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156A -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156A
KR20010097156A KR1020000020987A KR20000020987A KR20010097156A KR 20010097156 A KR20010097156 A KR 20010097156A KR 1020000020987 A KR1020000020987 A KR 1020000020987A KR 20000020987 A KR20000020987 A KR 20000020987A KR 20010097156 A KR20010097156 A KR 2001009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tape
group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7372B1 (ko
Inventor
진화일
김순식
장경호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주식회사 새 한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2000002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372B1/ko
Priority to TW089116792A priority patent/TW562846B/zh
Publication of KR2001009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9J1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J1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 다이패드, 방열판, 반도체 칩과 같이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리드프레임 주변의 부품들 접착에 사용되는 내열성을 지닌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접착테이프에 비해 접착력, 내열성, 전기적 특성의 제반 물성이 고루 우수한 접착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2,000,000 범위이고, 카르복실기와 같은 관능기가 함유되어 있는 아크릴 수지, 비스페놀 A계 에폭시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혹은 페놀노볼락에폭시와의 에폭시혼합수지,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한 화합물, 방향족 디아민계 화합물, 액상 실리콘수지, 무기 또는 유기입자로 된 충전제 및 용제로 구성된 접착조성물이 내열성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접착테이프는 접착력, 내열성 등의 제반물성이 우수하여 특히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으로 사용할 때 유용하다.

Description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Adhesive tape for the electronic parts}
본 발명은 리드, 다이패드, 방열판, 반도체 칩과 같이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리드프레임 주변의 부품들 접착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 부품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지패키지형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는 접착테이프에는 리드프레임 고정용 접착테이프, 방열판 접착용 테이프, TAB 캐리어 테이프 등이 있는데, 리드프레임 고정용 접착테이프는 리드프레임의 리드를 고정하여 리드프레임 자체 및 반도체 조립 공정 전체의 수율 및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리드프레임 메이커에서 리드프레임 위에 접착되고, 반도체 조립업체에서는 이것을 이용하여 반도체 칩을 탑재한 후에 수지로 패키징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리드프레임 고정용 접착테이프는 반도체 수준에서 일반적인 신뢰성 및 테이핑시의 작업성, 테이핑 후의 접착력 등이 우수해야 함은 물론 반도체 장치의 조립공정에서의 가열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내열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용도에 사용되는 기존의 접착테이프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내열성 지지필름상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혹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을 단독으로 도포하거나 또는 열경화성수지를 혼합하여 도포한 것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근래들어 반도체 장치 내부에 있어서도 다핀화하거나, 방열성의 확보에 대한 요구로 인하여 패키지 구조가 복잡화하고 있으며, 접착테이프의 접착부에 대해서는 전기적, 물리적, 열적특성이나 취급 특성에 대한 요구가 엄격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접착테이프의 경우는 상기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킬 정도로 열적특성, 치수안정성, 전기적 특성이 충분치 않으며, 특히 히트싱크와 리드핀을 접착시키거나, 반도체 칩과 리드핀을 절연 테이프로 접합시키는 공정에서는 리드프레임 등의 금속재료를 변형시키거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USP 5,494,757, USP 5,500,294에서는 피페라지닐 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를 갖는 부타디엔-아크릴로 니트릴 공중합체, 2개 이상의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한 화합물, 디아민 함유 폴리실록산 화합물 등으로 구성된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비교적 저온에서 접착, 경화할 수 있고 내열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반면, 아웃가스가 다량 발생하거나 내흡습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잔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저온에서 접착, 경화할 수 있고 내열성, 전기절연성 및 내흡습성이 고루 우수하고 아웃가스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특히 반도체 부품들간의 접착에 유용한 접착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200,000 범위에 있으며, 카르복실기, 아민기, 글리시딜기, 술폰기, 알콜기, 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한 아크릴수지(성분 A)와, 비스페놀A계 에폭시와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또는 페놀노볼락에폭시와의 에폭시혼합수지(성분 B)와, 한 분자 내에서 2개 이상의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성분 C)과, 방향족 디아민계 화합물(성분 D)과, 에폭시기를 지닌 액상실리콘수지(성분 E)와, 무기 또는 유기성분의 입자로 된 충전제(성분 F) 및 용제로 구성된 접착조성물이 내열성 필름이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성분 A)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2,000,000인 것으로, 중합체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글리시딜기, 술폰기, 알콜기, 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관능기를 지니며, 유리전이온도가 -50℃~150℃ 범위에 있는 것이 사용된다. 