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920A -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920A
KR20010103920A KR1020000025204A KR20000025204A KR20010103920A KR 20010103920 A KR20010103920 A KR 20010103920A KR 1020000025204 A KR1020000025204 A KR 1020000025204A KR 20000025204 A KR20000025204 A KR 20000025204A KR 20010103920 A KR20010103920 A KR 2001010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ading
biosignal
point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근
Original Assignee
이일근
주식회사 소프트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근, 주식회사 소프트메드 filed Critical 이일근
Priority to KR102000002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920A/ko
Publication of KR2001010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9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원격의료 장치는, 상기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와 상기 판독 데이터를 열람하는 열람수단과, 상기 검사수단 및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판독수단 또는 상기 열람수단이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된 판독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의료 제공 방법은 검사지점에서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성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지점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에 대한 판독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판독지점으로 전송하고, 판독지점에서 생성된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열람지점으로부터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열람지점에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정보 시스템은 검사지점으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를 저장 및 관리하며, 판독지점 또는 열람지점으로부터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검사자는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모든 검사기기를 통해서 생체신호의 측정 및 전송이 가능하므로, 지역적인 제약없이 자신의 건강을 점검할 수 있다. 진료자는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모든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으로부터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검사자의 진료가 가능하다. 결국, 검사자와 진료자는 장소적 제약없이 어느 곳에서나 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EDICARE USING BIOLOGICAL SIGNAL}
본 발명은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의료관제 시스템에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제3의 지점에서 생체신호의 측정, 열람 및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생체신호 의료기는 뇌파, 심전도, 안전도, 혈압, 유발전위, 근전도 등 생체에서 발생하는 생리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로서,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 및 저장하여 진료에 응용하는데 사용된다. 기존의 생체신호 의료기에서는 생체신호의 측정, 저장, 열람 및 판독을 하나의 독립된 기계상에서 수행한다. 이 경우, 생체신호의 측정, 열람 및 판독을 위하여 반드시 독립된 생체신호 의료기에 접근을 해야 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생체신호의 측정기능과 열람 및 판독 기능을 분리하고, 분리된 기능을 랜(LAN: Local Area Network)으로 연결하여, 생체신호 측정장비가 위치한 검사실 이외의 장소에서도 열람 및 판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네트워크를 통한 생체신호의 측정 기능과 열람 및 판독기능의 분리는 병원의 범위를 넘어 확장될 수 있다. 병원의 범위를 넘어 환자와 진료자가 연결되는 경우, "원격진료"란 개념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원격 의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진료지점(110)에서 측정된 검사자의 생체신호는 병원(130)의 진료단말(130a)을 통하여 판독 및 열람이 가능하다. 진료지점(110)과 병원(130)은 소정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데, 유선망에 의한 연결과 무선망에 의한 연결을 포함한다.
진료지점(110)의 검사자는 측정기기(110a)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측정된 생체신호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병원(130)의 진료단말(130a)로 전송되고, 병원의 진료자 즉 의사는 진료 단말(130a)을 통하여 열람 및 판독을 수행한다. 병원의 진료자는 화상회의 기기(110b)를 통하여 진료지점의 검사자를 살펴보고 질문을 함으로써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측정기기(110a)와 진료단말(130a), 즉,생체신호의 측정기능과 판독 및 열람기능을 분리시키고, 양측을 네트워크(120)로 연결한다. 따라서, 검사자가 병원에 직접 내원하지 않아도 측정기기(110a)를 이용한 원격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의료 시스템은 환자와 진료자의 일대일 대응관계를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검사자의 입장에서 볼 때, 진료를 원하는 병원마다 일대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만일 2곳의 병원으로부터 진료를 원하는 경우, 2곳의 병원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각각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검사자가 열람 및 판독기능을 수행하는 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축소된다. 또한, 비록 검사자가 병원에 내원하지 않고 자신의 생체 신호에 대한 열람 및 판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검사자는 최소한 특정 병원과 연결되어 있는 측정기기(110a)에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검사자가 원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
진료자의 입장에서 볼 때, 진료자는 진료단말(130a)이 설치된 병원이외의 장소에서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열람 및 판독할 수 없다. 따라서, 진료자가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열람 및 판독하기 위하여, 특정 측정기기(110a)와 연결된 진료단말(130a)에 접근해야 한다.
