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211A -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 Google Patents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211A
KR20010096211A KR1020000020211A KR20000020211A KR20010096211A KR 20010096211 A KR20010096211 A KR 20010096211A KR 1020000020211 A KR1020000020211 A KR 1020000020211A KR 20000020211 A KR20000020211 A KR 20000020211A KR 20010096211 A KR20010096211 A KR 20010096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s
purchase
theme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준
Original Assignee
김학준
(주)소자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준, (주)소자넷 filed Critical 김학준
Priority to KR102000002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6211A/ko
Publication of KR2001009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상품을 테마별로 하루에 한가지 상품을 공동구매방식으로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란 서비스업체가 상품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인터넷을 통하여 7일을 단위기간으로 하여 현재기간동안 다음기간에 취급할 상품의 인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품의 인기도를 기준으로 상품의 재배치가 이루어지며 테마별로 각 상품들의 하루 판매일자를 결정되는 프로세스를 통하여 하루동안 한가지의 상품을 집중하여 판매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한 방문자로부터 상품의 요구를 수렴하여 한주간의 판매 상품을 선정하며 선정된 상품의 판매일을 결정하는 '상품의 선정방법'과 현재 기간 중 특정한 미래 판매상품을 미리 '구매예약'을 하는 방법이 부가되어 요구된다.
'상품의 선정방법'을 통한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은 선정과정에 참여한 방문자들에게 참여한 테마의 선택상품에 관하여 다음 기간에 판매되는 상품으로 선정이 되었는가에 대한 여부와 선정되는 경우 상품의 판매일에 대한 메일통지 서비스 ,그리고 참여자의 선정과정 참여의 보상으로 소정의 사이버머니를 누적 적립한 금액을 부여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품의 구매예약 방법'을 통한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은 상품의 구매를 위한 예약과정에 참여한 방문자들에게 구매예약된 정보인 예약상품명과 예약수량 그리고 배송정보와 결제정보등에 관련된 사항을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즉시 메일통지를 하는 서비스와 그 상품의 판매당일이 경과하기 전까지 특별한 예약취소를 위한 조치를 하지않는 경우 진정한 '구매'가 성립되며 예약자에게 구매가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일통지서비스, 그리고 구매예약과정에 참여한 보상으로 소정의 사이버머니를 누적 적립한 금액을 부여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 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The method of cooperative buying service on a commodity themaly a day and The method of purchase reservation service and The method of the selection of goods for cooperative buying service }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품을 저가에 공급할 수 있는 테마별 일일 일제품을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인터넷용 웹브라우저를 통한 사용자의 의사를 규합하여 상품의 인기정도를 파악하여 상품의 판매일을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최근 인터넷을 통하여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공급자와 수요자의 중개자 역할을 하는 인터넷 쇼핑몰이 우후죽순격으로 등장하고 있다. 무한한 가상공간에 상품을 전시할 수 있는 인터넷의 특징으로 상품의 물류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으로 상품의 가격을 보통 오프라인의 그것보다 훨씬 싸게 공급할 수 있다. 인터넷 쇼핑몰의 기본특성에 더하여 상품의 가격을 더 싸게 공급할 수 있는 모델로서 현재 소개된 것으로는 공동구매와 경매, 또는 역경매, 소량의 반짝 한정판매 등이 있다. 