에서 외형 수치가 크고 또 넓은 범위에서 존재하고 있게 된다. 이로써, 가열실 (10) 에 대하여 회전 안테나 (20) 만이 형성되는 경우보다도 광범위하게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같은 보조 안테나 (21) 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효과를 도 26 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6 은 도 4 에 나타낸 전자 렌지 (1) 의 가열실 (10) 의 하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가열실 (10) 의 하부에 보조 안테나 (21) 가 구비되지 않고 회전 안테나 (15) 만이 형성된 경우, 회전 안테나 (15) 의 외주로부터 가열실 (10) 의 저면의 중앙 부근에만 마이크로파가 공급된다.
한편, 도 24 와 도 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가 형성된 경우 회전 안테나 (20) 의 외주로부터 가열실 (10) 의 저면의 중앙 부근에 마이크로파가 방사되는 것과 더불어 보조 안테나 (21) 의 외주로부터도 가열실 (10) 의 구석 부근에도 마이크로파가 방사된다.
도 27 은 보조 안테나 (21) 의 평면도이며, 도 28 은 회전 안테나 (20) 의 평면도이다. 또, 도 29 는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 안테나 (20) 와 겹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보조 안테나 (21) 에는 구멍 (21A ∼ 21F) 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 안테나 (20) 로부터 전파가 전해진 보조 안테나 (21)는 그 외연 부분 뿐만 아니라 구멍으로부터도 마이크로파를 방사할 수 있다.
또, 보조 안테나 (21) 는 회전 안테나 (20) 에 고정됨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와 동일한 주기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보조 안테나 (21) 에서 가열실 (10) 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패턴을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에 수반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보조 안테나 (21) 를 회전시킴으로써도 가열실 (10) 에 보다 복잡한 패턴으로 즉 빠짐없이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회전 안테나 (20) 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축 (15a) 과 접속하기 위한 구멍 (20X)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 안테나 (20) 는 구멍 (20X) 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은 부분 (20A ∼ 20C) 를 구비하고 있다. 구멍 (20X) 부근의 외주는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부분 (20A) 의 단부의 구멍 (20X) 로부터의 거리 (A) 는 약 60 mm 이며, 부분 (20B) 및 부분 (20C) 의 단부의 구멍 (20X) 으로부터의 거리 (B) 는 약 80 mm 이다. 또한, 거리 (A) 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약 1/2 의 길이에 해당한다.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로부터 방사되는 마이크로파의 세기는 그 단부의 전계의 세기에 의존한다. 전계의 세기는 마그네트런 (12) 의 마그네트런 안테나로부터 축 (15a) 까지의 거리, 축 (15a) 의 선단으로부터 회전 안테나 (20) 의 외주 부분의 선단까지의 거리 및 도파관 (19) 의 길이나 형상과 방사되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관계 등에 의존한다. 본 변형예의 회전 안테나 (20) 에서는 부분 (20A) 의 단부로부터 방사되는 마이크로파는 부분 (20B 및 20C) 의 단부로부터 방사되는 마이크로파보다도 강해져 있다. 즉, 통상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의 급전구 부근, 즉 회전축 (15a) 부근의 전계가 강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 (15a) 의 정점으로부터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의 짝수배에 가까운 수치가 되면 상기 단부에서의 자계는 강해지고, 또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의 홀수배에 가까운 수치가 되면 상기 단부에서의 전계는 약해진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보조 안테나 (21) 의 부분 (20A) 부근에는 마이크로파의 주된 전파 방향 (도 29 중의 화살표 (E)) 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슬릿형의 구멍 (21A ∼ 21F)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구멍 (21A ∼ 21F) 으로부터 강하게 마이크로파가 방사된다. 또, 구멍 (21B, 21D, 21E, 21F) 으로부터는 특히 세게 마이크로파가 방사된다. 또한, 구멍 (21B, 21D, 21E, 21F) 으로부터 효율 좋게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기 때문에 이들의 구멍의 길이 방향의 수치는 55mm ∼ 60mm 정도로 된다.
본 발명의 전자 렌지에서는 구멍 (21A ∼ 21F) 이 가열실 (10) 내의 도어 (3) 측에 위치하도록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가 정지되어 있다. 이로써, 이들의 안테나가 정지되어 운전되는 경우에는 가열실 (10) 내의 앞쪽에 식품이 탑재되면 상기 식품에 집중적으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고 효율 좋게 가열되게 된다. 또한, 저판 (9) 을 투명하게 하는 등하여 보조 안테나 (21) 를 가열실 (10) 내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고 보조 안테나 (21) 의 구멍 (21A ∼ 21F) 이 형성되는 부근 (도 29 의 영역 (F) 부분) 에 이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표시란 문자로 「파워존」등, 집중적으로 가열되는취지를 기재해도 되며 그 부분의 표면에 굴곡을 형성해도 (즉, 단면이 도 2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도) 된다.
또한, 회전 안테나 (20) 는 축 (15a) 의 상단에 상기 축 (15a) 의 상단을 스치게 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치는 부분의 단면은 원형이 아니라 다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20X) 의 단면 형상도 팔각형으로 되어 있다. 축 (15a) 이 스치고 있는 단면이 다각형이기 때문에 축 (15a) 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를 화살표 (W)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회전 안테나 (20) 가 축 (15a) 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축 (15a) 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확실하게 회전 안테나 (20) 의 회전 각도를 제어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 안테나 (20) 에 대하여 절연된 보조 안테나 (21) 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 안테나 (20) 에 의해 방사 안테나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 안테나 (20) 와 보조 안테나 (21) 를 조합시킨 구성을 설명하였는데, 이 같은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얻고자 하기 위하여 회전 안테나 (20) 의 수치 변경만으로 대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수치 변경만으로 대응한 경우 (1) 마이크로파는 그 거의가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로부터 방사된다는 것, (2) 회전 안테나 (20) 의 수치가 길어지면 마이크로파의 전송 로스가 커진다는 것, (3) 회전 안테나 (20) 로부터 효율 좋게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파의 파장과 관련된 수치로 하지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가열실의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어진다는 것 (예를 들어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로부터 최대 출력으로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기 위해서는 축 (15a) 로부터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의 짝수배에 가까운 수치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등의 이유에 의해 가열실의 설계에 규제가 걸린다.
