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932A - 포장 봉투 - Google Patents

포장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932A
KR20010096932A KR1020000020626A KR20000020626A KR20010096932A KR 20010096932 A KR20010096932 A KR 20010096932A KR 1020000020626 A KR1020000020626 A KR 1020000020626A KR 20000020626 A KR20000020626 A KR 20000020626A KR 20010096932 A KR20010096932 A KR 20010096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ating
packaging bag
coating material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이치노미야
마사노리 이치노미야
Original Assignee
마사루 이치노미야
니혼 테크니컬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장진영
주식회사 코리아테크니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루 이치노미야, 니혼 테크니컬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장진영, 주식회사 코리아테크니칼시스템 filed Critical 마사루 이치노미야
Priority to KR102000002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6932A/ko
Publication of KR2001009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9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2Emulsions, e.g. oil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포장 봉투의 수납물을 자외선 등 유해 광선으로부터 보호하고, 퇴색, 열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아울러 필름 소재에 인쇄된 문자나 무늬 등의 인쇄를 보호한다.
공중합체계 합성 에멀젼에, 파장 280∼400nm의 자외선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는 광선 흡수제 등을 가하여 안전 무해하게 점도 1∼50 푸아즈의 수성 코팅재를 형성하고, 상기 수성 코팅재를 봉투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봉투 자체의 바깥 표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거나, 또는 포장용 필름 소재의 단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코팅 피막 부착의 포장용 필름 소재를, 상기 코팅 피막이 바깥 표면에 위치하도록 봉투형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포장 봉투 {PACKAGE ENVELOPE}
본 발명은 종이, 비닐, 셀로판, 폴리에틸렌 등 플라스틱 필름 소재를 봉투형으로 형성하여 식품, 의약품, 의료(衣料)품, 각종 부품 등, 다양한 물품을 포장하고, 수납하기 위한 포장 봉투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바깥 표면에 수성 무해의 광선 흡수제 조성물을 최적 상태에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봉투에 관한 것이다.
비닐, 셀로판, 폴리에틸렌 등 플라스틱 소재를 봉투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봉투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식품, 의약품, 의료품, 각종 부품 등,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고, 보존, 전시, 판매되고 있다.
이들 포장 봉투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수납한 물품을 개시하기 위해 투명 필름으로 형성된 것이 많다. 또, 그 내용물의 표시를 위해, 그 표면에 무늬나 문자를 인쇄하는 것도 있다.
이들 종래부터의 포장 봉투에 있어서는, 그 내용물을 공기, 습도 등의 환경으로부터는 보호하고 있지만, 광선, 특히 자외선에 대해서는 무방비였다. 또, 포장지에 인쇄되어 있는 무늬나 문자에 대해서는, 상기 공기, 습도에 관해서도 완전히 무방비였다.
한편, 최근 오존층의 파괴에 의해 증가의 경향에 있는 자외선은, 포장 봉투를 통하여 그 내부에 수납한 물품에 대해서도 조사(照射)되고 있고, 포장 봉투의 인쇄 및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퇴색, 열화시키고, 그 품질을 열화시키고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식품의 경우, 고기에 파장 380nm 이하의 자외선을 부여하면, 색이 거무스름해지고, 품질이 열화된다. 빵에 쏘이면, 변색, 열화된다. 제과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 의약품은 화학품이므로 당연히 화학 변화의 영향이 나온다. 또한, 의료 관계에서는, 직접적으로 퇴색, 열화의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환경 위생상의 문제가 없고, 효율적인 가공이 가능한 상태에서, 포장 봉투에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을 최적 상태에서 행함으로써, 포장 봉투에 인쇄한 무늬나 문자를 비롯하여, 그 내부에 수납한 물품을 자외선 등 유해 광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광선 흡수제가 자외선 흡수제만인 경우의 본 발명 코팅재의 파장 300∼450nm에 대한 투과율의 광학 특성도.
도 2는 도 1과 동일한 경우의 본 발명 코팅재의 파장 100∼3200nm에 대한 투과율의 광학 특성도.
도 3은 착색료(그레이)를 가한 경우의 파장 350∼800nm에 대한 투과율의 광학 특성도.
도 4는 착색료(블루)를 가한 경우의 파장 350∼800nm에 대한 투과율의 광학 특성도.