분산된 환경에서 검사자의 생체신호 측정과 진료자의 판독 및 열람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검사지점과 판독 및 열람지점 사이에서 검사자의생체신호를 매개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을 구현한다.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은 검사지점에서 측정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판독지점 또는 열람지점으로부터 생체신호 데이터의 요구가 있으면, 판독지점 또는 열람지점으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할 때,
상기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와 상기 판독 데이터를 열람하는 열람수단과,
상기 검사수단 및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판독수단 또는 상기 열람수단이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된 판독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의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의할 때,
상기 검사지점으로부터의 생체신호 데이터 저장요청, 상기 판독지점으로부터의 판독요청, 또는 상기 열람지점으로부터의 열람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검사지점,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에 대한 식별자를 판단하여 상기 요청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앙 제어수단과,
상기 검사지점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지점으로부터수신된 판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판독 데이터를, 상기 판독지점 또는 상기 열람지점이 요청한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의할 때,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수단과,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데 적절한 형태로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변환하는 입력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의할 때,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자가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의 판독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판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의할 때,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열람자가 열람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열람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의한 원격의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의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검사지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입력 처리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c는 검사지점에서 사용되는 생체신호 측정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판독지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판독지점에서 생체신호를 판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도 2의 열람지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3a의 판독자 인터페이스 또는 도 6의 열람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는 도 2의 의료정보 시스템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b는 도 8a의 데이터베이스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c는 도 8a의 중앙관제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의료정보 시스템이 검사지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흐름도.
도 10은 의료정보 시스템이 판독지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의료정보 시스템이 열람지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0 : 의료관제 시스템
210 : 검사지점
220 : 판독지점
230 : 열람지점
본 발명은 분산된 환경에서 환자와 진료자가 각각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진료 할 수 있는 원격 의료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람(이하에서 "검사자"라 칭한다)은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모든 검사기기를 통해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모든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의 진료자로부터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진료자는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모든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으로부터 검사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열람 및 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
분산된 환경에서 검사자와 진료자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료정보 시스템은 검사지점, 판독지점, 그리고 열람지점 사이에서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매개하는 구실을 한다. 구체적으로 의료정보 시스템은 검사지점으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으로부터 생체신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의료정보 시스템은 판독지점으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데이터에 대한 판독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열람지점으로부터 판독데이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판독데이터를 전송한다.
의료정보 시스템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의 열람지점 및 판독지점 모두에게생체신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상의 판독자 및 열람자에게는 온라인 상으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제공하며, 오프라인 상의 판독자 및 열람자에게는 생체신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생체신호 데이터를 제공한다.
의료정보 시스템은 검사지점, 판독지점, 그리고 열람지점과 다양한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네트워크의 구성방법은 인터넷, 유선전화망, 케이블망, 무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검사지점은 한명의 검사자 또는 한가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검사자들에 공유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따라서, 각 검사자들은 분산되어 있는 검사지점 중 접근이 용이한 검사지점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의료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 또한 여러 판독자 및 열람자들에 공유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따라서, 판독자 및 열람자 또한 분산되어 있는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중 하나 이상에서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 및 열람할 수 있다. 검사지점, 판독지점, 그리고 열람지점을 포함하는 분산형 의료 시스템에 의하여, 다수의 검사자들은 장소적 제약없이 불특정의 다수의 진료자로부터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의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 진료 장치 및 원격 진료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시스템 구성요소들 및 구성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는,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의료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검사지점(210),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하는판독지점(220),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열람하는 열람지점(230), 상기 검사지점(210)과 상기 판독지점(220) 및 열람지점(230) 사이에서 생체신호 데이터를 매개하는 의료정보 시스템(200),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200, 210, 220, 23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가 포함된다.