이 점, 보조 안테나 (21) 는 회전 안테나 (20) 로부터의 방사된 마이크로파의 일부를 보조 안테나 (21) 외주까지 유도하는 역할을 할 뿐 그 수치는 전송 로스에 관계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파의 방사의 효율에 관계 없어 자유롭게 보조 안테나 (21) 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회전 안테나 (20) 는 가장 효율이 좋은 수치로 설계할 수 있고 회전 안테나 (20) 단부로부터 마이크로파를 방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방사된 마이크로파의 일부를, 수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보조 안테나 (21) 에 의해 그 외주까지 유도하여 방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열실의 크기에 따라 보조 안테나 (21) 의 수치를 결정하면 되고, 가열실의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또한, 회전 안테나 (20) 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및 보조 안테나 (21) 의 외주부근으로부터 가열실에 대하여 마이크로파를 방사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열실에 보다 빠짐없이 마이크로파를 방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9. 제 5 변형예
도 30 는 본 발명의 제 5 변형예의 보조 안테나 (22) 및 회전 안테나 (20) 의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보조 안테나 (22) 는 제 4 변형예의 보조 안테나 (21) 에 추가로 반사부 (22X) 를 형성한 것이다.
도 31 은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는 본체틀 (5) 의 하부에 광학 센서 (23) 가 장착되어 있다.
도 32 는 도 31 의 광학 센서 (23) 부근의 확대도이다. 광학 센서 (23) 는 투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 소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화살표 (V1) 의 빛을 방사한다. 또한, 회전 안테나 (20) 및 회전 안테나 (20) 에 고정된 보조 안테나 (22) 는 모터 (81) 가 구동함으로써 회전한다. 그리고, 보조 안테나 (22) 의 회전 위치가 반사부 (22X) 가 광학 센서 (23) 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화살표 (V2) 로 나타낸 반사부 (22X) 에서의 화살표 (V1) 의 반사광이 광학 센서 (23) 의 수광 소자에 의해 검출된다. 이 같이 광학 센서 (23) 에 의해 화살표 (V2) 의 빛이 검출됨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2) 가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추가로 광학 센서 (23) 가 화살표 (V2) 의 빛을 검출한 후의 타이밍을 검출함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2) 의 회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제 4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위치 (89) 를 장착하지 않고 또한 직접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2) 의 회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 안테나 (20) 에 접속된 축 (15a) 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81) 가 축 (15a) 의 하방이 아니라 측방 (좌측) 에 장착되어 있다.도 33 에 모터 (81) 부근의 부분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모터 (81) 는 축 (81a) 이 구비되며 축 (81a) 은 캠 (84) 에 접속되어 있다. 캠 (84) 의 회전은 캠 (82) 로 전해지며 캠 (82) 의 회전은 축 (83) 으로 전해지며 축 (83) 의 회전이 축 (15a) (도 31 참조) 에 전해진다. 즉, 모터 (81) 가 구동되면 축 (81a) 가 회전하며 그 회전이 캠 (84), 캠 (82), 축 (83) 을 개재하여 축 (15a) 에 전해진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 모터 (81) 가 축 (15a) 의 측방에 구비됨으로써 모터 (81) 가 가열실 (10) 로부터 즙 등이 넘쳤을 경우에도 도 31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가열실 (10) 의 하방에서 상정되는 즙의 흐름의 경로의 밖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만일 가열실 (10) 에서 넘친 즙이 가열실 (10) 의 하방으로 거쳐왔다고 해도 상기 즙이 축 (15a) 를 거쳐 모터 (81) 에 도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0. 제 6 변형예
도 34 는 본 발명의 제 6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모터 부근의 하면도이다. 또한,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는 상기한 제 5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캠 (82) (도 31 및 도 33 참조) 대신에 캠 (85) 이 장착되고 추가로 캠 (85) 의 외주 부근에는 스위치 (86) 가 구비되어 있다. 스위치 (86) 는 스위치 보턴 (86a) 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보턴 (86a) 이 압압됨으로써 소정의 회로의 ON/OFF 를 전환한다.
제 5 변형예에서는 보조 안테나 (22) 의 반사부 (22X) 를 사용하여 보조 안테나 (22) 및 회전 안테나 (20) 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였다. 이에 비하여 본변형예에서는 캠 (85) 의 회전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보조 안테나 (22) 및 회전 안테나 (20) 의 회전 상태를 검출한다.
이하에 캠 (85) 의 회전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4 에서 G1 은 캠 (84) 의 회전 방향이며, G2 는 캠 (85) 의 회전 방향이다. 캠 (85) 의 외주의 형상은 기본적으로는 원형이지만, 돌출된 부분 (85c)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된 부분 (85c) 의 회전 방향측의 근방의 부분 (85a) 는 부분 (85c) 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급격하게 중심 (축 (83)) 과의 거리가 좁아지고 회전 방향과 반대측의 부분 (85b) 은 85a 와 비교하여 서서히 중심과의 거리가 좁아지고 있다. 캠 (85) 은 이 같은 외주의 형상을 갖음으로써 G2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스위치 보턴 (86a) 을 부분 (85a) 에서 빠르게 압압하고 또한 부분 (85b) 에서 서서히 그 압압을 해제한다.
즉,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는 캠 (85) 의 회전 상태를 스위치 (86) 로 검출함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2) 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지만, 이 때 스위치 보턴 (86a) 은 빠르게 압압되고 또한 서서히 압압이 해제된다. 이로써 스위치 (86) 에 캠 (85) 의 회전 상태에 빠르게 반응시키면서 스위치 보턴 (86a) 에 대한 취급이 난잡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이 정지된 후,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2) 의 회전은 특정한 회전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이 정지된 후, 스위치 보턴 (86a) 의 압압이 해제된 후, 2 초 경과한 시점에서 이들의 안테나의 회전은 정지된다. 또한, 스위치 보턴 (86a) 의 압압이 해제된 후, 2 초 후에는 보조 안테나의 구멍 (21A ∼ 21F) 은 보조 안테나 (22) 의 다른 부분보다도 가열실 (10) 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보조 안테나의 구멍 (21A ∼ 21F) 은 도 29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보조 안테나의 구멍 (21A ∼ 21F) 과 동할한 방법으로 마이크로파를 비교적 강하게 방사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는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이 정지되면 가열실 (10) 내의 전측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가열실 (10) 내의 전측이란 도어 (3) 측으로 유저가 식품을 탑재하기 쉬운 장소이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이 개시될 때 먼저 가열실 (10) 의 식품이 탑재되기 쉬운 장소를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전자 렌지에서 스위치 보턴 (86a) 은 압압된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되지 않는다. 이로써, 스위치 보턴 (86a) 에 대한 외력으로부터의 압압이 해제되어도 상기 스위치 보턴 (86a) 자체가 압압이 해제된 상태로 복귀할 수 없다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즉, 스위치 (86) 의 수명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11. 제 7 변형예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7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모터 부근의 하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6 변형예의 캠 (85) 대신에 캠 (850) 이 구비되어 있다. 캠 (850) 은 제 6 변형예의 캠 (85) 과 같은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대신에 반사부 (851) 가 구비되어 있다. 또, 캠 (850) 의 외주 부근에는 광학센서 (87) 가 구비되어 있다.
