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741A -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741A
KR20010094741A KR1020017008327A KR20017008327A KR20010094741A KR 20010094741 A KR20010094741 A KR 20010094741A KR 1020017008327 A KR1020017008327 A KR 1020017008327A KR 20017008327 A KR20017008327 A KR 20017008327A KR 20010094741 A KR20010094741 A KR 20010094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internal combustion
crown
actuator
electromagnetic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8827B1 (ko
Inventor
바딘-미샤우드길레스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1009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시동기(10)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동기 노즈부(12)를 포함하는 시동기(10)의 새시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평행한 축을 구비하는 전자 액추에이터(14) 및 전자 모터(16)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또한 상기 시동기 헤드(36)의 축방향 변위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16) 및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상기 작동 레버의 각 횡단 단부는 시동기 노즈에 의해 지지된 제 1 베어링 부분(68)과, 모터(16) 및/또는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케이싱에 연결된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82)에서 제 1 베어링 부분과 대향 관계로 형성된 상보적인 제 2 베어링 부분(88)으로 구성되는 2개 부분 베어링에서 피봇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10)에 있어서,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82)가 전자 액추에이터의 상보적인 전방 부분과 협동하는 환형 횡단 크라운(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STARTER EQUIPPED WITH AN IMPROVED LEVER SUPPORT PART}
자동차용 시동기는 기본적으로 전기 모터 및 전자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그러한 형태의 시동기 디자인의 일 예는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 2 699 605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프랑스 특허 제 2 699 605 호에 있어서 시동기는 액추에이터 및 모터의 축을 수납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놓이는 횡단 플레이트와, 시동기 노즈부(starter nose)를 포함한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작동 레버는 부재[상기 부재의 중앙부는 관절 핀(articulating pin)에 의해 횡단되고, 대향 단부는 각기 2개의 반부 베어링내에 수납됨]의 형상으로 된다. 2개의 제 1 반부 베어링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시동기 노즈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노즈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2개의 제 2 반부 베어링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직사각형 플레이트는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모터 및 전자 액추에이터용 위치를 제공하는 요소에 고정된 후방 단부를 갖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반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결합 부재의 장점을 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형태의 시동기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밀폐 캡을 형성하며, 전자 액추에이터의 출력 부재의 단부와 출력 샤프트의 자유 전방 단부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시동기 노즈부를 포함하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시동기 헤드를 지지하는 시동기의 새시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평행한 축을 구비하는 형태이며, 또한 상기 시동기 헤드의 축방향 변위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 및 전자 액추에이터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상기 작동 레버의 각 횡단 단부는 시동기 노즈부에 의해 지지된 제 1 베어링 부분과, 모터의 케이싱에 및/또는 전자 액추에이터의 케이싱에 연결된 작동 레버용 결합 부재에서 제 1 베어링 부분과 대향 관계로 형성된 상보적인 제 2 베어링 부분으로 구성되는 2개 부분 베어링에서 피봇되는, 상기 시동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용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의 상보적인 전방 부분과 협동하는 환형 횡단 크라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액추에이터와 시동기 노즈부 사이에 개재되며, 전자 액추에이터의 전방 부분이 초기에 그의 크라운상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그 후,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환형 크라운이 정합 결합에 의해 시동기 노즈부의 상부에 쉽게 장착되어, 시동기의 끼워맞춤이 보다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크라운은 진동 흡수를 돕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환형 크라운의 내경이 전자 액추에이터의 상보적인 전방 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며, 시동기의 조립 동안에 환형 크라운이 전자 액추에이터의 전방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싸서 전자 액추에이터의 중심설정을 보장하며;
ⓑ 환형 크라운이, 후방쪽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시동기의 조립 동안에 전자 액추에이터내의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인 구멍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 핀을 포함하며, 이 핀에 의해 전자 액추에이터가 환형 크라운에 대해서 일정하게 표시되며;
ⓒ 환형 크라운이 스크류의 나사형 자유 단부가 스크류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나사형 구멍을 구비한 대향 관계로 되게 하는 방법으로 시동기의 조립 동안에 전자 액추에이터 및 시동기 노즈부를 조립하기 위한 스크류의 본체가 함께 유지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 스크류의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환형 크라운의 주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스크류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이격된 2개의 립(lips)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설정 핀은 그들의 상보적인 구멍에 강제-끼워맞춤되어 액추에이터는 분실할 수 없다.