검사자는 검사지점(210)에 자신의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생체신호는 검사지점(210)에 설치된 생체신호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하나의 독립기계에서 측정, 기록, 판독 및 열람등을 수행하는 종래의 생체신호 측정기와 달리, 검사지점(210)의 측정기구는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부분과 측정된 생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부분만을 포함한다. 기록, 판독 및 열람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3의 지점인 의료정보 시스템(200), 판독지점(220), 열람지점(230)에서 각각 수행된다. 따라서, 검사지점은 저가의 측정기로 구현이 가능하다. 검사자는 생체신호 뿐만 아니라 자신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정보는 검사자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생체신호 이외의 검사자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검사지점(21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는 네트워크(260)를 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네트워크는 인터넷, 기존의 유선전화망, 무선망을 포함한다.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수신된 생체신호 정보 및 검사자 입력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판독지점(220)은 네트워크(260)를 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신호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판독지점으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판독지점(220)으로 전송한다. 판독지점(220)에서 판독자는 생체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데이터를 작성한다. 작성된 판독데이터는 다시 의료정보 시스템(200)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열람지점(230)은 네트워크(260)를 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열람지점(230)으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시스템의 또다른 구성요소로 종합병원(240)과 의원(2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240, 250)은 검사지점(210), 판독지점(220), 열람지점(230)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종합병원(240) 및 의원(250)은 주로 판독지점(220) 또는 열람지점(230)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네트워크(260)를 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과 연결될 수 있는 한, 검사지점(210), 판독지점(220) 및 열람지점(230)은 어느 곳에도 위치할 수 있다. 특히, 검사지점(210)은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사지점(210)은 검사자의 집이 될 수도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은행 또는 전철역이 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검사지점(21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검사지점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검사부(310), 생체신호 이외의 검사자 정보를 입력하는 검사자 정보 입력부(340),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처리부(320), 그리고, 처리된 입력정보를 네트워크(260)를 통하여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330)를 포함한다.
실제로 생체신호 검사부(310)는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몸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심전도, 혈압, 맥박수등 다양한 생체신호의 측정을 지원하므로, 생체신호 검사부(310)는 다양한 센서들이 병렬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검사자 정보 입력부(340)는 생체신호 검사부(310)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 이외의 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수면시간, 식사량, 음주여부, 약의 복용량등을 검사자가 직접 입력한다. 이와 함께, 검사자를 구분하기 위한 검사자 식별정보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처리부(320)는 생체신호 검사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신호와 검사자 정보 입력부(34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정보를 적절히 처리하여 전송에 편리한 파일형태로 변환한다. 입력처리부(320)에서의 신호처리의 상세한 과정은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생체신호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파일은 신호 전송부(320)를 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신호전송부(330)는 검사지점(210)과 네트워크(26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PSTN 망, 케이블 TV 망, 인터넷등과 같은 유선망과 무선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데, 신호전송부(330)는 상기 네트워크 중 최소한 하나의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b는 입력처리부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생체신호 검사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신호는 전처리기(321)에서 적절한 대역을 갖도록 필터링되고 증폭된다. 전처리기(321)를 거친 생체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3)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생체신호는 생체신호 암호화기(325)를 거쳐 암호화된다. 입력처리부(320)에서 암호화 처리는 선택사항이다. 그러나, 검사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밀접한 관계를 갖으므로, 검사지점(210)에서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자정보 입력부(34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정보는 별도의 신호처리 과정 없이 검사자정보 암호화기(327)에 입력되어 암호화된다. 생체신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암호화는 선택사항이지만,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암호화기(325)와 검사자정보 암호화기(327)는 하나의 단위로 통합될 수 있다.
암호화를 거친 디지털 생체신호와 검사자 정보는 전송파일 생성기(329)에서 하나의 파일로 변환된다. 전송파일에는 검사지점에서 검사자가 수행한 1회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가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는 의료정보 시스템(2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생체신호 데이터와 같은 의료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 통상의 데이터보다 높은 전송의 정확도가 요구된다. 데이터의 정확한 전송을 위하여, 오류정정부호나 재전송 기법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오류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전송중에 발생한 오류를 정정하고, 만일 오류정정부호로 모든 오류를 정정하지 못하는 경우, 생체신호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한 오류정정부호의 사용 또는 재전송 기법은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보다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에 적용이 용이하다. 따라서, 실시간 생체신호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특별한 필요성이 없는 경우, 생체신호 데이터에 대한 전송 파일을 생성한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는 검사지점(210)에서 사용되는 생체신호 측정기(39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생체신호 검사부(3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극(311)은 검사자의 몸에 직접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입력받는다. 검사자는 정보 입력부(340)의 일부인 입력키(341)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신호 전송부(330)의 일부로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 유선망 커넥터(331), 무선망 커넥터(332), 그리고 컴퓨터와 연결되는 커넥터(333)가 표시되어 있다.