이때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보다 낮으면 열안정성이 불량해지고 접착력, 내열성이 저하하며, 2,000,000 보다 크게 되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나빠지고 용액 제조시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불량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10~60중량%, 탄소수가 2~12개인 알킬기를 가진 알킬아크릴레이트 20~80중량% 및 카르복실기, 알콜기, 술폰기, 글리시딜기, 아미노기 중 1개 이상의 관능기와 이중결합을 지닌 단량체 0.1~20중량%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공중합시켜 얻는다. 이때,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가 0.1중량% 보다 적게 사용되면 접착력, 내열성이 떨어지고, 20중량% 보다 많이 사용되면 용액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성분 B(에폭시혼합수지)의 경우에는 성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스페놀A계 에폭시 20~500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0중량부)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또는 페놀노볼락에폭시 10~200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40~100중량부)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비스페놀A계 에폭시를 20중량부 미만 사용한 경우는 접착력이 저하되며, 500중량부 초과 사용한 경우는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 크레졸노볼락에폭시 또는 페놀노볼락에폭시가 10중량부 미만일때는 내열성이 나빠지며, 200중량부 초과 사용하면 접착력이 떨어진다.
성분 C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같이 1분자내에 2개 이상의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한 화합물로서, 그 사용량은 성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중량부 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열성 및 경화 후 탄성율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과다한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된다.
성분 D(방향족디아민계 화합물)의 경우에는 에폭시수지와 비스말레이미드수지 함량에 대하여 적합한 양이 들어가야 되는데, 대략 성분 B와 성분 C의 총 사용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하며, 부족하거나 과다한 경우는 내용제성, 내열성, 전기저항 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전기적 특성과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경화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화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성분 E(에폭시기를 지닌 실리콘수지)의 경우에는 실리콘성분 등이 접착제내에서 화학결합을 시켜줌으로써 접착제의 내열성, 내흡수성, 전기절연성이 향상되어 접착테이프의 내구성, 신뢰성을 부여하는데, 그 사용량은 성분 B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범위에서 첨가한다. 이때 0.1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하는 경우 내열성 등의 성능향상이 미미하며, 20중량부 초과 첨가하는 경우 접착력이 저하된다.
그리고, 성분 F(무기 또는 유기성분의 입자)의 경우에는 성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좋은데, 1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과다하여 작업성과 탄성율이 저하되고, 50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떨어진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무기충전제로는 산화아연,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리콘 분말 등이 있으며, 유기 충전제로는 분말상의 아크릴수지, 폴리아마이드수지 또는 실리콘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성으로 준비된 접착조성물은 점도가 100~2000cps(보다 좋기로는 300~1000cps)가 되도록 용제에 용해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 조성물을 내열성 필름 위에 건조후의 두께가 10~50㎛이 되도록 도포하고 80~120℃에서 1~20분 동안 건조한 후 박리성 필름을 붙이고 80~120℃에서 5~30분 동안 반경화시키는 일반적인 접착테이프 제조공정을 거쳐 원하는 내열성 접착테이프를 얻는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내열성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대략 10~200㎛(보다 바람직하게는 25~150㎛)가 적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박리성 필름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불소수지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종이 및 경우에 따라 이들에 실리콘 수지로 박리성을 부여한 필름 등이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아크릴로니트릴 32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63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5중량%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공중합시켜 얻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000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비스페놀A계 에폭시(에폭시 당량 400) 100중량부, 크레졸노볼락에폭시(에폭시 당량 200) 50중량부, N,N'-(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25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25중량부, 에폭시기를 가진 액상 실리콘수지 2중량부, 평균입자크기가 2.0㎛인 산화아연 6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 용제를 이용하여 용액의 점도를 800~1000cps로 맞추었다.