크라운으로 인해, 밀봉이 개선된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된 프랑스 특허 제2 699 905 호에 있어서, 전자 액추에이터의 전방 부분이 시동기 노즈부의 후방 면상으로의 접촉은 제조적인 이유로 인해 완전히 평평하지 않는 금속제 표면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평탄도에 있어서의 오차는 약간의 갭을 발생시킨다.
차량이 진흙길을 주행할 때, 물의 비말(splashes of water)은 시동기상으로 튀게 된다. 이러한 비말은 시동기가 녹슬게 하고, 갭내로 들어간다. 그런 후 물은 시동기내로, 특히 전자 액추에이터내로 들어간다. 습기가 가동 코어를 덮으며, 이러한 것은 전자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양호한 활주 운동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런 후 전자 액추에이터가 결국 망가질 때까지 시동기의 작동은 악화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자 액추에이터의 전방 부분과 시동기 노즈부의 후방 면 사이에 환형 밀봉 링을 끼워맞추는 일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상기 환형 밀봉 링은 충분히 양호한 밀봉을 제공하지만, 이 환형 밀봉 링의 가격 및 그의 취급, 그리고 추가적인 끼워맞춤 시간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
크라운은 그러한 밀봉 링을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특징에 따르면, 환형 크라운은 전자 액추에이터의 전방 부분과 시동기 노즈부의 자유 후방 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압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2개 요소 사이에서의 밀봉을 보장한다.
따라서 물이 시동기내로 들어갈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가동 코어는 쉽게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은 시동기의 유효 수명에 있어서 유리하다.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시동기, 특히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동기의 축방향 조립 단면도,
도 2는 시동기가 끼워맞춰지기 전으로서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기의 상부 부품의 확대된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레버용 결합 부재가 설치된 시동기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방향은 도 1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에 해당하도록 사용된다. 시동기 몸체 또는 새시를 포함하며, 하우징의 주요소는 전방에 위치되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주형 부품 형태로 제조된 시동기 노즈부(12)이다. 전자 액추에이터(14) 및 전기 모터(16)는 노즈부(12)의 후방에 장착 및 고정된다.
전자 액추에이터(14)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케이싱(15)을 가지며, 원통형 케이싱의 전방부는 카커스(carcass)를 구성하며, 원통형 측면(22)과 함께 전방으로 향한 제 1 반경방향 환형 면(20)에 의해 형성되는 환형 숄더(18)를 구비한다. 전방부의 제 2 반경방향 환형 전방 면(21)은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종방향 축(A2)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숄더(18)에 대응하는 환형부(24)는 결합관계로 액추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시동기 노즈부(12)의 후방에 형성된다. 시동기(10)의 조립동안에 제 1 반경방향 환형 면(20)과 접촉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향하는 제 3 반경방향 환형 면(23)과, 후방으로 향하고 제 3 반경방향 환형 면(23)으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편향되는 제 4 반경방향 환형 면(25)이 구비된다. 조립 후,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제 2 반경방향 환형 전방 면(21)과 시동기 노즈부(12)의 제 4 반경방향 환형 면(25) 사이에 간극(j1)이 생긴다.
제 3 면(23)과 제 4 면(25)은 원통형 측면(26)을 통해 측면(22)보다 훨씬 더 긴 축방향 길이로 서로 연결된다.
특히, 축(A1)을 가지는 전기 모터(16)는 대체로 원통형 케이싱(17)과 아마츄어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그의 전방부는 단차형으로 되어 있다. 자유 전방 단부는 우선 아마츄어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안내하고, 그 후 회전 운동을 유성 기어열(epicyclic geartrain)에 전달하며, 따라서 상기 유성 기어열은 감속 기어열 출력 샤프트(32)의 자유 후방 단부를 회전식으로 구동시킨다.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699 605 호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열 출력 샤프트(32)의 자유 전방 단부는 베어링내에 안내되고, 상기 베어링은 시동기 노즈부(12)에 위치된다.