생체신호 측정기(390)는 기기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기기 ID(350), 내장형 전원(380), 전원 스위치(360a), 전원램프(360b)를 포함한다. 화면(370)에는 측정되는 생체신호, 검사자의 입력 데이터 메뉴, 그리고 현재 입력중인 데이터 등이 간단히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c에 예시된 것과 같은 생체신호 측정기(390)는 생체신호의 측정 및 간단한 정보의 입력, 그리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수단만을 포함하므로, 저가의 장비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판독지점(2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판독자 인터페이스(410)는 의료정보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사용자가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며, 판독자의 판독의견 및 판독자의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판독 및 열람 연결부(420)는 판독지점(220)과네트워크(26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망, 전화망, 인터넷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생체신호 처리부(430)는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판독데이터 처리부(440)는 판독자가 입력한 판독 데이터를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
판독지점(220)에서의 판독 과정의 흐름을, 도 5를 바탕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510)에서, 판독자는 판독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신호의 열람을 요청한다. 상기 단계(510)에서, 판독자는 자신의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530)에서, 생체신호 처리부(430)는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처리하여 판독자 인터페이스(410)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자의 프라이버시와 정확한 전송의 요청때문에 생체신호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오류정정부호를 사용한 부호화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전송의 효율을 위하여, 생체신호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생체신호 처리부(430)는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판독자 인터페이스(41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단계(535)에서, 생체신호 처리부(430)에서 적절히 처리된 생체신호 데이터는 판독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판독자에게 제공된다. 생체신호 데이터의 제공은 텍스트 형태일수도 있고, 그래프 형태일 수도 있다.
단계(540)에서는, 판독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제공되는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자가 분석하여, 단계(550)에서 생체신호에 대한 판독 데이터를 작성하여 입력한다. 판독 데이터는 판독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며, 판독 데이터 처리부(440)에 입력된다.
단계(560)에서, 판독 데이터 처리부(440)에 의해 판독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 판독 데이터 처리부(440)에 의하여, 판독 데이터의 압축 및 암호화를 수행하고, 전송파일을 생성한다. 압축 및 암호화의 과정없이 전송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570)에서, 생성된 전송파일은 판독 및 열람 연결부(420)를 통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도 6은 열람지점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열람자 인터페이스(610)는 열람자에게 열람요청 신호를 입력하고, 생체신호 데이터와 판독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열람 연결부(620)는 열람지점(230)과 네트워크(26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선망 및 무선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부(630)에서는 의료정보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변환하여, 열람자 인터페이스(6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열람자가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열람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열람자는 열람자 인터페이스(610)를 통하여 열람요청 신호를 입력한다. 열람자는 열람요청 신호의 입력시 열람자의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열람요청 신호에 대해 의료정보 시스템(200)이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열람데이터)를 전송하면, 열람 연결부(620)를 통하여 열람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열람 데이터는 열람 연결부(620)를 통해 데이터 처리부(630)로 입력된다. 데이터 처리부(630)는 수신된 열람 데이터를 열람자 인터페이스(610)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한다.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압축 및 암호화의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처리부(630)는 압축 및 암호를 푸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처리부(630)에서 변환된 데이터는 열람자 인터페이스(610)를 통하여 열람자에게 표시된다. 열람자 인터페이스(610)에 표시하는 방법은 텍스트 및 그래프 형태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4의 판독자 인터페이스(410) 또는 도 6의 열람자 인터페이스(6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인터페이스(410, 610)는 한 화면상의 창(700)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창은 메뉴들의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710)와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재생해주는 프레임(720)을 포함한다. 메뉴의 종류로 파일(710a), 편집(710b), 보기(710c) 및 도구(710d)등이 포함된다. 