광학 센서 (87) 는 투영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투광 소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화살표 (H1) 로 나타내는 빛을 방사한다. 캠 (850) 은 G2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수광 소자가 화살표 (H2) 로 표시되는 빛을 검출함으로써 캠 (850) 의 회전 위치가 반사부 (851) 에 의해 화살표 (H1) 의 빛이 반사되는 위치로 된 것이 검출된다.
12. 제 8 변형예
제 5 ∼ 제 7 의 변형예에서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또는 22) 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기구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본 변형예에서는 이들의 기구를 사용하여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또는 22) 의 정지시에서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또한, 이들의 안테나의 정지 위치의 제어는 가열실 (10) 내의 식품의 배치에 적합한 패턴으로 가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열실 (10) 내의 식품의 가열 패턴에 관하여 설명한다.
회전 안테나 (20) 를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3) 에 부분 (20A) 를 대향시킨 상태를 0°으로 하고 구멍 (20X) 을 중심으로 하여 도 중의 화살표 방향 (도 36 에서는 반시계 방향) 으로 α°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36 중 파선 내에 「도어측」이라고 된 것은 회전 안테나 (20) 에 대한 도어 (3)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기재이다.
가열실 (10) 의 저면을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① 과 ② 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생각한다. 또한, ① 은 가열실 (10) 을 도어 (3) 에서 보아, 즉전방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② 는 우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회전 안테나 (20) 를 0°, 90°, 180°, 270°소정의 회전 각도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또 회전 안테나 (20) 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고 어느 일정 시간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을 실시한 경우의 ① 및 ② 의 영역의 각각에 배치된 식품의 상승 온도를 표 3 에 나타낸다.
표 3
부하 ① 의 상승 온도 (℃) 부하 ② 의 상승 온도 (℃)
안테나 연속 회전 18.6 19.3
안테나 0° 20.4 19.1
안테나 90° 16.8 22.3
안테나 180° 17.5 18.9
안테나 270° 21.8 17.5
표 3 을 참조하여 회전 안테나 (20) 를 회전시키면서 가열이 실시되면 ① 및 ② 에 탑재된 식품의 상승 온도의 차이는 1 ℃ 미만으로 되어 있다. 즉, 이 경우 양영역에서의 상승 온도는 거의 일정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회전 안테나 (20) 를 정지시키고 가열이 실시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① 과 ② 에서의 상승 온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안테나 (20) 를 부분 (20A) 이 도어 (3) 에서 보아 우측에 위치하도록, 즉 회전 각도를 90°에서 정지시키고 가열을 실시한 경우에는 도어 (3) 에서 보아 우측에 있는 영역 ② 에 탑재된 식품이 좌측에 있는 영역 ① 에 탑재된 식품보다도 5 ℃ 이상이나 높게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또, 부분 (20A) 이 도어 (3) 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도록, 즉 회전 각도를 270°에서 정지시키고 가열을 실시한 경우에는 도어 (3) 에서 보아 좌측에 있는 영역 ① 에 탑재된 식품이 좌측에 있는 영역 ② 에 탑재된 식품보다도 4 ℃ 이상이나 높게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부분 (20A) 이 가열실 (10) 의 전방 또는 후방 (회전 각도 0° 또는 180°) 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영역 ① 과 ② 영역에서의 식품의 상승 온도는 그다지 큰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안테나 (20) 가 전지된 회전 위치에 의해 가열실 (10) 내에서 집중적으로 가열되는 위치가 변화한다. 또,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는 가열 개시시에 적외선 센서 (7) 를 사용하여 가열실 (10) 내의 식품의 배치 패턴이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7 의 ① 또는 ② 의 어느 쪽에 또는 가열실 (10) 을 추가로 많은 영역으로 분할하여 그 중 어느 영역에 식품이 배치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어디에 식품이 배치되어 있는가의 판단은 가열 개시 후 온도 상승이 있었던 장소를 식품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라고 판단함으로써 실시된다.
그리고, 전자 렌지에서는 식품의 배치 패턴에 따라서 식품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강하게 가열할 수 있는 가열 패턴 (표 3 에서는 ① 또는 ② 의 어느 한 쪽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가) 이 선출된다. 그리고, 선출된 가열 패턴에 따른 회전 각도로 회전 안테나 (20) (또는 21, 22) 를 정지시키고 가열을 실시한다. 표 3 의 내용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 (30) 내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가열실 (10) 을 추가로 많은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 3 으로서 각종의 회전 각도 α°에 대한 이들의 영역에서의 식품의 상승 온도를 기억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표 3 에는 보다 많은 가열 패턴이 포함되게 되기 때문에 보다 실제의 가열실 (10) 내의 식품의 배치 패턴에 대응한 가열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식품의 배치 패턴에 따른 위치에서 회전 안테나를 정지시키고 가열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효율 좋게 가열실 (10) 내의 식품을 가열할 수 있다.
13. 제 9 변형예
도 38 은 본 발명의 제 9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외장부를 뺀 상태를 우상방에서 본 분분적인 사시도이다. 즉, 도 38 은 전자 렌지 (1) 의 변형예의 도 3 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는 검출 경로 부재 (40) 의 상부에 적외선 센서 (7) 가 장착되어 있다. 또, 검출 경로 부재 (40) 의 우부에는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180) 가 장착되어 있다.
