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644A - 이동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644A
KR20010093644A KR1020010004690A KR20010004690A KR20010093644A KR 20010093644 A KR20010093644 A KR 20010093644A KR 1020010004690 A KR1020010004690 A KR 1020010004690A KR 20010004690 A KR20010004690 A KR 20010004690A KR 20010093644 A KR20010093644 A KR 2001009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base station
communication protocol
processing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649B1 (ko
Inventor
스미노모리히코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9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서로 다른 통신프로토콜로 운영되고 있는 휴대전화시스템 사이의 로밍(roaming)을 저렴하게 실현하는 이동전화장치를 제공한다.
Init(Initialization)스테이트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발신되는 Sync채널메시지를 수신하면,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을 나타내는 P_REV필드를 판독한다.
통신프로토콜이 T53인 경우, Idle스테이트∼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있어서 실행할 복수의 처리 수순을 그대로 실행하지만,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IS95인 경우, Idle스테이트∼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있어서 실행할 복수의 처리 수순의 어느 처리 수순 대신에, 다른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무선통신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전화장치{MOBILE TELEPHON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시스템에 설치된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이동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휴대전화시스템의 하부구조는, 일본 및 구미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전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정비되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시스템의 무선통신방식에는, 시분할 다원접속방식(TDMA방식), 주파수분할 다원접속방식(FDMA방식), 부호분할 다원접속방식(CDMA방식)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CDMA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은, 멀티패스 페이딩(multipath fading)대책에 있어 뛰어나, 도시에서의 통신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장래성이 많이 기대되고 있다.
CDMA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은, 미국의 퀄콤사가 개발한 방식이, 1993년에 미국의 표준방식의 하나「IS95」로 채용됨으로서 본격적인 운용이 개시되었으며, 그 이후, IS95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은, 1995년 9월에는 홍콩, 1996년 1월에는 한국 등과 같이 전세계의 여러 나라에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IS95는, IS-95→IS-95A→IS-95B와 같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일본국에서는, IS-95A를 베이스로 하여 책정된 ARIB STD-T53(일반적으로 T53이라 한다.)에 준하여 CDMA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휴대전화시스템의 하부구조가 각국에 있어서 정비되어 감에 따라, 국제 로밍(roaming)이 가능한 이동전화장치의 등장이 기대되고 있다.
국제 로밍이 가능한 이동전화장치란, 제1국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그와 함께, 제1국에서 제2국으로 가지고 나간 경우에, 제2국에서의 동작도 가능하게 되는 이동전화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미국의 IS95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으로 통화가 가능한 이동전화장치를, 홍콩이나 한국에서 사용하는 것, 소위 미국-홍콩, 미국-한국간의 국제 로밍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홍콩이나 한국에서는, 미국과 동일한 IS95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이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동전화장치는 IS95에 준거하여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한, 휴대전화시스템과 통신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의 IS95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으로 통화가 가능한 이동전화장치를, ARIB STD-T53의 프로토콜로 휴대전화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는 일본에 반입하였을 경우, 이동전화장치 측은 IS95에 준거한 처리 수순으로 통신을 실행하려고 하고, 시스템 측은 T53에 준거한 처리 수순으로 통신을 실행하려고 한다.
이 경우, 이동전화장치 측의 처리 수순과, 시스템 측의 처리 수순이 불일치하게 되므로, 일본으로 반입된 이동전화장치는, 통신을 실행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미국-일본국 사이의 국제 로밍은 불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실행할 처리 수순은, 프로그램코드로 실현되기 때문에, IS95-T53의 양방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코드를 미리 이동전화장치에 실장해 두면, 일본-미국 사이와 같이, 운용프로토콜이 다른 국가간에서의 국제 로밍은 가능하게 된다고도 생각된다.