공동구매의 경우, 한꺼번에 다량의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더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현 공동구매의 형태는 공동구매가 가능한 목표량을 설정하여 구매자를 모집하여 목표량에 도달되면 비로소 거래가 이루어지는 형태와 일정기간을 설정하여 그 기간동안 모집된 구매량에 따라 거래가격에 차등을 두는 2가지 모습이 있다. 전자의 경우 목표량에 도달되는 기간이 확정되지 못하고, 목표량의 도달여부도 불투명하여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또 후자의 경우 모집된 구매량이 많으면 더 저가에 구매가 가능하지만 구매량이 적으면 상대적으로 고가의 상품을 구매하는 결과가 되어 그로인한 상대적 박탈감으로 쇼핑의 만족을 주기 힘든 구조이다. 경매 또는 역경매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절충가격으로 서로 만족되는 상황이 이루어지지만 실제 구매한 수요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데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반짝 이루어지는 한정판매는 부정기적으로 소량의 상품을 방문소비자에게 불시의 이벤트적인 성격의 판매형태를 보인다. 한정판매는 일단 소량이어서 경매와 마찬가지의 소수만족의 단점이 있으며 보통 이벤트적인 성격이 짙어 언제 어떤 제품이 어느정도의 물량이 소개되는 지 알 수 없고, 공급자와 수요자의 양방향 대화가 없는 일방적 제시형태로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인터넷을 통하여 상품을 전시하고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넷쇼핑몰은 이제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인터넷의 즉시성과 부합되며, 소비자와 양방향대화를 통한 소비자중심의 저가격형성모델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첫째 상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과정에 있어, 상품을 전시하는 관리자 서버의 사이트와 ,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자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되는 사용자 컴퓨터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는 다수의 테마별 다수 상품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자료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트를 접속한 방문자가 각 테마의 금일,금주의 판매상품을 볼 수 있으며, 금일 판매상품중 원하는 상품을 금일 즉시 구입할 수 있다. 또한,둘째로 '상품구매예약'을 위하여, 상기 동일 시스템구조에 있어, 상기 사이트에 접속한 방문자가 금일에 판매하지 아니하나 금주의 가까운 미래에 판매예정된 상품을 미리 구매예약할 수 있게 한다. 세째로, 다음주의 판매상품을 선정하는 과정에 있어, 상기 동일한 시스템구조에서, 상기 사이트에 접속한 방문자가 '인기상품투표'라는 창구를 통하여 자기가 원하는 상품에 인기도를 더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결과되어지는 각 테마별 상품인기순위에 따라 인기도가 많은 상품일수록 더욱 가까운 미래에 판매되어지는 상품선정방법이 있으며, 네번째로 상기 상품의 구매 또는 구매예약, 상품의 선정과정에 참여한 방문자에게 각각 구매정보(구매상품명, 수량, 배송 및 결제 정보 등) 또는 구매예약정보, 상품선정여부와 상품선정시참여상품의 판매일 등을 자동으로 통지하게 해준다.
이러한 기술들은 마이크로소프트의 ASP(Active Server Page) 등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가능하다.
상기 기술적인 사상은 종래의 저가격형성 모델의 취약점을 즉시 구매가 가능하고, 다수의 참여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으며, 상시적, 안정적으로 소비자와 양방향통신을 통하여 최적의 거래시장의 모습으로 보완하는 비즈니스모델이다.
즉, 한 상품의 판매일자를 특정함으로써 각각의 '소량구매'를 규합하여 전체적으로 '대량구매'의 모습으로 승화시킨 인터넷 비즈니스모델이다.
상기 네가지의 기술적인 과제-상품의 판매과정과, 상품의 구매예약과정, 다음 주간의 판매상품선정과정, 그리고 전자우편통지 과정-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의 전시방법 과 판매방법'에서의 기술적인 과제이다. 인터넷 쇼핑몰사이트에서는 첫화면에 각 테마별 금일의 판매상품이 전체적으로 한 눈에 보인다. 그리고 각 테마는 첨가, 삭제될 수 있으며 각 테마별 상품 또한 첨가,삭제 가능하며 테마에 따라 중복될 수 도 있다. 그리고, 각 상품을 클릭하면 그 상품의 상세이미지와 3차원 가상현실(VRML)로 구현한 이미지들과 상품의 각부분의 디자인,색상 및 기능을 비교 확인 할 수 있도록 동영상을 부가한다. 소비자가 구매를 하고자하는 경우 '쇼핑백에 넣기'를 클릭하면 소비자의 간단한 신용정보와 결재방법을 기재한 후, 쇼핑이 가능하다. 즉, 비회원도 구매할 수 있으며 무료회원으로 등록하여 회원으로 구매를 하면 상품별로 제시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또한, 첫화면 상품의이미지에는 공급된 상품의 수량과 구매가능한 수량 및 예약된 수량등이 표시되어 그 상품에 대한 구매가능여부를 확실하게 한다.