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께가 50㎛인 폴리이미드 필름(상품명 : KAPTON, DUPONT社 제조)위에 건조후의 두께가 20㎛이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5분 동안 건조한 후, 두께가 38㎛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65중량% 및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5중량%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공중합시켜 얻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200,000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비스페놀A계 에폭시 200중량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100중량부, N,N'-(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50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50중량부, 에폭시기를 가진 액상 실리콘수지 2중량부, 평균입자크기가 2.0㎛인 산화아연 6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 용제를 이용하여 용액의 점도를 800~1000cps로 맞춘다음,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크릴로니트릴 40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52중량%,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중량% 및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5중량%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공중합시켜 얻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00,000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비스페놀A계 에폭시 200중량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100중량부, N,N'-(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50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50중량부, 에폭시기를 가진 액상 실리콘수지 2중량부, 평균입자크기가 2.0㎛인 산화아연 6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 용제를 이용하여 용액의 점도를 800~1000cps로 맞춘다음,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65중량%, 메타아크릴산 5중량%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공중합시켜 얻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200,000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비스페놀A계 에폭시 300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50중량부, 에폭시기를 가진 액상 실리콘수지 2중량부, 평균입자크기가 2.0㎛인 산화아연 6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 용제를 이용하여 용액의 점도를 800~1000cps로 맞춘다음,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60중량%, 메타아크릴산 5중량%로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공중합시켜 얻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200,000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비스페놀A계 에폭시 200중량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100중량부, N,N'-(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50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50중량부, 평균입자크기가 2.0㎛인 산화아연 6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 용제를 이용하여 용액의 점도를 800~1000cps로 맞춘다음,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로니트릴 40중량%와 부틸아크릴레이트 60중량%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공중합시켜 얻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000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비스페놀A계 에폭시 50중량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200중량부, N,N'-(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50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50중량부, 에폭시기를 가진 액상 실리콘수지 2중량부, 평균입자크기가 2.0㎛인 산화아연 6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 용제를 이용하여 용액의 점도를 800~1000cps로 맞춘다음,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접착테이프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물성은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접착력
150℃로 유지되고 있는 열판 위에 동박을 얹어 놓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TAPE을 5㎏/㎠의 압력으로 0.5초간 압착한 후, 175℃ 열풍오븐에서 1시간동안 경화시킨 후 인장강도시험기를 이용하여 T-PEEL 강도를 측정하였다.
열분해온도
DUPONT V4. 1C 2200 모델 TGA 이용 측정하여 질량이 5% 감소한 온도를 열분해 온도로 하였다.
아웃가스
건조기에서 170℃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한 뒤 무게변화를 측정하였다.
흡습율
23℃ 물에 24시간 동안 담근 후 무게변화를 측정하였다.
탄성률
170℃에서 5시간 동안 경과한 후 인장강도시험기를 이용하여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평가항목 접착력 열분해온도 아웃가스 흡습율 탄성률
단위 (g/cm) (℃) (%) (%) (㎏/㎟)
실시예 1 760 370 0.6 1.5 4,120
실시예 2 740 395 0.6 1.5 4,570
실시예 3 920 395 0.7 1.7 4,990
비교예 1 730 340 1.1 1.6 3,650
비교예 2 810 390 0.6 2.5 4,360
비교예 3 250 395 0.6 1.7 4,86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분석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접착력, 내열성, 내흡습성 등의 전반적인 물성이 골고루 우수한 반면에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아웃가스의 발생이 많고 내열성, 탄성율이 낮은 단점을 지니고,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내흡습성이 특히 나쁘며, 비교예 3의 경우는 특히 접착력이 나쁜 단점을 지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테이프는 접착력, 내열성, 내흡습성 등의 전반적 물성이 고루 우수하여 반도체 장치와 같이 신뢰성을 요구하는 전자제품들의 부품용 접착테이프로 매우 유용하다.