그러나, IS95-T53의 양방의 처리 수순을 실행할 프로그램코드를 실장하려고 하면, 개개의 통신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를 이동전화장치에 실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로그램코드의 코드사이즈는 배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드사이즈가 배로 증가하게 되면, 그것을 수용하는 메모리의 규모도 배로 필요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이동전화장치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말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통신프로토콜로 운영되고 있는 휴대전화시스템 사이의 로밍을 저렴하게 실현하는 이동전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이동전화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 상태 천이(狀態遷移)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Sync채널 메시지의 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Paging채널 메시지의 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는, Forward Traffic채널 메시지의 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b)는, Order 메시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의 (a),(b)는, 상향-하향채널에 대한 주파수할당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Init스테이트에 있어서의 메시지 처리부(3)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Idle스테이트, System Access스테이트, 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있어서의 메시지 처리부(3)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DMA 처리부 2 : 사용자 인터페이스
3 : 메시지 처리부 11 : 수신계통
12 : 송신계통 13 : PN부호 발생회로
14 : 역(逆)확산회로 15 : 복조회로
16 : 필터 17 : 타이밍 변경회로
18 : PN부호 발생회로 19 : 변조기
20 : 확산회로 21 : LCD
22 : 키보드 부 23 : 스피커
24 : 마이크
본 발명은, 이동전화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의 종별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프로토콜 리비젼에 제1통신프로토콜이 나타나 있는 경우, 복수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1처리수단과, 프로토콜 리비젼에 제2통신프로토콜이 나타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처리 수순과는 일부의 처리 수순이 다른 복수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2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동전화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이동전화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전화장치는, CDMA처리부(1)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와 메시지처리부(3)를 구비한다.
CDMA처리부(1)는 4, 5개의 CDMA방식의 수신계통(11)과, 송신계통(12)을 포함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CDMA방식의 수신계통(11)은, PN부호계열이 발생하는 PN부호 발생회로(13)와, 안테나에 유기(誘起)된 수신신호에, 발생한 PN부호계열을 곱하는 것에 의해 수신신호의 역확산을 실행하는 역확산회로(14)와, 역확산된 수신신호를 1차 복조하여 기지국이 발신한 메시지를 얻는 복조회로(15)와, 복조신호 가운데, 특정 주파대의 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필터(16)와, 필터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진폭에 따라 부호계열의 발생타이밍의 변경을 PN부호 발생회로(13)에 지시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의 동기 포착을 행하는 타이밍변경회로(17)를 포함한다.
4, 5개의 수신계통(11)의 집합은 Finger라 불리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도래하는 전파나 멀티패스를 수신한다.
CDMA방식의 송신계통(12)은, PN부호계열을 발생시키는 PN부호 발생회로(18)와, 기지국에 출력해야할 출력신호(메시지)를 1차 변조하는 변조기(19)와, 발생한 PN부호계열을 곱하는 것에 의해, 1차 변조된 출력신호의 확산을 행하며,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시킬 확산회로(2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는, 문자열, 기호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21),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키보드부(22), 스피커(23), 마이크(24)를 포함한다.
메시지처리부(3)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에 대한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Init스테이트∼Traffic channel스테이트 사이의 상태천이를 실행하며, CDMA처리부(1)를 통한 메시지의 송수신 통합제어를 실행한다.
도 2는,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의 상태천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nitialization스테이트(이하, Init스테이트라고 함)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이동전화장치에 전파가 도래하는 기지국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발견하고, 그 가운데, 수신전계의 강도가 일정레벨 이상의 것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기지국을 선택하면, Sync채널로서 기지국의 동기포착을 행한 후에, Idle스테이트로 이행한다.
Idle스테이트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대기상태를 행한다.
즉, Paging채널 위의 메시지를 감시하며, 자기장치수신의 착호(着呼)메시지나, 각종 파라미터가 송신되는 것을 대기한다.
본 스테이트에 있어서 아이들 핸드오프가 되거나, Paging채널 위의 메시지의 수신이 불가능하면, Init스테이트로 되돌아간다(화살표 y1).
이동전화장치에 대하여 온-훅(on-hook)조작이 된 경우, 또는, 자기장치수신의 착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System Access스테이트로 이행한다(화살표 y2).
System Access스테이트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자기장치에 대하여 on-hook조작 및 전화번호의 밀어내림이 행하여 진 경우, Paging채널로 발호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한편, 자기장치에 대한 착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Paging채널로 착호 응답메시지의 송신을 행한다.
발호 또는 착호 이외의 애크노리지(ACK)를 수신한 경우는, Idle스테이트로 되돌아간다(화살표 y3).
발호 메시지 또는 착호 응답메시지를 송신한 후, 기지국에 대하여 위치등록을 행하여, 콜 접속이 완료되면, Traffic channel스테이트로 이행한다(화살표 y4).
