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394A - 로딩/언로딩 방법, 크레인 회전 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로딩/언로딩 방법, 크레인 회전 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394A
KR20010098394A KR1020010010245A KR20010010245A KR20010098394A KR 20010098394 A KR20010098394 A KR 20010098394A KR 1020010010245 A KR1020010010245 A KR 1020010010245A KR 20010010245 A KR20010010245 A KR 20010010245A KR 20010098394 A KR20010098394 A KR 20010098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float
loading
cranes
horizont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세가와히로시
우시로다고우이찌
미야하라료우헤이
야마네요우이찌
요시자끼마사또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하마다 구니오
히다찌 플랜트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추후보충
히다치 이바라끼 비지니스 코.,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하마다 구니오, 히다찌 플랜트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추후보충, 히다치 이바라끼 비지니스 코.,엘티디.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9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5Lifting beam permitting to depose a load through an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압력 용기(하중)(4)를 갖는 크레인(1, 2)을 단단한 지면(57)에서의 턴테이블(41) 상에 배치하고, 상기 크레인(1, 2)과 함께 턴테이블(41)을 회전시키고, 그리하여 상기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중을 적재한 크레인을 상기 크레인을 작동시키지 않고 좁은 영역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물체를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로딩/언로딩 방법, 크레인 회전 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LOADING/UNLOADING METHOD, A CRANE ROTATING APPARATUS, AND A HOI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겁고 부피가 큰 물체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방법, 로딩/언로딩 설비 및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크레인이 원자력 발전소의 건물 내로 또는 외부로 원자력 발전소의 구성 요소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구성 요소가 더욱 커지고 더욱 무거워질 때, 그에 대한 크레인도 더욱 커지고 더욱 무거워지게 된다. 제한된 좁은 장소에서 그런 크고 무거운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일은 매우 어렵다.
또한, 상기 크레인이 그 상부에 제품을 적재한 상태로 수평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크레인 상의 제품이 상기 크레인의 균형을 깨기 때문에 상기 크레인 또는 상기 크레인 하부의 지면이 손상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 출원 특허 공개 제59-149849호(1984)에서는 턴테이블 상에 크레인의 전방 크로울러를 배치하는 단계 및 후방 크로울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턴테이블을 수평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크레인의 전방 크로울러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무거운 하중이 상기 전방 크로울러 상에 존재할 때에도 상기 전방 크로울러의 수평방향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일본 출원 실용신안 공보 제60-114170호(1985)에서는 하중없이 크레인을 회전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방법은, 수평으로 회전 가능한 테이블 상에서 크레인이 주행하는 레일의 일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크레인이 레일 상의 적절한 위치에서 테이블로 주행하는 단계와, 상기 크레인이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블 상에 크레인을 적재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방법을 설명한다.
일본 출원 실용신안 공보 제60-114179호(1985)에 설명된 크레인의 방향 전환 방법에서는, 크레인이 한 작업 장소에서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크레인의 방향 전환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상기 작업 장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수평방향의 회전 가능한 테이블이 제공된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 출원 실용신안 공보 제60-114179호(1985)에서는 하중을 갖는 크레인의 방향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일본 출원 특허 공개 공보 제59-149849호(1984)에 설명된 방법에서는, 턴테이블 상에 상기 크레인의 전방 크로울러 만을 배치하고, 후방 크로울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것은, 상기 크레인을 주행시키기 위하여 넓은 영역을 필요로 하고 상기 크로울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업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일본 출원 특허 공개 공보 제59-149849호(1985)에 설명된 방법은, 제한된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 하중을 갖는 크레인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하중을 갖는 크레인에 대하여, 크레인의 작업공간을 가능한 한 많이 확장시킴 없이,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장치 및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수단은 하중을 적재한 하나의 전체 크레인을 구비한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기 하중 위치를 변화시키는 로딩/언로딩 방법이다. 하중을 적재한 크레인을 구비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때, 상기 크레인이 회전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소정의 위치로 향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방향 전환 중에 크레인이 어떤 작동도 필요 없으며, 크레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크레인의 회전 반경은, 상기 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 크로울러 사이의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으로 축소된다.
제2 수단은 하중을 분할하여 적재한 복수의 전체 크레인들을 구비한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기 하중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로딩/언로딩 방법이다. 하중을 분할하여 적재한 복수의 크레인들을 구비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때, 상기 턴테이블 상의 모든 크레인이 동시에 동일한 양만큼 회전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소정의 위치로 향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방향 전환 중에 크레인이 어떤 작동도 필요 없으며, 크레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크레인의 회전 반경은, 상기 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 크로울러 사이의 중심 근처의 한 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축소된다. 추가로, 이 방법에서는, 끌어 올려지게 되는 상기 하중이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지므로 상기 하중이 매우 무거운 경우에도 유효하다.