전기 모터(16)는 스트레처(stretchers)의 형태인 고정 볼트(34)에 의해 시동기 노즈부(12)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처는 케이싱(15, 17)을 관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본 경우에 있어서 시동기 노즈부(12)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체결된다.
전방의 시동기 헤드(36)는 시동기 크라운과 결합하는 전방 위치와 후방 또는정지 위치 사이의 기어열 출력 샤프트(32)의 스플라인된 중간부(38)상에서 축방향으로 활주한다.
그러한 크라운은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699 605 호의 도 1에서 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특허는 피니언을 도시하고, 시동기 헤드는 상기 크라운과 정합을 위해 전방에 피니언을 포함하고 있다.
전방 시동기 헤드(36)의 활주는 피봇식 작동 레버(4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피봇식 작동 레버(40)는 전자 액추에이터(14)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 액추에이터(14)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으나 소위 컨택터 시스템(contacter system)을 통해 전기 모터(16)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공지된 구조를 가지며, 이는 작동 레버(40)가 개재된 출력 부재(50)에 의해 피봇되도록 하며, 그의 전방 자유 단부가 횡단 핀(52)을 지지하고, 상기 횡단 핀(52)은 작동 레버(40)의 상단부(56)에 형성된 홈(54)내에 수납된다.
출력 요소는 상기 핀(52)의 통과를 위해 전방 단부에 구멍을 갖는 로드(rod)로 이루어진다.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699 605 호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다른 단부는 "치형 대 치형(tooth against tooth)"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결합을 위한 헤드를 가지며, 상기 치형 대 치형 스프링은 로드를 둘러싸고 전방 단부를 가지며, 전방 단부는 가동 코어(moving core)(151)상에 결합하고, 가동 코어의 활주 운동은 케이싱(15)의 카커스에 의해 안내되며, 케이싱(15)은 캡에 의해 폐쇄된다. 카커스는 지지체(153)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부(winding)(152)를 지지한다.
고정된 코어(154)는 권취부(152)용 지지체(153)내로 관통하고 로드(155)를 안내하며, 상기 로드(155)는 가동 접촉부(도시되지 않음)로 나아가고, 상기 가동 접촉부(moving contact)는 전력을 전기 모터(16)에 공급하기 위한 고정 접촉부(fixed contact)(도시되지 않음)와 협동하게 된다.
시동기 헤드(36)의 활주 운동은 예를 들면 시동 키를 돌림으로써 권취부(152)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는 자기장이 카커스 및 고정 코어(154)내에 흐르도록 하고, 이는 가동 코어(151)를 변위시킨다.
그런 후, 로빙 피니언(roving pinion)은 자동차의 열기관(heat engine)용 시동기 크라운쪽으로 변위된다.
가동 코어의 변위가 연속적임에 따라, 관련된 로드(155)의 작용하에 가동 접촉부가 고정 접촉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도달하며, 그 곳에서 가동 코어는 추력을 발생시킨다.
그런 후, 시동기 헤드의 피니언이 회전 구동하도록 그리고 시동기 헤드가 시동기 크라운과 확실히 정합하도록 전기 모터(16)에 전력이 공급되어 회전 구동된다.
그런 후, 레버(40)는 축(A3)을 중심으로 피봇되고(후술됨), 하기에 상술된 방법으로 레버의 하단부를 통해 헤드(36)상에 결합된다.
일단 시동 키가 해제되면, 권취부(152)는 더이상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리턴 스프링(156)은 가동 코어(151) 및 레버(40)를 그들의 정지 위치로 복귀시킨다.
공지된 방법에 있어서, 스프링(156)은 가동 코어(151)를 둘러싸고, 스프링의 일 단부는 케이싱(15)의 카커스를 지지하고, 스프링의 타 단부는 부재(참조부호가 없음)의 숄더를 지지한다(도 4에 잘 도시됨).
작동 레버(40)는 섬유 보강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작동 레버(40)는 횡단 기하학적 축(A3)을 중심으로 피봇되고, 상기 횡단 기하학적 축(A3)은 작동 레버(40) 몸체의 대향 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피봇 핀의 2개 대향 부분(58)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횡단 기하학적 축(A3)은 전기 모터(16)의 아마츄어 샤프트의 회전 축(A1) 및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축(A2)을 포함하는 도 1의 평면에 수직이다.