도 5는 착색료(브라운)를 가한 경우의 파장 350∼800nm에 대한 투과율의 광학 특성도.
도 6은 착색료(그린)를 가한 경우의 파장 350∼800nm에 대한 투과율의 광학 특성도.
도 7은 인쇄 라인의 후단에 코팅 롤러를 설치하여 나타낸 코팅 장치의 측면 모식도.
도 8은 인쇄된 필름 소재 상에 코팅 피막을 행하여 나타낸 코팅 상황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광선 흡수제 조성물의 코팅 피막을 행한 포장 봉투의 단면도.
도 10은 포장 봉투의 일부에 광선 흡수제 조성물의 코팅 피막을 행한 것을 나타낸 심볼 마크의 평면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인쇄 라인, 2: 인쇄 롤러, 3: 코팅 롤러, 4: 습윤재, 5: 습윤 롤러, 6: 필름 소재, 7: 코팅 바, 8: 코팅 피막, 9: 코팅 대상물, 10: 포장 봉투, 11: 지퍼, 12: 수납물, d: 피막 두께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포장 봉투는, 콜로이드 영역의 무기질 미립자의 공존 하에 모노머 성분을 에멀젼 중합함으로써 얻은 아크릴 중합체계 합성 에멀젼에, 파장 280∼400nm의 자외선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는 광선 흡수제와, 충전제, 계면활성제, 적정 착색제, 증점제 등 다른 배합제를 가하여 점도 1∼50 푸아즈의 수성 코팅재를 형성하고, 이 수성 코팅재를 봉투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봉투 본체의 바깥 표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거나, 또는 포장용 필름 소재의 단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코팅 피막 부착의 포장용 필름 소재를, 상기 코팅 피막이 바깥 표면에 위치하도록 봉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 봉투는, 포장 봉투의 바깥 표면에, 안전 무해하게, 점도 1∼50 푸아즈의 수성 코팅재를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므로, 코팅을 안전, 용이, 신속하고,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 코팅 피막은 포장 봉투의 바깥 표면에 위치하므로, 코팅재가 수납 물품과 접촉하지 않고, 위생상 전혀 문제가 없다.
또한, 코팅재에는 파장 280∼400nm의 자외선을 유효하게 흡수하고, 열 변환하는 광선 흡수제가 혼입되어 있으므로, 필름 소재에 행한 인쇄, 및 수납 물품에는 거의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고, 자외선에 의한 퇴색, 열화가 생기지 않는다. 자외선은 포장 봉투의 표면에서 열 변환되므로, 그 만큼, 수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포장 봉투가 투명 병의 바깥 표면을 싸는 봉투인 경우, 제1항 코팅재를 필름 소재의 단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고, 인쇄를 원할 때는 그 표면에 문자를 거울 대칭 형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필름 소재를 상기 코팅재의 피막이 내측으로 되는 상태에서, 상기 병의 외주를 싸도록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로서는, 주제(主劑)는 아크릴계 합성 수지에 한정된다. 자외선 흡수제를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주제는, 기본적으로는 가시광선을 100% 통과시키는 것과, 표면에 흠을 내지 않기 위해서는 유리 정도의 강도를 필요로 하고, 또한, 주제 그 자체는 내(耐)자외선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멀젼, 아크릴 스틸렌 공중합체 에멀젼을 비롯한 아크릴 공중합체계 합성 수지 에멀젼이 사용되고, 이들 중에서 내후성(耐候性), 피막 강도, 코스트 등을 가미하여 선택 사용한다.
아크릴 공중합체계 합성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농도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통상은 10∼70w%의 범위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많다. 단, 특히 박막화를 도모할 때는, 또한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막(塗膜) 형식,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혼입하는 무기질 미립자로서는, 입경 0.1㎛ 이하의 콜로이드 영역의 입경의 무기질 미립자를 사용한다. 무기질 미립자의 예는, 각종 무기 산화물 또는 무기 복합 산화물(Si, Al, Ti, Zr, Ce, Mg, Ca, Fe, Sn, Zn, W, Sb, K, Na, P, B 등의 단독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 각종 무기염(규산염, 인산염, 알루민산염, 탄산염 등)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기질 미립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로서, 콜로이드 영역의 입경의 무기질 미립자의 공존 하에 모노머 성분을 에멀젼 중합하여 얻은 것을 사용한다. 그렇게 하여 얻은 무기질 미립자 함유 합성 수지 에멀젼을 사용하면, 소재에 대한 밀착성 확보, 투명성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에멀젼 중의 수지분 1중량부에 대한 무기질 미립자의 양은, 0.05∼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무기질 미립자의 비율이 너무 적을 때에는 대상물에 대한 밀착성, 투명성, 경도 등의 점에서 초기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너무 많을 때에는, 투명성 등의 점에서 오히려 불리해진다.
