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424A -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 복합소재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 Google Patents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 복합소재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24A
KR20010096424A KR1020000030747A KR20000030747A KR20010096424A KR 20010096424 A KR20010096424 A KR 20010096424A KR 1020000030747 A KR1020000030747 A KR 1020000030747A KR 20000030747 A KR20000030747 A KR 20000030747A KR 20010096424 A KR20010096424 A KR 20010096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lab
concrete
pan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598B1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filed Critical 이성우
Publication of KR2001009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7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permanent forms made of particular materials, e.g. layered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 지하, 해상,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 있어서, 구조물의 평면 또는 곡면형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라이닝 가설시 비계 또는 동바리와 거푸집을 사용하는 종래의 공법을 대체할 수 있도록, 복합소재로 제작된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한 새로운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의 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파트, 콘크리트 골조건물, 철골 건물, 철골 철근콘크리트건물, 콘크리트 교량, 강재 교량, 지하철 구조물, 지하차도 구조물, 암거, 복개구조물, 수처리 구조물, 잔교식 항만구조물, 공동구, 터널 등 지상, 지하, 해상 및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건축 또는 토목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가설하는 공법으로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슬래브 또는 라이닝 가설시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고 분배하는 복합소재판과, 상기 복합소재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합소재판을 지지하므로써 상기 복합소재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위를 제어하는 보강보로 구성된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가설하고자 하는 구간의 구조물 지지부 사이에 거치하고; 구조물 지지부 사이에 거치된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의하면, 종래의 가설공법에서 사용되었던 비계 또는 동바리와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공사를 신속하게 진행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사비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게 되며, 비계 또는 동바리가 필요 없으므로 비계붕괴 등으로 인한 시공중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 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슬래브 또는 라이닝의 하단에 영구히 설치해둠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이 증가되며,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방수, 단열, 방음효과도 증진된다.

Description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Slab and Lining of Structures with Composite Space Panel}
본 발명은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의 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상, 지하, 해상 및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 있어서, 구조물의 평면 또는 곡면형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라이닝 가설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 사용되어 오던 비계 또는 동바리와 거푸집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적층판 또는 샌드위치판으로 제작된 복합소재판과 보강보로 구성된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가설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 있어서, 구조물의 슬래브 콘크리트 또는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서, 비계와 거푸집을 이용하는 가설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파트, 콘크리트 골조 건물, 콘크리트 교량, 지하철 구조물, 지하차도 구조물, 암거, 복개구조물, 수처리 구조물, 잔교식 항만구조물, 공동구, 터널 등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나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여전히 비계를 이용한 가설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는, 타설하고자 하는 슬래브나 라이닝의 하부에 비계 또는 동바리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나 라이닝을 시공한다.
건물의 경우, 이러한 비계를 이용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비계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부층이 이미 완성되어 있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콘크리트 골조 건물에서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 하부층의 시공이 완료되어야만, 하부층 위에 비계를 설치하여 상부층의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는, 시공이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전체적인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그에 따라 공사비가 매우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비계를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들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었다.
교량의 경우에도, 슬래브 가설시 비계 또는 동바리를 사용하므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었다.
최근에는 철골건물이나 강교의 슬래브를 시공할 때, 비계 또는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강재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공법이 시행되기도 한다.그러나, 철골건물이나 강교의 슬래브 가설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강재 데크플레이트는 강재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국적으로는 부식 발생으로 인하여 미관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를 강재 데크플레이트로 가리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품질관리를 위한 공극을 적시에 발견할 수 없으며, 구조물의 사용 중에 슬래브 콘크리트의 균열 등 내부결함이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전혀 조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건물에 강재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화재에 대비하여 강재 데크플레이트에 추가적인 내화처리를 해주어야 하므로, 그에 따라 시공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강재 데크플레이트는 요철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요철부를 채우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콘크리트를 더 타설해야 하므로 공사에 소요되는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되고, 요철부로 인하여 현장 가설시 운반 및 설치가 용이치 않아 설치비와 설치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재 데크플레이트의 상부 곡면의 요철로 인하여, 상부면 작업시에 이동통로로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고층건물에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데크플레이트의 요철부만큼 층고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가설공법의 문제점 및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공법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하, 지상, 해상 및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서 평면 및 곡면형상의 콘크리트 슬래브나 라이닝 가설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 사용되었던 비계와 거푸집을 전혀 사용하지 않도록 하므로써, 공사를 신속하게 진행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사비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을 간편하게 하며,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 콘크리트 골조건물, 철골 건물, 철골 철근콘크리트건물, 콘크리트 교량, 강재 교량, 지하철 구조물, 지하차도 구조물, 암거, 복개구조물, 수처리 구조물, 잔교식 항만구조물, 공동구, 터널 등 지상, 지하, 해상 및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건축 