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콜 접속이 행하여진 후, Traffic channel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을 행한다.
또, 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중에 이동전화장치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면, 그에 수반하여 핸드오프를 행한다.
조작자에 의해 off-hook조작 등이 행하여지면, 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을 종료하고, Init스테이트로 이행한다(화살표 y5).
이어서, 상술한 각 스테이트에 있어서, 기지국과 이동전화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하여 설명하며, 아울러 IS95와 T53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Init스테이트에 있어서의 공통점은, 도 3에 나타내는 Sync채널 메시지를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동기포착을 행하는 점이다.
도 3에 나타내는 Sync채널 메시지 가운데 중요한 점은,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IS95인지 또는 T53인지가 P_REV필드로 나타나 있는 점이다.
즉, 이 Sync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P_REV필드를 참조하면,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IS95-T53의 어느 것인가를 이동전화장치는 알 수가 있다.
Init스테이트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Sync채널에 대한 상향-하향의 주파수 할당이 역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상기의 상향이란, 이동전화장치→기지국의 방향을 말하며, 하향이란, 기지국→이동전화장치의 방향을 말한다).
T53에 있어서 상향에 825.030MHz, 하향에 870.030MHz가 할당되어 있다면, IS95에는 상향에 870.030MHz, 하향에 825.030MHz가 할당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T53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Sync채널 메시지가 870.030MHz로 송신되고 있다면, IS95의 휴대전화시스템에서는, 상술한 Sync채널 메시지가 825.030MHz로 송신되는 것이 된다.
이어서, Idle스테이트, System Access스테이트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Idle스테이트, System Access스테이트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Paging채널 메시지를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협조처리를 행하는 점은, T53-IS95사이에서 공통이다.
한편, 이들 Paging채널 메시지 가운데, ①∼②에 나타내는 메시지의 필드포맷은, T53-IS95 사이에서 다르다.
①에 나타내는 Neighbor List메시지란, 단말의 주변에 있는 기지국의 정보리스트(Neighbor List)를 이동전화장치에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이며, 메시지처리부(3)는, 이 Neighbor List와 함께, Active List(실제로 포착하고 있는 기지국의 리스트), Remain List(과거에 포착한 일이 있는 기지국의 리스트)를 참조하면서, 최선의 통신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기지국의 탐색을 행한다.
T53에 있어서의 Neighbor List메시지는, 주파수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파수가 다른 기지국의 포착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IS95에 있어서의 Neighbor List메시지는, 주파수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주파수가 다른 기지국의 포착은 불가능하게 된다.
②에 나타내는 Channel Assignment메시지는, Paging채널, Traffic채널의 할당처리를 행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이상으로 Idle스테이트, System Access스테이트에 대한 설명을 종료하고, 이어서 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Forward Trafficchannel메시지를 사용하는 점이 T53-IS95 사이에서 공통하고 있으며, 이들 Forward Traffic channel 메시지 가운데, ③∼④에 나타내는 필드의 구조가, T53-IS95 사이에서 다르다.
③에 나타내는 Alert With Information메시지란, 톤(다이얼 발신음이나 대화중의 음 등)제어처리를 행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④에 나타내는 Handoff Direction메시지란, 핸드오프처리를 행하기 위한 메시지이다(핸드오프란, 조작자가 이동하였을 때에, 포착하고 있는 기지국을 전환시키는 처리이다.).
그 밖에도, Order메시지에 포함되는 Service Option Request Order의 필드포맷이 다르다.
도 5(b)는, Paging채널 메시지 및 Forward Traffic channel메시지에 포함되는 Order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 가운데 ⑤에 나타내는 Service Option Request Order는, ⅰ.음성통화, ⅱ.데이터통신, ⅲ.쇼트메시지 통신 등, 각종 통화모드를 결정하는 처리, 소위, 서비스 옵션 제어처리를 행하는 명령이다.
이상과 같은 공통점, 차이점에 의거하면,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T53-IS95의 쌍방이 운용되고 있는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전화장치는 통신을 행할 수가 있다.
즉, 870.030MHz, 825.030MHz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Sync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 Sync채널 메시지의 P_REV필드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된 지역의 휴대전화시스템, 기지국에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IS95인지, T53인지를 알게 된다.