제3 수단은 지면의 풀(pool) 상의 플로우트 상에 전체 크레인을 배치하고, 상기 크레인이 하중을 상부로 끌어 올리도록 하고, 상기 플로우트를 상기 풀 상에서 수평으로 회전시키고, 그리하여 상기 하중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로딩/언로딩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하중을 적재한 크레인을 구비한 플로우트가 회전될 때, 턴테이블 상의 상기 크레인이 회전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소정의 위치로 향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방향 전환 중에 크레인이 어떤 작동도 필요 없으며, 크레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크레인의 회전 반경은, 상기 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 크로울러 사이의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축소된다. 이 방법은,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크레인의 회전 및 하중의 위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방법은, 상기 플로우트가 수면 위에 떠 있을 때 상기 플로우트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4 수단은 하중을 분할하여 적재한 복수의 전체 크레인들을 지면의 풀 상의 플로우트 상에 배치하고, 상기 플로우트를 상기 풀 상에서 수평으로 회전시키고, 그리하여 목적 위치 상부로 상기 하중을 이송하는 로딩/언로딩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하중을 분할하여 적재한 복수의 크레인들을 구비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때, 상기 플로우트 상에서 하중을 적재한 모든 크레인이 동시에 동일한 양만큼 회전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소정의 위치로 향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방향 전환 중에 크레인이 어떤 작동도 필요 없으며, 크레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크레인의 회전 반경은, 상기 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 크로울러 사이의 중심 근처의 한 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축소된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상기하중이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지므로 끌어 올려지는 하중이 매우 무거운 경우에도 유효하다. 상기 플로우트는, 그것이 수면 위에 떠 있을 때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제5 수단은 상기 제2 또는 제4 수단에서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공통 하중의 중량을 조절하는 로딩/언로딩 방법이다. 상기의 제2 또는 제4 수단의 구성에 추가하여, 이 방법에서는, 각 크레인이 그의 로딩 용량 이하의 하중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은 그의 로딩 용량에 따라 상기 끌어 올려지는 하중을 분할하여 적재한다. 이 수단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크레인들이 모두 동일하게 실행될 필요는 없다.
제6 수단은 상기 제3 또는 제4 수단에서 로딩 및 언로딩 작동 중에 수면 상의 플로우트의 상부면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우트의 부력을 조절하는 로딩/언로딩 방법이다. 상기의 제3 또는 제4 수단의 구성에 추가하여, 이 방법에서는, 상기 플로우트의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로우트 상의 크레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방법은, 상기 크레인 상의 하중이 변화할 때에도 상기 크레인을 일정한 높이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7 수단은 원자력 발전소 건물의 상부 및 상기 건물의 외부 사이의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를 이송시키는 방법이고, 그 방법은, 수평 회전 가능한 구조물 상에 전체 크레인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원자력 발전소 건물의 상부 및 상기 건물의 외부 사이에서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상승되는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구조물이 수평으로 회전할 때 상기 구조물 상의 모든 크레인이 동시에 동일한 양만큼 회전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 건물의 상부 및 상기 건물의 외부 사이의 소정의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크레인의 회전 반경은, 상기 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 크로울러 사이의 중심 근처의 한 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축소된다. 그리하여 이 방법에 의하면, 제한된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상기 크레인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8 수단은 상기 제7 수단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를 상기 원자력 발전소 건물 내로 이송시키는 방법이다. 이 수단은 제한된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상기 원자력 발전소 건물 내로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를 이송할 수 있다.
제9 수단은 상기 제7 수단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를 상기 원자력 발전소 건물로부터 이송시키는 방법이다. 이 수단은 제한된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상기 원자력 발전소 건물로부터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를 이송할 수 있다.
제10 수단은 원자로 건물 근처의 지면에서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물 상에 전체 크레인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크레인을 구비한 상기 원자로 건물 내에서 원자로를 상하로 승강하는 단계와, 상부에 복수의 크레인을 갖는 상기 구조물을 상기 원자로와 함께 수평 회전시켜 상기 원자로 건물의 외부로 상기 원자로를 수평 이송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원자로 이송 방법이다. 이 수단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이 수평으로 회전할 때 동시에 상기 구조물 상의 모든 크레인이 동일한 양만큼 회전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원자로가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될 때, 상기원자로는 트레인의 대응 작동 없이 상기 원자로로 그리로 원자로로부터 이송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수단은 제한된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상기 원자로 건물로 그리고 그 건물로부터 상기 원자로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11 수단은 상기 원자로가 상기 원자로 건물 내로 이송되는 제10 수단에 따른 원자로 이송 방법이다. 이리하여 이 수단은 제한된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상기 원자로 건물 내로 상기 원자로를 이송할 수 있다.
제12 수단은 상기 원자로가 상기 원자로 건물로부터 이송되는 제10 수단에 따른 원자로 이송 방법이다. 이리하여 이 수단은 제한된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상기 원자로 건물로부터 상기 원자로를 이송할 수 있다.
제13 수단은 하나 이상의 크레인이 설치되는 수평 회전 가능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이며, 여기서 상기 구조물은 직경이 30 내지 60미터이고 하중이 2,000 내지 10,000톤이다. 이러한 회전 장치는 크레인을 수평으로 회전시키기에 적당하다.
