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483A -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483A
KR20010095483A KR1020000018384A KR20000018384A KR20010095483A KR 20010095483 A KR20010095483 A KR 20010095483A KR 1020000018384 A KR1020000018384 A KR 1020000018384A KR 20000018384 A KR20000018384 A KR 20000018384A KR 20010095483 A KR20010095483 A KR 2001009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ile
frame
iron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093B1 (ko
Inventor
서병화
Original Assignee
서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화 filed Critical 서병화
Priority to KR102000001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09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들이 지지되고 일측에 구동모터(70)가 장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쪽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되는 브러쉬롤러(20)와, 상기 브러쉬롤러의 맞은편에 소정 간격을 두고 프레임(10)에 장착되며 증기 분출용 구멍들이 브러쉬롤러(20)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스팀분출드럼(30)과,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서 전기제어장치에 제어 가능하게 장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일정 온도로 다림질하는 다림장치(50)와; 상기 다림장치 후부쪽에 장치되어 다림질된 원단이 열처리되며 통과되도록 하는 냉각장치(60)로 구성되어, 원단 파일의 눕혀진 방향이 균일하고, 변형된 파일의 형태가 열처리되어 반영구적으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이다.

Description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system and method for lay down file of velvet}
본 발명은 벨벳(velvet) 원단의 파일들을 눕혀주어 독특한 심미감이 표출되도록 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눕혀진 상태가 정교하고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하며, 공정이 기계에 의해 연속되도록 하므로 상품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벳원단은 파일들이 탄력성을 갖고 돌출되어 세워진 형태로 직조되는데, 파일을 눕혀주어 독특한 심미감이 표출되도록 하기도 한다.
종래 벨벳원단에서 파일을 눕혀주는 방법은 파일이 세워진 상태의 원단을 넓은 다이 상부에 펼쳐두고 분무기를 사용하여 물을 뿌리고 브러쉬를 사용하여 파일을 한쪽방향으로 눕혀준 후 다리미로 다림질을 하여 굽혀진 파일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 벨벳원단의 파일 변형방법은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분무작업과 브러쉬작업 및 다림질을 하기 때문에 파일의 눕힘 상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작업시간에 비해 생산성이 너무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원단 파일의 특성상 다림질 후 상당 시간이 경과되면 눕혀졌던 파일이 다시 일어나 상품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러쉬롤러와 건증기를 분출하는 스팀분출드럼을 구비하여 벨벳 원단이 회전하는 브러쉬롤러와 스팀분출드럼 사이로 이송되도록 하므로 파일의 눕혀진 방향이 균일하고, 상기 공정을 거친 원단이 다림장치 와 냉각장치를 연이어 통과하도록 하므로 변형된 파일의 형태가 열처리되어 반영구적으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장치와 그 변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브러쉬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밀림방지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팀분출드럼 및 건조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스팀분출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림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안내롤러
12 : 석면 20 : 브러쉬롤러
30 : 스팀분출드럼 40 : 건조드럼
50 : 다림장치 60 : 냉각장치
70 : 구동모터 80 : 밀림방지롤러
본 발명은 벨벳원단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들이 지지되도록 일정 폭의 입체형으로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원단의 파일을 눕혀주기 위한 브러쉬롤러가 상기 프레임이 선단부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장치되고, 건증기를 분출하는 스팀분출드럼이 브러쉬롤러와 수평하게 장치되며, 상기 스팀분출드럼 후부쪽에 파일이 눕혀진 원단을 건조시켜 주기 위한 건조드럼이 장치되며, 상기 건조드럼 후부공정에 상기 건조된 원단을 일정 온도로 다림질하고 열처리하기 위한 다림장치 및 냉각장치가 연이어 장치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파일형상 변형방법은 건증기를 분출하는 스팀분출드럼과 브러쉬롤러에 의해 피딩(feeding)되는 원단의 파일을 일정 방향으로 눕혀주는 파일눕힘단계와, 상기 파일눕힘단계에서 파일의 형태가 변형된 원단이 소정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드럼 외주면을 지나며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원단을 석면 상부에서 소정온도를 유지하는 다림장치에 의해 다림질하는 다림질단계와, 상기 다림질단계를 거친 원단을 냉각장치에 의해 열처리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폭의 입체형으로 프레임(10)이 형성되어 양측의 프레임(10) 사이에 원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11)들이 지지되고, 상기 원단의 파일을 눕혀주기 위한 브러쉬롤러(20)와 건증기를 분출해 주기 위한 스팀분출드럼(30)이 프레임(10)의 선단부에 수평하게 지지되며, 스팀분출드럼(30)의 후부쪽에 파일이 눕혀진 원단이 이송되며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드럼(40)의 양단부가 프레임(10)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건조드럼(40)의 후부쪽에 상기 건조된 원단을 일정 온도로 다림질하기 위한 다림장치(50)가 원단이 이송되는 석면(12) 상부에서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치되고, 다림장치(50) 후부쪽에 다림질된 원단을 냉각처리하기 위한 냉각장치(60)가 상기 석면(12) 상부에서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치된다. 