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652B1 - 식생롤 - Google Patents

식생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652B1
KR100894652B1 KR1020080087488A KR20080087488A KR100894652B1 KR 100894652 B1 KR100894652 B1 KR 100894652B1 KR 1020080087488 A KR1020080087488 A KR 1020080087488A KR 20080087488 A KR20080087488 A KR 20080087488A KR 100894652 B1 KR100894652 B1 KR 10089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torage member
side wall
hole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황두
하성두
박청인
추병석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에스케이
주식회사 씨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에스케이, 주식회사 씨오비 filed Critical (주)아이엠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08008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호수, 해안가 등의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수변경계부에 설치되는 식생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시공후 수변경계부의 자연생태조성을 단시간 내에 이룰 수 있고, 식생롤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원할히 공급함으로써 식물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변경계부의 야관경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식생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평한 바닥부와 호형의 외부면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식생홀; 및 상기 식생홀 주변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재삽입홀과,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장부재삽입홀에 삽입되는 저장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식물에 제공되는 수분을 일정량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식생롤, 수분통로, 중공, 저장, 배수, 발광수단

Description

식생롤{A Planting Roll}
본 발명은 하천, 호수, 해안가 등의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수변경계부에 설치되는 식생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시공후 수변경계부의 자연생태조성을 단시간 내에 이룰 수 있고, 식생롤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원할히 공급함으로써 식물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변경계부의 야관경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식생롤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수, 해안가등의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수변경계부는 유수에 의한 침식과 퇴적, 침수와 건조가 반복되면서 독특한 생태계를 조성한다. 이와 같은 생태계의 조성이 자연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자연순환될 수 없도록 인공적인 암석, 콘크리트와 같은 호안부재들로 정리하면서 오히려 침식이 심화되고, 어패류서식처의 폐쇄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그리고 생태계의 파괴로 또 다른 공해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녹색공간이 부족한 도시민에게 하천변의 공간을 녹지로 재활용하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식물의 활착 및 생장을 돕는 식생롤이 공지된 바와 같이 야자수 나무에서 섬유를 추출하여 코이어 로프를 제작하고 그 코이어 로프를 엮 어 망을 형성한 상태에서 망 속에 야자수에서 추출한 코이어 섬유를 충진하여 하천이나 호안 등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코이어롤형태의 호안부재는 다층으로 하천변의 수변경계부에서부터 경사부를 따라 적층하는 경우 그 사이에 각종 식물체를 식재하여 안정된 번식을 유지할 수 있지만, 구조의 특성상 단1개의 코이어롤형태의 호안부재의 설치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코이어롤 형태의 호안부재자체에 식물체를 식재처리하고 있어 단기간에 자연생태조성을 이루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코이어롤형태의 호안부재는 코이어 로프로 형성되는 망의 내부에 충진되는 코이어 섬유사를 원형으로 말면서 계속 채우기 때문에 긴 섬유사를 채움으로써 수분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식생롤의 하부가 물에 잠겨있어도 식물이 활착되는 상부까지 수분이 전달되지 않아 생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코이어롤형태의 호안부재는 별도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호안부재에 식재되는 식물들은 갈수기때 물부족으로 인하여 생명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식생롤에 식재되는 식물의 식재밀도를 높여 하천, 호수, 해안가 등의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수변경계부의 자연생태조성을 단시간 내에 이룰 수 있는 식생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생롤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원할히 공급하고, 갈수기에도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식물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식생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수단을 삽입하여 수변경계부의 야관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하천 및 도로의 경계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식생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평한 바닥부와 호형의 외부면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식생홀; 및 상기 식생홀 주변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재삽입홀과,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장부재삽입홀에 삽입되는 저장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식물에 제공되는 수분을 일정량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식생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재는 바닥면이 밀폐된 저부와, 상기 저부의 외측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통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재는 바닥면에 일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저부와, 상기 저부의 외측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측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중공부 및 상기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통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지름이 타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지름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부는 상기 수분통로가 형성된 배수영역과 밀폐된 폐쇄면으로 이루어진 차수영역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영역이 상기 식생홀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통로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배수율이 높아지도록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통로는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개수나 형성되는 크기를 다르게 하여 배수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롤은 상기 식생부 사이에 발광수단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 삽입홈을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수단은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전구를 사용하여 자체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롤에 식재되는 식물의 식재밀도를 높여 하천, 호수, 해안가 등의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수변경계부의 자연생태조성을 단시간 내에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식생롤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원할히 공급하고, 갈수기에도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식물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발광수단을 삽입하여 수변경계부의 야관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하천 및 도로의 경계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의 저장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3은 제 2 실시예의 저장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제 2실시예에 사용된 저장부재의 절개 단면도이며, 도 5는 발광부재를 조립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생롤(100)은 몸체(110), 식생홀(120),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평평한 바닥부(111)와 호형의 외부면(112)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코코넛 섬유 등의 천연섬유 소재 충전체나 허스크칩이 내부에 충진되어 수분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식생홀(120)은 상기 몸체(110)의 외부면(112)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깊이 함몰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생홀(120)은 상기 몸체(110)의 