검출 경로 부재 (40) 의 상단에는 구멍 (40X) 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 (40X) 를 감쌓도록 통 (41) 이 구비되어 있다. 통 (41) 은 검출 경로 부재 (40) 의 상단을 버링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있으며 검출 경로 부재 (40) 의 상단면으로부터 우뚝 솟은 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9 는 본 변형예의 검출 경로 부재 (40) 의 우측 단면이며, 도 40 은 검출 경로 부재 (40) 의 하면도이며 도 41 은 검출 경로 부재 (40) 의 우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2 는 검출 경로 부재 (40) 와 적외선 센서 (7) 를 아래에서 본 도면이며 이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 (41) 은 볼록부 (41A) 를 갖도록 그 일부만이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통 (41) 은 볼록부 (41A) 만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링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 (7) 는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 구멍 (7X) 을 개재하여 적외선을 그 내부에 삽입하여 적외선량의 검충을 실시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는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실 (10) 내의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등에 존재하지만,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비검출시) 에는 검출 구멍 (7X) 을 볼록부 (41A) 에 대향시키는 위치 (도 42 중에 이들을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에 존재한다. 도 42 에서의 적외선 센서 (7) 의 비검출시의 위치는 도 38 에서의 적외선 센서 (7) 의 위치에 해당한다. 즉, 통 (41) 에서 볼록부 (41A) 는 팬 (181, 182) 의 송풍 방향에 관하여 상기 통 (41) 내의 가장 바람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적외선 센서 (7) 는 구멍 (40X) 을 개재하여 가열실 (10)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지만, 비검출시에는 구멍 (40X) 보다도 바람 상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로써, 적외선 센서 (7) 의 비검출시에 가열실 (10) 내에서 비산되는 즙 등에 의해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부분이 더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는 검출에 즈음하여 또는 검출시에서 비검출실로 이행할 때 가열실 (10) 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전후 방향이란 도 14 및 도 15 에서의 y 방향에 해당한다. 즉, 본 변형예는 도 14 및 도 15 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 (7A) 를 가열실(10) 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 렌지에 대응한 것이다. 다만,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가 비검출시에 구멍 (40X) 보다도 바람 상측에 위치하면 되는 것으로 가열실 (10) 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예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 통 (41) 에 볼록부 (41A)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버링 가공의 높이를 전체적이 아니라 일부만을 높게 할 뿐으로 적외선 센서 (7) 의 비검출시의 피난 장소를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통 (41) 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 (7) 의 비검출시의 피난 장소를 검출시의 위치로부터 그다지 멀지 않은 위치로할 수도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마그네트런 (12) 등을 냉각하기 위한 팬 (181, 182) 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 (7) 는 비검출시에는 통 (41) 보다도 팬 (181, 182) 의 송풍 방향에 관하여 바람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가열실 (10) 로부터의 즙이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변형예에서의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의 이동 양태에 관하여 도 43 ∼ 도 4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3 은 가열실 (10) 내의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는 가열실 (10) 의 외측으로 가열실 (10) 의 우측면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반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는 가열실 (10) 의 전후 방향 (도 43 의 양쪽 화살표 y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도 43 에서는 적외선센서 (7) 의 시야의 가열실 (10) 내의 가장 우측에 있는 부분의 집합체를 면으로서 시야 (701) 로 나타내고 가장 좌측에 있는 부분의 집합체를 면으로서 시야 (702) 로 나타내고 있다. 도 44 는 도 43 은 적외선 센서 (7)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 도 43 에서의 삼각주 (100) 는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의 이동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적인 선구획으로서 표시되고 있다.
시야 (701) 는 가열실 (10) 의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가 미치는 영역의 가장 우측의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 (7) 는 삼각주 (100) 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선 (도 44 의 선 (101)) 을 축으로 하고 도 44 의 양쪽 화살표 (K) 방향으로 회전 이동됨으로써, 그 시야를 가열실 (10) 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도 43 에서는 시야 (701) 는 삼각주의 측면과 평행한 면이다. 즉, 시야 (701) 와 선 (101) 은 수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가열실 (10) 에서 적외선 센서 (7) 가 구비되는 측 (도 43 에서는 우측) 의 안쪽 및 앞쪽의 시야가 미칠 수 없는 영역을 가장 좁게 할 수 있다.
또, 가열실 (10) 에 대하여 적외선 센서 (7) 가 후면측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경우에는 회동될 때의 축은 시야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집합체의 면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는 경우 회동시키는 축은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가 미치는 전영역 중에서 가열실 (10) 내의 가장 적외선 센서 (7) 가 장착되는 쪽의 면에 수직인 것으로 된다. 이로써, 가열실 (10) 의 적외선 센서 (7) 가 장착되는 측에서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가 미치지 않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가열실 (10) 내의 보다 넓은 범위를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 중에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효과는 도 45 및 도 46 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도 45 는 적외선 센서 (7) 가 본 변형예의 비교되는 상태에서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46 은 도 45 의 적외선 센서 (7)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45 에서 삼각주 (200) 는 적외선 센서 (7) 의 이동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적인 것으로서 표시되고 있다.
도 45 및 도 46 에서의 비교예에서도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는 적외선 센서 (7) 가 구동됨으로써 전후 방향 (양쪽 화살표 (y) 방향) 으로 이동된다. 적외선 센서 (7) 가 회전 이동됨으로써 그 시야가 미치는 영역 중에서 가장 우측의 면이 시야 (703), 가장 좌측의 면이 시야 (704) 로서 표시되고 있다.
이 비교예에서는 삼각주 (200) 의 가장 우측에 있는 선 (도 46 의 선 (201) 은 적외선 센서 (7) 가 회전 이동 할 때의 축으로 되어 있다. 즉, 도 46 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비교예에서는 시야 (703) 와 선 (201) 이 이루는 각은 예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시야 (703) 가 가열실 (10) 과 직교하는 부분의 선의 길이는 가열실 (10) 의 그 부분에서의 안길이 방향의 수치보다도 매우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 43 과 도 45 를 비교하면 가열실 (10) 의 적외선 센서 (7) 가 장착된 측 (우측) 의 구석에서는 도 43 이 도 45 보다도 매우 많은 영역을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에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적외선 센서 (7) 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는 경우 적외선 센서 (7) 를 회전 이동시키는 축은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가 미치는 전영역 중에서 가열실 (10) 내의 가장 적외선 센서 (7) 가 장착되어 있는 쪽의 면에 수직인 것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점으로부터도 적외선 센서 (7) 를 회전 이동함으로써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는 경우, 적외선 센서 (7) 를 회전 이동시키는 축은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가 미치는 전영역 중에서 가열실 (10) 내의 가장 적외선 센서 (7) 가 적외선 센서 (7) 가 잔착되어 있는 측쪽의 면에 수직인 것이라고 여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14. 제 10 변형예
이어서, 도 47, 도 48 및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0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주로 전자 렌지에서의 가열 조리 중의 적외선 센서 (7) 를 사용하여 가열실 (10) 내의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고 자동적으로 가열 종료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조리에 관한 제어 양태를 설명한다.
