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444A -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 Google Patents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444A
KR20010104444A KR1020000022745A KR20000022745A KR20010104444A KR 20010104444 A KR20010104444 A KR 20010104444A KR 1020000022745 A KR1020000022745 A KR 1020000022745A KR 20000022745 A KR20000022745 A KR 20000022745A KR 20010104444 A KR20010104444 A KR 2001010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signals
wavelength
cross connect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2053B1 (ko
Inventor
병 호 이
김정호
Original Assignee
병 호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호 이 filed Critical 병 호 이
Priority to KR10-2000-002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053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04B10/2513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 H04B10/2519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using Bragg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각 파장의 광 신호들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공간스위치;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광흡수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한다. 따라서, 광신호의 전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An independently switchable bidirectional optical cross connect}
본 발명은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한 양방향 전송 시스템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relative intensity noise)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일 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파장 단위로 광통신 노드의 연결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광소자로서 재구성이 가능한 파장 분할 다중화 통신 네트워크 구성의 핵심소자이다.
도 1에 종래의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공간분할 스위치를 이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 역다중화기 및 스위칭이 가능한 거울을 이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단일 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 다중화기(multiplexer, 100)/역다중화기(demultiplexer, 200)의 가운데에 공간 분할 스위치(space division switch,300)를 삽입하여 구현된 구조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100)와 역다중화기(200)의 가운데에 스위칭이 가능한 거울(400)을 삽입한 구조가 있다.
한편 하나의 광섬유를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양방향 환형망(ring network)은 광섬유 시스템 구성시 가장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광섬유 선로매설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효율적인 파장분할 다중화 통신망 구성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나의 광섬유를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상대 강도 잡음이 발생하여 수신단의 민감도(sensitivity)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양방향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양방향 파장 가감기와 같은 양방향 광소자 모듈은 광파워 증폭과 광신호의 파장 단위의 가감과 같은 기능 외에 반대 방향에서 진행하는 광신호의 반사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 양방향 파장 가감기의 경우 몇 가지의 구조가 발표된 바가 있다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망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양방향 통신망 사이를 연결하여 파장 단위의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가 구현되어야 한다. 여기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양방향으로 들어오는 광신호들을 각 방향 광신호 별로 독립적인 스위칭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도 3에 이러한 개념의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의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가 특별한 구조의 양방향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와,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 그리고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통해 구현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하면서도,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한 양방향 전송시에 발생되는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공간분할 스위치를 이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 역다중화기 및 스위칭이 가능한 거울을 이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도이다.
도 3는 종래의 독립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각 파장의 광 신호들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공간스위치;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광흡수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한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각 파장의 광 신호들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공간스위치;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및 광흡수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한다.
이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각 파장의 광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반사시켜서 해당 파장의 광신호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스위칭 가능한 거울;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광흡수기
를 포함하며,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한다.
이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각 파장의 광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반사시켜서 해당 파장의 광신호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스위칭 가능한 거울;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와 광흡수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2개의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0,20)와, 4개의 3단자 광써큘레이터(30∼60)와, 광 흡수기(LA)로 이루어진다.
3단자 광 서큘레이터(30∼60)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두 개의 단일 방향 광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을 하며,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0,20)는 도 4의 부분 확대된 바와 같이, 각각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공간 분할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광써큘레이터(30∼60)로부터 입력되는 각 방향의 광신호를 독립적으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어 광 서큘레이터(30)를 통하여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0)로 입력된 광신호들은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0)에 의하여 스위칭되고, 스위칭이 끝난 광신호들은 뒷단의 즉, 광 크로스 커넥트(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광써큘레이터(50 또는 60)를 통해 반대편 광섬유 선로로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양방향 전송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을 억제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양방향 전송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파장에 해당하는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0,20)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출력 단자에 광흡수기(light absorber, L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이 번갈아가며 파장 대역을 차지한다면, 반대 방향의 광신호의 파장에 해당하는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출력단자에 설치된 광흡수기(LA)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이 소거된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에 대하여설명한다.
도 5에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2개의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0,20)와, 4개의 4단자 광써큘레이터(31,41,51,61)와, 다수의 브래그 격자(FBG1∼FBG8) 및 광 흡수기(LA)로 이루어진다.
4단자 광써큘레이터(31,41,51,61)의 한쪽 단자에 스위칭을 원하는 파장 간격으로 광섬유 브래그 격자(FBG1∼FBG8)가 연결되어 있으며, 브래그 격자(FBG3, FBG4, FBG,7, FBG8)에 광흡수기(LA)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와 같이,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0,20)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출력 단자에 광흡수기를 위한 단자를 별도로 설치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양방향 전송의 파장 대역이 각 방향 별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편으로 진행하는 신호들 (1= 1550 nm,3= 1551.6 nm,5=1553.2 nm )과 왼편으로 진행하는 신호들 (2= 1550.8 nm,4= 1552.4 nm,6=1554 nm )이라면, 오른편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의 스위칭을 위한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는 출력단의 파장 대역이 1.6nm이고, 중심파장이 1550 nm, 1551.6 nm, 1553.2 nm, 인 것을 사용해도 된다. 왼편으로 진행하는 신호의 스위칭을 위한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경우는 파장 대역이 1.6nm이고, 중심파장이 1550.8 nm, 1552.4 nm, 1554 nm, 인 것을 사용해도 된다. 만약 여기에 사용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가 chirping 되었다면 반사된 광신호들은 분산보상이 될 것이다.