제14 수단은 로딩 및 언로딩용의 전체 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도록 표면이 충분히 넓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이며, 여기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단단한 지면 상에서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수단에 따르면, 복수의 크레인이 상기 구조물 상에 배치될 때 상기 크레인이 동일한 양만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상기 크레인의 대응한 작동 없이 작은 회전 반경 내에서 상기 구조물의 회전에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제15 수단은 단단한 지면에서의 풀 및 상기 풀 내에서 수평 회전하며 그 상부에 복수의 크레인을 가질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플로우트를 포함한다. 이 수단에 따르면, 복수의 크레인이 상기 플로우트 상에 배치될 때 상기 크레인이 동일한 양만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하중은 상기 크레인에 수반한 작동 없이 작은 회전 반경 내에서 상기 플로우트의 회전에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제16 수단은 상기 제15 수단에 따른 크레인 회전 장치이며, 여기서 상기 플로우트에는 부력 제어 수단이 설치된다. 제15 수단의 구성에 추가하여, 이 수단은 상기 플로우트의 부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플로우트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플로우트 상에서 상기 크레인의 수직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제17 수단은 상기 제16 수단에 따른 크레인 회전 장치이며, 여기서 상기 풀은 상기 플로우트가 그 둘레를 회전하는 포스트(post)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하로 이동할 때 수직으로 연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제16 수단의 구성에 추가하여, 이 수단은 상기 플로우트가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플로우트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포스트가 수직으로 연장 및 수축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플로우트가 상부로 이동하는지 아니면 하부로 이동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포스트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제18 수단은 상기 제15 수단에 따른 크레인 회전 장치이며, 여기서 상기 플로우트는 부력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15 수단의 구성에 추가하여, 이 수단은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말로, 예를 들면 상기크레인이 크로울러 형인 경우, 크레인의 상기 전방 크로울러가 상기 플로우트의 영역 상에 놓이고 상기 플로우트가 경사질 때, 상기 크레인의 전방 크로울러가 놓이는 상기 플로우트 영역의 부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그리고 상승하는 상기 플로우트 영역의 부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플로우트는 상기 지면 레벨과 같은 정도가 된다. 더욱이, 크로울러 크레인의 일부가 플로우터 상에 놓일 때 상기 플로우트가 기운다면, 상기 플로우트의 복수의 영역에서의 부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크레인 상의 다른 부분이 상기 플로우트 상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플로우트가 지면 레벨과 같은 정도가 될 수 있게 된다.
제19 수단은 최소한 두 개의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크레인과의 조인트를 갖는 밸런스 빔과, 상기 밸런스 빔 상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과,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호이스트 막대와,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을 수평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하중 밸런싱 호이스트 장치이다. 이용을 위하여, 제19 수단의 상기 호이스트 장치의 밸런스 빔은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매달려 지지된다. 하중이 상기 호이스트 막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호이스트 막대를 구비한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을 상기 밸런스 빔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호이스트 막대 상의 호이스트 막대는 상기 밸런스 빔 상에 상기 호이스트 막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분할된다. 이 방법에서, 상기 호이스트 막대는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소정의 하중 비율로 분배 및 분할된다.
제20 수단은 제19 수단에 따른 하중 밸런싱 호이스트 장치이며, 여기서 상기하중 밸런싱 호이스트 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제19 수단의 구성에 더하여, 이 수단은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원격 제어 유닛은, 크레인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안전한 장소 또는 크레인의 조작실 등과 같은 원격 장소에서 조작자가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크레인에 하중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한다.
제21 수단은 제19 수단에 따른 하중 밸런싱 호이스트 장치이며, 여기서 상기 호이스트 막대는 상기 호이스트 막대가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제19 수단의 구성에 더하여, 이 수단은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호이스트 막대가 상기 밸런스 빔 상에서 수평 회전할 때, 상기 호이스트 막대 또는 상기 밸런스 빔의 수평방향 회전이 방해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으로부터 원자로 압력 용기를 들어올리는 대형 크로울러(crawler) 크레인의 조감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압력 용기를 건물 내로 들어내리는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의 조감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의 확대정면도.
도4는 도3의 호이스트 장치의 밸런스 빔의 저면도.
도5는 도3의 호이스트 장치의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의 상세개략도로서, 도5a는 도3의 호이스트 장치의 대칭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의 왼쪽 반의 정면도이고, 도5b는 도3의 호이스트 장치의 대칭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의 오른쪽 반의 측면도(상기 유닛의 이동에 수직으로 도시).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로서 사용된 턴테이블의 하부의 부분도를 갖는 턴테이블의 평면도.
도7은 도면의 오른쪽 반이 도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해진, 도6의 턴테이블의 측단면도.
도8은 도6의 원형 영역(A) 내의 롤러의 확대도.
도9는 도8의 롤러의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로서 사용된 플로우트(float)의 평면도.
도11은 도면의 오른쪽 반이 상부에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을 구비한 플로우트이고 왼쪽 반이 상부에 아무것도 설치되지 않은 플로우트인, 도10의 회전 장치의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압력 용기를 건물 내로 들어내리는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의 조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크로울러 크레인
3 : 원자로 건물
4 : 압력 용기
13 : 커플러
41 : 턴테이블
77 : 호이스트 장치
78A 및 78B : 로프
79 : 차량
이하에, 본 발명이, 한 예로서,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시 원자력 발전소의 구성 요소를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으로 이송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은, 원자력 발전소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사이에 가장 무거운 요소인 원자로 압력 용기를 로딩하고, 이송하고, 언로딩하는 작업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강재 프레임 및 철 보강 바를 구비하기도 하는 어떤 장치, 파이프, 트레이, 기부, 기기, 전기 설비 등과 같은 몇몇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들이 모듈로 조립되고 상기 모듈은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에 의하여 취급될 수 있도록 원자로 압력 용기의 중량을 초과하지 않는다.