또는 토목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가설하는 공법으로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슬래브 또는 라이닝 가설시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고 분배하는 복합소재판과, 상기 복합소재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합소재판을 지지하므로써 상기 복합소재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위를 제어하는 보강보로 구성된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가설하고자 하는 구간의 구조물 지지부 사이에 거치하고; 구조물 지지부 사이에 거치된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은, 보강보가 복합소재판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합소재판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는 보강보 연결재에 의하여, 상기 보강보가 상기 복합소재판의 배면에 분리 해체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 강도 이상으로 양생된 후에는, 보강보를 복합소재판으로부터 분리 해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복합소재판은 섬유강화 복합소재 적층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섬유강화 복합소재 적층판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의 적층판 사이에는 코아재료가 구비되어 있는 샌드위치 구조의 샌드위치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의 지지부(아파트 슬래브 시공의 경우나 박스형 구조물의 슬래브 시공의 경우는 슬래브와 연결되는 벽체, 콘크리트 골조 건물이나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 시공의 경우는 슬래브와 연결되는 보, 콘크리트 교량의 경우는 콘크리트 보 또는 거더, 잔교식 항만 구조물의 슬래브 시공의 경우는 상단의 파일)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상기 연결부재 위에 단순 거치하여 설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단부에 연결부재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상기 연결부재를 구조물의 지지부(철골 건물의 슬래브 시공의 경우는 슬래브와 연결되는 강재보, 강재 교량의 슬래브 시공의 경우에는 슬래브와 연결되는 강사자형 또는 강재보) 위에 단순 거치하여 설치한 후, 슬래브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골조 건물이나 철골 건물 또는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서는,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는 지지부의 필요한 위치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상기 연결부재에 거치하여 전체 평면에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일시에 설치한 후, 동일 평면 전체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서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단부의 필요한 위치에 연결부재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상기 연결부재를 구조물의 지지부 위에 단순 거치하여 동일 평면 전체에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일시에 설치한 후, 동일 평면 전체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일 평면 전체에 대하여 일시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에 앞서, 다수개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상호 연결하여 동일 평면 전체에 대해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거치하며,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상호간의 이음부 및,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과 지지부 사이의 연결부는 방수재료를 사용하여 방수처리하며; 슬래브가 끝나는 부분에는 측면막이를 설치한 후 동일 전체 평면내에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은, 터널의 라이닝을 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터널 양쪽의 하단 기초 위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터널 형상의 아치형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단부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시켜 라이닝 시공구간 전체에 대하여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거치시킨 후, 전체 라이닝 시공구간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은, 가설하고자 하는 슬래브 또는 라이닝의 형상에 따라 평면, 곡면 또는 평면과 곡면의 조합된 형상을 갖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일 실시예인 보강보 분리형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일 실시예인 보강보 일체형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복합소재판이 복합소재 적층판만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스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d는 복합소재판이 중앙의 코아재료와 상하면의 복합소재 적층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샌드위치 구조의 샌드위치판으로 구성된 스페이스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보강보 분리형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보강보의 결합 과정 및 결합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에 결합되는 보강보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에 결합되는 보강보 실시예로서 이종의 소재가 서로 합성된 합성형 보강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에 구비된 보강보가 H형 단면을 가진 경우의 보강보와 복합소재판의 결합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한 형상의 개략도로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패널과 구조물 측벽과의 연결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강재 지지부에 거치하기 위한 연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투명 복합소재판에 형성된 줄눈의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아파트 슬래브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상호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골조 및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에서의 슬래브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철골 건물에서의 슬래브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교량의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라멘교의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슬래브 교량의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강재 교량의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박스형 구조물의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잔교식 항만 구조물의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터널 라이닝의 시공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복합소재판 2 보강보
3 슬래브 콘크리트 4 보강보 연결재
5 연결부재 6 지지부
7 H형 보 8 줄눈
13 라이닝 콘크리트 22 복합소재 보강판
23 체결 볼트 24 체결 너트
25 필플라이가 제거된 후의 거친 표면층
26 부착개선층 28 앵커
31 수직부재 32 절곡부재
33 체결수단 34 크랭크부재
100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200 복합소재 적층판
201 코아재료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일 실시예로서, 평면 형상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a는 보강보 분리형 패널이며, 도 1b는 보강보 일체형 패널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은,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적층판 또는 샌드위치판으로 이루어진 복합소재판(1)과, 상기 복합소재판(1)의 배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복합소재판(1)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보강보(2)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소재판(1)은 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 및 작업하중을 지지하고 이를 분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복합소재판(1)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소재 적층판(200)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복합소재 적층판(200)을 두고 그 사이에 코아재료(201)를 구비한 샌드위치 구조의 샌드위치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소재판(1)의 복합소재 적층판(200)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과 같은 강화섬유와 수지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강화섬유를 적층 구조로 배열한 후 수지에 함침시키므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판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페놀 또는 에폭시 등이 사용된다.
