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159A -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159A
KR20010100159A KR1020010064496A KR20010064496A KR20010100159A KR 20010100159 A KR20010100159 A KR 20010100159A KR 1020010064496 A KR1020010064496 A KR 1020010064496A KR 20010064496 A KR20010064496 A KR 20010064496A KR 20010100159 A KR20010100159 A KR 20010100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ncrete
reinforcement
reinforcing
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수
Original Assignee
최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수 filed Critical 최윤수
Priority to KR102001006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0159A/ko
Publication of KR2001010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15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을 보강하는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강하려는 구조물을 상하로 관통시켜 철근 등을 배근하여 구조물을 Sand wich 시켜 트러스트와 같은 구조로 만들어 콘트리트를 충전시키는 Sand wich 거푸집 공법이다.
이렇게 완성된 구조물은 새로이 시공되는 보강구조물이 안정된 구조로 완성되고 기존구조물은 중앙에 위치하는 구조의 구조물 보강 공법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omitted}
본발명은 노후화가 지행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재래의 구조설계로된 구조물을 보강하여 내진,내화, 내풍,내구성이 뛰어나고 시공이 현장에서 직접이뤄 짐으로서 경제적이며 기존구조물의 콘크리트와 보강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이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수공법은 기존구조물과 보강되는 철근,콘크리트가 일체로 결합하는지 의문시 된다.
종래의 보수 공법은 슬라브하부에 앙카를 박아 앙카에 철근을 배근하여 숏크리트 공법으로 물탈을 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 앙카볼트는 철근을 기존 슬라브에서 떨어지지 않토록 매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 같다.
이공법은 최악의 경우 기존슬라브와 보강된 구조물이 떨어지는 현상까지 갈 수 있다.
이를 개선키위하여 본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하며 노후 구조물을 보강하여 새로운 구조물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이 현재에 기술을 진보시켜 보수,보강 공법의 역학구조 완성에 그 긍극적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의 구조물예를 타나낸 평면도.
도2는 기존 구조물 (S)을 가운데두고 보강되는 상하 구조물로 Sand wich 된 완성도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A2는 배근된 주철근,
B1, B2는 배근된 배력철근,
C,(C1, C2, C3 .....)는 앙카볼트(와샤, 넛트등)
D,(D1, D2.....)는 보조 앙카볼트(와샤,넛트등)
E는 원통형 주근, 나선근 등의 구성된 보강 철근
F는 철판거푸집, G는 앙카볼트를 고정시키는 철근
H,(H1,H2....)는 콘크리트몰탈 충전 통로
J는 B1, B2 철근을 벤딩하는 철근
상기에 기술된 대로 보강공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노후된 교량슬라브를 보강한다면 슬라브의 시험체를 떼어 내어 구조를 실험하여 구조계산 강구조 계산 등으로 보강 설계 도면 작성 한다.
우선 공사 공정을 나누면
1. 슬라브, 상하부 불순물제거
2. 슬라브 상부에서 하부로 앙카구멍을 계산된 치수대로 드릴로 구멍을 뚫는다.
3. 슬라브하부로 콘크리트 몰탈을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를 CORE DRILL로 뚫는다.
4. 철근 배근 및 보강
5. 철근 보강이 끝나면 철근과 콘크리트 피복 계산하여 거푸집설치
6. 콘크리트 타설 등의 공정으로 나눈다.
이하 본발명에 바람직한 실시를 예를 들어 설명 한다.
첨부된 도면 1.2 에 따라 자세히 설명하면 교량의 상판 슬라브를 보수, 보강하려면 우선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상부와 하부에 부식된 부분을 그라인드로 갈아내고 청소한다음, 도면1에서 보듯이 슬라브 상부에서 앙카구멍 (C1,C2.... )을 뚫기위하여 보강되는 간격대로 표시하고 상부슬라브에서 구멍을 뚫는다.
C1을 시작으로 스라브 전체를 구멍 뚫는다.
다시 CORE DRILL로 슬라브 상판에 콘크리트가 하부로 이동 될 수 있도록 200mm 원통형 구멍 H1,H2...순으로 슬라브 전체에 뚫는다.
H1과 H2의 간격은 콘크리트 타설시 H1에 타설하게되면 콘크리트가 H2로 이동되여 그 압력으로 H2 구멍으로 밀고 올라오는 것을 확인하므로서 기존 슬라브와 보강된 철근 슬라브가 완벽한 결합을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다시 불순물을 제거한다음 앙카볼트( C1, C2, C3.....)을 슬라브 상부에서 하부로 앙카볼트를 끼운다. (앙카볼트 밑에는 철근 G를 연결하고 앙카볼트와 결합시킨다. 철근 G는 와샤역할을 함과 동시에 앙카볼트와 구멍과의 사이가 떨어져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철근 G틈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앙카와 앙카 사이를 연결하므로서 수직하중시 휨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슬라브상부 있는 앙카볼트와 철근을 배근한다.
A2(슬라브상부에 배근되는 주철근)B2(슬라브 상부에 배근되는 배력철근)을 모두 배근하고나서 콘크리트 이동통로(H1)에 주근 (수직근)과 나선근을 배근한다.
이 H1은 트러스트 구조를 가지므로서 보강구조에서 제일 중요하다. 상부에 배근이 끝나면 슬라브 하부에 돌출된 앙카볼트(C) 보조앙카(D)도 포함하여 A1(슬라브 하부에 배근되는 주철근)B1(슬라브 하부에 배근되는 배력철근)철근을 앙카볼트와 H1의 철근과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앙카볼트는 보강되는 슬라브하중에 따라서 H1,H2 등에 일체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함으로 앙카보트와 보강하여 콘크리트 충전시킨다.
H1.... 등의 특히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을 벤딩하여 SAND WICH 화한다. J는 B2, B1을 연결시키는 밴딩근으로 C1,H1,J, 모두 밴딩역활을 한다. 앙카볼트(C1,C2....)에 콘크리트 피복을 결정하는 와샤를 끼우고 거푸집 (F)을 앙카볼트와 결합시킨다.
거푸집과 거푸집 이음새는 용접 접합한다. 슬라부 시공후 빠진 공정이 없나 점검하고 콘크리트 타설 준비를 완료하면 H1구멍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H1 구멍을 통하여 H2 등으로 이동한다. 압력에 의해 콘크리트가 C1,C2,H2, 구멍등으로 올라오면 진동기로 진동시켜 슬라브 하부에 공간이 없도록 충전시킨다.
이런 방법으로 계속하여 하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면 2차로 기존슬라브 상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킨다.
콘크리트 피복 만큼 충전시키고 진동시킨다.
미장한다. 양생이 잘되도록 관리 한다.
이렇게 시공된 슬라브 상판은 기존에 존재하던 수직하중을 능가할 것이다.
여기에서 앙카볼트와 밴딩근 은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트러스트 구조로 안정된 보강을 보장하고 또한 H1,H2... J등은 더욱더 견고한 트러스트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서 기존 콘크리트가 중앙에 위치한 SAND WICH 거푸집 구조이다. 또한 슬라브 양측면에도 밴딩근 (J)와 결합되여 있다. 상기한 공법은 보강하려는 슬라브에 PREX BEAM과 같은 보를 시공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강 형태도 실현시킬 수 있는 공법이다.
이와같이 슬라브 하부에 시공한 방법을 수직으로 보강되는 기둥, 교각 등에 활용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트러스트 같이 각도를 계산하여 C1,C2등 콘크리트 이동로 (H1,H2...) 등을 만들 수 있다.
이공법은 그동안 구조물이 노후되면 철거하던 관례를 깨고 노후된 구조물을 철거하지않고 SAND WICH 시켜 다시 태여나는 구조물을 만드므로 폐자재를 양산하는 건축 구조를 바꾸는데 그 목적이 있다.
.