건설 분야의 최근의 경향으로서, 건설업은 공기를 단축시킬 필요성 및 숙련된 기술자의 부족문제를 겪고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책으로서, 공장에서 가능한 한 많은 부분을 조립하고 현장에서 조립 작업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원자로 압력 용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그러한 대응책은, 공장에서 미리 상기 원자로 압력 용기 내의 쉬라우드 등과 같은 원자로 압력 용기 구성 요소들을 조립하는 것이다. 모듈에 있어서는, 그러한 대응책은, 상기 공장에서 미리 상기 모듈 내로 가능한 한 많은 부분을 조립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대응책은 이송될 제품 및 부재의 중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비상 상황에서, 그러한 제품 및 부재가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에 의하여 취급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 중의 하나로서, 더 높은 호이스트 성능을 갖는 신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은 제조 비용 면에서 매우 비싸고, 건설 현장에서 작동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이 일반적이지는 않다.
또한,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의 크로울러를 작동시켜, 여러 가지 물체로 둘러싼 작은 작업 공간에서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를 적재한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추가로, 예기치 않은 과도한 힘이 회전 중에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에 가해질 수도 있다.
추가로, 단일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에 의하여 승강 및 이동될 수 없는 무겁고 부피가 큰 물체는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으로 이동 및 승강된다, 그러나, 하중을 분할하여 적재한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것은 매우 복잡한 크로울러 작동 및 넓은 작동 공간을 필요로 한다.
상기의 설명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일 예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예방 관리를 위하여 상기 원자력 발전소 내의 대형 장치 및 설비를 대체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무거운 하중을 적재한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을 매우 좁은 작동 공간 내에서 회전시키고, 무거운 하중을 적재하고, 상기 원자력 발전소로 그리고 발전소로부터 그것을 이송시키고, 그리고 그것을 언로딩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의 작업 공간이 확장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크레인의 작동 공간의 증가 없이 하중을 적재한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에 대한 수평 회전을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장치인 턴테이블(41)이 비등수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 건물(3) 근처의 지면 상에 설치된다. 동일 방향을 향한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이 턴테이블(41) 상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은 상기 회전 장치의 외부 지면에서 조립되고 전방 및 후방 크로울러에 의하여 상기 회전 장치 상으로 운반된다. 또는, 각각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은 상기 회전 장치 상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울러와 함께 상기 회전 장치 상에서 조립된다.
상기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은 하중 밸런싱 기능을 갖는 호이스트 장치(77)를 보유한다. 이 호이스트 장치(77)는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의 로프(78A 및 78B)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증기 분리기 및 쉬라우드와 같은 원자로내 압력 용기(4) 구성물은 공장에서 미리 원자로 압력 용기(4)에서 조립된다. 미리 조립된 원자로 압력 용기(4)는 차량(79)에 편평하게 놓여져 차량(79)이나 선박에 의해 공장으로부터 원자로 건물로 운반된다.
원자로 압력 용기(4) 차량(79)이 원자로 건물(3) 근처에 올 때, 상기 턴테이블(41)은, 호이스트 장치(77)가 차량(79) 상의 원자로 압력 용기(4)를 후크하도록 수평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에, 호이스트 장치(77)는 원자로 압력 용기(4)의 커플러(13) 쪽으로 하강 이동되어 상기 커플러(13)에 링크된다.
호이스트 장치(77)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상부로 끌어 당겨지고, 그 다음에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차량(79)으로부터 상부로 완전히 끌어 올리기 위해 상부로 더욱 끌어 당겨진다.
그 다음에,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을 갖는 턴테이블(41)은,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원자로 압력 용기(4)가 원자로 건물(3) 위에 오도록, 수평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은 동시에 동일 양만큼 회전된다. 신속하고 간단한 이 회전에서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은 작동될 필요가 없다.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원자로 압력 용기(4)는 턴테이블(41)이 회전할때 원자로 건물의 상부 쪽으로 수평 이동된다.
원자로 건물은 원자로 압력 용기(4)가 천장에서 통과할 수 있는 개구(80)를 갖고 있다.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은, 원자로 건물의 상부 위의 원자로 압력 용기(4)가 그 건물(3)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호이스트 장치(77)를 하강시킨다.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은,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원자로 건물(3) 내의 받침대 상에 배치하기 위해 호이스트 장치(77)를 더욱 하강시킨다.
상기 원자로 압력 용기(4)는 받침대 상에 적절히 안착되고, 커플러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호이스트 장치(77) 및 커플러(13)는 개구(80)를 통하여 건물(3)의 외부 방향으로 끌어 올려진다.
받침대에 안착된 압력 용기(4)는 조립된 내부 구성 요소를 이미 갖고 있기 때문에, 내부 구성 요소를 원자로 건물 내로 이송하고, 원자로 압력 용기(4)에서 내부 구성 요소를 조립하는 것과 같이 원자로 압력 용기(4)에 대한 더 이상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킨다.