둘째, '상품의 구매예약'에서의 기술적 과제는, '금주의 테마별 상품'의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각 테마별 7가지 상품이 보여지게 되며, 지나간 일자의 상품에는 기판매가와 재고가 있는 경우 기판매가 대비 10% 할증된 판매가가 기록되어지고 앞으로 판매될 상품에는 확보된 공급량과 예약량을 표시하여 현재 구매예약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하며 확보된 공급량을 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지난 일자의 상품중에서 재고량이 있는 경우 10% 할증을 더하여 판매하는 이유는 정책적인 면이며, 오히려 더 싸다면, 상품판매 당일에 소비자의 구매참여는 저조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다음주간의 판매상품 선정과정'에 있어서는, '다음주간의 테마별 상품선정'의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테마별 상품들이 전시되며 방문자의 투표를 위한 프로세스와 투표분석 프로세스가 있다.투표를 위한 프로세스는 방문자가 투표에 참가하게 되면 회원이면 일정포인트를 투표참가에 대한 보상으로 부여할 뿐만 아니라, 후에 투표한 상품의 판매결정일에 대하여 전자우편을 통해 통보하며, 비회원인 경우, 투표한 상품의 판매일자에 대한 통보여부를 묻는다. 투표기간은 월요일 0:00에 시작하여 일요일 24:00에 마감한다.투표의 분석 프로세스는 투표기간동안 각 상품의 득표수에 따라 1위에서 7위의 순을 정하고 1위는 월요일 7위는 일요일에 판매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도1은 본발명의 구현을 위한 인터넷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구도
도2는 본발명의 웹사이트에서의 기본구성
도3은 '테마별 1일1상품 공동구매방법'을 실현을 위한 과정 및 순서도
도4는 '상품구매예약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 구성 및 순서도
도5는 '상품의 선정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과정 및 순서도
도6은 구매,구매예약, 상품선정에 따른 자동메일통지를 위한 순서도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부분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넷쇼핑몰의 테마별 일일 일상품 공동구매의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그 구성내용은 인터넷 쇼핑몰 서버에 구비된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운영자 서버 와 사용자 및 상품의 정보가 저장되어있는 데이타저장소와 인터넷망과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운영자 사이트에 접속되는 방문자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왼쪽 그림은 테마별로 오늘의 공동구매 상품이 전시되어 상품을 판매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중앙 그림은 금주에 판매되는 테마별 상품이 나타나 상품의 예약구매가 이루어지며, 여러 테마 중 테마1이 선택되어 한 주간의 각 요일의 공동구매상품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쪽 그림은 다음 주에 공동구매될 상품을 각 테마별로 인기도를 측정하여 상품선정을 위한 테마별 상품전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3에서 도6은 도2의 각론적인 설명으로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데이터 및 프로세스의 진행을 순서도와 함께 보여주고 있다.
도3은 테마별 1일1상품 공동구매 비즈니스모델의 간단한 그림이다. 사용자는 본 운영자서버에 접속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은 회원인 경우 로그인할 수 있고 하지 않을 수 있으며, 비회원인 경우는 로그인 할 수 없다. 로그인을 하게되면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있어 사용자의 회원여부와 회원의 정보를 가지게 된다. 로그인을 한 회원이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 운영자 서버는 상품의 배달주소 및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를 구매자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게 된다. 만약, 로그인 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테마의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의사표시를 한 때에는 회원여부를 물어 회원인 경우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게 한 후 같은 과정을 밟게 되며, 회원이 아닌경우에는 회원가입을 유도한 후 필요 정보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이 구매하는 경우에는 구매상품에 따라 일정액의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사이버머니를 부여한다.