도 47 및 도 48 은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제어 양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가열실 (10) 의 폭방향 (도 10 의 x 방향) 및 안길이 방향 (도 10 의 y 방향)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먼저, S101 에서는 전자 렌지에 대하여 키 입력이 있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있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는 S102 로 진행한다.
이어서, S102 에서는 S101 에서 입력을 검출한 것이 전자 렌지측으로 자동적으로 조리 종료를 검출시키는 조리를 실행시키는 키 (자동 키) 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자동 키라고 판단되면 S103 으로 처리를 진행하여 자동 키 이외의 키라도 판단되면 상기 키에 따른 처리로 진행한다.
S103 에서는 S102 에 의해 검출된 자동 키가 적외선 센서 (7) 에 의해 가열실 (10) 내의 식품의 온도를 검출시킴으로써 실행하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 코스를 선택하는 것인 경우에는 S104 로 진행하며, 그 이외의 코스를 선택하는 것인 경우에는 상기 코스에 따른 처리로 진행한다.
S104 에서는 가열 조리를 개시시킨 키 (스타트 키) 가 조작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타트 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S105 로 진행한다.
S105 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에 가열 동작을 개시시키고 S106 으로 진행한다.
S106 에서는 자동 조리에 관한 메모리의 기록 내용 및 플러그를 리세트하고 S107 로 진행한다.
S107 에서는 식품 검지 온도 (M0) 를 설정하여 S108 로 진행한다. 식품 검지 온도 (M0) 란 적외선 센서 (7) 가 검지하는 온도가 이 온도에 도달하면 가열을 종료시킨다고 하는 가열의 목표가 되는 온도이다.
S108 에서는 가열실 (10) 내를 비추는 램프의 전등 및 회전 안테나 (15) 의 회전을 개시키고 S109 로 진행한다.
S109 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의 운전을 개시시키고 S110 으로 진행한다.
S110 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에 의한 온도 검출을 개시시키고 S111 로 진행한다.
S111 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가열실 (10) 내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소로 주사시키고 최고 온도를 검출하고 S112 로 진행한다. S111 의 처리를 도 10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는 가열실 (10) 의 전후 방향 (도 10 의 y 방향) 및 좌우 방향 (도 10 의 x 방향) 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S111 에서는 시야를 p (x, y) 로서 x-y 좌표로 나타내면 x=1 에서 y 를 n 에서 1 로 변화시키는 선상, x=ml 에서 y 를 1 에서 n 으로 변화시키는 선상, x=m2 에서 y 를 n 에서 1 로 변화시키는 선상 (1<m1<m2<m) 의 순으로, 즉 안길이 방향에 관하여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좌방으로 이동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좌방으로 이동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라는 영역으로 가열실 (10) 전역을 이동시킨다. 또한, 가열실 (10) 전역에 시야를 이동시키면서 적외선 센서 (7) 에 의한 온도 검출이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가열실 (10) 내에서 검출된 안길이 방향에서의 온도의 최대 변화치 (Mx) 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안길이 방향에서의 온도의 최대 변화치란 가열실 (10) 내에서 y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선형으로 온도 검출이 실시되지만, 각 선형마다 구해지는 온도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 중의 최대치이다.
S112 에서는 S111 에서 기억된 최대 변화치 (Mx) 가 소정의 온도 (Lx)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Mx 가 Lx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113 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S111 로 복귀하며 다시 최대 변화치 (Mx) 를 추출한다.
S113 에서는 전회 적외선 센서 (7) 에 의한 온도 검출이 개시된 후 10 초가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S114 로 진행한다.
S114 에서는 플러그 (F0) 가 리세트된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리세트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S115 로 진행하며 세트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S121 로 진행한다.
S115 에서는 직전의 S112 에서 판단 대상이 된 Mx 를 검출된 안길이 방향의 선형으로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고 다시 적외선 센서 (7) 에 의한 온도 검출을 실행하여 S116 으로 진행한다. 또한, S115 에서의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의 이동의 속도는 S111 에서의 시야의 이동 속도보다도 낮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S115 에서의 시야의 이동 속도는 예를 들어 S111 에서의 시야의 이동 속도의 1/4 로 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먼저 가열실 (10) 전체를 비교적 빠른 스피드로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고 식품의 위치를 찾은 후 (S111 ∼ S112), 식품이 존재하는 선에 관한 예상을 한 후에는 주의 깊게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게 된다 (S115). 그리고, 추가로 상기 선상의 온도 검출을 실시하여 상기 선상의 어디에 식품이 존재하는가를 결정한다 (S116 ∼ S119).
S116 에서는 S115 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한 선상에서의 온도의 최대치를 기록한 시점에서의 상승 온도 (My) 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S117 로 진행한다.
S117 에서는 S116 에서 기억시킨 My 가 소정의 온도 (Ly) 이상인가 아닌가를판단한다. Ly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118 로 처리를 진행하고, 직전의 S116 에서의 My 의 검출의 대상이 된 지점에 식품이 탑재되어 있다고 하여 상기 지점이 포함되는 안길이 방향으로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킨 온도 검출이 실시되며 S119 로 진행한다. 또한, S118 에서의 시야의 이동 속도는 S115 에서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다.
S119 에서는 플러그 (F0) 를 세트하고 S113 으로 복귀한다. 이 후, 플러그 (F0) 가 세트된 상태라면 S121 로 처리가 진행된다.