복합소재판(1)을 샌드위치 구조의 샌드위치판으로 구성하는 경우, 샌드위치판의 코아재료(201)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아이소시아뉴레이트, PVC 등의 경질발포폼, 하니콤코아, 목재코아, 부직포코아 등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소재판(1)에 사용되는 복합소재는 투명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착색 처리하여 소정의 색깔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판(1)은 난연수지를 이용하거나 또는 난연제 등을 이용하여 내화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에 사용되는 복합소재에 있어서, 강화섬유의 방향은 0°, 90°, +45°, -45°등과 같이 배열될 수 있으며, 강화섬유의 방향 및 각 방향의 섬유량은 용도에 맞게 설계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강화섬유는 우븐직포(woven fabric), 스티치직포(stitched fabric), 섬유매트(chopped strand mat), 로빙사(roving)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스티치직포를 사용하여 투명한 복합소재판을 제조하는 경우, 투명도 향상을 위하여 유리섬유사를 직조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보강보(2)는 복합소재판(1)의 배면에 설치되어, 복합소재판(1)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보강보(2)는 복합소재판(1)의 배면을 지지하여, 하중에 의한 복합소재판(1)의 처짐이 소정 허용치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a에는 보강보(2)가 상기 복합소재판(1)과 분리될 수 있는 보강보 분리형 패널이 도시되어 있는데, 보강보(2)는, 보강보 연결재(4)에 의하여 복합소재판(1)에 분리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보강보 연결재(4)에 의하여 보강보(2)를 복합소재판(1)에 결합하는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보강보 연결재(4)는 보강보(2)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체결 볼트(23) 및 체결 너트(2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하여 복합소재판(1)의 배면에 분리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보강보(2) 및 보강보 연결재(4)는 강재 또는 복합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보(2) 및 보강보 연결재(4)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강재 또는 강재와 복합소재의 합성부재 또는 이종의 복합소재의 합성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보 연결재(4)의 설치 위치 및 보강보(2) 간의 간격 등은 패널(100)의 크기, 구조물의 슬래브 지지부 경간, 하중의 크기 등의 각각 시공조건, 하중조건, 변위조건 등을 고려하여 구조계산에 따라 적절히 선정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보(2)가 구형단면을 가진 튜브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보강보(2)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3a 내지 도 3i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H형 단면(도 3a), 이중 웨브를 가진 H형 단면(도 3b), T형 단면(도 3c), 앵글형 단면(도 3d), 채널형 단면(도 3e), 이중앵글형 단면(도 3f), 이중채널형 단면(도 3g), 삼각형 단면(도 3h) 또는 원형 단면(도 3i)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진 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한 단면형태를 조합한 형태도 가능하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이종의 소재가 서로 합성된 합성형 보강보(2)의 일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에 구비되는 보강보(2)는 단일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강재로 이루어진 강재보 또는 복합소재보(19)에 복합소재 보강판(22)이 합성되는 형태, 또는 이종의 복합소재가 서로 합성되는 형태 등 다양한 합성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이종소재 합성형 보강보(2)의 복합소재 보강판(22)으로는, 탄소 섬유 등과 같은 고탄성 재료를 함유한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공수지이송공법 등의 방법에 의하여 패널에서 변위가 최대로 발생하는 구역에만 이종소재 합성단면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보강보(2)가 H형 단면을 가진 경우에 보강보 연결재(4)와 체결 볼트(23) 및 체결 너트(24)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보강보(2)가 복합소재판(1)에 결합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보강보 연결재(4)는 보강보(2)의 H형 단면 상부 플랜지를 견고하게 누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보 연결재(4)는 사용되는 보강보(2)에 맞추어 적절한 형상과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보(2)가 복합소재판(1)에 분리 결합이 자유로운 보강보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소재판(1)과 보강보(2)가 일체로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복합소재판(1)과 보강보(2)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복합소재판(1)과 보강보(2)를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 일체로 조립하여 패널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에 구비되는 복합소재판(1)이나 복합소재 보강보(2)로 사용되는 복합소재는, 진공수지이송(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수적층(Hand Lay-up),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RTM(Resin Transfer Molding), 인발성형(Pultrusion) 등의 복합소재 제조공법에 의하여 제작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이용하여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시공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 단계를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이용하여 1방향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을 위하여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과 구조물의 지지부(측벽)와의 연결상태에 대한 상세도이다.
구조물의 지지부(6)가 콘크리트 벽체 또는 보인 경우, 지지부(6) 사이에 콘크리트 슬래브(3)를 시공하기 위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지지부(6) 사이에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설치한다. 패널(100)의 양단부는 연결부재(5)에 의하여 지지부(6)에 각각 설치되는데, 지지부(6)를 시공할 때 연결부재(5)를 체결할 너트(27)를 미리 정치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부(6)를 시공한다. 도 6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너트(27)에 절곡된 앵글 형상의 연결부재(5)를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29)으로 체결하여, 연결부재(5)를 양쪽 지지부(6)에 고정 설치한다. 패널(100)의 복합소재판(1) 배면을 지지하고 있는 보강보(2)의 양단부를 상기 고정된 연결부재(5) 위에 거치하므로써 매우 간단하게 패널(100)을 지지부(6) 사이에 설치한다.
슬래브에 필요한 소정의 철근을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 위에서 직접 조립하거나 또는 미리 조립된 철근을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 위에 설치한다. 철근이 설치된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한다. 이때,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복합소재판(1)이 거푸집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종래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었던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타설된 슬래브 콘크리트(3)의 자중 및 작업하중을 지지할 만큼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복합소재판(1)의 배면이 보강보(2)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종래의 시공방법에서 요구되었던 비계 등과 같은 하부의 지지부재가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된다.
타설된 슬래브 콘크리트(3)가 양생된 후에는, 고정수단(29)을 해제하여 연결부재(5)를 지지부(6)로부터 분리시킨다. 보강보 분리형 패널을 사용한 경우, 연결부재(5)를 제거한 후, 보강보 연결재(4)를 해제하여 보강보(2)를 패널(100)로부터완전히 분리 해체한다. 보강보(2)가 분리되면, 슬래브의 하부면에는 복합소재판(1)이 영구히 부착되어 있게 존치시킬 수도 있고, 복합소재판도 콘크리트면에서 분리 해체할 수도 있다. 복합소재판을 슬래브에 존치해두면 영구 부착된 복합소재판(1)은 슬래브의 강성을 보강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분리한 보강보(2)는 후속 시공단계에서 이용되는 또다른 복합소재판(1)에 재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6)에 잔류하는 너트 구멍은 콘크리트나 수지 등과 같은 마감재료를 이용하여 그라우팅 처리하여 지지부(6)의 표면을 고르게 마무리한다.
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라이닝이 끝나는 부분에는 별도의 복합소재판이나 종래의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측면막이를 설치하여 시공한다.