작동 레버(40)의 하부 부품(60)은 시동기 헤드(36)의 제어 표면(62)과 협동하는 포크(fork)의 형태이다.
각 피봇 핀(58)의 반부는 2개 부품 베어링내에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각 베어링은 제 1 오목한 원통형 반부 베어링(64)과 상보형 제 2 원통형 오목한 반부 베어링(66)을 포함한다.
2개의 제 1 반부 베어링(64)(횡방향으로 대향됨)은 후방쪽으로 향하는 시동기 노즈부(1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수평 플레이트(68)의 형태인 부분의 단부에 형성된다.
플레이트 부분(68)은 시동기 노즈부(12)로 성형되며, 축(A3)을 수납하고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축(A2) 및 전기 모터(16)의 축(A1)과 평행한 평면내에 놓인다.
플레이트 부분(68)은 축(A3)이 도 1을 참조했을 때 수평면에 놓이도록 위치설정되며, 상기 축(A3)은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케이싱과 전기 모터(16)의 케이싱(17) 사이에서 연장한다.
플레이트(68)의 전방 부품은 포크 형태를 제공하는 중앙 리세스(70)를 가져서, 작동 레버(40)의 배향 중앙 부분(72)이 피봇 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2개의 원통형 오목한 반부 베어링(66)은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82)의 직사각형의 평행 6면체의 형태인 전방 부분(8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레버(40)용 결합 부재(82)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단일 구성요소이며,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섬유가 보강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82)의 전방 부분(80)은 수평 플레이트이고, 상기 수평 플레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된 조건에 있을 때 시동기 노즈부(12)의 플레이트 부분(68)의 수평 평면에 대해 연장부를 형성하는 평면에 놓인다.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82)는,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종방향 축(A2) 및 전기 모터(16)의 종방향 축(A1)을 수납하고, 도 1의 단면에 대응하는 수직한 중간 평면에 대해 대칭인 대자인을 갖는다.
또한, 전방 부분(80)은 리세스(84)를 가져서 작동 레버(40) 몸체의 중앙 부분의 대응면(86)이 관절 축(A3)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결합 부재(82)의 중간 부분(88)은 수직 요소이며, 이 수직 요소는 전방 부분(80)의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놓이며,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숄더(18)에 대해 상보형인 오목한 원통형 제 1 상부 표면(90)을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원통형 측면(22, 26)은 그들의 종방향 축으로서 축(A2)을 갖는다. 측면(26) 및 면(23, 25)은 레버의 통로를 위해 국부적으로 가로막혀 있다. 중간 부분(88)은 이 통로를 폐쇄한다.
후방 부분(92)은 대체로 튜브 영역의 형태이다. 후방 부분은 그 하면상에 리브(94)를 구비한다. 이 리브중 2개는 각각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세 번째 리브는 후방 부분(92)의 후방 단부에 대해 횡방향 아래로 연장된다.
시동기(10)의 조립 동안에, 전기 모터(16)와 감속 기어열(32)의 출력 샤프트는 케이싱에 고정된다. 그 후, 특히 기계적 액추에이터(14)로 구성되는 조립체, 작동 레버(40)와 결합 부재(82)는 시동기 노즈부(12)의 상부에 위치되어, 먼저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숄더(18)가 시동기 노즈부(12)의 상응하는 부분(24)과 협동하고, 그 다음, 중간 부분(88)과 레버(40)용의 결합 부재(82)의 후방 부분(88)이 시동기(10)의 케이싱과 전자 액추에이터(14)와 전기 모터(16)의 각각의 케이싱(15, 17) 사이에 있는 개구를 폐쇄한다.
조립 작업 동안에, 관절 핀 부분(58)은 작동 레버(40)용의 결합 부재(82)의 2개의 제 2 오목한 원통형 반부 베어링(66)상에서 결합되고, 전자 액추에이터(14)와 시동기 노즈부(12)의 조립 작업 도중 관절 베어링이 적절히 재구성된다.