그리고, 무기질 미립자 함유 합성 수지 에멀젼에는, 중파장 내지 장파장(즉 280∼400nm)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킨다.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서는, 살리신산염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로니트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금속 착염계 등 또는 이들의 복합형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무기질 미립자를 함유한 에멀젼 100w%에 대하여, 1∼7w%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그 양이 너무 적을 때는 소기의 자외선 커트 효과를 얻지 못하고, 한편 그 양을 너무 많게 해도 자외선 흡수 효과는 일정 이상으로는 상승하지 않는 데에다, 피막이 연한 쥐색으로 착색될 우려가 있고, 또 코스트 면에서 불리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피막 두께를 5∼15㎛로 하는 관점으로부터, 막 두께 5㎛로 했을 때의 유효량으로서 정하는 것이 최적이다.
상기 각 성분을 가지는 피막 형성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증점제, 저온안정제, 증막(增膜) 조제, 현수 방지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착색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착색제를 함유시킬 때는,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유기계의 착색제(염료나 유기 안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배합된 에멀젼 수지는, 광택이 있고, 소요 경도(예를 들면 JIS 연필 경도 2H)를 갖게할 수 있고, 수지 그 자체의 자외선에 대한 열화가 적고, 또한 통과 광선 중의 자외선, 특히 파장 370nm 이하의 자외선을 대략 100% 흡수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를 혼입한 에멀젼 수지가 고화되면, 투명해지고, 통상 가시광선(400∼800nm)은 대략 90∼95% 통과시킨다. 한편, 자외선은, 두께 5㎛의 막에 대하여 순차 흡수되고, 5㎛의 위치에서 대략 100% 흡수되게 된다. 자외선 흡수제 혼입이라 하더라도, 코팅막 자체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고, 그 수지 자체 내자외선성이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광택, 경도, 강도가 있고 내자외선성을 가지는 아크릴계 수지를 선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배합된 에멀젼 수지는, 공업 시험소의 제품 안전 데이터 시트로서, 위험성, 감작성(感作性), 아급성(亞急性) 독성, 만성 독성, 암 원생, 변이 원생, 생식 독성, 최기형성(催奇形性)에 있어서, 알려진 바가 없다고 인정되고 있다.
상기 배합에 의한 코팅 피막의 두께 5㎛에서의 광학 특성을 도 1∼도 6에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착색료 제거의 것, 도 3∼도 6은, 그 배합에 착색료를 함유한 것의 예로, 도 3은 그레이, 도 4는 블루, 도 5는 브라운, 도 6은 그린의 예이다. 모두 횡축은 파장(nm)을, 종축은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것은, 파장을 300∼450nm의 범위에서, 도 2의 것은, 파장을 100∼3200nm의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3∼6의 것은, 모두 파장 300∼800nm의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배합의 에멀젼 수지(착색료 없음)를 코팅하면, 370nm 이하의 자외선은 대략 100% 흡수되고, 370∼400nm의 자외선은 100%에서 10%에 걸쳐 점차 흡수 정도를 낮추고, 400nm로부터 800nm의 가시광선은5% 정도로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 5%는 반사되고 있다. 즉 가시광선에 대해서는, 거의 투명하다.