도 7a 및 도 7b에는 구조물의 지지부가 강재보 또는 거더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강보 분리형 패널(100)의 보강보 단부에 수직부재(31)와 절곡부재(32)가 체결수단(33)에 의하여 미리 조립 설치되어 있는 패널(100)을, 거더 또는 강재보(7)에 단순 거치시킨다. 패널(100)을 거치시킨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100) 상부에 철근을 조립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콘크리트(3)를 시공한다.
슬래브 콘크리트(3)가 양생된 후에는, 체결수단(33)을 해제하여 절곡부재(32)를 제거하고 보강보(2)를 복합소재판(1)으로부터 분리 해체한다. 보강보(2)를 해체한 후에, 강재보 또는 거더에 잔류하는 수직부재(31)는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보강보 단부에 크랭크 형태로 절곡된 크랭크부재(34)가 미리 조립 설치되어 있는 패널을, H형 강재보(7)의 상부 플랜지에 단순 거치시킨다. 이 경우는, 보강보를 제거하지 아니하는 보강보 부착형 패널에 유리하다.
위에서 설명한 패널의 지지부에 대한 거치 방법 및 연결부재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은, 그 상부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소정 강도 이상이 되도록 양생된 후에, 패널(10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패널(100)을 콘크리트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구조물에 그대로 남겨둘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패널(100)에 의한 구조적인 보강효과가 더해져, 구조물의 안전성이 증가한다.
패널(100)을 콘크리트와 일체로 남겨두는 경우, 콘크리트와 패널(100) 상부면과의 양호한 부착을 위하여, 복합소재판(1)의 상면에 부착개선층(26)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8a). 상기 부착개선층(26)은, 예를 들면 복합소재판(1)의 상면에 폴리머 콘크리트, 에폭시 몰탈, 수지 등을 도포한 후 규사 등의 입자물질을 뿌리는 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착개선층(26)과 패널(100) 상부면과의 부착을 위해서, 패널(100)의 복합소재판(1) 제조시, 복합소재판(1)의 상면에 필플라이(peel ply)를 사용한 후 복합소재를 성형하고, 복합소재가 경화한 후에 필플라이를 제거하여 복합소재판(1)의 상면을 거친 상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패널(100)의 상부면에 앵커(28)를 설치할 수도 있다(도 8b). 상기 앵커(28)는 복합소재판(1)의 제작시 복합소재판(1)과 동일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별도의 강재를 부착하여 앵커(2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앵커(28)의 모양이나 설치 간격은 시공사정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된다.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패널(100)의 복합소재판(1)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9에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소재판(1)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내에 격자형 망 등을 이용하여 복합소재판(1)에 일정한 간격의 줄눈(8)을 미리 형성해두면, 패널(100)을 콘크리트와 일체로 남겨두었을 때, 시공시 및 시공 후 콘크리트의 품질을 육안으로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공용시 줄눈(8)을 이용하면 균열 발생시 균열의 크기, 방향 등을 쉽게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복합소재에 착색처리를 하여 원하는 색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두껍고, 경간이 긴 경우에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보강보에 미리 캠버를 주거나, 보강보를 단일종의 복합소재, 이종의 복합소재 또는 복합소재 합성형 보강보를 사용하므로써, 강성과 단면이차 모멘트를 증가시킨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종의 복합소재를 합성한 보강보 또는 강재와 복합소재를 합성한 보강보를 사용할 경우, 단면의 형상과 합성 단면의 구조 상세 및 합성 구조를 처리할 보강보 경간내의 구역 등을 구조계산에 맞추어 적절히 설계 제작하여 사용한다.
한편,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두껍고, 경간이 긴 경우에 대한 또다른 적용 방법으로는, 필요에 따라 보다 작은 단면의 보강보를 사용하는 대신 경간 내부에 가설 지지구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로는, 보강보가 복합소재판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보강보 일체형 패널과, 보강보를 복합소재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보강보 분리형 패널이 있는데, 고소 교량이나 연육교 등과 같이, 보강보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구조물에는 보강보 일체형 패널을 사용하여 보강보의 해체 작업 없이 패널을 슬래브 또는 라이닝 하단에 영구히 설치하도록 하므로써 보강 효과를 배가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보강보 분리형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보강보를 분리하게 되면, 슬래브 또는 라이닝 하면에는 복합소재판만이 부착되어 있게 되므로, 아파트나 고층건물을 비롯하여 모든 콘크리트 건물, 철골 건물,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 콘크리트 교량, 강재 교량, 지하철 구조물, 지하차도 구조물, 터널 등의 모든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서 요구되는 건축한계(clearance)를 만족시킬 수 있는 슬래브 또는 라이닝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가설하고자 하는 슬래브나 라이닝의 형태가 곡면 형상이거나 헌치부를 가지는 경우, 슬래브나 라이닝의 기하학적 형상에 맞는 보강보를 가진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방법을 대표적인 구조물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d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아파트 슬래브 시공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아파트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아파트 구조물의 입체 사시도이고, 도 10c는 도 10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d는 도 10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b에서 A로 표시된 층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층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층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하고 보강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층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층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층을 나타낸다.
