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589A - 호안용 식생 네트 - Google Patents

호안용 식생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589A
KR20010102589A KR1020000023250A KR20000023250A KR20010102589A KR 20010102589 A KR20010102589 A KR 20010102589A KR 1020000023250 A KR1020000023250 A KR 1020000023250A KR 20000023250 A KR20000023250 A KR 20000023250A KR 20010102589 A KR20010102589 A KR 2001010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traw
mat
net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순
박진옥
이효실
박상우
안수현
Original Assignee
임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수 filed Critical 임철수
Priority to KR102000002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2589A/ko
Publication of KR2001010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Abstract

하천 호안용으로 시공되어 수변식물이 용이하게 활착할 수 있는 식생 네트가 개시된다.
종래에 견고성이 약하고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볏짚으로 형성되어 경사로 되는 복수 개의 새끼줄, 상기 새끼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엮어져 위사로 되는 복수 개의 볏짚, 상기 새끼줄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며 복수 개의 볏짚을 엮는 합성수지사가 식생 매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식생 네트가 제공된다.
따라서, 볏짚으로 이루어진 식생 네트 또는 식생 가마니 매트가 하천 등의 비탈면에 시공됨에 따라 수변식물의 활착이 이루어져 군락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절기에 홍수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고, 갈수기에도 수변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일정 기간 후에는 퇴비로 되어 수변식물에 영양소를 공급하고, 토양 유실에 의한 하천 수질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케 된다.

Description

호안용 식생 네트{Rice straw net for stabilizing river slopes}
본 발명은 호안용 식생 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형 하천의 공사 후에 호안 경사면 토양층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식생에 의해 자연적인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호안용 식생 네트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護??)은 넓은 뜻으로는 제방이나 하안을 유수에 의한 침식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물의 총칭이며, 좁은 뜻으로는 제방이나 하안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말하게 되는데, 고수시의 앞비탈을 보호하기 위한 고수호안과, 저수로를 보호하기 위한 저수호안으로 나뉘어진다.
종래에 이와 같은 호안용 구조물로서는 합성수지 등으로 엮은 주머니를 이용하여 제방 등을 안정하게 되는데, 이는 제방 등의 안정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주머니의 적층 부위에 식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조경에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주위의 환경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볏짚을 단순히 발형태로 엮어서 이루어진 네트는 시공시 법면에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견고성이 약하여 하천호안의 경사면에 적용시 파손 등으로 인한 네트의 유실로 하천의 수질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황마망, 코어망 등을 법면 녹화용 네트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가격이 매우 비싸므로 넓은 지역을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비가 엄청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이 용이하고 충분한 견고성을 가지며 가격이 저렴한 호안용 식생 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생활착이 용이하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호안용 식생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안용 식생 네트를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용 식생 네트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호안용 식생 네트의 일부 단면도로서,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용 식생 네트용 새끼의 개략적 실제 직조 상태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식생 가마니 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 가마니 매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식생 네트 11: 새끼줄
12: 볏짚 13: 합성수지사
14: 고정목 20: 식생 가마니 매트
E: 토양 H: 비탈면
P: 수변식물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안용 식생 네트는, 볏짚으로 형성되어 경사로 되는 복수 개의 새끼줄, 상기 새끼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엮어져 위사로 되는 복수 개의 볏짚, 상기 새끼줄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며 복수 개의 볏짚을 엮는 합성수지사가 식생 매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식생 네트가 제공된다.
따라서, 볏짚으로 이루어진 식생 네트 또는 식생 가마니 매트가 하천 등의 비탈면에 시공됨에 따라 수변식물의 활착이 이루어져 군락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이에 따라 하절기에 홍수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고, 갈수기에도 볏짚의 보습성으로 인한 보수효과로 수변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일정 기간 후에는 퇴비로 되어 수변식물에 영양소를 공급하고, 토양 유실에 의한 하천 수질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안용 식생 네트를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로서, 부호 (10)은 식생 매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식생 매트(10)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로 되는 새끼줄(11)과, 상기 새끼줄(11)과 교차되어 직각방향으로 엮어져 위사로 되는 볏짚(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새끼줄(11)은 직경이 7mm가 정도가 바람직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위치된다.
상기 볏짚(12)은 2~3개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볏짚(12)은 순차적으로 새끼줄(11)을 상호 교차하여 엮어지며, 상기 볏짚(12)들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합성수지사(13)에 의해 새끼줄(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엮어진다.
상기 합성수지사(13)는 복수 개의 볏짚(12)들을 엮게되는데, 상기 볏짚(12)을 3개마다 엮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탈면(H)의 상하, 좌우에 고정목(14)를 박고, 상기 고정목(14)에 식생 매트(10)를 고정시키면 간단하게 시공이 완료되며, 시공 후에는 상기 식생 매트(10)에 갯버들, 갈대, 달뿌리풀 등의 수변식물(P)이 활착됨으로써 비탈면(H)이 무너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자연적인 식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생 매트(10)에 수변식물(P)이 활착되면 군락 형성이 안정화되고, 이에 따라 수변식물(P)에 의해 하절기 홍수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며, 식생군락을 용이하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볏짚 고유의 보습성에 의해 토양의 수분 유지로 갈수기에도 식생의 성장이 지대한 도움을 주며, 일정 기간 후에는 상기 식생 매트(10)가 부패되어 볏짚에 포함된 유기물 등의 영양소가 수변식물(P)의 퇴비로 사용되어 성장이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토양 유실이 방지되어 토양 유실로 인한 하천의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새끼줄(11), 볏짚(12), 합성수지사(13)의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매트가 아닌 식생 가마니 매트(20)를 형성한다.
상기 식생 가마니 매트(20)는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는 빛, 온도 등이 적당하게 유지되는 재배실에서 식생 가마니 매트(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내부에 인공토양 또는 자연토양이나 이들의 혼합토양 등으로 되는 토양(E)을 투입하고, 상기 식생 가마니 매트(20) 내에 수변식물(P)의 줄기 심기를 하거나 근경부 심기를 한 후에 상기 개구부(21)를 가는 실로 재봉하여 봉한다.
이어서, 심어진 수변식물(P)의 근경부가 식생 가마니 매트(20)와 엉겨서 어느 정도 튼튼하게 활착되면 외측으로 돌출된 수변식물(P)의 윗가지를 가지치기 한 후에 자연 하천 등의 비탈면에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탈면(H)에 소정 깊이의 토양을 파낸 후에 식생 활착된 식생 가마니 매트(20)를 배열하여 도입 수종 공간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비탈면(H)의 하측에 지지대(14)를 고정하여 시공된 식생 가마니 매트(20)가 밀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시공된 하천호안 내의 식생군락은 그 수변식물(P)의 근경부가 미리 활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군락 형성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져 안정성이 향상되며, 하절기 등의 홍수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고, 수변식물(P)의 생존력이 증대되어 식생군락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생 가마니 매트(20)를 형성하는 새끼줄(11) 및 볏짚(12)의 보습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갈수기에도 식생 가마니 매트(20) 및 인공 토양과 주위 토양의 수분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수변식물(P)의 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식생 가마니 매트(20)가 일정 기간 후에는 자연적으로 부패됨으로써 유기물 등의 영양소가 수변식물(P)의 식생에 필요한 퇴비로 사용됨으로써 더욱 수변식물(P)의 성장이 촉진되며, 시공된 각각의 식생 가마니 매트(20) 자체가 토양 유실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토양 유실로 인한 하천 수질 오염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식생 가마니 매트(20)는 새끼줄(11)에 의해 내부의 토양(E) 등에 의한 하중에 견디는 견고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파손 등에 의한 비탈면의 유실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볏짚으로 이루어진 식생 네트 또는 식생 가마니 매트가 하천 등의 비탈면에 시공됨에 따라 수변식물의 활착이 이루어져 군락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절기에 홍수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고, 갈수기에도 수변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일정 기간 후에는 퇴비로 되어 수변식물에 영양소를 공급하고, 토양 유실에 의한 하천 수질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케 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볏짚으로 형성되어 경사로 되는 복수 개의 새끼줄과
    상기 새끼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엮어져 위사로 되는 복수 개의 볏짚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새끼줄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볏짚을 엮는 합성수지사로 이루어진 호안용 식생 네트.
  2. 볏짚으로 형성되어 경사로 되는 복수 개의 새끼줄과
    상기 새끼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엮어져 위사로 되는 복수 개의 볏짚, 그리고 상기 새끼줄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며 복수 개의 볏짚을 엮는 합성수지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부에 토양을 투입한 후 수변식물을 활착시킬 수 있는 호안용 식생 가마니 매트.
KR1020000023250A 2000-05-01 2000-05-01 호안용 식생 네트 KR20010102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250A KR20010102589A (ko) 2000-05-01 2000-05-01 호안용 식생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250A KR20010102589A (ko) 2000-05-01 2000-05-01 호안용 식생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589A true KR20010102589A (ko) 2001-11-16