추가로,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의 크로울러는,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이 상기 턴테이블(41)의 회전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되기 때문에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을 회전하도록 구동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을 회전시키기 위한 임의의 넓은 작동 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3은 원자로 압력 용기(4)가 호이스트 장치(77)로부터 매달려 있는 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호이스트 장치(77)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 장치의 밸런스 빔(11)은 그 양단이 후크(7A 및 7B)를 통하여 두 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의 로프(78A 및 78B)에 의해 매달려 있다. 호이스트 장치가 사용될 때, 밸런스 빔(11)은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에 의해 수평으로 매달리게 된다.
상기 밸런스 빔(11)은 그 상부에 레일(35)이 설치되어 있다.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의 롤러형 휠(34)은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이 밸런스 빔(11)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35) 위에 있다. 도5를 참조하면, 기어 모터(16)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 막대(14)은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의 프레임(82)에 고정된 너트(31)와 맞물려 스크류 막대(14)이 밸런스 빔(11) 상의 기어 모터(16)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다. 기어 모터(16)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7), 기어 모터(16)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18) 및 원격 제어기(21)로부터 제어기(18)까지 신호를 반복하는 전송 수단(19)은 모두 밸런스 빔(11)에 설치되어 있다. 무선 원격 제어기(21)는 전송 수단(19) 및 제어기(18)를 통하여 기어 모터(16)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기어 모터(16)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거나 전송 수단(19)을 통하여 신호를 원격 제어기(21)로부터 제어기(18) 까지 전송시킴으로써 기어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기어 모터가 전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크류 막대(14)은 상기 너트(31)를 좌측으로 (도3의 왼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은 밸런스 빔을 따라왼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기어 모터가 후방으로 회전할 때,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은 밸런스 빔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기어 모터(16), 스크류 막대(14) 및 너트(31)를 포함하는 위의 구동 방법은 체인 구동, 기어구동, 와이어(윈치) 구동, 또는 유압 실린더 구동과 같은 다른 구동 방법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의 프레임(82)에 있는 휠(34)은 베어링(33)에 의해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에 장착된다. 외부 케이싱(24)은 상기 프레임(82)에 장착된다. 내부 케이싱은 드러스트 베어링(26)에 의해 외부 케이싱(24)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호이스트 막대(15)은 내부 케이싱(22)에 볼트로 죄어진다. 상기 드러스트 베어링(26)은 호이스트 막대가 원자로 압력 용기(4)를 매달고 있을 때에도 내부 케이싱(22)이 수평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베어링(28)은 이들 케이싱의 흔들림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케이싱(22)과 외부 케이싱(24) 사이에 설치된다.
호이스트 막대(15) 및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이 한 유닛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휠(34)을 갖는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에 호이스트 막대(15)은 연결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막대(15)이 밸런스 빔(11)을 따라 슬롯(20) 내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밸런스 빔(11)은 호이스트 막대(15)용 슬롯(20)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원자로 압력 용기(4)의 커플러(13)는 호이스트 막대(15)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력 압력 용기(4)는 상기 호이스트 장치(77)로부터 매달려 있다.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이 다른 로딩 용량을 가질 때, 원자로 압력 용기(4)가 호이스트 막대(15)에 연결되기 전에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이 그들의 로딩 용량보다 더 적은 하중을 갖도록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은 호이스트 막대(15)의 수평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이동된다. 그 다음에 원자로 압력 용기(4)는 호이스트 장치(77)에 연결된다.
몇몇 경우에,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에서 계산된 하중은 실제 하중과 매칭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경우에,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상부로 끌어 올린 후, 조작자는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의 로프(78A 및 78B) 상의 하중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12)을 원격 제어기(21)에 의해 원격 이동시킨다.
상기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이 동일한 로딩 용량을 가질 경우, 보통 호이스트 막대(15)은 미리 밸런스 빔(11)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6 내지 도9는 기어 구동형의 턴테이블(41)의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 턴테이블(41)은 강재 디스크이거나 또는 휠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하는 콘크리트로 덮여진 원형의 강재 프레임이다. 상기 턴테이블은, 턴테이블의 중심 구멍이 기부(50)의 중심에 제공된 스핀들(54)에 일치되게 지면(57)의 기부(50) 상에 설치된다. 베어링(42)은 턴테이블이 스핀들 둘레로 수평 회전하도록 턴테이블과 스핀들 사이에 제공된다.
기부(50) 상의 턴테이블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기부(50)는 턴테이블(41)의 수직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원추형 롤러 및 실린더형 롤러를 갖는다.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원추형 롤러(48)는 턴테이블(41)의 수직 방향 하중을 수평방향 및 축방향 힘 성분들로 변환시킨다. 이 축방향 힘 성분들은 반대이고 원추형 롤러(48)가 축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쇄된다. 이것은 턴테이블(41)이 수평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보유 디스크(49)는 보유 디스크(49)의 상부가 실린더형 및 원추형 롤러의 중심의 레벨이 되도록 기부(50) 상에 배치된다. 보유 디스크의 내부 및 외부 엣지는, 보유 디스크(49)가 기부(50)의 내부 및 외부 엣지에 의해 안내되는 엣지를 갖고 상기 기부(5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기부(50)의 내부 엣지(50)(a) 및 외부 엣지(50)(b)와 각각 매칭된다.