시동기(10)의 작동시, 중간 부분(88)과 후방 부분(92)의 제 3 횡단 리브는 2개의 제 2 원통형 반부 베어링(66)상의 피봇 핀의 반부(58)의 결합에 의해 발생된 축방향 힘을 흡수한다. 본 예에 있어서 제 3 리브는 전기 모터의 고정자(160)의 전방 단부상에서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레버(40)용의 결합 부재(82)와,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전방 부분과, 시동기 노즈부(12)의 후방 부분은 변형된다.
케이싱(15)의 헤드를 시동기의 노즈부(12)에 조립하기 위해 스크류(104)가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환형 형태인 횡단 크라운(100)이 중간 부분(88)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작동 레버(40)용의 결합 부재(82)와 횡단 크라운(100)은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제 2 반경방향 환형 전방 면(21)의 외경은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작으며, 그 외경은 횡단 크라운의 내경에 대응한다.
횡단 크라운(100)의 축방향 두께(E)는 제 1 반경방향 환형 면(20)과 제 4 환형 면(25) 사이에 시동기(10)를 조립한 후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최대 간극(j2)보다 크다.
보다 명확성을 위해서, 리턴 스프링(156) 및 그 결합 부재는 도 3에 도시하지 않았다.
시동기(10)의 조립 동안에, 횡단 크라운(100)은 우선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전방 부분상에 장착되며, 상기 크라운의 내경은 컨택터(14)의 제 2 반경방향 환형 전방 면(21)이 중심설정되게 허용하는 크기이며; 크라운(100)의 내주연부는 제 2 면(21)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통형 측면(22)과 긴밀하게 접촉된다. 횡단 크라운(100)의 선회축(A4)은 면(26)의 축에 있는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종방향축(A2)에 대응한다. 다음에, 횡단 크라운(100)의 환형 후방 횡단 면(102)은 액추에이터(14)의 제 1 반경방향 환형 면(20)에 결합된다.
그후, 전자 컨택터(14) 및 횡단 크라운(10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103)는 시동기 노즈부(12)와 조립된다. 제 1 반경방향 환형 면(20)의 외주연부는 반경방향 환형 면(23)에 결합된다. 다음에, 횡단 크라운(100)의 축방향 두께(E)가 최대 간극(j2)보다 크면, 횡단 크라운(100)이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크라운(100)과 제 2 및 제 4 반경방향 환형 면(21, 25)과 접촉하는 표면의 영역에서의 물 튐(water splashing)에 저항하여 밀봉이 보장될 수 있게 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께(E)는 결합 부재(82)에 사용되는 재료의 탄성에 따라 좌우되지만 최대 간극(j2)보다 약간 크다.
예를 들면 크라운(100)의 재료에 따라서 차이는 0.5㎜ 내지 2㎜이다.
레버(40)용 결합 부재(82)상에서 작동 레버(40)에 의해 발휘되어, 횡단 크라운(100)의 축방향 압축력을 증대시키는 축방향 후방력은 전자 액추에이터(14) 및 시동기 노즈부(12)상의 조립 볼트(104)에 의해 발휘되는 축방향 파지력보다 작아서, 제 1 및 제 3 반경방향 환형 면(20, 23)이 항상 서로 결합되어 있게 한다. 따라서, 금속대 금속 접촉은, 레버(40)가 액추에이터(14) 및 시동기 노즈부(12)의 체결시에 일부분으로서 작동된다면 존재하는 것으로,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의 소성 유동 및 탄성으로 인한 모든 문제점을 제거함으로써 컨택터의 안정된 체결을 제공한다.
따라서, 횡단 크라운(100)은 우선 전자 액추에이터가 중심설정될 수 있게 하고, 둘째 시동기 노즈부(12)와 전자 액추에이터(14) 사이에 밀봉이 보장될 수 있다.
다음에, 액추에이터의 리턴 스프링(156) 및 가동 코어(151)는 물이 외부에서 도달할 어떠한 위험성도 없이 작동하여, 가동 코어의 양호한 활주 운동이 보장된다.