한편, 프레임(10) 하부에는 구동모터(70)가 장착되어 스팀분출드럼(30)과 브러쉬롤러(20) 및 안내롤러(11)들이 벨트에 의해 구동모터(70)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팀분출드럼(30)과 건조드럼(40)은 각기 파이프에 의해 증기공급장치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치는 제1단계로 피딩되는 원단이 스팀분출드럼(30)과 브러쉬롤러(20) 사이로 이송되면서 스팀분출드럼(30)에서 분출되는 스팀의 열과 브러쉬롤러(20)의 브러쉬에 의해 빗질이 되어 원단의 파일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눕혀지게 되며, 이렇게 변형된 원단이 제2단계에서 소정 온도를 띄는 건조드럼(40)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면서 원단에 내포된 수분이 증발되게 된다. 또한, 제2단계를 거친 원단은 제3단계와 제4단계에서 프레임(10) 상부에 깔린 석면(12)의 상부를 이송하게 되며, 이때 석면(12) 선단부 상부에 배치된 다림장치(50)에 의해 소정 온도로 다림질되어 파일의 눕혀진 상태가 굳게 되고, 석면(12) 후부쪽 상부에 배치된 냉각장치(60)에 의해 냉각 처리된 후 권취부로 이송되게 된다.
여기에서, 브러쉬롤러(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 직경을 갖는 드럼 외주면에 플라스틱 브러쉬가 조밀하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가 풀리(pulley)에 의해 구동모터(70)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모터(70)에 전원이 인가되면 함께 일정속도로 회전되고, 외주면의 브러쉬가 이송되는 원단의 파일을 일정방향으로 빗질하여 눕혀지도록 한다.
이러한 브러쉬롤러(20)는 원단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원단 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눕혀지도록 하며, 원단이 계속 이송되므로 이송되는 원단이 선단에서 끝단까지 동일방향으로 눕혀지도록 한다.
스팀분출드럼(30)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드럼 외주면에 브러쉬롤러(20) 쪽을 향하여 스팀분출구멍들이 형성되고, 일측부가 파이프에 의해 증기공급장치에 연통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소정 온도의 증기를 분출시켜 파일의 눕혀짐이 원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팀분출드럼(30)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열선(31)이 내장되어, 공급되는 증기를 가열하므로 분출되는 증기의 성분이 건증기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림장치(5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철재박스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석면(12)이 깔린 프레임(10)의 상부에 조절노브(5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열판(52)들이 내부에 장착되고, 전열판(52)들 사이에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200°C) 이상에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온도센서(53)가 장치된다.
이러한 다림장치(50)는 온도센서(53)에 의해 전열판(52)의 발열작동이 제어되게 되어 일정온도(200°C)를 유지하게 되며, 바닥과 석면(12) 사이로 이송되는 원단이 다림질되고, 원단에 남아 있는 수분이 석면(12)에 의해 흡수되도록 한다.
냉각장치(60)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박스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석면(12)이 깔린 프레임(10)의 상부에 조절노브(6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급수관(62)이 내부로 연통된다.
이러한 냉각장치(60)는 급수관(62)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박스 저면이 상온 상태의 냉각수 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다림장치(50)에서 비교적 높은 온도로 다림질 된 원단이 저면과 석면(12)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원단이 강제로 냉각되도록 하므로 변형된 파일이 열처리되어 그 형상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밀림방지롤러(8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소정 직경을 갖는 목재롤러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바늘들이 조밀하게 돌출되며, 다림장치(50)의 전방 양쪽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다림장치(50)와 석면(12) 사이로 이송되는원단의 양쪽을 펼친 상태로 안내하여 원단이 말리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러쉬롤러와 건증기를 분출하는 스팀분출드럼을 구비하여 벨벳 원단이 회전하는 브러쉬롤러와 증기를 분출하는 스팀분출드럼 사이로 이송되도록 하므로 파일의 눕혀진 방향이 균일하고, 상기 공정을 거친 원단이 다림장치와 냉각장치를 연이어 통과하도록 하므로 변형된 파일의 형태가 열처리되어 반영구적으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Claims (6)

  1. 원단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들이 지지되고 일측에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쪽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되는 브러쉬롤러와, 상기 브러쉬롤러의 맞은편에 소정 간격을 두고 프레임에 장착되며 증기 분출용 구멍들이 브러쉬롤러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스팀분출드럼과,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서 전기제어장치에 제어 가능하게 장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일정 온도로 다림질하는 다림장치와; 상기 다림장치 후부쪽에 장치되어 다림질된 원단이 열처리되며 통과되도록 하는 냉각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스팀분출드럼과 다림장치 사이에 고온증기에 의해 발열되는 건조드럼이 장착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외주면에 바늘들이 돌출되는 밀림방지롤러가 다림장치의 전방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송되는 원단이 펼쳐진 상태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다림장치 및 냉각장치의 하부쪽 프레임에 석면이 위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장치.