S121 에서는 S118 에서 온도 검출을 실시한 소정의 안길이 방향의 선형으로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이동시키고 온도 검출을 실시하고 상기 선상에서의 온도의 최대치가 검출된 지점에서의 온도의 변화량 (Mz) 을 기억하고 S122 로 진행한다. 또한, S121 에서의 시야의 이동 속도는 S115 에서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다.
S122 에서는 S121 에서 기억한 Mz 가 소정의 온도 (Lz)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Mz 가 Lz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123 으로 진행하고 Mz 가 Lz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S120 으로 진행한다.
S120 에서는 직전의 상형에 시야를 이동시키고 온도 검출을 실시한 후 5 초가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5 초 경과했다고 판단되면 S114 로 진행한다.
한편, S123 에서는 S121 에서 Mz 를 기억한 지점에서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고정시키고 적외선 센서 (7) 에 의한 온도 검출을 계속하여 S124 에 처리를 진행한다.
S124 에서는 시야 내의 식품의 온도 (M1) 의 검출을 실시하고 S125 로 진행한다.
S125 에서는 직전의 S125 에서 검출한 온도 (M1) 가 S107 에서 설정한 M1 에 도달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아직 도달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S124 로 복귀하고,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126 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S126 에서는 가열을 종료하는 설정을 실시하고, S127 로 처리를 진행한다. S127 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의 가열 동작, 가열실 (10) 을 비추는 램프의 점등 및 회전 안테나 (15) 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S128 로 진행한다. S128 에서는 가열의 종료를 부저 등에 의해 통보한다. 이 후, 전자 렌지는 대기 상태가 된다.
15. 제 11 변형예
도 49 는 본 발명의 제 11 변형예의 전자 렌지에서의 시야의 이동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에는 8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어느 시점에서의 이들의 8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는 각각 시야 (71A ∼ 78A) 로서 가열실 (10) 의 저면에 투영된다. 시야 (71A ∼ 78A) 가 가열실 (10) 의 폭 방향의 거의 전역을 덮기 때문에 가열실 (10) 의 폭 방향의 거의 전역이 어느 하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가 소정의 양태로 회전 이동됨으로써, 시야 (71A ∼ 78A) 는 가열실 (10) 의 전방향에는 시야 (71B ∼ 78B) 까지 가열실 (10) 의 후방향에는 시야 (71C ∼ 78C) 까지 이동되게 된다. 이로써, 가열실 (10) 의 거의 전역이 어느 하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각 적외선 검출 소자와 그 시야 내의 가열실 (10) 의 저면의 거리가 변화하지 않도록 각 적외선 검출 소자를 이동시키고 있다. 이로써, 가열실 (10) 의 저면 상에서는 동일한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는 동일한 면적으로 되어 있다. 즉 가열실 (10) 의 저면 상에서는 시야 (71A ∼ 71C) 는 동일한 면적이며, 시야 (72A ∼ 72C) 는 동일한 면적이며, 시야 (78A ∼ 78C) 는 동일한 면적이다. 이 같이 각 시야가 이동됨으로써 각 적외선 검출 소자가 그 시야 내에 포함하는 가열실 (10) 의 영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각 적외선 검출 소자에 관해서는 온도 검출의 정밀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각 적외선 검출 소자가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량은 시야 내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16. 제 12 변형예
도 50 은 본 발명의 제 12 변형예의 적외선 센서 (7) 부근의 확대도이다. 또, 도 51 은 본 변형예의 전자 렌지의 종단면도이다.
적외선 센서 (7) 에는 5 개의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5) 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도 50 및 도 51 에는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5) 의 시야의 중심선 (701A ∼ 705A) 이 기재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소자 (701 ∼ 705) 의 시야는 검출 경로 부재 (40) 에 형성된 구멍 (40X) 을 개재하여 가열실 (10) 내에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적외선 소자 (701 ∼ 705) 는 그 시야의 중심선 (701A ∼ 705A) 이 구멍 (40X) 부근의 점 (Q) 에서 교차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구멍 (40X) 의 직경을 최소로 할 수 있다.
구멍 (40X) 의 직경이 작아짐으로써 가열실 (10) 으로부터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5) 로 식품의 즙 등이 비산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에서 도 5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렬로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5) 를 배열시켜도 되고, 도 5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의 내벽에 2 차원적으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를 배열시키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2 및 도 53 의 어느 쪽에서도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701 ∼ 705) 의 시야의 중심은 구멍 (40X) 부근에서 교차한 후 가열실 (10) 내에 뻗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3 에 나타낸 적외선 센서 (7) 에서는 가열실 (10) 내의 모든 영역이 동시에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어느 하나의 시야에 포함된다.
17. 제 13 변형예
도 54 는 본 발명의 제 13 변형예의 적외선 센서 (7) 부근의 확대도이다.