3개의 위치설정 핀(106)은 횡단 크라운(100)상에 형성된다. 이들 핀은 원추형이며, 횡단 후방 면(102)으로부터 후방쪽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횡단 크라운의 축(A4)에 대한 그 각도 분포는 일정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 핀은 레버(40)용의 결합 부재에 대한 전자 액추에이터(14)의 각도 표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설정 핀(106)의 축은 중간 평면에 놓여 있는 반면에, 다른 2개의 핀(106)은 중간 평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횡단 크라운(100)상에 위치된다. 3개의 상보적인 종방향 구멍(108)은 제 1 반경방향 환형 면(20)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의 상대 작도 위치는 3개의 위치설정 핀(106)에 대응하게 놓여 있다.
핀의 개수는 적용에 따라 좌우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핀(106)이 제공된다.
따라서,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82)와 전자 액추에이터(14)의 끼워맞춤 동안에, 단일 각도 위치는 핀(106)이 구멍(108)에 들어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치설정 핀(106)의 기부의 직경은 구멍(108)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이것에 의해 전자 액추에이터(14) 내측에서의 밀봉이 환형 크라운(100)에 의해 보다 균일하게 이뤄질 수 있게 보장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설정 핀(106)은 원통형이다.
스크류(104)용의 유지 수단(110)은 횡단 크라운(100)의 주변부상에 형성된다. 이들 수단은 조립 스크류(104)가 관통 및 안내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스크류(104)용의 유지 수단(110)은 횡단 크라운(100)에 직접 형성된 구멍이거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횡단 크라운(100)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쌍으로 평행한 립이다.
조립 작동 동안에, 체결 스크류(104)는 나사형 자유 단부가 후방쪽으로 배향되도록 조립체(103)에 사전에 위치된다. 스크류(104)는 시동기 헤드(36)내의 구멍(도시하지 않음)내로 도입된다. 또한, 이들 스크류(104)는 립(110)에 의해 유지 및 사전중심설정된다. 다음에, 컨택터(14)는 핀(106)상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스크류(104)의 단부는 컨택터(14)에 형성된 나사형 구멍(109)의 전방에 자동적으로 중심설정된다. 마지막으로, 스크류(104)는 스크류 헤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나사체결되며, 상기 스크류 헤드는 시동기 헤드(36)의 외측에 위치되며, 시동기 헤드상에 지지되도록 배열된다.
유지 수단(110)내의 스크류(104)용 통로 폭은 스크류를 "파지"하도록 스크류(104)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크류는 시동기(10)가 조립되기 전에 분실할 어떠한 위험없이 조립체(103)내에 사전에 장착된다.
횡단 크라운(100)의 내부 반경방향 환형 면의 전방 부분에 의해 플래어형 부분이 형성된다. 플래어형 부분(114)은 가동 크라운과 이 크라운을 둘러싸는 리턴 스프링이 전자 액추에이터내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절두원추형 형태이다. 이와관련하여, 원추형 형태는 전자 액추에이터(14)에 끼워맞춰지는 동안에 가동 크라운의 자유 후방 단부가 초기에 도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직경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환형 크라운(100)을 포함해서 레버(40)용 결합 부재(82)는 몇몇 기능, 즉 작동 레버(40)의 관절 기능,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중심설정 기능, 액추에이터(14)의 각도 표시 기능, 시동기 노즈부(12)와 전자 액추에이터(14) 사이의 밀봉 기능, 조립 스크류(104)의 안내 및 유지 기능, 전자 액추에이터에 장착되기 전에 가동 헤드와 그 리턴 스프링의 예비 위치설정 기능을 비용저렴하게 충족시킨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82)는 조립될 부품의 개수나 시동기(10)의 가격을 증가시키지 않고 시동기(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 부재(82)는 공동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하부 부분은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그 밀봉 상부 부분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면(21, 25)과 결합시에 크라운(100)의 반경방향 면의 각각상의 폐쇄 라인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비드는 시동기상에 액추에이터(14)를 조립하는 동안에 스크류(104)에 의해 체결될 때에 발휘되는 압축력을 제한한다.
플라스틱 재료의 부재(82)는 가볍고 부식되지 않는다. 이러한 부품은 자체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작동 레버(40)의 피봇 영역에서 마찰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부식 영향이 감소된다.
부재(82) 및 레버(40)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성형에 의해 쉽게 제조되며, 그 결과 시동기를 가볍게 한다. 이들 부품(40, 82)은 모든 소망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저렴하다.