상기 보유 디스크(49)는 실린더형 롤러(52) 및 원추형 롤러(48)를 각각 수용할 복수의 개구(관통 구멍)를 갖는다. 이것은 롤러 상부의 턴테이블(41)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롤러들(52 및 48)이 보유 디스크(49)의 그들 개구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상기 턴테이블(41)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6 및 7을 참조하면, 턴테이블(41)의 외주연부는 피니언으로서 작용하는 스퍼기어(44)가 맞물려 있는 래크가 형성되도록 톱니가 형성된다. 상기 스퍼 기어는 지면 상의 베어링(53)에 의해 지지되는 스핀들 둘레를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웜 휠(46)은 상기 스핀들에 장착되어 웜(45)과 맞물려 있다. 상기 웜(45)의 스핀들은 샤프트 커플링 박스(43)를 통해 모터(47)의 샤프트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모터(47)는 웜(45)을 구동시키고 웜(45)은 턴테이블(41)을 회전시킨다. 상기 웜(45)은 턴테이블(41)의 비자발적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턴테이블(41)을 구동시키는 또 다른 메커니즘이 설명될 것이다. 이 구동 메커니즘은 수면에 떠 있는 중공의 강재 플로우트인 턴테이블(41)에 적용된다. (물로 채워진) 워터 풀(75)은 원자로 건물 근처의 지면(57) 상에 형성되며, 포스트(67)는 그 하단부가 풀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풀의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컬럼(76)이 폴(67) 둘레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폴(67)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컬럼(76)은 폴과 컬럼 사이의 롤러(68)를 구비한 포스트(67)에 적합하게 설치된다. 강재 실린더 플로우트(60)는 그 중심이 이동 가능한 컬럼(76)에 고정되도록 상기 풀(75)에 배치된다.
그 다음, 상기 풀(75)은 워터 펌프(62)에 의해 워터 파이프(65)를 통하여 풀 외부에 설치된 물 저장 장치(61)로부터의 물(72)로 채워진다. 상기 플로우터(60)와 단단한 지면(57)의 지면 레벨 상부에서 상승 이동할 때,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은 상기 플로우트(60)에 놓일 수 없으며, 이것은 도11의 왼쪽 반에 의해 설명된다.
플로우트(60)를 지면 레벨로 하강 이동시키기 위해 물은 워터 파이프(64)를 통하여 플로우트(60) 상으로 맨홀(66)을 통하여 플로우트 내로 공급된다. 플로우트(60)의 총 중량 및 플로우트(60) 내로 공급된 물이 (플로우트의 상부가 지면 레벨만큼 높은 곳인) 지면 레벨에서의 부력과 동일할 때, 물 공급은 중단된다. 이 경우, 플로우트(60)에 고정된 이동 가능한 컬럼(76)은 플로우트(60)가 상승 및 하강 이동할 때 상승 및 하강 이동하며 그럼으로써 플로우트가 수평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로우트(60)가 이동할 때 이동 가능 컬럼(76)은 함께 상승 및하강 이동하게 되고 이때 플로우트(60)의 상부 위로 상기 이동 가능한 컬럼(76)은 결코 가지 않을 것이다.
이하에서,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위해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을 플로우트(60)에 놓는 순서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플로우트(60)의 상부가 단단한 지면(57)의 지면 레벨과 매칭된 이후에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 플로우트(60) 상에 놓이기 시작한다.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이 플로우트(60)의 상부에 놓일 때, 플로우트(60)는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의 중량 때문에 지면 레벨 아래로 가기 시작한다. 동시에, 물은 워터 파이프(64)를 통하여 플로우트(60) 내부로부터 상부로 (펌프(62)에 의해) 펌프된다.
두 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의 전방 크로울러가 플로우트 상에 놓이기 시작할 때, 강재 플로우트(60)의 반대 측은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의 2개의 전방 크로울러의 중량을 갖는다. 즉, 하중은 플로우트(60)의 일측 상에 집중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로우트의 내부 공간은 물을 저장하기 위해 2개의 반원형 공간(73 및 7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유사한 효과가 플로우트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물 저장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플로우트의 부력이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의 총 중량 및 지면 레벨에서의 플로우트(60)와 항상 같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이 놓이는 플로우트의 상부가 단단한 지면(57)의 지면 레벨에서 유지된다.
다음에,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승강시키고 이동시키는 과정이 설명될 것이다.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이 원자력 압력 용기(4)를 승강시키기 시작하고 플로우트(60) 상의 하중이 증가하기 시작할 때, 플로우트(60)는 부력의 결핍 때문에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한다. 이러한 가라 앉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은 워터 펌프(62)에 의해 플로우트(60) 내부로부터 펌프되어 플로우트(60)의 부력을 증가시키고 그렇게 하여 플로우트(60)의 상부가 항상 지면 레벨에 있도록 한다. 이 방식에서, 상기 플로우트(60)는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 상의 하중이 변화할 때에도 이것의 레벨을 지면 레벨로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우트(60)는,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에 의해 매달려 있는 원자로 압력 용기(4)와 함께 회전된다. 수면(72)에 떠 있는 플로우트(60)는 작은 힘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10의 화살표 방향에서 플로우트(60)를 회전시키는 힘은, 플로우트(60) 상의 각 설비물과 풀 외부의 각 체인 블록 지지부(70) 사이에 접속되는 각 체인 블록(69)을 단축시킴으로써 주어진다. 이에 따라, 풀 상의 플로우트는 회전하고 플로우트 상의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은 선택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들 체인 블록(69) 외에 파워 윈치 또는 유압(중심 구멍) 잭이 플로우트(60)를 회전시키기 위해 힘을 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로우트(60)는 체인 블록(69)을 재연결시키고 (그들의 길이방향을 역으로 하여) 체인 블록(69)을 단축시킴으로써 회전을 역으로 할 수 있다.