그 후, Idle스테이트∼Traffic channel스테이트로 이행하면, 이들 스테이트에 있어서 상술한 ①∼⑤에 나타내는 메시지의 송수신시에 실행하여야 할 처리만을 전환하여 실행한다.
IS95와 T53은, 상향-하향의 주파수할당이 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메시지처리부(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접속전환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에 의해, 상향-하향의 주파수할당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접속전환을, 도 6(a)와 같이 행하면, 상향에 870.030MHz, 하향에 825.030MHz가 할당되며, 도 6(b)와 같이 행하면, 상향에 825.030MHz, 하향에 870.030MHz가 할당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메시지처리부(3)는, 도 6(a)와 같은 주파수할당을 행하여 기지국의 포착을 시행(試行)하고, 만약 도 6(a)의 주파수할당으로 기지국의 포착에 성공하면, Init스테이트로부터 Idle스테이트로 이행한다.
도 6의(a)의 주파수할당으로, 기지국의 포착이 불가능하면, 도 6(b)와 같은 주파수할당을 행하여 기지국의 포착을 시행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메시지처리부(3)의 순서를 도 7,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Init스테이트에 있어서의 메시지처리부(3)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은, Idle스테이트, System Access스테이트, 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있어서의 메시지처리부(3)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이들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메시지처리부(3)의 처리내용을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하향에 할당된 주파수대에 대하여, Sync채널의 채널스캔을 행하며, 스텝 S2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Sync채널의 포착을 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Sync채널의 포착에 성공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착성공이면 스텝 S5로 이행하며, 실패면 스텝 S4에 있어서 상향과 하향 채널에 대한 주파수할당을 반전시키고 나서 재차 스텝 S1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도 6(a)와 같은 주파수할당으로 기지국의 포착에 실패한 것이라면, 도 6(b)와 같은 주파수할당을 행한다.
또, 도 6(b)와 같은 주파수할당으로 기지국의 포착에 실패한 것이라면, 도 6(a)와 같은 주파수할당을 행한다.
스텝 S1∼스텝 S4의 처리를 거쳐 기지국의 포착에 성공하면, 스텝 S5로 이행하며, 메시지처리부(3)는, Sync채널 메시지에 있어서의 P_REV필드를 참조하여,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된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IS95인지, T53인지를 판정한다.
어느 프로토콜이라고 판정되면, P_REV플래그의 설정을 행한다.
P_REV플래그란,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된 지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IS95인 경우 "1"로 설정되며, 통신프로토콜이 T53인 경우 "0"으로 설정되는 플래그이다.
스텝 S5에 있어서 IS95로 판정되면 스텝 S7에 있어서 P_REV플래그는 "1"로 설정되며, 스텝 S5에 있어서 T53으로 판정되면, 스텝 S6에 있어서 P_REV플래그는 "0"으로 설정된다.
도 8은, Idle, System Access, 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있어서의 메시지처리부(3)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1에 있어서, 메시지의 수신대기를 행하고, 만약 메시지를 수신하면, 스텝 S12에 있어서 메시지의 종별판정을 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수신한 메시지가 ①Neighbor List Message/②Channel Assignment Message/③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④Handoff Direction Message/⑤Service Option Request Order를 포함하는 Order Message의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고,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으면, 스텝 S13은 No가 되어 스텝 S15로 이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3)는, T53의 통신프로토콜에 준거한 처리 수순을 행한다.
한편, 수신한 메시지가 ①∼⑤의 어느 것이라면,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4로 이행하여, P_REV플래그를 참조한다.
P_REV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S15로 이행하여 T53의 통신프로토콜에 준거한 처리 수순을 행한다.
P_REV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IS95에 준거한 처리 수순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IS95인 경우, Idle스테이트∼Traffic channel스테이트에 있어서, 메시지의 수신시에 실행하여야 할 복수의 처리 수순의 전부를 전환시키는 것이 아닌, 복수의 처리 수순 가운데 일부를 다른 처리 수순으로 전환시키는 부분전환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 실장에 필요한 프로그램코드의 양은 『복수의 처리수순 + 일부의 처리수순』이 되며, 2개의 통신프로토콜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메시지가 많으면 많을수록, 총 프로그램코드의 양은 적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전화장치는, 이동전화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의 종별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프로토콜 리비젼에 제1통신프로토콜이 나타나 있는 경우, 복수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1처리수단과, 프로토콜 리비젼에 제2통신프로토콜이 나타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처리 수순과는 일부의 처리 수순이 다른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2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이 제2통신프로토콜인 경우, 복수의 처리 수순의 전부를 전환시키는 것이 아닌, 복수의 처리 수순 가운데 일부를 다른 처리 수순으로전환시키는 부분전환을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 실장에 필요한 프로그램코드의 양은 『복수의 처리 수순 + 일부의 처리 수순』이 되어, 2개의 통신프로토콜에 있어서 공통하고 있는 처리 수순이 많으면 많을수록, 총 프로그램코드의 양은 적게 된다.