외부면(112) 최상단 부근에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식생홀(120) 주변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재 삽입홀(131)과,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저장부재 삽입홀(131)에 삽입되는 저장부재(132)를 구비하여 식생홀(120)에 식재된 식물에 제공되는 수분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재 삽입홀(131)은 식생홀(120) 주변에 횡방향으로 한 줄 이상 형성될 수 있고 한쪽 방향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식생홀(12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재(132)는 바닥면이 밀폐된 저부(133)와, 상기 저부(133)의 외측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연장되는 측벽부(136)와, 상기 측벽부(136)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통로(134)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136)는 상기 수분통로(134)가 형성된 배수영역(B)과 밀폐된 폐쇄면으로 이루어진 차수영역(A)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영역(B)이 상기 식생홀(12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수영역(B)과 차수영역(A)이 동일한 면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측벽부(136)는 전체면에 수분통로(134)가 형성되는 배수영역(B)으로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배수영역(B)과 차수영역(A)을 동시에 구비할 시에는 배수영역(B)이 식생홀(120)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저장부재(132)에서 수분통로(134)를 통하여 흘러나온 수분이 낭비되지 않고 식물쪽으로 배수되로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분통로(134)는 상기 측벽부(136)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배수율이 높아지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측벽부(136)에 형성되는 수분통로(134)의 개수를 측벽부(136)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적게 형성하거나 관통 형성되는 수분통로(134)의 크기를 작게하여 수분의 양이 적어질수록 배수를 어렵게 함으로써 저장부재(132)에 저장된 물의 저장시간을 장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롤(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홀(120) 사이에 발광수단(141)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 삽입홈(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141)은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전구를 사용하거나 야광에 빛을 발산하는 형광체, 또는 축전지를 이용하여 자체로 발광되는 것을 사용한다.
-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롤(100)은 몸체(110), 식생홀(120),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평평한 바닥부(111)와 호형의 외부면(112)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코코넛 섬유 등의 천연섬유 소재 충전체나 허스크칩이 내부에 충진되어 수분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식생홀(120)은 상기 몸체(110)의 외부면(112)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깊이 함몰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생홀(120)은 상기 몸체(110)의 외부면(112) 최상단 부근에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식생홀(120) 주변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재 삽입홀(131)과,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저장부재 삽입홀(131)에 삽입되는 저장부재(132)를 구비하여 식생홀(120)에 식재된 식물에 제공되는 수분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재 삽입홀(131)은 식생홀(120) 주변에 횡방향으로 한 줄 이상 형성될 수 있고 한쪽 방향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식생홀(12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재(132)는 바닥면에 일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저부(133)와, 상기 저부(133)의 외측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연장되는 측벽부(136)와, 상기 관통공의 내측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중공부(135) 및 상기 측벽부(136)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통로(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135)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136)의 상단 높이(h2)보다 낮은 높이(h1)로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135)는 상기 중공부(135)의 하단에 개구 형성되는 관통공의 지름(d2)이 중공부(135)의 상단에 개구 형성되는 관통홀의 지름(d1)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중공부(135)의 높이를 조절하여 저장부재(132)에 저장되는 수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135)의 형상을 하단이 상단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단과 하단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중공부(135)로 구비되는 저장부재(132)보다 더 많은 양의 수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벽부(136)는 상기 수분통로(134)가 형성된 배수영역(B)과 밀폐된 폐쇄면으로 이루어진 차수영역(A)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영역(B)이 상기 식생홀(12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수영역(B)과 차수영역(A)이 동일한 면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측벽부(136)는 전면에 수분통로(134)가 형성되는 배수영역(B)으로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배수영역(B)과 차수영역(A)을 동시에 구비할 시에는 배수영역(B)이 식생홀(120)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저장부재(132)에서 수분통로(134) 를 통하여 흘러나온 수분이 낭비되지 않고 식물쪽으로 배수되로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분통로(134)는 상기 측벽부(136)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배수율이 높아지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측벽부(136)에 형성되는 수분통로(134)의 개수를 측벽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적게 형성하거나 관통 형성되는 수분통로(134)의 크기를 작게하여 수분의 양이 적어질수록 배수를 어렵게 함으로써 저장부재(132)에 저장된 물의 저장시간을 장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롤(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홀(120) 사이에 발광수단(141)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 삽입홈(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141)은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전구를 사용하거나 야광에 빛을 발산하는 형광체, 또는 축전지를 이용하여 자체로 발광되는 것을 사용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식생홀(120)뿐만 아니라 식생홀(12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저장부(130)에 저장부재(132)를 제거하고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식생롤(100)에 식재되는 식물의 식재밀도를 높여 하천, 호수, 해안가 등의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수변경계부의 자연생태조성을 단시간 내에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재(132)의 측벽부(136)에 형성된 배수영역(B)이 식생홀(120)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저장부재(132)에서 수분통로(134)를 통하여 흘 러나온 수분이 낭비되지 않고 식물쪽으로 배수되로록 유도함으로써 식생롤(100)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36)에 형성되는 수분통로(134)의 개수를 측벽부(136)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적게 형성하거나 관통 형성되는 수분통로(134)의 크기를 작게하여 수분의 양이 적어질수록 배수를 어렵게 하여 저장부재(132)에 더 오랜시간 수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갈수기에도 식생홀(120)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식물이 안정적으로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홀(120)과 식생홀(120)사이에 자체로 발광되는 발광수단(141)을 삽입함으로써 수변경계부의 야관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발광수단(141)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 하천 및 도로의 경계표시가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의 저장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제 2실시예의 저장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제 2실시예에 사용된 저장부재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발광부재를 조립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생롤 110 : 몸체
111 : 바닥부 112 : 외부면
120 : 식생홀 130 : 저장부
131 : 저장부재 삽입홀 132 : 저장부재
133 : 저부 134 : 수분통로
135 : 중공부 136 : 측벽부
A : 차수영역 B : 배수영역
140 : 발광수단 삽입홈 141 : 발광수단