재생 프레임(720)에는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및 판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의 창(700)은 웹브라우저의 창일수도 있고, 웹브라우저와는 별도의 프로그램 창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생체신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독립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메뉴바의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 7의 하부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뉴열들이 나타난다. 파일메뉴(710a)는 생체신호 및 판독 데이터를 저장, 관리, 인쇄할 수 있는 하위 메뉴들을 포함하며, 편집메뉴(710b)는 판독자가 판독데이터를 입력할 수있는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보기메뉴(710c)는 창(700)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도구 메뉴(710d)는 생체신호 및 판독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하위 메뉴를 제공한다. 파형분석은 수신된 디지털 생체신호를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재생된 심전도나 뇌파의 아날로그 파형을 사용하여 장기의 상태 및 질병의 상태등을 진단할 수 있다. 디지털 분석은 수신된 디지털 생체신호를 바탕으로 요청한 수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뇌파 중 특정 패턴 또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파형의 분당 발생 빈도를 분석하여 숫자로 제공할 수 있다. 지도화는 파형분석 또는 디지털 분석의 결과를 이차원 또는 삼차원의 등고선 또는 색으로 영상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의 열람지점(230) 및 도 6의 판독지점(220)을 설명하는데 있어, 열람지점(230) 및 판독지점(220)이 의료정보 시스템(200)과 온라인 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열람지점(230) 및 판독지점(220)은 의료정보 시스템(200)과 오프라인 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오프라인 상의 열람자 및 판독자가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생체신호 및 판독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재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제 도 8 내지 도 12를 바탕으로 의료정보 시스템(200)의 구성 및 의료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의료정보 시스템(200)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810), 데이터베이스(810)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820), 판독지점(220), 검사지점(210), 열람지점(230)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중앙관제 서버(830), 그리고 열람지점(230) 및 판독지점(220)에서 요청한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하는 기록자료 전송부(840)를 포함한다.
중앙관제 서버(830)는 검사지점(210)과 연동한다. 검사지점(210)과 중앙관제 서버(830)가 연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 9를 바탕으로, 연동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910)에서 검사지점(210)으로부터 생체신호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단계(920)에서 검사지점을 식별하여 서비스 대상자인지를 판단한다. 서비스 대상자가 아닌 경우, 서비스를 종료한다. 서비스 대상자인 경우, 단계(930)에서 검사지점(210)으로부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940)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820)가 검사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810)를 검색한다. 단계(95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820)는 검색된 데이터베이스의 위치에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단계(920)에서 중앙관제 서버(830)가 검사지점(210)을 식별하는데 있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검사지점(210)에 설치되어 있는 생체신호 측정기의 식별자를 이용할 수 있다. 모든 검사지점(210)의 생체신호 측정기는 제조시로부터 고유의 식별번호를 할당받는데, 이를 이용하여 검사지점(210)을 구분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검사자와 검사기기 사이에 일대일 대응관계가 성립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할 때, 검사지점(210)으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신호 데이터는 생체신호 측정기의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저장된다. 두 번째 방법으로, 생체신호 측정기를 통하여 검사자가 직접 입력하는 검사자의 식별자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하나의 검사기기를 여러명의 검사자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두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생체신호 측정기기의 식별자를 통하여 서비스 대상인 검사지점인지를 판단하고, 검사자의 식별자를 통하여 서비스 대상인 검사자인지를 판단한다.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검사지점(210)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분산된 환경의 원격의료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분산되어 존재하는 각각의 검사지점에 검사자들이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검사자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관제 서버(830)는 검사지점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고, 검사지점(210)과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사자가 자신의 식별자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식별자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 서버(830)가 전송하는 정보는 생체신호 측정기의 표시화면(370)에 표시될 수 있다(도 3c 참조).