플로우트(60) 상의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에 의해 매달려 있는 원자로 압력 용기(4)가 플로우트(60)의 그러한 회전에 의해 상기 건물(3) 상부 상의 개구 바로 위에 올 때, 하나 이상의 체인 블록은 역으로 재연결되고 단축된다.이것은 플로우트(60)를 고정시킬 수 있고 플로우트 상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은 거기에 그대로 정지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원자로 압력 용기(4)는 원자로 건물에서 받침대 상으로 들어 내려지고 받침대 상에 안착된다. 원자로 압력 용기(4)가 받침대와 접촉한 후에, 원자로 압력 용기(4)의 중량은 플로우트로부터 받침대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플로우트(60)는 원자로 압력 용기(4) 하중이 없어지고 단지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의 중량을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플로우트는 상향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우트(60) 내로 물이 공급되어 플로우트(60)의 부력을 감소시킨다. 이것에 의해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원자로 건물 내로 이송시키는 것이 완료된다. 위의 과정은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원자로 건물(30)로부터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역으로 된다. 위의 실시예가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단지 하나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이 경량의 원자로 압력 용기(4), 예를 들면 쉬라우드 등과 같은 원자로 내 압력 용기 구성 요소가 없는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턴테이블(41) 또는 플로우트(60) 상의 단일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에 의해 물체를 이송시키는 과정은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1, 2)을 사용하는 위의 과정과 동일하다 (턴테이블 또는 플로우트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것,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원자로 건물(3)로 이송시키는 것, 그 물체를 그 건물로부터 외부로 이송시키는 것과 같은 과정). 이 과정의 턴테이블(41) 및 플로우트(60)의 구성은 2개의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을 사용하는 과정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그러나 단일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을 사용하는 과정은 호이스트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자로 압력 용기(4)의 커플러는 호이스팅을 위해 후크(7A)에 직접 연결된다.
크기, 중량, 사용될 대형 크로울러 크레인의 수 및 원자로 압력 용기가 쉬라우드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지 여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조건 및 필요 사항을 고려하여 판단할 때, 상기 턴테이블(41) 또는 플로우트(60)는 직경이 30 내지 60미터가 되고, 4,000 내지 10,000톤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등수 원자력 발전소에서의 설치 지점 (예를 들면, 받침대) 상으로 상기 원자로 압력 용기(4)를 이송시키기 위한 작업 과정을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원자로 압력 용기(4)는, 또 다른 물체, 예를 들면 건설 부재들에 의하여 조립된 모듈 및 상기 원자로 건물용 장치 또는 가압 원자력 발전소용의 원자로 용기 등과 같은 또 다른 발전소 제품 등과 같은 또 다른 물체에 의하여 대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중을 적재한 크레인(들)을 작을 공간 내에서 크레인(들)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회전시킬 때, 제한된 작은 작업 공간 내에서 크레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1)

  1. 로딩 및 언로딩 방법에 있어서,
    하중을 적재한 하나의 전체 크레인이 로딩 및 언로딩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배치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2. 로딩 및 언로딩 방법에 있어서,
    하중을 적재한 전체 크레인들이 로딩 및 언로딩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배치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3. 로딩 및 언로딩 방법에 있어서,
    지면의 풀 상의 플로우트 상에 전체 크레인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크레인이 하중을 끌어 올리는 단계와,
    상기 플로우트를 상기 풀 상에서 회전시키는 단계와,
    로딩 및 언로딩 위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4. 로딩 및 언로딩 방법에 있어서,
    하중을 분할하여 적재한 전체 크레인들을 지면의 풀 상의 플로우트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플로우트를 상기 풀 상에서 회전시키는 단계와,
    로딩 및 언로딩 위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크레인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공통 하중을 밸런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작업 중에 상기 플로우트의 상부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우트의 부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방법.
  7. 수평 회전 가능한 구조물 상에 전체 크레인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크레인들로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구성 요소를 끌어 올리는 단계와,
    원자력 발전소 건물의 상부와 상기 건물의 외측부 사이에서 상기 구성 요소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의 이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상기 건물 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의 이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상기 건물로부터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구성 요소의 이송 방법.
  10. 원자로 건물 근처의 지면 상에서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물 상에 전체 크레인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크레인들을 구비한 상기 원자로 건물 내에서 원자로를 상하로 승강하는 단계와,
    상기 원자로 건물의 외부로 상기 원자로를 수평 이송시키도록 상부에 복수의 크레인을 갖는 상기 구조물을 상기 원자로와 함께 수평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이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는 상기 원자로 건물 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이송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는 상기 원자로 건물로부터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이송 방법.