또한, 부분(88)으로 인해서 부재(82)가 레버(40)의 통로용 노즈부(12)의 후방에 형성된 국부적인 구멍을 밀봉식으로 커버한다. 이러한 구멍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25, 26)을 통해 연장된다.
부재(82)는 그 후방 부분 또는 부품(92)을 인해서 케이싱(17)의 전방에 형성된 구멍을 밀봉식으로 폐쇄하는 다른 기능을 갖고 있어서 부재(82)의 어떠한 이동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후방 부분은 상기 구멍의 종방향 에지와 협동하기에 적합한 2개의 종방향 홈을 갖고 있다.
후방 부분(92)은 바람직하게 인발기에 의해 상기 구멍내에 강제로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94)는 후방 부분의 종방향 측면 에지 뒤에 있어서 양호한 밀봉 및 용이한 끼워맞춤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른 2개의 리브에 직각인 제 3 리브(94)는 전기 모터의 고정자와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케이싱(17)이 상술한 구멍을 폐쇄하는 고정자(160)의 양 측면상에 배치된 전방 및 후방 부분을 포함하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단일편인 케이싱 자체에 의해 폐쇄된다.
물론 감속 기어열이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아마츄어 샤프트)는 프랑스 특허 제 2 699 905 호 공보에 개시된 시동기 헤드를 직접 지지한다.
모든 경우에, 시동기 헤드를 지지하는 출력 샤프트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전기 모터의 출력 또는 아마츄어 샤프트는 그 자유 단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의 감속 기어열의 출력 샤프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출력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106)은 이어부(160)에 의해 중심에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이어부(160)의 회전이 방지되는 방법으로 이어부(160)를 장착하기 위해서 시동기의 노즈부의 원통형 측면(26)내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이어부(160)는 리세스에 파지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조립 스크류(104)의 통로에 리세스가 형성된다.

Claims (8)

  1. 특히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10)로서, 밀폐 캡을 형성하며,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출력 부재(50)의 단부와 출력 샤프트(32)의 자유 전방 단부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시동기 노즈부(12)를 포함하며, 모터(16)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시동기 헤드(36)를 지지하는 시동기(10)의 새시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평행한 축(A2, A1)을 구비하는 형태이며, 또한 상기 시동기 헤드(36)의 축방향 변위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16) 및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축(A2, A1)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A3)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작동 레버(40)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상기 작동 레버의 각 횡단 단부는 시동기 노즈부(12)에 의해 지지된 제 1 베어링 부분(64)과, 모터(16)의 케이싱(17)에 및/또는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케이싱(17)에 연결된 작동 레버(40)용 결합 부재(82)에서 제 1 베어링 부분과 대향 관계로 형성된 상보적인 제 2 베어링 부분(66)으로 구성되는 2개 부분 베어링에서 피봇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10)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40)용 상기 결합 부재(82)가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의 상보적인 전방 부분과 협동하는 환형 횡단 크라운(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크라운(100)이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전방 부분과 상기 시동기 노즈부(12)의 자유 후방 단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압축되도록 장착되며, 이에 의해 상기 2개 요소 사이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크라운(100)의 내경이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상보적인 전방 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며, 시동기(100)의 조립 동안에 상기 환형 크라운(100)이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전방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싸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14)의 중심설정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크라운(100)이, 후방쪽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시동기(10)의 조립 동안에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14)내의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인 구멍(108)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 핀(106)을 포함하며, 이 핀에 의해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14)가 환형 크라운(100)에 대해서 일정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크라운(10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다수의 위치설정 핀(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핀 또는 핀(106)들이 절두원추형 형태이며, 상보적인 구멍(108)의 기부 직경보다 큰 기부 직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크라운(100)이 스크류의 나사형 자유 단부가 스크류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나사형 구멍을 구비한 대향 관계로 되게 하는 방법으로 시동기의 조립 동안에 전자 액추에이터(14) 및 시동기 노즈부(12)를 조립하기 위한 스크류(104)의 본체가 함께 유지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04)의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환형 크라운(100)의 주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스크류(104)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이격된 2개의 립(1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