특히, 제1통신프로토콜 및 제2통신프로토콜 가운데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베이스로 하여 책정되어 있는 경우, 이들 2개의 프로토콜은, 공통인 처리 수순이 많아지기 때문에, 프로그램 코드의 양을 적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미국-일본간의 국제로밍을, 적은 프로그램 코드의 양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처리 수순의 전환은, 기지국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의 종별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리비젼을, 수신한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하는 메시지로부터 판독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지기 때문에, 국제 로밍에 필요한 처리를,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일체 개입시키지 않고 실행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까다로운 조작으로 번잡하게 되지 않고, 이동전화장치를 제2국 또는 제1국으로 반입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메시지에 후속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순차 수신하며, 상기 제2처리수단은, 수신된 메시지가, 제1통신프로토콜과 제2통신프로토콜로 필드포맷이 공통하고 있는 메시지인가, 필드포맷에 차이점이 있는 메시지인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필드포맷이 공통하고 있는 메시지라고 판정된경우, 제1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처리 수순과 공통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제1실행부와, 필드포맷에 차이점이 있는 메시지라고 판정된 경우, 제1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처리 수순과 다른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제2실행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필드포맷이 공통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공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신프로토콜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코드는, 필드포맷이 다른 메시지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만으로 된다.
통신프로토콜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코드를 적게 함으로서, 코드사이즈를 삭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아울러서, 메모리의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제1주파수 및 제2주파수가 할당된 채널의 쌍방을 스캔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에서 발신되는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IS95의 통신프로토콜-T53의 통신프로토콜과 같이, 상향, 하향의 주파수 할당이 역전하고 있는 경우라 하여도, 기지국 포착을 행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이동전화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는 통신프로토콜의 종별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프로토콜 리비젼에 제1통신프로토콜이 나타나 있는 경우, 복수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1처리수단과,
    프로토콜 리비젼에 제2통신프로토콜이 나타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처리 수순과는 일부의 처리 수순이 다른 복수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2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메시지에 후속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순차 수신하며,
    상기 제2처리수단은,
    수신된 메시지가, 제1통신프로토콜과 제2통신프로토콜로 필드 포맷이 공통하고 있는 메시지인가, 필드포맷에 차이점이 있는 메시지인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필드포맷이 공통하고 있는 메시지라고 판정된 경우, 제1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처리 수순과 공통의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제1실행부와,
    필드포맷에 차이점이 있는 메시지라고 판정된 경우, 제1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처리 수순과 다른 처리 수순을 실행하는 제2실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통신프로토콜과 제2통신프로토콜로 필드의 포맷에 차이점을 갖는 메시지는,
    이동전화장치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기지국을 통지하는 근방기지국 리스트메시지, 채널할당을 통지하는 채널할당메시지, 통화모드 결정을 행하는 서비스옵션 요구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 핸드오프처리를 위한 핸드오프 다이렉션 메시지, 링거제어를 행하기 위한 메시지의 어느 것인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프로토콜을 운용하고 있는 기지국은 상기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1주파수가 할당된 채널로 송신하고,
    제2통신프로토콜을 운용하고 있는 기지국은 상기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주파수가 할당된 채널로 송신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제1주파수 및 제2주파수가 할당된 채널의 양방을 스캔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에서 발신되는 프로토콜 리비젼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KR10-2001-0004690A 2000-03-28 2001-01-31 이동전화장치 KR100402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9523A JP3416610B2 (ja) 2000-03-28 2000-03-28 移動電話装置及び通信プロトコルの処理手順切り換え方法
JP2000-89523 2000-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44A true KR20010093644A (ko) 2001-10-29
KR100402649B1 KR100402649B1 (ko) 2003-10-22

Family

ID=1860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690A KR100402649B1 (ko) 2000-03-28 2001-01-31 이동전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50676B2 (ko)
JP (1) JP3416610B2 (ko)
KR (1) KR100402649B1 (ko)
CN (1) CN100499923C (ko)
CA (1) CA234211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72B1 (ko) 2001-09-11 200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상이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들간의 아이들핸드오프를 위한 처리 방법