아파트의 슬래브와 같이, 넓은 면적의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 동일 평면내에서 이미 시공된 지지부(벽체)(6)에 연결부재(5)를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평면내에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동일 평면 전체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평면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래브의 가설 면적이 큰 경우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을 서로 잇대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의 복합소재판(1)을 서로 겹쳐 놓고 볼트, 타이부재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양복합소재판(1)을 일체로 연결하여 패널(100)을 연결할 수도 있으며, 겹쳐진 복합소재판(1)을 강화섬유 등을 이용하여 재봉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복합소재판(1)이 샌드위치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요철조립부를 형성하여 양 복합소재판(1)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패널의 연결방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음부 및 지지부에 대해서는 실리콘과 같은 방수재료를 주입하여 방수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아파트 슬래브를 시공하게 되면, 도 10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파트 벽체를 계속하여 시공해 올라가면서 여러 층에서 동시에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벽체에 설치할 수 있어, 수개층의 슬래브를 병행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공사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d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골조 및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에서의 슬래브 시공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는 콘크리트 골조 및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평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구조물의 입체 사시도이고, 도 12c는 도 12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2d는 도 12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b에서 A로 표시된 층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층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층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하고 보강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층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층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층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아파트 슬래브 시공방법과 유사하게, 동일 평면내에서 이미 시공된 지지부(콘크리트보)(6)에 연결부재(5)를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동일 평면 전체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평면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골조 및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에서의 슬래브를 시공하게 되면, 도 1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둥 및 보를 계속하여 시공해 올라가면서 여러 층에서 동시에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설치할 수 있어, 수개층의 슬래브를 병행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공사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a 내지 도 13d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철골건물에서의 슬래브 시공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a는 철골건물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구조물의 입체 사시도이고, 도 13c는 도 13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3d는 도 13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b에서 A로 표시된 층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층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층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하고 보강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층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층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층을 나타낸다.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 단부의 필요한 위치에 연결부재(5)를 장착한 후, 이미 시공된 지지부(강재 거더)(6)에 상기 패널(100)을 단순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동일 평면 전체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평면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철골건물의 슬래브를 시공하게 되면, 도 1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철골 기둥 및 강재보를 계속하여 시공해 올라가면서 여러 층에서 동시에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설치할 수 있어, 수개층의 슬래브를 병행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공사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a 내지 도 14f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거더 교량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교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예를 들면, 슬래브교, 프리스트레스 거더교, I형 또는 T형 거더교, 프리플랙스교, 라멘교, 콘크리트 상자형 거더교 등에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4a는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입체 사시도이고, 도 14c는 도 14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4d는 도 14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e는 콘크리트 상자형 교량의 경우 도 14a에서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4f는 T형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경우 도 14a에서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콘크리트 교량에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미리 시공된 콘크리트 거더, 즉 지지부(6)에 연결부재(5)를 설치하고,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하여 교량 슬래브를 시공하게 된다. 상세한 연결부재(5)의 설치방법 및 패널 거치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b에서 A로 표시된 구간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구간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구간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하고 보강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구간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층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구간을 나타낸다.
도 1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6)가 되는 콘크리트 거더에 연결부재(5)를 필요한 곳에 설치하고, 복합소재판(1)과 보강보(2)로 구성된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게 되므로, 공사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구간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구간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a 내지 도 15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라멘교의 시공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는 콘크리트 라멘교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5c는 도 15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콘크리트 거더 교량과 유사하게 미리 시공된 지지부(교대 또는 교각)(6)에 연결부재(5)를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교량 전체 구간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구간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콘크리트 라멘교의 슬래브 형태가 아치 등과 같이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래브의 기하학적 형상에 맞는 보강보를 가진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다. 또한 교량의 경간이 긴 경우에는, 탄소섬유와 같은 고탄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보강보 또는 복합소재의 합성보로 이루어진 보강보를 사용하여 변위를 제어하거나 또는 더 작은 단면의 보강보를 사용하는 대신 경간 내부에 가설 지지구조를 설치하여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설치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슬래브 교량의 시공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a는 콘크리트 슬래브 교량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6c는 도 16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콘크리트 거더 교량과 유사하게 미리 시공된 지지부(교대 또는 교각)(6)에 연결부재(5)를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교량 전체 구간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구간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교량의 경간이 긴 경우에는, 탄소섬유와 같은 고탄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보강보 또는 복합소재의 합성보로 이루어진 보강보를 사용하여 변위를 제어하거나 또는 더 작은 단면의 보강보를 사용하는 대신 경간 내부에 가설 지지구조를 설치하여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설치한다.
도 17a 내지 도 17e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강재 교량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할 수 있는 강재 교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예를 들면, 강상자형교, 강판형교, 트러스교, 아치교, 사장교, 현수교 등에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7a는 강재 교량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7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입체 사시도이고, 도 17c는 도 17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7d는 도 17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e는 강판형교 슬래브에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적용한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강재 교량에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5)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단부에 미리 조립되어 있으므로, 패널을 단순히 지지부에 거치시키므로써 패널(100)의 거치가 완료되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교량 전체 구간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구간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b의 입체도에서 A로 표시된 구간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구간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구간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하고 보강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구간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구간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구간을 나타낸다.
도 18a 내지 도 18d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콘크리트 박스형 구조물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박스형 구조물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예를들면, 지하철 구조물, 지하차도 구조물, 암거, 복개구조물, 수처리 구조물, 공동구 등의 다양한 콘크리트 박스형 구조물에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8a는 콘크리트 박스형 구조물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8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입체 사시도이고, 도 18c는 도 18a에서 보강보가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8d는 도 18a에서 보강보가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b의 입체도에서 A로 표시된 층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구간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구간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하고 보강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구간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구간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구간을 나타낸다.
