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302A - 오존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오존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302A
KR20010098302A KR1020000023165A KR20000023165A KR20010098302A KR 20010098302 A KR20010098302 A KR 20010098302A KR 1020000023165 A KR1020000023165 A KR 1020000023165A KR 20000023165 A KR20000023165 A KR 20000023165A KR 20010098302 A KR20010098302 A KR 20010098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body case
main body
ozone generator
bubb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석
Original Assignee
하차원
주식회사 한국필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차원, 주식회사 한국필립 filed Critical 하차원
Priority to KR102000002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8302A/ko
Priority to KR2020000012548U priority patent/KR200202154Y1/ko
Publication of KR2001009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3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발생장치의 본체 케이스로부터 제어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에서 정수를 위한 목적으로 싱크대 등에 설치하는 경우 제어부와 기포기를 외부에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오존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전기방전에 의한 오존발생기(20)가 구비되는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식 손잡이(11)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공간을 가지며 형성되는 코드삽입부(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제공되며 오존발생기(20)의 오존방전관(20a) 출구단에 끼움되는 급기관(21)과, 상기 급기관(21)의 단부에 고정되는 기포기(3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적외선센서부(50)와,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일면에 구비된 제어부(40)와,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게 되는 전원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존발생 장치{APPRATUS FOR OZONATING}
본 발명은 오존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용 오존발생장치의 본체 케이스로부터 버튼 표시창이 구비된 제어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에서 정수를 위한 목적으로 싱크대 등에 설치하는 경우 제어부와 기포기를 외부에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오존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은, 산소의 삼원소 동소체로서 보통 건조한 공기의 흐름에 전기를 방전하여 생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존은 여러가지 면에서 산소와 성질이 비슷하지만 반응성은 더 크므로 여러 가지 물질을 탈색하는 성질 등을 갖게 되어 적정량인 경우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유기화합물 등의 표백제로 사용된다.
또한, 오존은 강한 살균제로서 불쾌한 냄새와 향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음료수를 살균하는 데도 사용되어 각종 세균은 물론 박테리아, 바이러스까지 빠르게 사멸시키며 또한, 수중에서는 다른 분자와 결합하여 악취를 소멸시키고, 유해물질이나 독성물질들을 분해하여 무해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오존은 물을 정수할 수 있는 최적의 요건을 가지고 있게 됨에 따라서, 최근에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가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써, 관상어를 기르기 위한 어항의 물이나 욕실에서의 욕조에 담긴 물등을 소독살균하기 위하여 오존발생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물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주방의 싱크대 등지에 오존발생장치의 급기관을 물이 저장된 용기에 연결하여 오존을 공급하므로써 물을 살균소독시켜 왔다.
상기한 오존발생 장치는, 전원인가에 따라 전기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를 내부에 고정하며 싱크대 등에 세워서 고정되는 본체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부에는 오존발생기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또한 그 외측에 오존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외부에 공급하도록 된 기포기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오존발생 장치는 표시부가 본체 케이스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어 본체 케이스를 주방의 싱크대등에 설치하는 경우 싱크대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어 싱크대를 주로 이용하는 사람에게 많은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존발생 장치의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며 버튼 표시창이 구비된 제어부가 본체 케이스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하여 본체 케이스는 서랍등에 수납 또는 싱크대의 내부에 보관하고 제어부만 외부에 고정하여 싱크대의 활용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적외선 센서부를 구비하여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경우 오존발생기가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본체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기포기가 수돗물을 분사시키는 변환관에 직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 장치가 적용되는 실시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본체 케이스 11 : 회동식 손잡이
11a : 라운딩면 11b : 힌지부
12 : 전원코드 13 : 코드삽입부
13a : 권취보빈 13b : 걸림턱
14 : 걸림홈 15 : 플러그잭
20 : 오존발생기 20a : 오존방전관
21 : 급기관 30 : 기포기
30a : 록킹홈 40 : 제어부
40a : 버튼표시창 41 : 삽입홈
50 : 적외선센서부 70 : 전원부