상기 광학 특성은, 자외선을 충분히 커트하고, 가시광선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상태이므로, 인쇄물, 특히 컬러 인쇄물에 대해서는 최적의 특성이다. 즉, 그 코팅에 의해 인쇄물의 컬러에 대해서는 특별히 영향을 주지 않고, 퇴색, 열화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충분히 커트할 수 있다. 또, 투명재에 대해서는, 가시적으로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수납물을 그대로 투과시켜 보일 수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낸 착색료 혼입한 것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자외선 흡수제에 착색료(그레이, 블루, 브라운, 그린)를 추가한 것이므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자외선 커트 효율을 그대로 유지한 후에, 포장 봉투에 색을 입힐 수 있다. 상기 색 입힘은 단지 돋보이는 효과에 그치지 않고, 가시광선에 대한 감광 작용으로부터, 그에 따른 가시광에 의한 퇴색, 열화를 저감시키는 효과도 부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 나타낸 그레이 배합에서는, 가시광 전체를 30∼35% 커트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블루 배합에서는, 청색(400∼500nm) 부분에서 10% 정도, 남은 부분을 40% 정도 감광하고 있다. 도 5의 브라운 배합에서는 400∼600nm에서 20%, 남은 부분에서 10∼15% 감광하고 있다. 도 6의 그린 배합에서는, 녹색(500∼600nm) 부분에서 20%, 남은 부분에서 25∼30% 정도 감광하고 있다. 이들 착색료 혼입의 것은, 착색료의 혼합 또는 각종 착색료 혼입의 코팅재를 겹쳐 바름으로써, 감법(減法) 혼색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이들 착색료 혼입의 코팅재는 대상물인 포장 봉투의 용도에 따라, 또는 포장 봉투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에, 포장 봉투 또는 필름 소재에 대한 광선 흡수 조성물의 코팅 방식에 대해 나타낸다. 코팅은, 바 코터 방식에 의한다. 코팅 방식은 대상물의 상황에 따라 약간 상이하다. 대상물은, ①무지 포장 봉투, ②무지 필름 소재, ③인쇄 포장 봉투, ④인쇄 필름 소재의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도 7에, 인쇄 포장 봉투③ 및 인쇄 필름④에 사용할 수 있는 코팅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라인(1) 상의 인쇄 롤러(2)의 후단에 코팅 롤러(3)를 설치한다. 일반적으로는, 인쇄 롤러(2)와 코팅 롤러(3)는 동기시켜 등속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코팅 롤러(3)의 표면에는, 습윤재(4)가 감싸져 있다. 이 습윤재(4)는, 코팅 롤러(3)와 병설되는 습윤 롤러(5)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습윤 롤러(5)는 예를 들면 연속 발포의 스폰지재로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액체 공급 장치로부터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의 적정 희석액(점도1∼50 푸아즈)을 받아들여, 상시 습윤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코팅 롤러(3)의 표면에 위치하는 습윤재(4)는, 유연한 수지로 구성되어, 상기 액으로 균일하게 도포되고, 그 표면에 두께 20∼30㎛의 액막을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코팅 롤러(3)를 인쇄 롤러(2)와 동기하여 회전시켜, 그 아래쪽에 대상물(포장 봉투(6A), 또는 필름 소재(6B))을 도면 좌우에 통과시킴으로써, 롤러(3) 표면에 부착한 액을 대상물(6)의 표면에 균일하게 전사(轉寫)할 수 있다.
단, 코팅 롤러(3)에 의한 전사에서는, 피막 두께에 불균일이 생기므로, 그 후단에 직경 1.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15번의 와이어를 빈틈없이 휘감은 직경 10mm 정도의 바(7)를 설치한다. 이 바(7)를 대상물(6)에 대하여 일정 압력으로 누르고, 대상물(6)을 통과시켜, 대상물(6) 상에 도포된 코팅재를 긁어 떨어트리고, 피막 두께를 5∼15㎛의 범위, 예를 들면 7∼8㎛로 일정하게 한다. 그 후, 대상물(6)은, 수십초간 무풍 상태에서 건조되고, 그 후, 송풍 하에서 급속 건조된다.
이상에 의해, 전단에서 인쇄된 대상물(포장 봉투 또는 필름 소재)에 두께 7∼8㎛의 코팅 피막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대로, 이 코팅 피막에는, 두께 5㎛로 자외선을 충분히 커트할 수 있을 만큼의 양의 자외선 흡수재를 포함시키고 있으므로, 유해 자외선은 충분히 커트된다.
도 8에, 무늬나 문자를 인쇄한 대상물(6)에 두께 d의 코팅 피막(8)을 행한 경우의 모식도를 나타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소재(6)의 표면에 위치하는 인쇄 잉크(9)의 외측에 코팅 피막(8)이 위치한다. 인쇄의 바깥 표면에 본 발명의 수성 코팅재 피막을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수성 코팅재는, 필름에 대하여, 끝까지 밀착되어 있을 뿐이어서 강한 마찰력으로 박리될 가능성은 남기 때문이다.