Claims (10)

  1. 삭제
  2. 평평한 바닥부와 호형의 외부면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식생홀; 및
    상기 식생홀 주변에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재삽입홀과,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장부재삽입홀에 삽입되는 저장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식물에 제공되는 수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재는 바닥면이 밀폐된 저부와, 상기 저부의 외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3. 평평한 바닥부와 호형의 외부면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식생홀; 및
    상기 식생홀 주변에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재삽입홀과,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장부재삽입홀에 삽입되는 저장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식물에 제공되는 수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재는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저부와, 상기 저부의 외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중공부 및 상기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중공부의 하단에 개구 형성되는 관통공의 지름이 중공부의 상단에 개구 형성되는 관통홀의 지름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수분통로가 형성된 배수영역과 밀폐된 폐쇄면으로 이루어진 차수영역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영역이 상기 식생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통로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배수율이 높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통로는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개수나 형성되는 크기를 다르게 하여 배수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9.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롤은 상기 식생홀 사이에 발광수단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 삽입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전구를 사용하여 자체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롤.
KR1020080087488A 2008-09-04 2008-09-04 식생롤 KR10089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88A KR100894652B1 (ko) 2008-09-04 2008-09-04 식생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88A KR100894652B1 (ko) 2008-09-04 2008-09-04 식생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652B1 true KR100894652B1 (ko) 2009-04-24

Family

ID=4075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488A KR100894652B1 (ko) 2008-09-04 2008-09-04 식생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6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9B1 (ko) 2010-09-28 2010-12-23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롤 및 그 시공방법
CN110100612A (zh) * 2019-06-20 2019-08-09 河南水利与环境职业学院 一种园林育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675A (ja) * 2000-03-30 2001-10-10 Tosco Co Ltd 植栽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675A (ja) * 2000-03-30 2001-10-10 Tosco Co Ltd 植栽ブロ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9B1 (ko) 2010-09-28 2010-12-23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롤 및 그 시공방법
CN110100612A (zh) * 2019-06-20 2019-08-09 河南水利与环境职业学院 一种园林育苗装置
CN110100612B (zh) * 2019-06-20 2021-10-26 河南水利与环境职业学院 一种园林育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073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KR100761876B1 (ko) 인공섬의 기능형 관찰 부교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CN207619930U (zh) 一种高稳态生态景观护坡结构
KR100894652B1 (ko) 식생롤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CN203866774U (zh) 箱式生态景观挡墙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JP4050908B2 (ja) 水没する湖岸法面の緑化のためのブロック並びに護岸構築物
KR100682302B1 (ko) 수분 공급이 양호한 호안블럭 상면의 식생구조
KR101223653B1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CN211898175U (zh) 一种河道岸坡生态防护结构
KR20090000538A (ko) 식생용 옹벽블럭
CN211498716U (zh) 一种种植石墙
KR100513704B1 (ko) 식재용 인공매트
JP2007077771A (ja) 緑化擁壁ブロック
KR200418676Y1 (ko) 코이어 롤을 이용한 식생블록
KR100451981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00020515A (ko) 자연형 하천의 수제조성공법
JP2007303251A (ja) 緑化促進擁壁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イパス部材
CN216194409U (zh) 一种具有防渗功能的山溪性行洪生态河道断面型式
KR100509317B1 (ko) 친환경 농업용 용수로
KR101003759B1 (ko) 친환경 식생롤 및 그 시공방법
CN219315647U (zh) 生态混凝土护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