또한, 하나의 광섬유 브래그 격자로 여러 파장에 대한 반사 필터를 만들 수 있는 sampled fiber grating을 사용한다면 보다 제품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단일 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를 사용할 경우 공간 스위치 모듈을 증가시켜서 4×4, 6×6과 같은 여러 광통신 노드의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2개의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1,21)와, 2개의 6단자 광써큘레이터(32,42)와, 광 흡수기(LA)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예에서,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1,21)은 도 6과 같이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와 스위칭이 가능한 거울(M)을 사용한 단일 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이며, 제1 실시예에와 동일하게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출력 단자에 광흡수기(light absorber, LA)가 설치되어 있다.
6단자 광써큘레이터(32,42)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두 개의 단일 방향 광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6 단자 광써큘레이터들은 첫번째 단자(1)와 마지막 단자(6)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이 두 단자(1,6)가 광섬유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외에도 6단자 광써큘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4단자 광써큘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4단자 광써큘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4번 단자와 1번 단자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1,21)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는 도파관열 격자(arrayed-waveguide grating)로 이루어지며, 각 도파관열 격자는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도파관열 격자의 각각의 출력단에는 스위칭 가능한 거울(M)이 있어서 파장별로 분리된 광신호들의 연결 상태를 결정한다.
만약 거울이 도파관열 격자의 출력단과 연결된다면, 그 파장의 광신호는 거울에 의해 반사되어 위쪽의 도파관열 격자에 의해 파장 다중화된다. 이것은 위쪽의 광써큘레이터에 의하여 출력 채널(O1)로 빠져나온다.
반면에 거울이 도파관열 격자의 출력단과 연결되지 않는다면, 그 파장의 광신호는 아래쪽의 도파관열 격자에 의해 파장 다중화되어 출력 채널(O2)로 빠져 나온다.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이 번갈아가며 파장 대역을 차지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의 광신호의 파장에 해당하는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광흡수기(LA)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이 소거된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2개의 단일 광 크로스 커넥트(11,21)와, 2개의 8단자 광써큘레이터(33,43)와, 브래그 격자(FBG1∼FBG12) 및 광 흡수기(LA)로 이루어진다.
8단자 광 서큘레이터(33,43)의 첫 번째 단자(1)와 마지막 단자(8)가 광섬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8단자 광써큘레이터(33,43)의 한쪽 단자에 스위칭을 원하는 파장 간격으로 광섬유 브래그 격자(FBG1∼FBG12)가 연결되어 있으며, 브래그 격자(FBG5, FBG6, FBG,11, FBG12)에 광흡수기(LA)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필요하므로 제3 실시예와는 달리, 8단자 광써큘레이터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광섬유 브래그 격자들(FBG1∼FBG12)과 광흡수기(LA)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이 제거된다.
한편,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브래그 격자의 수는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다.
그리고 각 실시예에서,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로서 도파관열 격자 또는 유전체 박막 격자 (dielectric thin-film)를 사용할 수 있으며, 광흡수기로는 FC/SPC 커넥터 또는 index matching oil/ge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스위치로서 4×4 또는 6×6과 같은 광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스위치의 단자수에 따라 광써큘레이터 및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광흡수기의 수를 이에 맞게 증가시켜서 여러 광통신 노드를 위한 양방향 광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브래그 격자로서 양방향 광신호들의 분산보상을 위한 chirped fiber Bragg grating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여러 개의 연결에 따른 공간 차지를 줄이기 위하여 sampled fiber Bragg grating가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이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상기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하면서도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한 양방향 전송의 문제점인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기술로 구현하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독립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는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한 양방향 전송 파장분할 다중화 통신망의 구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Claims (18)

  1.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각 파장의 광 신호들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공간스위치;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광흡수기
    를 포함하며,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하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는 도파관열 격자 또는 유전체 박막 격자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기는 FC/SPC 커넥터 또는 index matching oil/gel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스위치의 스위칭 단자 수에 따라 상기 광써큘레이터,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광흡수기의 수를 이에 맞게 증가시켜 여러 광통신 노드를 통항 광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5.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각 파장의 광 신호들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공간스위치;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및 광흡수기
    를 포함하며,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하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양방향 광신호들의 분산보상을 위한 chirped fiber Bragg grating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sampled fiber Bragg grating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는 도파관열 격자 또는 유전체 박막 격자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기는 FC/SPC 커넥터 또는 index matching oil/gel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스위치는 상기 공간 스위치의 스위칭 단자 수에 따라 상기 광써큘레이터,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광흡수기의 수를 이에 맞게 증가시켜 여러 광통신 노드를 통항 광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11.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한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각 파장의 광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반사시켜서 해당 파장의 광신호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스위칭 가능한 거울;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광흡수기