콘크리트 박스형 구조물의 시공의 경우에도, 지지부(6)가 되는 벽체를 연속적으로 시공해나 나가면서, 벽체 시공의 후속공정으로, 연속하여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단순 거치한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한다. 슬래브는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구간에 패널을 거치하고 전체 구간에 대하여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계를 이용한 종래의 가설 공법에서는 구간별로 박스 구조를 완성하고, 다음 구간을 시공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서는, 벽체를 연속적으로 시공해 나가면서 벽체 시공에 후속하여 잇따라 패널을 단순 거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또는, 우선 벽체만 연속적으로 시공한 후, 전체 구간에 패널을 거치한 후 전체 구간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공법에 비하여 공사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9a 내지 도 19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잔교식 항만 구조물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a는 잔교식 항만 구조물의 슬래브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입체 사시도이고, 도 19c는 도 19a에서 선E-E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b의 입체도에서 A로 표시된 층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구간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구간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한 후 보강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구간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구간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구간을 나타낸다.
잔교식 항만 구조물의 시공의 경우도, 기설치된 파일의 상단에 설치된 파일캡(지지부)(6)에 연결부재(5)를 필요한 곳에 설치하고, 슬래브를 시공할 평면내에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거치시킨 후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한다. 따라서, 공사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0a 내지 도 20d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터널의 라이닝 시공에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a는 터널 라이닝 타설구간에 복합소재 스페이스를 거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0b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따라 라이닝이 시공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도시한 입체 사시도이고, 도 20c는 도 20a에서 보강프레임이 보이도록 선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20d는 도 20a에서 보강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선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0b의 입체도에서 A로 표시된 구간은 라이닝의 시공이 완료된 구간을 나타내며, B로 표시된 구간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이용하여 라이닝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하고 보강프레임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구간을 나타내며, C로 표시된 층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만이 거치된 상태의 구간을 나타낸다.
터널 라이닝 시공시에는, 연결부재(5)를 터널 양쪽 하단 기초위치에 설치한다. 이후, 라이닝 타설 구간 전체를 다 덮도록 대형으로 제작 조립된 터널 형상에 맞는 아치형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연결부재(5)에 고정시켜 거치한다. 패널 상호간의 이음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재 등으로 접속하고 이음부 및 지지부에 대해서는 에폭시 접착 등의 방법으로 방수처리를 한 후,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동식 아치형 형틀을 이용한 종래의 터널 라이닝 가설공법에서는, 이동식 형틀이 설치된 구간에서만 라이닝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 강도 이상으로 양생되기 이전에는 형틀을 이동할 수 없으므로, 공사 기간이 길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터널 라이닝 시공에 적용하게 되면, 도 20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치형 패널을 터널 굴착 직후 시점부터 터널의 종방향으로 제한 없는 길이로 연장하여 설치해 나가면서 계속하여 후속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라이닝 콘크리트 시공 속도를 증가시켜 전체 공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의 가설공법에서는 터널의 커브구간에서 건축한계(clearance)를 맞추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을 적용하게 되면, 터널 커브구간의 건축한계를 정확히 맞춘 아치형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하여 라이닝 콘크리트 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를 시공한 후에 복합소재판을 영구히 설치해 둘 수 있으므로, 터널의 방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으며, 미려하게 제작된 복합소재판의 표면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터널내의 미관이 수려하게 될 뿐만 아니라, 먼지가 쌓이더라도 물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복합소재판을 야광 처리할 수도 있으므로, 야광 처리된 복합소재판을 사용하게 되면 야간에 터널 내부가 명료하게 되어 교통안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구조물에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의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파트, 콘크리트 골조건물, 철골 건물,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 콘크리트 교량, 강재 교량, 지하철 구조물, 지하차도 구조물, 암거, 복개구조물, 수처리 구조물, 잔교식 항만구조물, 공동구, 터널 등 모든 유형의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평면 및 다양한 형태를 가진 곡면 형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공사에 적용될 수 있어, 그활용범위가 매우 광대하다.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은, 지상, 지하, 해상,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서 평면 및 곡면형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에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은, 강화섬유와 수지로 이루어진 적층판 또는 샌드위치판으로 이루어진 경량 고강도 고내구성의 복합소재판과 보강보로 구성되며, 상기 패널은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내하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비계와 같은 별도의 수직 지지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및 라이닝을 가설하는 본 발명의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에 의하면, 종래의 가설공법에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용하던 비계 등이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며, 패널이 거푸집의 기능도 하게 되므로 별도의 거푸집도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비계 등을 이용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는 비계의 붕괴 등 여러 가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비계가 전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비계의 붕괴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재해예방이 가능하다.