KR100878803B1 (ko) * 2002-03-13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오프 수행 방법
US7961682B2 (en) 2002-04-11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between base stations of different protocol revisions in a CDMA system
US20060116123A1 (en) * 2004-11-29 2006-06-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paging in a flexible multi-carrier system
US7447502B2 (en) * 2005-01-14 2008-11-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heme for providing regulatory compliance in performing network selection in a foreign country
ATE393517T1 (de) * 2005-01-14 2008-05-15 Research In Motion Ltd Netzauswahl in einer mehrfachsystemumgebung in einem besuchten plmn
JP2009152695A (ja) * 2007-12-18 2009-07-09 Fujitsu Ltd 携帯装置の仕様統合制御システム、携帯装置及び仕様統合制御方法
US8599767B2 (en) * 2008-06-26 2013-12-03 Netge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s
US10588057B2 (en) * 2018-03-14 2020-03-10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between base stations of two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4844B (en) * 1994-11-07 1999-05-26 Motorola Inc Communication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3135832B2 (ja) 1995-12-04 2001-02-1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移動通信用複合端末機
EP0852448A1 (en) * 1997-01-02 1998-07-08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s
SE512927C2 (sv) * 1997-01-30 2000-06-05 Ericsson Telefon Ab L M Trådlös terminal arbetande enligt fler än ett luftgränssnittsprotokoll
KR19990031841A (ko) * 1997-10-15 1999-05-06 정태기 코드분할 다중접속/아날로그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의 국제 로밍을 위한 수치할당모듈 지정 방법
JP3348196B2 (ja) 1998-03-06 2002-11-20 独立行政法人通信総合研究所 無線伝送システム
JP3161599B2 (ja) * 1998-07-10 2001-04-2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システム
KR20000045588A (ko) * 1998-12-30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망에서 타망 가입자 로밍 및 호처리 방법
JP3022546B1 (ja) * 1999-02-10 2000-03-21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US6961583B2 (en) * 1999-05-24 2005-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network system selection mechanism within a mobile station
US6754490B2 (en) * 1999-08-27 2004-06-22 At&T Wireless Services, Inc.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for permitting a cellular/wireless telephone instrument to access different wireless telephone network/systems
KR100347751B1 (ko) * 1999-12-27 2002-08-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변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649B1 (ko) 2003-10-22
CA2342116C (en) 2010-01-05
CA2342116A1 (en) 2001-09-28
US6950676B2 (en) 2005-09-27
JP3416610B2 (ja) 2003-06-16
CN1315816A (zh) 2001-10-03
CN100499923C (zh) 2009-06-10
JP2001285938A (ja) 2001-10-12
US20010027118A1 (en) 200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06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communication
KR0150354B1 (ko) 사용자 지국 사이에 직접 통신을 설정하는 방법과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KR100402649B1 (ko) 이동전화장치
KR101149200B1 (ko) 시스템 선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1285939A (ja) 移動電話装置
US64838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ervice in a “border area”
JP3037239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移動通信方法
EP1083759B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JP3688646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および方法
JP3625414B2 (ja) 中継機
JP3076320B1 (ja) 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KR19980074164A (ko) 중첩 cdma(코드분할다원접속)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333180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着信制御方法
JP2000341211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0345602B1 (ko) 무선전화기에서 내부 호의 음성 및 데이터 신호의 확장방법
JP4463068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KR100211519B1 (ko) 고정장치를 이용한 휴대장치 사이의 호출 및 문자전송 방법
JPH1051374A (ja) 無線中継装置およびその無線チャネル中継方式
KR100784643B1 (ko) 해상에서의 이동 통신 제공 방법,장치 및 그 시스템
JPH0932674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H10304440A (ja) 制御チャネルの干渉回避方式
JP2002027540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着信制御方法
JPH08223627A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JPH07143567A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JP2002152791A (ja) Phs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phs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