Family

ID=4578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250A KR20010102589A (ko) 2000-05-01 2000-05-01 호안용 식생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2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265B1 (ko) * 2010-05-06 2011-06-17 주식회사 우빈기술개발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265B1 (ko) * 2010-05-06 2011-06-17 주식회사 우빈기술개발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11095B (zh) 潟湖中营造红树林的方法
CN113615469A (zh) 一种基于林泽生境的库尾消落带湿地修复方法
Broome et al. Shoreline erosion control using marsh vegetation and low-cost structures
JP4855503B2 (ja) 人工浮島用植生基盤、その製法及び植生用人工浮島
CN108978579B (zh) 一种河道环境修复结构及河道生态环境恢复方法
KR20150143001A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CN110800538A (zh) 水库消落带边坡防护结构及水库消落带边坡植被恢复方法
KR20010102589A (ko) 호안용 식생 네트
KR100306394B1 (ko) 자연형하천의수제조성공법
CN213938993U (zh) 一种沉水植物的种植装置
KR100351302B1 (ko) 해안의 생물공학적 침식방지 및 녹화 공법
JP2701136B2 (ja) コンクリート製植栽基盤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200418676Y1 (ko) 코이어 롤을 이용한 식생블록
JPH06322731A (ja) ダム湖、湖、池等の湛水面裸地法面の緑化工法
KR100456510B1 (ko) 호소의 경사면 녹화장치
KR100894652B1 (ko) 식생롤
KR200419272Y1 (ko) 포트 삽입용 식생기반 매트
JP2003252289A (ja) 植栽用浮島
KR100297870B1 (ko) 담수호의 경사면 녹화용 인공 부도
JPH0833432A (ja) 移植用土のう及び水生植物の移植方法
KR200461390Y1 (ko) 식생호안부재
KR200224548Y1 (ko) 식재 삽입홀이 형성된 야자섬유로 충진한 두루마리
JPH08133178A (ja) 人工浮島および収容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