Claims (1)

  1. 보수 보강하려는 구조물을 중앙에 두고 상하 좌우등 자유자재로 관통시켜 앙카볼트와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방법과 콘크리트 하부로 이동시키는 통로와 통로를 이용하여 철근을 배근하며 트러스트 구조를 갖고 콘크리트 피복을 만드는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SAND WICH된 구조물.
KR1020010064496A 2001-10-18 2001-10-18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 KR20010100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96A KR20010100159A (ko) 2001-10-18 2001-10-18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96A KR20010100159A (ko) 2001-10-18 2001-10-18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159A true KR20010100159A (ko) 2001-11-14

Family

ID=4577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496A KR20010100159A (ko) 2001-10-18 2001-10-18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015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76U (ko) * 1995-03-21 1996-10-24 명화물산주식회사 기존 건축물의 보강장치
JPH08333902A (ja) * 1995-06-07 1996-12-17 Tanabe Kensetsu Kk 耐震補強プロテクター取付方法
JPH10219929A (ja) * 1997-02-12 1998-08-18 Kumagai Gumi Co Ltd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H1136230A (ja) * 1997-07-16 1999-02-09 Hazama Gumi Ltd 既存橋脚の補強構造
KR19990024271A (ko) * 1998-12-29 1999-03-2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JPH11182060A (ja) * 1997-12-22 1999-07-06 Nippon Rework:Kk 既存壁付柱の耐震補強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76U (ko) * 1995-03-21 1996-10-24 명화물산주식회사 기존 건축물의 보강장치
JPH08333902A (ja) * 1995-06-07 1996-12-17 Tanabe Kensetsu Kk 耐震補強プロテクター取付方法
JPH10219929A (ja) * 1997-02-12 1998-08-18 Kumagai Gumi Co Ltd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H1136230A (ja) * 1997-07-16 1999-02-09 Hazama Gumi Ltd 既存橋脚の補強構造
JPH11182060A (ja) * 1997-12-22 1999-07-06 Nippon Rework:Kk 既存壁付柱の耐震補強方法
KR19990024271A (ko) * 1998-12-29 1999-03-2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014B1 (ko)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CN211036679U (zh) 一种装配式桥梁预制墩柱与承台的承插连接构造
CN109235662B (zh) 一种包含多重剪力键的柱板连接装置
US8578537B2 (en) Partially prefabricated structural concrete beam
KR101263370B1 (ko)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127130B1 (ko) 교량의 프리케스트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박스 거더교시공방법
JP2006009449A (ja) トラスパネル桁およびプレキャストトラスパネル
JP3660647B2 (ja) コンクリート受け梁を用いた桁の架設方法
CN108265823A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l形连接节点
KR100653283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 방법
CN209958813U (zh) 钢筋混凝土柱改造加固结构
KR2008007483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교의연속화 공법
CN110528734A (zh) 一种钢-混凝土组合短肢剪力墙
CN114045750B (zh) 高墩柱系梁的施工方法
KR200233599Y1 (ko) 교각의 철근 설치구조
CN108301562A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十字形连接节点
CN212295166U (zh) 一种基于加肋盒的装配式墙体连接结构
JP2001207410A (ja) 橋脚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CN213709140U (zh) 一种通过钢筋灌浆波纹管连接的预制拼装桥墩
KR200395572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2001010015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sand wich 보강 공법
CN209585427U (zh) 一种装配式钢管束预应力混凝土组合梁
CN208023734U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一字形连接节点
WO2002018725A1 (en) Crux-bar concrete structure
JP4293696B2 (ja) 合成床版橋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