대상물이, 필름 소재(6B)인 경우에는, 인쇄 후, 코팅 피막(8)이 바깥 표면에위치하도록 봉투형으로 형성된다. 대상물이 이미 포장 봉투(6A)로 완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코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 봉투의 표리의 코팅을 행하게 된다. 어떻게 하더라도, 광선 흡수제 조성물의 코팅은, 인쇄의 후공정으로 한다.
한편, 인쇄가 행해지지 않는 무지의 대상물(포장 봉투 또는 필름 소재)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낸 인쇄 라인(1)과는 별도로, 인쇄 롤러(2)가 없는 코팅 장치를 구성하고, 코팅만을 행하면 된다.
도 9는, 이상과 같이하여 얻어진 코팅 피막 부착의 포장 봉투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소재(6)에는, 적정 인쇄(9)가 행해져 있고, 그 바깥 표면에 두께 d(7∼8㎛)의 광선 흡수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 피막(8)이 행해져 있고, 지퍼(11)로 닫힌 내부에는 수납물(12)이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자외선을 포함한 유해 광선은 피막(8)에서 흡수되고, 인쇄(9), 수납물(12)은 유해 광선으로부터 보호된다. 또, 피막(8)과 수납물(12)이 접촉하지 않고, 수납물을 피막(8)에서 오염될 우려가 없다. 단, 본래, 상기 배합의 광선 흡수제는,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제품 안전 데이터로 보장된 것이다. 안전에 안전을 거듭하기 위한 배려이다.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수성 코팅재는, 에멀젼이며, 강도는 필름보다 강하고, 밀착력은 접착력에는 미치지 않는 점이다. 즉, 마찰력이나 긁기(scratch)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박리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본 발명에서는 코팅 피막을 외부 표면에 위치시키므로 부분적인 박리가 생기더라도, 내용물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포장 봉투(10)에 행해진 코팅 피막(8)의 색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배합에 있어서는, 무색 투명으로, 통상의 투명 필름과 전혀 변화되는 곳이 없다. 따라서, 코팅했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판별할 수 없다.
광선 흡수제 조성물의 코팅 피막을 행했는지의 여부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투 본체의 일부를 예를 들면 「UVC」의 문자 등에 의한 식별 마크(13)를 형성해 놓으면 된다. 또, 연한 자색 등 광선 흡수제의 심볼 색을 정하고, 표면색으로 색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7에서 나타낸 코팅 가공 직후에 눈에 띄지 않을 정도의 심볼 마크를 전압(轉壓)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광선 흡수제 조성물의 코팅 피막의 유무를 식별 가능하게 하면, 소비자 측에서 포장 봉투의 광선 흡수 기능을 인식할 수 있고, 포장 봉투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도 6에서 나타낸 착색료를 함유하는 배합의 것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문자 인식으로 하는 경우, 투명재를 「UVC」로 하고, 착색재로는, 그 색에 따라 「UVC-GR」, 「UVC-B」, 「UVC-BR」, 「UVC-G」 등으로 하면 된다.
이상, 일반적인 포장 봉투에 대해 나타냈으나,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소재에 광선 흡수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이를 술, 약, 음료수 등 내용물을 수납하는 병의 바깥 표면에 첩부(貼付), 휘감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20미크론 정도의 코팅막을 병에 첩부, 휘감으면, 반사율이 낮고, 온도계에서의 모든 광선 투과율(100%)이 높은 관계로, 통합적으로 광선 투과율이 1% 높아지고, 내용물을 보다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코팅재는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나노미터급의 미세 기포를 다수 가지고, 그 관계로 보온성도 높고, 내용물을 안정된 온도에서 보존할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비교적 취약한 피막을 보호하는 의미에서, 인쇄 문자를 이(裏) 문자로 놓아, 코팅 피막을 병측에 위치시키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는, 코팅 피막을 행한 후에 인쇄하면, 인쇄 문자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병에 대해서는 코팅재가 필름 소재의 내측에 오도록 하면, 비교적 강도가 약한 코팅재를 필름 소재로 보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나 수납물을 자외선 등 유해 광선에 대하여 고품질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재 필름보다도 취약한 수성의 광선 흡수제 조성물을 수납물에 접촉시키지 않고 그 외측에, 병에 있어서는 용기 외측에, 코팅하도록 한 포장 봉투이므로, 위생상 전혀 문제가 없고, 수납물을 자외선 등 유해 광선으로부터 보호하고, 퇴색,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코팅재는 수성이므로, 코팅 작업을 안전,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소재에 문자나 도형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 그 외측에 광선 흡수제 조성물이 위치하도록 코팅할 수 있으므로, 인쇄 부분의 퇴색,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콜로이드 영역의 무기질 미립자의 공존 하에 모노머 성분을 에멀젼 중합함으로써 얻은 아크릴 공중합체계 합성 에멀젼에, 파장 280∼400nm의 자외선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는 광선 흡수제와, 충전제, 계면활성제, 적정 착색료, 증점제(增粘劑) 등 다른 배합제를 가하여 점도 1∼50 푸아즈의 수성 코팅재를 형성하고,
    상기 수성 코팅재를 포장용 필름 소재를 봉투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봉투 본체의 바깥 표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봉투.