중앙관제 서버(830)는 판독지점과 연동한다. 중앙관제 서버(830)와 판독지점(220) 간의 연동과정을 나타내는 도 10을 바탕으로, 연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1010)에서, 판독지점(220)은 특정 검사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판독요청을 수신한다. 판독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1020)에서 중앙관제 서버(830)가 판독지점(220)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인식하지 못하면,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 중앙관제 서버(830)가 인식하는 경우, 단계(1030)에서 요청한 생체신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검사자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검사자의 식별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를 종료한다. 검사자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 단계(104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820)는 검사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810)를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독출한다. 단계(1050)에서, 기록자료 전송부(840)는 판독자가 요청한 형태로 독출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판독지점(220)으로 전송한다. 단계(1060)에서는, 판독지점(220)에서 작성되어 전송된 판독 데이터를 수신한다.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계(107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820)는 판독 데이터에 해당하는 검사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810)를 검색하고, 단계(1080)에서 판독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베이스(810)에 저장한다.
상기 단계(1020)에서, 중앙관제 서버(830)가 판독지점(220)을 구분하는데 있어, 검사지점(210)을 구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판독지점(22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판독지점(220)이 서비스 대상인지를 판단하거나, 판독자의 식별자로 판단하는 방법이다. 물론, 양자의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를 사용하는 경우, 식별자를 부여받은 판독자는 식별자를 부여받은 어떠한 판독지점(220)에서도 판독의 요청과 판독데이터의 판독이 가능하다. 따라서, 판독자에게 더욱 넓은 생체신호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관제 서버(830)는 열람지점과도 연동한다. 중앙관제 서버(830)와 열람지점(230) 간의 연동을 나타내는 도 11을 바탕으로, 연동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1110)에서, 열람지점(230)으로부터 특정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데이터의 열람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계(1120)에서, 중앙관제 서버(830)는 열람지점(230)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열람지점(230)은 열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 인식하는 경우, 단계(1130)에서, 중앙관제 서버(830)는 열람을 요구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검사자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를 종료한다. 인식하는 경우, 단계(114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820)는 검사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810)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독출한다. 단계(1150)에서는, 기록자료 전송부(840)에 의하여, 독출된 데이터를 열람자가 요청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열람자에게 전송된다.
열람 요청자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판독 요청자를 구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열람지점(230)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방법과 열람자에게 식별자를 구분하는 방법이다. 물론, 후자의 방법을 사용할 때, 열람자에게 더욱 넓은 생체신호 및 판독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판독지점(22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1050) 및 도 11의 열람지점(23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1150)에서, 판독 데이터 및 열람 데이터는 온라인 상의 요청자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의 요청자에게도 제공된다. 판독 및열람은 웹이나 이메일등을 통한 온라인상뿐만 아니라, 팩스 또는 전화를 통한 오프라인상으로도 요청이 가능하다. 오프라인 상으로 판독요청 또는 열람요청이 있는 경우, 중앙관제 서버(830)는 온라인 상으로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요청자의 상황에 적절한 전송형태를 결정해야 한다. 우편등 오프라인 상으로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함께 전송한다. 의료정보 시스템(200)과 온라인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열람자 및 판독자는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도 7과 같은 동일한 열람자 인터페이스(610) 또는 판독자 인터페이스(410)를 제공받게 된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810)의 구조를 나타낸다.
검사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810a, 810b, 810c)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제1 계층(810a)에는 검사자의 인적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검사자 식별번호 등을 포함한다. 제2 계층(810b)은 검사자의 병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데, 앓았던 질병의 종류별로 생체신호 데이터, 판독 데이터, 병원방문 데이터, 투약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3 계층(810c)은 각각의 자료별 파일을 포함한다. 제3 계층에 파일을 저장시, 생성된 일시 또는 증상을 기준으로 저장할 수 있다. 각 계층별 데이터베이스의 연결은 데이터베이스 서버(820)에 의해 구현된다.
데이터베이스(810)는 판독자 인적사항(810d) 및 열람자 인적사항(810e)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들(810d, 810e)은 판독지점(220) 및 열람지점(230)을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도 8c는 중앙관제 서버가 검사지점(210), 판독지점(220), 그리고 열람지점(230)과 네트워크(260)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도 8a 참조).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중앙관제 서버(730)는 인터넷(760), 기존의 전화망(PSTN)과 케이블 TV망을 포함하는 유선망(770), 그리고 무선망(780)을 통한 연결을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관제 서버(830)는 각각의 연결에 적합한 인터넷 인터페이스(730a), 유선망 인터페이스(730b), 무선망 인터페이스(730c)를 갖는다.