80 : 싱크대 취수부 81 : 변환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전원인가에 따라 오존을 발생시켜 기포기를 통해 공기중이나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성 세균을 살균 소독하기 위한 오존발생기가 구비되는 오존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하향으로 경사진 라운딩면을 형성하고, 그 경사진 상단부에 회동식 손잡이를 구비하며, 저면에는 제어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코드를 권취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코드삽입부를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에 복수개로 제공되는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도록 록킹홈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오존발생기의 오존방전관과 연결되는 급기관이 연결되어 수중에 오존을 공급하도록 된 기포기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면에 제공되는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버튼 표시창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라 오존발생기가 구비된 본체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버튼 표시부가 구비된 제어부가 분리될 수 있어 사용시 본체 케이스는 수납하고 제어부만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 장치가 적용되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전기방전에 의한 오존발생기(20)가 구비되는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식 손잡이(11)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공간을 가지며 형성되는 코드삽입부(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제공되며 오존발생기(20)의 오존방전관(20a) 출구단에 끼움되는 급기관(21)의 단부에 고정되는 기포기(3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적외선센서부(5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면에 구비된 제어부(40)와,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게 되는 전원부(7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0)는, 좌우 한 쌍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며, 휴대 및 서랍등에 삽입 또는 세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사각형상의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 양측으로 복수개의 오존발생기(20)가 구비되며, 상기 오존발생기(20)의 내부에는 고전압의 전기방전을 위한 오존방전관(20a)이 파이프형의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기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수중에 적정량 투입시켜 수중의 오염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오존발생기(20)의 일단이 걸림홈(14)으로 근접되게 인출된다.
상기 회동식 손잡이(11)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측에 돌출구비되는 힌지부(11b)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면에서 자중력에 의해 접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운반시 상기 회동식 손잡이(11)를 수직으로 회동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드삽입부(13)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홈을 이룬 것으로, 그 내면에는 전원코드(12)를 권취시켜 고정하도록 서로마주 보면 대향 구비된 "ㄱ"자 형상의 권취보빈(13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드삽입부(13)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코드(12) 인출을 하기 위하여 굴곡형성된 걸림턱(13b)이 구비되며 상기 코드삽입부(13)의 양측으로 형성됨이 가능하다.
상기 급기관(21)은, 상기 오존방전관(20a)의 출구에 끼움되어 생성된 오존을 물속으로 투입하도록 한 파이프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포기(30)는, 상기 급기관(21)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물속으로 오존을 분사하도록 하며, 상기 기포기(30)의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오존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정면 일측에 구비되고, 정면으로 버튼표시창(40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와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삽입홈(41)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10)와 제어부(4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적외선센서부(5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정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접근할 시 인체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상기 오존발생기(20)의 작동여부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어부(40)의 버튼표시창(40a)에 구비됨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센서부(50)와 오존발생기(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 아래에 플러그잭(15)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40)에 직류전원이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오존발생 장치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를 주방용 싱크대의 서랍이나 수납공간에 설치한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0)의 일면에 구비된 제어부(40)를 분리시켜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인 싱크대의 상측 벽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된 급기관(21)을 싱크대 취수부(80)의 일측벽으로 인출시킨 다음 상기 급기관(21)의 단부에 기포기(30)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전원코드(12)를 전원부(70)에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40)의 버튼표시창(40a)의 스위치를 동작온하면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오존발생기(20)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오존 방전관(20a)에 있는 산소가 오존으로 변환된다.