도4는 상품구매예약을 위한 기본구성 및 순서도이다. 상품구매예약의 모습은 예약불가와 현재 판매중, 구매예약가능의 3가지 모습이 있다. 예를 들어, 금일이 수요일인 경우, 월요일과 화요일의 상품은 공동구매가 끝난 지난 상품으로서 구매를 위한 예약이 불가능하고, 수요일의 상품은 현재 당일 판매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판매중'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목요일에서 일요일의 상품은 아직 판매일이 도래하지 않아 당일의 구매실패의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미리 구매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구매예약의 모습이 있다. 구매예약을 하는 경우 배송정보와 결제정보등을 알려주는 적극적인 예약은 취소하지 않는 한 당일의 구매와 같은 효력을 주게되며, 그러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소극적인 예약은 당일 실제 구매행위가 없는 경우 구매로서의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상품별로 공급된 양과 예약된 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의 예약 시급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구매예약'은 상거래의 안정적인 모습으로 지향되는 사항으로서 예약참여자에게는 일정액의 사이버머니를 보상함으로써 활성화를 꾀한다.
도5는 운영자 웹사이트에서 내주의 상품을 선정하는 과정을 표시한 것이다. 웹사이트에는 각 테마별 상품들이 많이 있다. 사용자의 편에서 될 수 있는 한 빠른 기간에 판매되기를 희망하는 요구를 수렴하는 창구로서 사용자가 어느 원하는 테마에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투표하기'에 참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더 이른 시일에 판매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투표에 참여하게 되면, 투표한 상품의 득표수는 1이 더하여지고 동일 테마의 타상품의 득표수와 비교하여 최고 득표수의 상품이 도면5에 표시된 순서로 재배치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며 상품의 옆에는 득표수가 표시된다. 매주 '월요일 0:00에서 일요일 24:00'동안의 득표수를 일요일 24:00에 최종 집계하여 1위에서 7위의 상품을 가리게 되어 1위는 월요일에 판매하고 2위는 화요일 순으로 7위는 일요일에 판매하는 것으로 자동 결정이 된다. 내주의 상품선정을 위한 '투표참여'는 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의사표현으로서 지향될 바로서 참여자에게는 일정액의 일정 사이버머니를 지급한다.
도6은 상기 3가지 사용자의 의사표현 즉, 구매행위와 구매예약행위, 상품선정을 위한 투표행위에 대한 운영자 서버의 응답을 자동화한 '전자우편 자동발송'을 위한구성과 순서도를 보여준 것이다. 첫째 구매행위에 대한 응답으로서는 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거친 후, 서버는 구매자의 회원여부를 판단하여 회원인 경우 구매상품과 회원정보에 관하여 메일을 발송하나 회원이 아닌 경우 전자주소에 대한 정보가 불투명하여 통지를 할 수 없다. 둘째, 구매예약행위에 대한 응답으로서 , 상품의 구매예약프로세스를 거친 후, 회원여부를 판단하여 회원인 경우 적극적 예약행위에 대한 결정을 한 후 각 경우에 대한 취소나 구매행위에 따라 통지사항이 달라지며,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메일통지가 불가하다. '상품선정 프로세스'는 회원여부에 따라 참여한 상품의 선정여부와 판매일자에 대한 메일발송을 하고, 비회원인 경우 전자우편의 입력여부에 따라 메일발송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인터넷 일일공동구매 서비스를 통하여 스케쥴링되어있는 공동구매의 목적 상품을 소비자는 타사이트의 타판매모델보다 동제품의 가격의 이익을 보며 공급자는 일시의 대량구매로 상당량의 금전회수를 얻게 되며, 가까운 미래의 잠재고객을 끌어들여 상픔의 매출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상품을 진열하는 관리자 서버의 사이트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의 쇼핑몰에 접속되는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는 데이터베이스화된 다수의 테마별 상품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트를 접속한 방문자들의 테마별 상품의 인기도에 따라 판매상품과 판매일이 정하여지며 ,
    상기 정하여진 판매일에 정하여진 테마별 상품을 판매 또는 예약판매하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테마별 판매상품의 선정과 판매일의 결정과정은,
    방문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의 운영자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와,
    방문자가 상기운영자 사이트에 방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방문자가 다음 기간 판매상품 선정을 위한 목적으로 ,
    어느 하나의 테마를 클릭하는 동시에 관련 테마의 상품들의 현재 인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방문자가 판매되기를 희망하는 상품의 투표함에 클릭하는 단계와,
    상기 클릭된 상품의 인기도가 더하여지고 동테마의 타상품과의 인기도를 비교하여현재 인기도순에 의하여 상품이 재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투표에 참여하는 방문자 정보에 소정의 적립금을 누적 적립시키는 단계와,
    상기 투표의 마감 시기에 결정된 판매상품과 판매일에 대한 정보를 참여한 방문자에게 메일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품을 예약판매하는 과정은,
    방문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의 운영자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와,