도 12는 이제까지 설명한 의료정보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의료정보 시스템(200)은 검사지점(210), 판독지점(220), 그리고 열람지점(230)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계(1210 및 1240)는 검사지점(210)에 대한 서비스 제공과정을 나타낸다. 단계(1210)에서 생체신호 데이터에 대한 저장의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1240)에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한다(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의 상세한 과정을 알 수 있다). 단계(1220 및 1250)는 판독지점(220)에 대한 서비스 제공과정을 나타낸다. 단계(1220)에서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에 대한 판독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1250)에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적절히 변환하여 전송하고,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도 10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의 상세한 과정을 알 수 있다). 단계(1230 및 1260)는 판독지점(230)에 대한 서비스 제공과정을 나타낸다. 단계(1230)에서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에 대한 판독 열람이 있는 경우, 단계(1260)에서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전송에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한다(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의 상세한 과정을 알 수 있다). 단계(1240, 1250, 1260)에서 서비스를 마치면, 서비스요청 대기 단계(1270)로 천이하여, 다음의 서비스의 요청을 기다린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와 같은 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과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정보 시스템은 검사지점으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를 저장 및 관리하며, 판독지점 또는 열람지점으로부터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검사자는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모든 검사기기를 통해서 생체신호의 측정 및 전송이 가능하므로, 지역적인 제약없이 자신의 건강을 점검할 수 있다. 진료자는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모든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으로부터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검사자의 진료가 가능하다. 결국, 검사자와 진료자는 장소적 제약없이 어느 곳에서나 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5)

  1.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진료 받기를 원하는 자(검사자)와 상기 검사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열람하는 열람자 및 판독하는 판독자 사이에서, 상기 생체신호를 매개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진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와 상기 판독 데이터를 열람하는 열람수단과,
    상기 검사수단 및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판독수단 또는 상기 열람수단이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된 판독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수단은,
    상기 검사자의 몸으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수단과,
    상기 생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저장 및 관리 수단으로 전송하는데 적절한 형태의 생체신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저장 및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자가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생체신호 데이터의 판독결과인 판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수단은,
    상기 저장 및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처리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열람자가 열람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및 관리 수단은,
    상기 측정수단, 상기 판독수단, 또는 상기 열람수단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검사수단, 판독수단 또는 열람수단에 대한 식별자를 판단하여 상기 요청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앙 제어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수신된 판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판독 데이터를, 상기 판독수단 또는 상기 열람수단이 요청한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수단, 상기 판독수단, 상기 열람수단 및 상기 저장 및 관리 수단들은 서로 원격지에 위치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7. 생체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사지점,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지점 및 열람하는 열람지점, 그리고 상기 검사지점, 상기 열람지점 및 상기 판독지점 사이에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매개해 주는 의료정보 시스템에 의한 원격진료 제공 방법에 있어,
    상기 검사지점에서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성된 생체신호 데이터를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지점으로부터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에 대한 판독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판독지점으로 전송하고, 상기 판독지점에서 입력된 판독 데이터를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열람지점으로부터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판독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열람지점에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상기 판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방법.
  8.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는 검사지점과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지점 및 열람하는 열람지점 사이에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매개하는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지점으로부터의 생체신호 데이터 저장요청, 상기 판독지점으로부터의 판독요청, 또는 상기 열람지점으로부터의 열람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검사지점, 판독지점 및 열람지점에 대한 식별자를 판단하여 상기 요청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앙 제어수단과,
    상기 검사지점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지점으로부터 수신된 판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또는 판독 데이터를, 상기 판독지점 또는 상기 열람지점이 요청한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을 제어하는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
  10.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사지점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지점 및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와 상기 판독 데이터를 열람하는 열람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 의한 생체신호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
    a. 상기 검사지점으로부터의 생체신호 데이터 저장요청, 상기 판독지점으로부터의 판독요청, 또는 상기 열람지점으로부터 열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상기 요청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검사지점, 판독지점 또는 열람지점에 대한 식별자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을 결정한 경우, 상기 검사지점으로부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판독지점으로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생체신호 데이터의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열람지점으로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판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교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식별자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검사지점의 검사장치, 상기 열람지점의 열람장치, 또는 상기 판독지점의 판독장치의 식별자를 판단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교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식별자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검사지점의 검사자, 상기 열람지점의 열람자, 또는 상기 판독지점의 판독자의 식별자를 판단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교환 방법.