그 뿐만 아니라, 슬래브나 라이닝 가설 후 콘크리트의 표면에 고강도 내부식성을 가진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영구히 설치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덮게되므로, 방수, 단열, 방음, 내화효과가 증진되며, 콘크리트를 외부의 부식환경으로부터보호하게 되어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내구연한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준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은, 슬래브나 라이닝 시공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 사용하던 비계와 같은 장애물이 없으므로, 하부공간을 작업공간으로 확보할 수 있고 타 작업을 병행 시공할 수 있어 공사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작 조립된 대형 복합소재 패널을 연결부재에 단순히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게 현장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며,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 패널을 설치한 후 상부면은 패널이 평탄하여 자재의 운반 등을 위한 이동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어 추가적인 공사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에 사용되는 복합소재판은 고강도 특성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 시공 후 패널을 콘크리트에 영구 설치해두게 되면, 시공 후에도 계속하여 구조물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보강재 역할을 하므로, 당초설계에 의한 슬래브나 라이닝의 내하력에 추가하여 구조물의 전체적인 내하강도가 증진되며, 또한 복합소재판과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라이닝의 합성작용으로 연성(ductility)이 크게 증가되므로 사용하중 및 파괴하중 하에서 구조적인 안전성이 크게 증가된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에서는, 보강보가 복합소재판으로부터 매우 간단하게 해체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보강보 분리형 패널 사용시, 슬래브나 라이닝 콘크리트의 양생 후 보강보를 해체하면, 슬래브나 라이닝 하면에는 작은 두께의 복합소재판만 부착되어 있는 형태가 되어, 아파트나 고층건물을 비롯하여 콘크리트 골조건물, 철골건물, 철골 철근콘크리트 건물,콘크리트 교량, 강재 교량, 지하철 구조물, 지하차도 구조물, 암거, 복개구조물, 상하수도 구조물, 잔교식 항만구조물, 공동구, 터널 등의 모든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서 요구되는 건축한계(clearance)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시공이 가능하다. 특히, 철골 건축물에 있어서는, 보강보가 분리된 상태의 복합소재판이 요철 없이 슬래브 하면에 완전 밀착되어 있으므로 층고를 크게 절감할 수 있어 같은 높이의 건물에서 더 많은 층수를 건설할 수 있으므로, 건설비용에 대한 투자효과가 극대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은, 복합소재판과 보강보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보강보 일체형 복합소재 패널을 사용하게 되면, 보강보의 분리가 용이치 못한 구조물의 시공, 예를 들면 고소교량이나 연육교 등과 같은 구조물의 시공시, 슬래브를 시공한 후 별도의 보강보 해체작업이 필요치 않아 시공이 매우 간편하며, 해체비용이 절감되고 추가적인 공사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건물 슬래브 시공시, 비계 등을 이용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는, 하부층의 슬래브가 소정 강도 이상으로 양생된 후에야 상부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비계를 설치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슬래브가 아래층부터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시공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전체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오랜 공사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아파트나 콘크리트 골조건물 등과 같은 구조물의 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서, 비계를 이용한 종래의 가설공법에서는 한 층씩 슬래브를 시공하고, 양생된 슬래브 위에 다시 비계를 설치한 후 다음 층의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으로공사가 진행되므로 전체 공사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가설하게 되면, 비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패널이 거푸집 역할을 하므로, 벽체 또는 골조를 계속해서 시공해 올라가면서 수개층의 슬래브를 동시에 타설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슬래브 콘크리트가 완전한 강도를 발현하지 않는 정도로 불완전하게 양생된 상태에서도 패널이 자중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수개층의 내부 공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속도를 획기적으로 빠르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 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교량 슬래브의 시공에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하면, 비계 등을 이용한 종래의 가설공법에 비하여, 비계나 동바리의 설치 없이도 단순 거치된 복합소재 패널 위에 교량 전구간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할 수 있으므로 교량 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콘크리트 박스형 구조물의 슬래브 시공의 경우, 종래의 비계가설공법에서는 구간별로 박스구조를 완성한 후에 다음 구간을 시공하게 되므로, 전체 공사 기간이 길었으나,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하면 박스구조의 벽체를 연속적으로 시공해 나가면서 설치된 벽체에 곧바로 복합소재 패널을 단순 거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해나가거나 또는, 우선 벽체만 연속적으로 시공한 후 시공된 벽체 위에 패널을 거치한 후 전구간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사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잔교식 항만 구조물의 슬래브 시공의 경우,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하면, 종래의 비계가설공법에서는 잠수부에 의해 조립 설치되었던 비계나 동바리가 필요 없으므로, 단순 거치된 복합소재 패널 위에 잔교 전구간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할 수 있으므로 공사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경우, 이동식 아치형 형틀을 사용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에서는 이동식 형틀 구간에서만 라이닝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는 형틀을 이동할 수 없어 공사 기간이 길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하여 터널 라이닝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터널 굴착 직후 시점부터, 터널 종방향으로 길이의 제한 없이 패널을 연속적으로 설치해 나가면서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연속해서 진행할 수 있으므로, 라이닝 콘크리트 시공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시공 후, 패널을 영구히 설치하여두면, 방수기능을 가진 패널에 의하여, 시공후 발생할 수 있는 터널 누수에 따른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매끈하게 제작된 복합소재의 표면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터널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만들고, 누적된 먼지의 물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패널을 야광 처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야간에 터널내부가 명료히 구분되어 교통안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이용하여 슬래브나 라이닝의 가설한 후에, 그 하면에 패널을 영구히 남겨두게 되면, 복합소재 패널이 콘크리트의 보호막 역할을 하게 되므로, 특히 항만구조물 등과 같이 염해를 받는 구조물이나 교량, 터널 등 외부부식환경에 접해 있는 구조물인 경우 철근부식이나 콘크리트의 열화를 크게 지연시켜 준다. 따라서, 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그에 따라, 내구년한이 증가되어, 건설비용에 대한 투자효과를 크게 증대시켜준다. 또한, 건축구조물의 경우, 슬래브나 라이닝 하면에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을 영구히 설치하여 두면, 별도의 외장공사 없이도 그대로 천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파트 슬래브인 경우 상층으로부터의 방수, 보온단열, 방음효과를 가질 수 있고, 패널 제작시 난연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난연제 등으로 처리하게 되면 내화효과까지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에 사용되는 복합소재는 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품질관리와 완공 후 공용중 콘크리트 균열 등 결함사항을 점검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복합소재에 착색제를 첨가하여 소정의 색깔을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2)