    방문자가 상기운영자 사이트에 방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방문자가 현재 기간 중 특정 미래 판매상품을 구매를 예약하는 목적으로,
    어느 하나의 테마를 클릭하면 관련 테마의 상품들의 공급량과 현재 예약량이 표시되고,
    방문자가 구매예약을 희망하는 상품의 예약창구를 클릭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에 참여하는 방문자의 배송 및 결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예약에 참여하는 방문자의 정보에 소정의 적립금을 누적적립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완료와 동시에 예약된 정보를 메일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KR1020000020211A 2000-04-18 2000-04-18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KR20010096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211A KR20010096211A (ko) 2000-04-18 2000-04-18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211A KR20010096211A (ko) 2000-04-18 2000-04-18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211A true KR20010096211A (ko) 2001-11-07

Family

ID=1966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211A KR20010096211A (ko) 2000-04-18 2000-04-18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2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28A (ko) * 2000-05-03 2001-11-14 김경익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 판매 방법
KR101009919B1 (ko) * 2008-06-13 2011-01-20 김병찬 진동발생장치
WO2016098973A1 (ko) * 2014-12-19 2016-06-23 박정호 트렌드 예고 및 마감을 포함하는 선도형 트렌드 기반 쇼핑몰 운영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28A (ko) * 2000-05-03 2001-11-14 김경익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 판매 방법
KR101009919B1 (ko) * 2008-06-13 2011-01-20 김병찬 진동발생장치
WO2016098973A1 (ko) * 2014-12-19 2016-06-23 박정호 트렌드 예고 및 마감을 포함하는 선도형 트렌드 기반 쇼핑몰 운영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3543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electronic auction information
US583589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electronic auction information
US6269343B1 (en) On-line marketing system and method
US73982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electronic commerce
US20060265289A1 (en) Community-based method and system for the sale of goods and services
KR100825204B1 (ko) 상품별 또는 상품군별 다중 네트워크 구조를 활용한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WO2001004815A1 (en) An electronic merchandizing system
US20100082456A1 (en) Tools in support of e-commerce including inventoryless e-commerce
US20030135440A1 (en) Sales system in 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24229A (ko) 추첨식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0432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쌍방향 경매방법 및 장치
KR20000037430A (ko) 통신망을 이용한 구매자 평가식 정보 거래 방법과 시스템및 그 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479751B1 (ko) 온라인 쇼핑몰의 셀러별 차등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22353A (ja) 分割化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10096211A (ko) 테마별 1일 1상품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상품구매예약 방법 및 공동구매상품 선정방법
JP3294591B2 (ja) 購買予約に応じた価格設定を行う販売中継システム
US20030046141A1 (en) Method for product planning
KR20010112020A (ko) 토탈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50082392A (ko) 구매정보 매매를 통한 마케팅시스템
KR100369621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쌍방향 경매방법 및 장치
Inks et al. Consumer attitudes and preferences concerning shopping on-line
KR100736175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추첨식 판매방법 및 장치
KR20000054721A (ko) 광고를 이용한 경매시스템 및 방법
KR100421590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경매시스템의 구매신청 처리방법및 장치
KR20000063902A (ko)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주류 판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