본 변형예의 적외선 센서 (7) 는 도 50 을 사용하여 설명한 적외선 센서 (7) 의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5) 와 더불어 적외선 검출 소자 (706) 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5) 는 그 시야가 모두 구멍 (40X) 을 개재하여 가열실 (10) 내를 향해졌지만, 적외선 검출 소자 (706) 는 약 절반 정도가 검출 경로 부재 (40) 에 차단되어 가열실 (10) 내를 향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가열실 (10) 내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 (706) 의 시야 (706X) 내에서 식품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정확히 상기 식품의 온도를 검출할 수 없다고 하여 그 시점에서 가열을 정지하는 제어가 실시된다. 이 같은 제어 양태를 도 55 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5 를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 동작이 개시된 후 S201 에서 가열실 (10) 전체가 어느 하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된다. 즉, 가열실 (10) 전체에서 온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주사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S201 에서 가열실 (10) 내에서 식품이 존재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온도 상승이 보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같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 그 위치에 식품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이 같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 S203 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그리고, S203 에서는 그 식품의 위치가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의 단부였던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란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6) 의 시야를 정리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의 단부란 적외선 검출 소자 (706) 의 시야 중의 가열실 (10) 내에 있는 시야 (706X) 를 말한다. 시야 (706) 내에 식품이 존재한다는 것은 식품의 일부만이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5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실 (10) 내에 적외선 센서 (7) 의 총시야 (700) 가 존재하는 경우 식품 (R) 이 그 일부만을 총시야 (700) 내에 포함되도록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 (7) (즉, 적외선 검출 소자 (701 ∼ 706)) 에 따라서는 식품 (R) 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S203 에서 식품의 위치가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의 단부라고 판단되면 S206 으로 처리를 진행하여 그 시점에서 마그네트런 (12) 에 의한 가열 동작을 정지시키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203 에서 식품의 위치가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의 단부라고 판단되면 S204 에서 그대로 식품의 온도 검출을 속행하고 식품이 가열을 종료해야 할 온도인 마무리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가열을 정지시키고 처리를 종료시킨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특허 청구의 범위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즉,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개시된 기술은 단독으로 실행해도 되며 복함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 개시된 기술은 가능한 한 적외선 센서 (7) 에 단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가 구비된 경우에도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가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적외선 센서 (7) 에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가 구비되어, 각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적외선 센서 (7) 자체가 이동될 때에는 적외선 검출 소자가 구비되는 영역을 직사각형의 영역으로 인식한 경우 적어도 적외선 센서 (7) 는 상기 길이 방향의 단변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7) 에서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일렬로 구비된 경우라도 도 58 이나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검출 소자 (7a) 가 복수열로 구비되는 경우라도 모두 양쪽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 적외선 센서 (7) 의 이동 거리에 대한 새롭게 적외선 검출 소자 (7a) 의 시야에 포함되는 영역의 변화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즉, 보다 빠르게 가열실 (10) 전역의 온도 검출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탑재하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확실하게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적외선 센서의 검출 출력을 피가열물의 상태의 검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전자 렌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3)

  1.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는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상기 가열실 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자 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상기 가열실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자 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가열실 내의 어느 장소에 피가열물이 탑재되어도,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가열실 내에 탑재된 식품의 일부 이상을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의 어딘가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자 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 시야 내의 물체의 온도인 시야 내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 산출 수단과,
    상기 온도 산출 수단이 산출한 상기 시야 내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가열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열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각의 시야에 관하여, 상기 시야 내 온도의 소정 시간 내의 변화량인 소정 시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각각의 시야에 관한 상기 소정 시간 변화량 중의 가장 큰 소정 시간 변화량 및 상기 가장 큰 소정 시간 변화량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상기 소정 시간 변화량을, 특정의 소정 시간 변화량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중의, 상기 특정의 소정 시간 변화량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야를 특정의 시야로 하고,
    상기 특정의 시야에서의 시야 내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렌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제 1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 렌지.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소정의 직사각형의 영역 내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소정의 직사각형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 렌지.
  7.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실에 대하여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장착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렌지.
  8.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실에 대하여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장착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가 형성되는 가장 상기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면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렌지.
  9.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시야 내에 피가열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가열실 내에서,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이동 수단에 제 1 속도로 상기 시야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열실 내의 일부의 영역 내에 피가열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이동 수단에 상기 제 1 속도보다도 낮은 제 2 속도로 상기 시야를 상기 일부의 영역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일부의 영역 내의 특정의 영역에 피가열물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는 전자 렌지.
  10.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 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창의 외주를 덮고 상기 창으로부터 상기 가열실의 외측을 향하여 뻗은 통과,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은, 다른 부분보다도 높게 구성되는 특정한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 내에 적외선을 도입하기위한 검출창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가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검출창이 상기 특정한 부분에 대향하도록 이동시키는 전자 렌지.
  11. 가열 수단과,
    상기 가열 수단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 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검출 소자와,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를 상기 적외선 검출 소자가 적외선량의 검출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창보다도 상기 팬의 송풍 방향에 관하여 바람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렌지.
  12.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 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그 시야의 중심선이 상기 창 부근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전자 렌지.
  13. 가열 수단과,
    피가열물을 수용하고 벽면에 창을 형성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밖에 구비되어 상기 창을 개재하여 상기 가열실 내에 시야를 갖고, 상기 시야 내의 적외선량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검출 소자 중의 소정의 적외선 검출 소자는, 그 시야의 일부가 상기 가열실 밖에 위치하고,
    피가열물이 상기 소정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소정의 적외선 검출 소자의 시야 내에 피가열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상기 가열 수단의 가열 동작을 정지시키는 가열 정지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 렌지.
KR10-2001-0019959A 2000-04-28 2001-04-13 전자 렌지 KR100474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0912 2000-04-28
JP2000-130912 2000-04-28
JP2001-22418 2001-01-30
JP2001022418A JP2002013743A (ja) 2000-04-28 2001-01-30 電子レ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621A true KR20010104621A (ko) 2001-11-26
KR100474777B1 KR100474777B1 (ko) 2005-03-08

Family

ID=2659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959A KR100474777B1 (ko) 2000-04-28 2001-04-13 전자 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0655B2 (ko)
EP (1) EP1150549B1 (ko)