  1. 건축 또는 토목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가설하는 공법으로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슬래브 또는 라이닝 가설시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고 분배하는 복합소재판(1)과, 상기 복합소재판(1)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합소재판(1)을 지지하므로써 상기 복합소재판(1)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위를 제어하는 보강보(2)로 구성된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가설하고자 하는 구간의 구조물 지지부(6) 사이에 거치하고;
    구조물 지지부(6) 사이에 거치된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또는 라이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보(2)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합소재판(1)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는 보강보 연결재(4)에 의하여, 분리 해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복합소재판(1)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보(2)는 상기 복합소재판(1)의 배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복합소재판(1)은 섬유강화 복합소재 적층판(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판(1)은,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섬유강화 복합소재 적층판(20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의 적층판(200) 사이에는 코아재료(201)가 구비되어 있는 샌드위치 구조의 샌드위치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구조물의 지지부(6)에 사이에 거치한 후,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구조물의 지지부(6)에 연결부재(5)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상기 연결부재(5) 위에 단순 거치하여 설치한 후, 슬래브 또는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단부에 연결부재(5)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상기 연결부재(5)를 구조물의 지지부(6) 위에 단순 거치하여 설치한 후, 슬래브 또는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9. 제7항에 있어서,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는 지지부(6)의 필요한 위치에 연결부재(5)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상기 연결부재(5)에 거치하여 전체 평면에 일시에 설치한 후, 동일 평면 전체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 단부의 필요한 위치에 연결부재(5)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상기 연결부재(5)를 구조물의 지지부(6) 위에 단순 거치하여 동일 평면 전체에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일시에 설치한 후, 동일 평면 전체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상호 연결하여 동일 평면 전체에 대해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하며;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 상호간의 이음부 및,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과 지지부(6) 사이의 연결부는 방수재료를 사용하여 방수처리하며; 슬래브가 끝나는 부분에는 측면막이를 설치한 후 동일 전체 평면내에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터널의 라이닝을 시공하는데 적용되며, 터널 양쪽의 하단 기초 위에 연결부재(5)를 설치하고, 터널 형상의 아치형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의 단부를 상기 연결부재(5)에 고정시켜 라이닝 시공구간 전체에 대하여 상기 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100)을 거치시킨 후, 전체 라이닝 시공구간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KR10-2000-0030747A 2000-04-17 2000-06-05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 복합소재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KR100411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147 2000-04-17
KR20000020147 2000-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24A true KR20010096424A (ko) 2001-11-07
KR100411598B1 KR100411598B1 (ko) 2003-12-18

Family

ID=1966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747A KR100411598B1 (ko) 2000-04-17 2000-06-05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 복합소재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66A (ko) * 2001-04-24 2002-11-01 손석환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기능을 가지는 피 에스 씨 교량용빔의 가설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18B2 (ja) * 1978-08-11 1984-12-11 三井建設株式会社 天井仕上げ部材兼用床型枠
JPS60138901U (ja) * 1984-02-27 1985-09-13 三井プレコン株式会社 合成構造板
JPH04198548A (ja) * 1990-11-29 1992-07-17 Tokyu Koken Kk 半pcスラブ工法
JP3133211B2 (ja) * 1994-04-07 2001-02-05 株式会社クボタ 打込式コンクリート型枠
KR0118262Y1 (ko) * 1994-10-28 1998-07-15 박대병 건물 슬라브 축조용 슬라브 공판
JPH10292541A (ja) * 1997-04-18 1998-11-04 Kawasaki Steel Corp 床スラブ支持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床基礎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66A (ko) * 2001-04-24 2002-11-01 손석환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기능을 가지는 피 에스 씨 교량용빔의 가설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598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4663B (zh) 一种装配式多功能外墙体的生产、安装方法
CN106013454A (zh) 基于大空间结构体和独立式外围护结构的建筑及建造方法
US6779314B1 (en) Structure formed of foaming cement and lightweight steel, and a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the structure system
CN212957170U (zh) 集成桁架钢筋及预应力钢丝网的预制混凝土底板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CN115653173A (zh) 一种带gfrp加强的预制混凝土保温复合楼盖
CN208415587U (zh) 一种夹心保温叠合剪力墙t形连接节点构造
CN110644662A (zh) 一种基于受力的预制无梁楼盖叠合板及其拆分方法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100411598B1 (ko)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 복합소재스페이스 패널을 사용한 무비계 스페이스 공법
CN112282164B (zh) 一种轻质叠合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411233B1 (ko)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 복합소재스페이스 패널
CN115928909A (zh) 短肢剪力墙装配式轻钢组合桁架承托钢丝网架砂浆-珍珠岩-聚苯复合围护墙及作法
KR200200431Y1 (ko)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슬래브 및 라이닝 가설용복합소재 스페이스 패널
CN213062067U (zh) 现浇筑装配式免拆模板保温一体化房屋
KR100786711B1 (ko) 천장마감재를 겸한 무지주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거푸집공법
CN111549812A (zh) 现浇筑装配式免拆模板保温一体化房屋
CN112982692A (zh) 一种单向叠合板拼缝处连接构造和施工方法
KR200308707Y1 (ko) 철근과 거푸집이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진 경량 단열거푸집
CN218541038U (zh) 一体化施工的柔性连接拼装蒸压加气混凝土外墙大板系统
CN214531897U (zh) 一种装配式预应力空心板楼盖施工支承系统
CN220954030U (en) Flexible connection assembly autoclaved aerated concrete outer wall large plate system for integrated construction
CN116145875A (zh) 一种新型钢筋桁架混凝土叠合空心楼盖及其实施方法
CN101200945B (zh) 一种组合钢筋砼空心楼板
CN112796512A (zh) 一种装配式预应力空心板楼盖施工支承系统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