  5. 건증기를 분출하는 스팀분출드럼과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되는 브러쉬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의 파일을 일정 방향으로 눕혀주는 파일눕힘단계와, 상기 파일눕힘단계를 거친 원단을 고온의 다림장치에 의해 다림질하는 다림질단계와, 상기 다림질단계를 거친 원단을 저온의 냉각장치에 의해 열처리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파일눕힘단계와 다림질단계 사이를 이송하는 원단을 발열장치인 건조드럼에 의해 건조시켜 주는 건조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
KR1020000018384A 2000-04-03 2000-04-03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 KR10034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384A KR100347093B1 (ko) 2000-04-03 2000-04-03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384A KR100347093B1 (ko) 2000-04-03 2000-04-03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483A true KR20010095483A (ko) 2001-11-07
KR100347093B1 KR100347093B1 (ko) 2002-07-31

Family

ID=1966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384A KR100347093B1 (ko) 2000-04-03 2000-04-03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0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171B1 (ko) * 2005-11-18 2006-04-24 이화덕 증기를 이용한 파일직물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100967089B1 (ko) * 2009-11-26 2010-07-01 이남윤 직물 수축가공장치
WO2011065786A2 (ko) * 2009-11-26 2011-06-03 주식회사 한국화이브론 직물 수축가공장치
CN112376185A (zh) * 2020-11-03 2021-02-19 江苏通亦和科技有限公司 一种产业用纺织制成品输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6935B (zh) * 2018-05-09 2020-12-08 湖州达立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布料旋转式熨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429B1 (ko) * 1989-12-26 1992-02-13 주식회사 코오롱 인조스웨드(Suede)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940008394Y1 (ko) * 1992-12-01 1994-12-16 정병조 파일 (Pile) 직물 브러쉬 엠보장치의 스팀공급장치
KR0136949B1 (ko) * 1995-12-27 1998-04-28 김영조 직물 원단 표면 가공장치
KR100285553B1 (ko) * 1998-10-28 2001-04-02 노재숙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171B1 (ko) * 2005-11-18 2006-04-24 이화덕 증기를 이용한 파일직물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100967089B1 (ko) * 2009-11-26 2010-07-01 이남윤 직물 수축가공장치
WO2011065786A2 (ko) * 2009-11-26 2011-06-03 주식회사 한국화이브론 직물 수축가공장치
WO2011065786A3 (ko) * 2009-11-26 2011-11-10 주식회사 한국화이브론 직물 수축가공장치
CN112376185A (zh) * 2020-11-03 2021-02-19 江苏通亦和科技有限公司 一种产业用纺织制成品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7093B1 (ko)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673B1 (ko) 스판원단 주름방지 장치
KR100347093B1 (ko) 벨벳원단의 파일(毛)형상 변형방법과 그 장치
US4773133A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xing knitted fabric
US3641635A (en) Pile-fabric-finishing methods and apparatus
KR100967089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US6637333B2 (en) Apparatus to aid in fixing dye to fabric
US4947528A (en) Method and apparatus to erect pile fibers
KR101021856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KR101835078B1 (ko)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
US405279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finishing of webs of textiles, artificial leather and the like
JPS6132429B2 (ko)
EP10579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setting a knitted fabric in tubular form
KR102055619B1 (ko)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JP3647805B2 (ja) 筒状繊維製品特に編物製品の処理方法
US4241478A (en) Apparatus for shrinking of textile webs
KR200439629Y1 (ko) 섬유 건조장치
JP4119133B2 (ja) 繊維製品の仕上加工装置
CN215289315U (zh) 一种用于袜子的加热定型装置
KR940004383B1 (ko)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EP3850140B1 (en) Machine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fabric, in particular for the control of dimensional stability
KR100382843B1 (ko) 파일원단의 셋팅장치
CN214537249U (zh) 一种无纺布生产用干燥装置
JPH07145551A (ja) 帯状繊維物品を連続的にプレス,蒸絨及びセツトする装置
KR900004041Y1 (ko) 직물지의 주름자동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