  13.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으로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측정장치에 있어,
    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수단과,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데 적절한 형태로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변환하는 입력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14.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데이터를 수신하여 판독하는 판독장치에 있어,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판독자가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의 판독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판독 장치.
  15.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열람하는 열람장치에 있어,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열람자가 열람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데이터 열람 장치.
KR1020000025204A 2000-05-12 2000-05-12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 KR20010103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04A KR20010103920A (ko) 2000-05-12 2000-05-12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04A KR20010103920A (ko) 2000-05-12 2000-05-12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920A true KR20010103920A (ko) 2001-11-24

Family

ID=4581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204A KR20010103920A (ko) 2000-05-12 2000-05-12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9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2617A1 (en) * 2005-09-14 2007-03-2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health using cumulative data pattern analysis via fast fourier transformation of brain wave data measured from frontal lobe
KR100715671B1 (ko) * 2005-07-29 2007-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기능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KR20100086461A (ko) * 2007-07-23 2010-07-30 피오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테스트 대상들 또는 환경 테스트 대상들과 관련된 수집된 데이터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71B1 (ko) * 2005-07-29 2007-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기능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WO2007032617A1 (en) * 2005-09-14 2007-03-2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health using cumulative data pattern analysis via fast fourier transformation of brain wave data measured from frontal lobe
KR100719068B1 (ko) * 2005-09-14 2007-05-17 재단법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전전두엽에서 측정한 뇌파 데이터의 고속푸리에변환을 통한누적데이터의 패턴분석을 이용한 건강진단 장치 및 그방법
EP1934899A1 (en) * 2005-09-14 2008-06-25 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health using cumulative data pattern analysis via fast fourier transformation of brain wave data measured from frontal lobe
EP1934899A4 (en) * 2005-09-14 2009-03-04 Korea Res Inst Jungshin Sci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GOOD HEALTH USING CUMULATIVE DATA MODEL ANALYSIS THROUGH RAPID FOURIER TRANSFORMATION OF BRAIN WAVE DATA MEASURED FROM THE FRONTAL LOBE
US7756575B2 (en) 2005-09-14 2010-07-13 Braintech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health using cumulative data pattern analysis via fast Fourier transformation of brain wave data measured from frontal lobe
KR20100086461A (ko) * 2007-07-23 2010-07-30 피오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테스트 대상들 또는 환경 테스트 대상들과 관련된 수집된 데이터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999B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health digitizers
KR101051263B1 (ko)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0463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annotation of physiological data with associated observational data
US200302332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iological data and providing data interpretation tools
US20100204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care
JP2007537793A (ja) 複数の異なる測定器タイプ向けに患者データダウンロード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1126860A2 (en) Medical diagnosis using biometric sensor protocols
CN111476940B (zh) 基于自助问诊端的分诊转诊方法及系统
KR20130053587A (ko)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JP2007148510A (ja) 医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9058227A (ja) IoT計測器、健康SNS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健康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1022969A (ja) 電子カルテ生成装置
US201901597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mental disease treatment contents using complex biometric information
KR20190061826A (ko)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복합 생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3920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원격진료 장치 및 방법
JP2003116796A (ja) 在宅医療適応患者の診察・指導支援システム及び診察・指導支援方法
KR20150096940A (ko) u-병원 환경에서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JP2002159454A (ja) 生体情報収集システム
JP2023503393A (ja) 健康管理方法、装置と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収集装置
CN111916171A (zh) 基于自助问诊端的安全转诊方法及系统
JP2000197612A (ja) 遠隔診療システム
JP2017021744A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JPH06233744A (ja) 在宅療法支援システム
WO2022107846A1 (ja) 生体情報判読支援装置、生体情報判読支援方法及び生体情報判読支援プログラム
US20230023391A1 (en) Multiple Physiological Data Collection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