JP (1) JP2002013743A (ko)
KR (1) KR100474777B1 (ko)
CN (1) CN1159547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48A (ko) * 2016-09-30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US20230251141A1 (en) * 2018-03-15 2023-08-10 Brava Home, Inc. Temperature probe systems and methods
WO2024058611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6702B2 (ja) * 2001-01-30 2011-02-2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レンジ
JP2003294241A (ja) * 2002-04-01 200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4045330A (ja) * 2002-07-15 2004-02-12 Ricoh Co Ltd 非接触温度検知装置
CN100466871C (zh) * 2003-06-30 2009-03-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检测电路
CN100414273C (zh) * 2004-04-08 2008-08-27 电子科技大学 一种微波炉炉腔内场分布的测试方法
JP2005351566A (ja) * 2004-06-11 2005-12-22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4735276B2 (ja) * 2006-01-17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4793002B2 (ja) * 2006-02-07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DE502006003837D1 (de) * 2006-11-02 2009-07-09 Electrolux Home Prod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der Temperatur im Inneren eines Garguts
EP1937034A1 (en) * 2006-12-21 2008-06-25 Biotage AB Microwave heating device
US20090321428A1 (en) * 2008-06-30 2009-12-31 Hyde Roderick A Microwave oven
US20090321429A1 (en) * 2008-06-30 2009-12-31 Hyde Roderick A Microwave oven
US8610038B2 (en) * 2008-06-30 2013-12-1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icrowave oven
US8927913B2 (en) * 2008-06-30 2015-01-0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icrowave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20100008396A1 (en) * 2008-07-14 2010-01-14 David Gaskins Method For Determining Internal Temperature of Meat Products
CN101750169B (zh) * 2008-12-04 2013-09-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中解冻物体的测量方法
CN102003996A (zh) * 2009-08-29 2011-04-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鉴别微波炉上食物的形状、大小、摆放位置及温度的方法
JP2011127827A (ja) * 2009-12-17 2011-06-30 Panasonic Corp 高周波加熱装置
US20120111204A1 (en) * 2010-11-05 201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ing cooker
US9173254B2 (en) * 2010-11-05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rared ray detection device,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measuring temperature of cooling chamber of heating cooker
JP2012132624A (ja) * 2010-12-22 2012-07-12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EP2618634A1 (en) * 2012-01-23 2013-07-24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US10359318B2 (en) * 2012-12-20 2019-07-23 Raytheon Company Radio frequency stimulated blackbody with vacuum and cryogenic capability
EP2773163A1 (en) * 2013-03-01 2014-09-03 Lekué, SL Microwave oven and method to control automatically the heating and/or cooking of food in said microwave oven
JP6088328B2 (ja) * 2013-04-04 2017-03-0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9668602B2 (en) 2013-09-09 2017-06-06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CN105829803B (zh) * 2014-03-18 2020-10-0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加热烹调器
JP6292475B2 (ja) * 2014-03-18 2018-03-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GB201407939D0 (en) * 2014-05-06 2014-06-18 Mm Microwave Ltd Heating and/or cooking apparatus
JP6461656B2 (ja) * 2015-03-16 2019-01-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717296B2 (ja) * 2015-04-24 2020-07-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0739013B2 (en) 2015-05-05 2020-08-11 June Life, Inc. Tailored food preparation with an oven
EP3292738B1 (en) 2015-05-05 2020-12-30 June Life, Inc. A connected oven
US11324083B1 (en) * 2015-09-06 2022-05-03 Muhammad Shahir Rahman Apparatus for intelligent and selective heating using sensor array
JPWO2017077695A1 (ja) * 2015-11-05 2018-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DE102016215549A1 (de) * 2016-08-18 2018-02-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Heiz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10383183B2 (en) * 2016-12-05 2019-08-13 Hall Labs Llc Microwave oven with oscillating magnetron
US11191370B2 (en) 2017-08-24 2021-12-07 Unified Brands, Inc. Temperatur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11666160B2 (en) 2017-08-24 2023-06-06 Unified Brands, Inc. Method f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regulation and systems therefor
CN107595152B (zh) * 2017-09-28 2020-11-27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烤箱分区温控方法
US11116050B1 (en) 2018-02-08 2021-09-07 June Life, Inc. High heat in-situ camera systems and operation methods
JP7217421B2 (ja) * 2018-04-19 2023-0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9164322A (zh) * 2018-09-21 2019-01-0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铁岭供电公司 干式配电变压器绕组线圈材质判定方法及分析装置
TWI699166B (zh) * 2019-01-02 2020-07-21 愛利奧有限公司 豆體溫度探測元件及其測溫方法
US11927488B2 (en) * 2019-01-03 2024-03-12 Chia-Ling Chen Thermal detection system capable of providing early warning and related products
TWM589767U (zh) * 2019-09-26 2020-01-21 統一超商股份有限公司 商用微波爐
CN110693342B (zh) * 2019-09-30 2021-01-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箱的控制方法及具有其的烤箱
WO2021195622A1 (en) 2020-03-27 2021-09-30 June Life, Inc.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ambiguous objects
KR20240025716A (ko) * 2021-07-20 2024-02-27 아놀드 체이스 지능형 마이크로파 조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5893A (ja) 1986-01-17 1987-07-22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3067167B2 (ja) 1990-07-05 2000-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H06201137A (ja) * 1992-12-28 1994-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具
CN1143599C (zh) * 1994-10-20 2004-03-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高频电波加热装置
JP2723057B2 (ja) * 1994-11-17 1998-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H0961245A (ja) * 1995-08-29 1997-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接触温度計
SE505555C2 (sv) * 1995-12-21 1997-09-15 Whirlpool Europ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ett uppvärmningsförlopp i en mikrovågsugn samt mikrovågsugn
JP3128524B2 (ja) * 1997-01-31 2001-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レンジ
CA2229951C (en) * 1997-03-18 2002-05-07 Sanyo Electric Co., Lt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infrared ray sensor
JP2000130766A (ja) 1998-10-28 2000-05-12 Toshiba Corp オーブンレンジ
US6132084A (en) * 1998-11-30 2000-10-17 General Electric Company Infrared non-contact temperature measurement for household applian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48A (ko) * 2016-09-30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US20230251141A1 (en) * 2018-03-15 2023-08-10 Brava Home, Inc. Temperature probe systems and methods
WO2024058611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4777B1 (ko) 2005-03-08
US6630655B2 (en) 2003-10-07
EP1150549A3 (en) 2005-10-19
EP1150549A2 (en) 2001-10-31
CN1159547C (zh) 2004-07-28
US20020005406A1 (en) 2002-01-17
CN1321854A (zh) 2001-11-14
EP1150549B1 (en) 2007-08-01
JP2002013743A (ja) 200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4621A (ko) 전자 렌지
US6590192B2 (en) Microwave oven with temperature-dependent automatic stop
US6563097B2 (en) Microwave oven with food search and localized heating
CN101473692B (zh) 微波加热装置
US6586714B2 (en) Microwave oven capable of suitably controlling movement of a member mounted thereto,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34466A1 (en) Microwave oven with antenna moving device
US6838648B2 (en) Temperature detection unit in a high-frequency heating and cooking apparatus
EP2704525B1 (en) Microwave oven
JP3970115B2 (ja) 電子レンジ
US6376812B2 (en) Cooking appliance with infrared sensor having movable field of view
JP2005283117A (ja) 電子レンジ
JP2006242420A (ja) 加熱調理器
KR20010085254A (ko) 전자 렌지
JP2002168457A (ja) 電子レンジ
JP4636702B2 (ja) 電子レンジ
JP2002317938A (ja) 電子レンジ
JP3920701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2008282693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2003287232A (ja) 加熱調理器
JP2008286458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61805A (ja) 高周波加熱装置
JP2002260842A (ja) 電子レンジ
JP3545329B2 (ja) 調理器
JP2001173960A (ja) 電子レンジ
JP2002349867A (ja) 電子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