  2. 콜로이드 영역의 무기질 미립자의 공존 하에 모노머 성분을 에멀젼 중합함으로써 얻은 아크릴 공중합체계 합성 에멀젼에, 파장 280∼400nm의 자외선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는 광선 흡수제와, 충전제, 계면활성제, 적정 착색료, 증점제 등 다른 배합제를 가하여 점도 1∼50 푸아즈의 수성 코팅재를 형성하고,
    상기 수성 코팅재를 포장용 필름 소재의 단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코팅 피막 부착의 포장용 필름 소재를, 상기 코팅 피막이 바깥 표면에 위치하도록 봉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봉투.
  3. 포장 봉투가 투명 병의 바깥 표면을 싸는 봉투인 경우, 제1항 코팅재를 필름소재의 단면에, 피막 두께 5∼15㎛로 코팅하고, 인쇄를 원할 때는 그 표면에 문자를 거울 대칭 형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필름 소재를 상기 코팅재의 피막이 내측으로 되는 상태에서, 상기 병의 외주를 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봉투.
KR1020000020626A 2000-04-19 2000-04-19 포장 봉투 KR20010096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626A KR20010096932A (ko) 2000-04-19 2000-04-19 포장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626A KR20010096932A (ko) 2000-04-19 2000-04-19 포장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932A true KR20010096932A (ko) 2001-11-08

Family

ID=1966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626A KR20010096932A (ko) 2000-04-19 2000-04-19 포장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265B1 (ko) * 2006-04-13 2012-04-02 유겐가이샤 미토 사이엔 포장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265B1 (ko) * 2006-04-13 2012-04-02 유겐가이샤 미토 사이엔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9110B1 (en) Container with three-dimensional designs
US20220402239A1 (en) Thermal transfer of active ink with dynamic environmental data
ES2311747T3 (es) Procedimiento de marcado con laser.
MXPA98000473A (en) Recipient with three-dimensional designs
JP6105083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ラベル付き中空成型容器、粘着フィルム及びラベル
US7846501B2 (en) Method of making opaque printed substrate
US20130101809A1 (en) Sequentially Primed Printed Substrate
BG64502B1 (bg) Пластмасова щайга за многократна употреба с етикет и метод за нанасяне на етикета
ES2260081T3 (es) Tintas y revestimientos para imprimir en superficies para su empleo en envases de papel o de pelicula flexible.
JP2022548303A (ja) 可視化可能な基材、当該基質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EP1922214B1 (en) Opaque printed substrate
JPH10505800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シート
US7265077B1 (en) Latent image developing systems and devices
KR20010096932A (ko) 포장 봉투
JP2003011491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シート
EP1254447B1 (en) Label material
JP7408443B2 (ja) ラベル
US20230401981A1 (en) Scratch pad and ink
JP2024519798A (ja) リサイクル可能な容器用のリサイクル可能な熱収縮フィルム
CA2644723C (en) Balloons
JP2005074699A (ja) 隠蔽性能に優れた情報隠蔽シート
JP2003010298A (ja) 脱塩素臭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脱塩素臭用プラスチックラベル
JPH0412846A (ja) 印刷された成形品
JPH04151559A (ja) 酸素インジケーターシート
AU4753899A (en) Container with three-dimensional desig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