이에 상기 오존방전관(20a)의 출구에 연결된 급기관(21)을 따라 상기 기포기(30)로 오존이 토출됨에 따라서 싱크대의 취수부(80)에 저장된 물에 오존이 공급되어 정수 및 살균소독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기포기(30)가 수도꼭지의 물 분사 구조를 변환시키는 변환관(81)에 나사결합되어 변환관(81)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속에 오존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가정용 오존발생장치를 정수기로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환관(81)은 통상의 실시수단으로 수도꼭지의 단부에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되어 사용자의 내부조작에 따라 물을 직사 및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는, 오존발생기(20)의 본체 케이스(10)에 구비된 제어부(40)를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을 갖는 실내에 오존발생기(20)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존발생기(2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된 급기관(21)에 기포기(30)를 구비하여 물속에 오존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케이스(10)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전원인가에 따라 오존을 발생시켜 기포기(30)를 통해 공기중이나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성 세균을 살균 소독하기 위한 오존발생기(20)가 구비되는 오존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하향으로 경사진 라운딩면(11a)을 형성하고, 그 경사진 상단부에 회동식 손잡이(11)를 구비하며, 저면에는 제어부(40)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코드(12)를 권취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코드삽입부(13)를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양측에 복수개로 제공되는 걸림홈(14)에 걸림 고정되도록 록킹홈(30a)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오존발생기(20)의 오존방전관(20a)과 연결되는 급기관(21)이 연결되어 수중에 오존을 공급하도록 된 기포기(3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면에 제공되는 삽입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버튼 표시창(40a)이 구비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근접된 위치에 있는 경우 또는 근접지역을 벗어나는 경우를 센싱하여 오존발생기(20)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적외선센서부(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기(30)는, 그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수도꼭지의 단부에서 물 분사 구조를 변환시키는 변환관(60)에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분사되는 물속에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 장치.
KR1020000023165A 2000-04-29 2000-04-29 오존발생 장치 KR20010098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65A KR20010098302A (ko) 2000-04-29 2000-04-29 오존발생 장치
KR2020000012548U KR200202154Y1 (ko) 2000-04-29 2000-05-02 오존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65A KR20010098302A (ko) 2000-04-29 2000-04-29 오존발생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548U Division KR200202154Y1 (ko) 2000-04-29 2000-05-02 오존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302A true KR20010098302A (ko) 2001-11-08

Family

ID=1966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165A KR20010098302A (ko) 2000-04-29 2000-04-29 오존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8302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244A (ja) * 1990-09-29 1993-08-10 Hara Health Kogyo Kk 自動車用脱臭装置
KR970033052A (ko) * 1995-12-04 1997-07-22 배성태 공기 정화장치
KR0134652Y1 (ko) * 1996-04-12 1999-05-15 이용한 안전거리유지 및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공기 정화기
JPH11146905A (ja) * 1997-11-18 1999-06-02 Zexel:Kk オゾン燻蒸殺菌装置
JP3057756U (ja) * 1998-09-16 1999-06-02 有宏 官 オゾンを含む液体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244A (ja) * 1990-09-29 1993-08-10 Hara Health Kogyo Kk 自動車用脱臭装置
KR970033052A (ko) * 1995-12-04 1997-07-22 배성태 공기 정화장치
KR0134652Y1 (ko) * 1996-04-12 1999-05-15 이용한 안전거리유지 및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공기 정화기
JPH11146905A (ja) * 1997-11-18 1999-06-02 Zexel:Kk オゾン燻蒸殺菌装置
JP3057756U (ja) * 1998-09-16 1999-06-02 有宏 官 オゾンを含む液体の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474B1 (ko)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장치
US7202484B1 (en) Infant stimulation and environment sterilizing device
KR101608496B1 (ko) 휴대용 자외선 이단살균기
KR100922253B1 (ko) 살균이 용이한 휴대용 칫솔
CN209916773U (zh) 一种医疗器械消毒柜
KR20100009091U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JP2000265529A (ja) 収納式便器
WO2001019729A9 (en) Ozone generator
KR200202154Y1 (ko) 오존발생 장치
CN109620033A (zh) 一种毛巾消毒盒
KR20110101450A (ko) 휴대용 소독기
US20040071615A1 (en) Ozone generator
KR20010098302A (ko) 오존발생 장치
KR200399403Y1 (ko)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WO2009147655A1 (en) Domestic bottle cleaner and sterilizer
KR20160115585A (ko) 칫솔용 스팀 살균 장치
CN210373862U (zh) 具有马桶刷存储结构的空气净化器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KR101261474B1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청소기
KR20050033345A (ko) 다기능 손 살균 세척기
AU2020101801A4 (en) Air Purifier Having Toilet Brush Storage Structure
KR20110108565A (ko) 다기능 살균수 생성장치
JP3023675U (ja) オゾン供給装置
JP3081414U (ja) 歯ブラシクリーナー
KR102658010B1 (ko) 온수공급 및 토수방향 전환구조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