KR1020017008327A 1999-10-29 2000-10-26 내연 기관용 시동기 KR100688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3603A FR2800422B1 (fr) 1999-10-29 1999-10-29 Demarreur equipe d'une piece d'appui de levier perfectionnee
FR99/13603 199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741A true KR20010094741A (ko) 2001-11-01
KR100688827B1 KR100688827B1 (ko) 2007-02-28

Family

ID=955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327A KR100688827B1 (ko) 1999-10-29 2000-10-26 내연 기관용 시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47308B1 (ko)
KR (1) KR100688827B1 (ko)
CN (1) CN1165683C (ko)
DE (1) DE60018387T2 (ko)
FR (1) FR2800422B1 (ko)
WO (1) WO2001031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3017B1 (fr) * 2003-11-28 2007-12-21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a reducteur comportant des moyens d'articulation du levier de commande
DE102007061106A1 (de) 2007-12-19 2009-06-25 Robert Bosch Gmbh Star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tarters
FR2969219B1 (fr) * 2010-12-20 2013-01-11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pour reducteur de vitesse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associe
FR2978500B1 (fr) 2011-07-26 2015-03-13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mobile lanceur - levier de commande pour engrenement avec une couronne de demarrage d'un moteur thermique et demarreur d'un moteur thermique comportant un tel ensemble
FR2997732A1 (fr) 2012-11-08 2014-05-09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muni d'un dispositif d'absorption des chocs par cisaillement
DE102012223027B4 (de) * 2012-12-13 2021-03-18 Seg Automotive Germany Gmbh Start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N105459818B (zh) * 2015-10-29 2017-12-29 济南吉利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带有挠性盘发动机的起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0461B (en) * 1982-05-18 1986-01-29 Paris & Du Rhone Electric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E56573T1 (de) * 1985-07-03 1990-09-15 Siemens Ag Digitale filterweiche, insbesondere fuer einen datenempfaenger.
FR2699605B1 (fr) * 1992-12-23 1995-02-10 Valeo Equip Electr Moteur Dé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de vé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1195A1 (fr) 2001-05-03
EP1147308B1 (fr) 2005-03-02
KR100688827B1 (ko) 2007-02-28
FR2800422B1 (fr) 2001-11-30
FR2800422A1 (fr) 2001-05-04
CN1327517A (zh) 2001-12-19
DE60018387T2 (de) 2006-04-06
EP1147308A1 (fr) 2001-10-24
DE60018387D1 (de) 2005-04-07
CN1165683C (zh)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1210B1 (en) Throttl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21259B2 (en) Throttle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US7770557B2 (en) Throttle body, method of adjusting opening of ope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rottle body
US6488010B2 (en) Throttle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EP0458702A1 (fr) Actionneur, notamment pour la commande d'orientation d'un projecteur de véhicule automobile
US7425186B2 (en) Swivel arm assembly for a friction gear of an accessory uni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quipped with belt-driven auxiliary units
GB2088707A (en) Components for windscreen wiper drive mechanisms
JP2002138861A (ja) スロットルバルブボディ
US698686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hrottle valve unit with integrated throttle valve
KR100688827B1 (ko) 내연 기관용 시동기
US7207545B2 (en) Throttle bodies with throttle valves actuated by motors
US5469753A (en) Starter unit for a motor vehicle engine
KR20050045997A (ko) 와이퍼 구동장치용 베어링
KR20020097272A (ko) 내연기관의 밸브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3838217B2 (ja) 可変吸気装置
KR100750426B1 (ko) 스로틀 밸브 어셈블리
CN113726090A (zh) 一种电机驱动结构及电机驱动装置
EP1701064B1 (fr) Groupe motopropulseur comprenant un dispositif antibruit
FR2762273A1 (fr) Motoreducteur pour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un conduit de liquide de nettoyage
JP2000265861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FR2676204A1 (fr) Piston notamment pour une tige de cremaillere de systeme de direction assistee de vehicule automobile.
FR2736313A1 (fr) Actionneur, notamment pour la commande de l'orientation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KR20030005510A (ko)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펌프
KR20010066870A (ko) 부하 조절 장치용 하우징
EP0329906A1 (fr) Equipage mobile pour moteur thermique et moteur thermique comportant un tel équipage 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