  13. 하나 이상의 크레인이 설치된 수평 회전 가능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을 직경이 30 내지 60미터이고 하중이 4,000 내지 10,000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
  14. 표면이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전체 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지면 상에서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
  15. 단단한 지면에서의 풀과 상기 풀 내에서 수평 회전할 수 있고 그 상부에 복수의 크레인을 가질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플로우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에는 부력 제어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풀은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포스트 둘레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하로 이동할 때 수직으로 연장 및 수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는 부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회전 장치.
  19. 적어도 두 개의 수평으로 이격된 상기 크레인과의 조인트를 갖는 밸런스 빔과,
    상기 밸런스 빔 상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과,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호이스트 막대와,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을 밸런스 빔을 따라서 수평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장치에는 상기 구동 수단용 원격 제어 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막대에는 상기 호이스트 막대가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호이스트 막대 이동 유닛 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KR1020010010245A 2000-04-20 2001-02-28 로딩/언로딩 방법, 크레인 회전 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KR20010098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6227 2000-04-20
JP2000126227A JP2001302182A (ja) 2000-04-20 2000-04-20 荷役方法及び揚重機の旋回装置並びに吊り治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394A true KR20010098394A (ko) 2001-11-08

Family

ID=1863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245A KR20010098394A (ko) 2000-04-20 2001-02-28 로딩/언로딩 방법, 크레인 회전 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10055361A1 (ko)
JP (1) JP2001302182A (ko)
KR (1) KR20010098394A (ko)
TW (1) TW5133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643A1 (en) * 2006-07-21 2008-01-24 Kg Inc. Hoist for low space cra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7445B2 (ja) * 2001-04-27 2009-03-11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構造物の取扱方法
DE102005021859B4 (de) * 2005-05-11 2007-03-29 Terex-Demag Gmbh & Co. Kg Gittermastkran zum Heben von schweren Lasten
JP5018256B2 (ja) * 2007-06-08 2012-09-05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作業車
EP2573039A3 (en) * 2011-09-23 2013-06-26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Outrigg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RU2534834C1 (ru) * 2013-05-31 2014-12-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атомного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ОАО "ВНИИАМ")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перегрузочной машин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JP2015124053A (ja) * 2013-12-26 2015-07-06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ゴライアス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解体方法
CN103867017B (zh) * 2014-01-07 2016-02-10 国核工程有限公司 一种核电站内置换料水箱西南墙吊装方法
IL242937A (en) * 2015-12-03 2016-12-29 Sky-Line Cranes & Tech Ltd Balanced transmitter feeding equipment
DE102017110099B4 (de) * 2017-05-10 2021-10-28 Liebherr-Werk Ehingen Gmbh Drehtisch für einen Doppelkran
CA3108347A1 (en) * 2018-08-01 2020-02-06 Lior KRIEZE A multi task lifting beam for placing a load inside a level of a building
CN110589674B (zh) * 2019-10-18 2020-10-16 浙江陶特容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槽罐类压力容器制造加工辅助机械
CN112069698B (zh) * 2020-09-27 2024-04-19 中国化学工程第六建设有限公司 基于bim的吊装仿真施工方法及其系统
KR102334066B1 (ko) * 2021-01-13 2021-12-06 주식회사 삼진에이치에스 건축기계설비 공사의 리버스 리턴 방식용 절수형 수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643A1 (en) * 2006-07-21 2008-01-24 Kg Inc. Hoist for low space crane
US7793794B2 (en) 2006-07-21 2010-09-14 Kg Inc. Hoist for low space crane
CN101341089B (zh) * 2006-07-21 2010-12-01 韩国高倍株式会社 低空起重机的吊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02182A (ja) 2001-10-31
US20010055361A1 (en) 2001-12-27
TW513376B (en)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8394A (ko) 로딩/언로딩 방법, 크레인 회전 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EP2585712B1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of a unwieldy object
RU26445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контейнера
US7328811B2 (en) Even reeving system
US7641421B2 (en) Offshore vessel
CN102535424B (zh) 适应承船厢出入水的全平衡式垂直升船机
KR102511234B1 (ko) 해상 리프팅 크레인
JP2007119251A (ja) バラストを搭載したモービルクレーン
KR2022001603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 시스템
WO2022256544A1 (en) Lift system and method for wind turbine monopiles and other structures
CN214989749U (zh) 可变跨度的气动升降式龙门吊
US5240298A (en) Load-lifting and orienting apparatus
CN113089477A (zh) 一种吊篮悬挂系统
CN103964300A (zh) 顶升式加高设备
KR101431374B1 (ko) 잭-업 플랫폼 구동장치
KR102616078B1 (ko) 중량물 이송장치 및 그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
CN207467865U (zh) 一种适合于多种截面海缆的退扭系统
JPH1111857A (ja) 天井クレーン
RU2320842C1 (ru) Ремонтно-буровой агрегат
CN217051347U (zh) 一种发电机更换装置
CN216737284U (zh) 一种吊装设备
CN217893921U (zh) 一种消防施工用升降上料装置
CN110848089B (zh) 安装治具、安装塔筒附件和塔筒设备的方法
CN115092858B (zh) 船舶水下试验作业系统及方法
JP4405950B2 (ja) 建設資材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