Claims (5)

  1. (A) 카르복실기, 알콜기, 술폰기, 글리시딜기 및 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관능기를 지니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2,000,000 범위인 아크릴수지 100중량부;
    (B)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20~500중량부 및 크레졸노볼락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노볼락에폭시 수지 10~200중량부;
    (C) 1 분자 내에 2 이상의 말레이미드기를 지닌 말레이미드 화합물 10~200중량부;
    (D) 방향족디아민계 화합물;
    (E) 에폭시기를 지닌 액상실리콘 수지;
    를 함유하는 접착조성물이 내열성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10~60중량%, 탄소수가 2~12개의 알킬기를 지닌 알킬아크릴레이트 20~80중량% 및 카르복실기, 알콜기, 술폰기, 글리시딜기, 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관능기와 이중결합을 지닌 단량체 0.1~20중량%를 공중합시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는 하기화학식(Ⅰ) 또는 화학식(Ⅱ)로 나타내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화학식 1]
    [화학식 2]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D는 성분B와 성분C의 총사용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E는 성분 B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KR1020000020987A 2000-04-20 2000-04-20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KR100607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987A KR100607372B1 (ko) 2000-04-20 2000-04-20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TW089116792A TW562846B (en) 2000-04-20 2000-08-18 Adhesive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987A KR100607372B1 (ko) 2000-04-20 2000-04-20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156A true KR20010097156A (ko) 2001-11-08
KR100607372B1 KR100607372B1 (ko) 2006-08-02

Family

ID=1966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987A KR100607372B1 (ko) 2000-04-20 2000-04-20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7372B1 (ko)
TW (1) TW562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409B1 (ko) 2019-07-01 2023-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424A (ja) * 1989-09-18 1991-04-30 Fujitsu Ltd マレイミド樹脂組成物
JPH03119052A (ja) * 1989-10-02 1991-05-21 Toray Ind Inc エポキシ系樹脂組成物
JPH07173449A (ja) * 1993-12-17 1995-07-11 Hitachi Chem Co Ltd 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
US5863988A (en) * 1995-12-25 1999-01-26 Tomoegawa Paper Co., Ltd. Liquid adhesive for electronic parts and adhesive tape
KR100524858B1 (ko) * 1999-01-22 2005-10-2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제조방법
KR100302212B1 (ko) * 1999-01-22 2001-09-22 한형수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372B1 (ko) 2006-08-02
TW562846B (en)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175B1 (ko) 열전도성 감압 접착제 및 이를 함유하는 접착 시트류
KR100287238B1 (ko) 전자 부품용 접착 테이프 및 액상 접착제
KR20000011479A (ko) 접착제조성물및접착시이트
US6312801B1 (en) Adhesive tape for electronic parts
KR102470719B1 (ko)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시트
JP4994743B2 (ja) フィルム状接着剤及びそれを使用する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2007059787A (ja) 半導体用接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5307037A (ja) フィルム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
EP1026217B1 (en) Method of producing adhesive tape for electronic parts
JPH11181368A (ja) 熱伝導性感圧接着シ―ト類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と放熱部材との固定方法
KR20130045187A (ko) 열전도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접착용 시트 및 열전도성 다이싱·다이 어태치 필름
JP2007284670A (ja) 接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KR100302212B1 (ko)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US20120114934A1 (en) Bonding sheet
TWI758489B (zh) 樹脂組成物及樹脂薄片
KR100607372B1 (ko)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JP2010258086A (ja) 半導体用接着シート及びダイシング一体型半導体用接着シート
JP5481828B2 (ja) 接着剤組成物、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接着剤層付半導体ウェハ、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530519B1 (ko)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JP2002121520A (ja) 電子部品接着テープ
KR100524858B1 (ko) 전자부품용 접착테이프 제조방법
JP3083814B1 (ja) 電子部品接着テープ
KR100625054B1 (ko) 내열성 접착테이프
JP2017137453A (ja) 接着フィルム
KR19980068296A (ko) 전자부품용 내열성 접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