    를 포함하고,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하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는 도파관열 격자 또는 유전체 박막 격자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기는 FC/SPC 커넥터 또는 index matching oil/gel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14.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광써큘레이터;
    광써큘레이터를 통해 들어온 각 방향의 광신호들을 파장 단위로 분리하거나 분리된 파장 단위의 광신호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쌍의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및
    각 파장의 광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반사시켜서 해당 파장의 광신호의 연결 상태를 바꾸어 주는 스위칭 가능한 거울; 및
    반대 방향의 광신호들의 Rayleigh 후방산란과 광소자들의 반사 등에 의한 상대 강도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와 광흡수기
    를 포함하고, 하나의 광섬유에서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파장별로 독립적으로 스위칭하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양방향 광신호들의 분산 보상을 위한 chirped fiber Bragg grating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sampled fiber Bragg grating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다중화기/역다중화기는 도파관열 격자 또는 유전체 박막 격자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모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기는 FC/SPC 커넥터 또는 index matching oil/gel로 이루어지는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KR10-2000-0022745A 2000-04-28 2000-04-28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KR10039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45A KR100392053B1 (ko) 2000-04-28 2000-04-28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45A KR100392053B1 (ko) 2000-04-28 2000-04-28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444A true KR20010104444A (ko) 2001-11-26
KR100392053B1 KR100392053B1 (ko) 2003-07-22

Family

ID=4581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745A KR100392053B1 (ko) 2000-04-28 2000-04-28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0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63B1 (ko) * 2002-10-0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회선분배 시스템
KR100446534B1 (ko) * 2002-11-22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회선분배장치
KR100452330B1 (ko) * 2002-05-13 2004-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크로스 커넥트 및 이를 이용한 광 전송망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218A (ja) * 1995-04-17 1996-11-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波長多重光ソリトン中継伝送装置
JPH09133934A (ja) * 1995-11-08 1997-05-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増幅器及び光導波路型増幅器
JP3329655B2 (ja) * 1996-03-04 2002-09-30 ケイディーディーアイ株式会社 光adm装置
US6041152A (en) * 1997-09-02 2000-03-21 Amphenol Corporation Multi-channel fiber optic communications system and multiplexer/demultiplexer arrangement therefor
JP3558199B2 (ja) * 1997-12-08 2004-08-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処理回路
JPH11284263A (ja) * 1998-01-30 1999-10-15 Hitachi Cable Ltd 超広帯域波長分散補償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US6351581B1 (en) * 1998-03-17 2002-02-26 Agere Systems Optoelectronics Guardian Corp. Optical add-drop multiplexer having an interferometer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330B1 (ko) * 2002-05-13 2004-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크로스 커넥트 및 이를 이용한 광 전송망
KR100442663B1 (ko) * 2002-10-0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회선분배 시스템
KR100446534B1 (ko) * 2002-11-22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회선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2053B1 (ko)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8825A (en) Multi-wavelength filtering device using optical fiber Bragg grating
CA2220319C (en) Hybrid bi-direction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evice
JP3448182B2 (ja) 全光ファイバ製光ルータ
US6041152A (en) Multi-channel fiber optic communications system and multiplexer/demultiplexer arrangement therefor
JP2977024B2 (ja) 波長多重通信用光回路及びこれを含む光伝送通信システム
Boskovic et al. Broadcast and select OADM nodes application and performance trade-offs
US6201907B1 (en) Optical drop circuit having group delay compensation
US20020067526A1 (en) Bi-directio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
US6602000B1 (en) Reconfigurable add/drop for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s
KR100392053B1 (ko)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양방향 광 크로스 커넥트
KR100474695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EP1407567B1 (en) Optical filtering by using an add-drop node
EP1089097A2 (en) Duplicated-port waveguide grating router having substantially flat passbands
KR100480276B1 (ko) 양방향 광회선 분배 장치
CN115963606A (zh) 光接收组件及光模块
KR100375911B1 (ko)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양방향 파장 가감기
CN113311543A (zh) 新型粗波分复用器组件
WO2001005082A1 (en) Method and devices for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multiple wavelengths
Goh et al. Port scalable PLC-based wavelength selective switch with low extension loss for multi-degree ROADM/WXC
KR100518382B1 (ko) 반사체를 이용하여 높은 파장 분리비를 갖게 한 파장 가감소자
CN1216305C (zh) 基于双面镜光开关的动态可重构光分插复用模块
JPH11186960A (ja) 光ノード装置、光合分波方法及び光伝送装置
US7133612B1 (en) Bidirectional WDM transmission system having transmission format for reducing adverse effects of filter concatonation
CN2404134Y (zh) 单元式可扩充光分插复用器
KR100393493B1 (ko) 스위칭 가능한 거울을 이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