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442A -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442A
KR20010093442A KR1020000016063A KR20000016063A KR20010093442A KR 20010093442 A KR20010093442 A KR 20010093442A KR 1020000016063 A KR1020000016063 A KR 1020000016063A KR 20000016063 A KR20000016063 A KR 20000016063A KR 20010093442 A KR20010093442 A KR 2001009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electronic control
wireles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욱
Original Assignee
정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욱 filed Critical 정광욱
Priority to KR102000001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3442A/ko
Publication of KR2001009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60R16/0234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related to maintenance or repair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제어유니트와 고장진단장치간에 데이터 통신을 무선화하여 차량 점검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점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상태를 전자적으로 감지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현재 차량의 고장유무를 점검하는 고장진단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결합하기 위한 제 1결합포트와, 제 1결합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결합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제 1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고장진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 2결합포트와, 제 2결합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고장진단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결합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제 2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고장진단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Wireless Diagonastic system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의 고장상태를 진단하는 차량고장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자제어유니트와 고장진단장치간에 데이터 통신을 무선화하여 차량점검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점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차량의 보편화된 보급과 여성 운전자의 확산으로 인하여 복잡한 메카니즘의 하나인 차량을 운전함에 있어 각종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고장 여부의 진단을 인위적으로 할 수 있는 운전자가 극소수이며, 반면 차량의 증가는 날이 갈수록 더해가는 추세이다.
이에,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정비업소의 수도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주기적으로 정비업소를 방문하거나 또는 차량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정비업소를 방문하여 차량점검을 실시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점검해보기 위하여 정비센터로 가면 점검자는 차량의 본네트를 열고 케이블을 이용하여 차량과 고장진단장치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차량과 고장진단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점검자는 고장진단장치를 들고나와 차량 옆에 놓거나 또는 점점자가 직접 고장진단장치를 들고서 차량의 고장상태를 한단계씩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 입장에서는 오랜 점검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점검자 입장에서는 일이 맣고 노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점검비가 비쌀 수밖에 없어 결국 운전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지우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과 고장진단장치를 무선으로 결합함으로써, 점검자에게는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점검시간을 단축시켜주며 작업환경의 제약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게는 검사비용을 낮추어 줄 수 있도록 된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의 시스템개요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자장치(100)와 고장진단장치(2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자장치, 200 : 고장진단장치,
110 : 전자제어장치, 111 : 전자제어유니트(ECU)
112 : 데이터메모리, 113, 212 : 키입력부,
120,220 : 무선모듈, 121,223 : RF신호처리부,
122,222 : 베이스밴드처리부, 123,221 : 제어부,
124,224 : 전원부, 210 : 고장진단수단,
211 : 고장진단부, 213 : 표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은, 차량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상태를 전자적으로 감지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현재 차량의 고장유무를 점검하는 고장진단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결합하기 위한 제 1결합포트와, 제 1결합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결합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제 1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고장진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 2결합포트와, 제 2결합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고장진단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결합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제 2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고장진단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내에 설치되는 전자장치와 차량진단수단간의 데이터송수신을 무선화함으로써, 차량의 상태점검을 위하여 차량의 본네트를 열거나 차량과 고장진단장치 사이를 케이블을 통해 결합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됨은 물론, 차량점검시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게 되며, 점검자의 수고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운전자는 고장진단경비가 절감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개요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은, 차량내부에 실장되는 전자장치(100)와 검사장비인 고장진단장치(200) 사이간의 데이터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즉, 도1에서 상기 고장진단장치(200)는 차량의 고장유무 파악에 따른 소정의 키입력을 근거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장치(100)로 송출하고, 상기 전자장치(100)는 상기 고장진단장치(200)로부터 수신되어 온 무선제어신호를 근거로 해당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상기 고장진단장치(200)로 송출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자장치(100)와 고장진단장치(2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에서, 전자장치(100)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수단(110)과, 전자제어수단(110)으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전기적인 상태데이터를 무선으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또한 고장진단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복조하여 상기 전자제어수단(110)으로 인가하는 제 1무선모듈(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수단(110)은 종래에 차량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장치로서, 제 1무선모듈(12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결합포트를 통해 전자제어수단(110)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제어수단(110)은 차량의 상태를 체크함과 더불어, 상기 제 1무선모듈(120)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이후에 설명할 데이터메모리(112)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전자제어유니트(ECU :111)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11)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메모리(112) 및,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11)에 소정의 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키입력부(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메모리(112)에 저장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는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무선모듈(120)은 상기 고장진단장치(200)로부터 송출되어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소정의 무선데이터를 검파하여 직렬데이터 형태로 출력함과 더불어, 이후에 설명할 제 1베이스밴드처리부(122)로부터 클럭(CLOCK)과 송수신개폐 등의 제어를 받으며 이 제 1베이스밴드처리부(122)로부터 인가되는 직렬데이터를 UHF대역, 예컨대 300∼3000MHz대역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등의 변조방식으로 피변조파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제 1RF신호처리부(121)와, 상기 제 1RF신호처리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이후에 설명할 제 1제어부(123)로 출력함과 더불어, 제 1제어부(123)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11)로부터 인가되는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RF신호처리부(121)로 송출하는 제 1베이스밴드처리부(122) 및, 상기 제 1베이스밴드처리부(122)로부터 인가되는 병렬데이터를 근거로 소정의 전기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11)로 송출함과 더불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11)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베이스밴드처리부(122)로 출력하는 제 1제어부(123)로 구성된다. 이때, 제 1제어부(12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결합포트를 통해 전자제어유니트(111)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무선모듈(120)에 소정의 동작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전원부(124)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도2에서 고장진단장치(20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의 상태정보를 진단하는 고장진단수단(210)과, 이 고장진단수단(2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고장진단수단(210)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 2무선모듈(2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장진단수단(210)은 종래에 차량고장 검사를 위한 장치로서, 제 2무선모듈(22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결합포트를 통해 고장진단수단(210)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수단(210)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는 고장진단부(211)와, 상기 고장진단부(211)를 조작하기 위한 제 2키입력부(122) 및 상기 고장진단부(211)로부터 인가되는 진단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무선모듈(220)은 상기 고장진단부(211)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이후에 설명할 제 2베이스밴드처리부(222)로 출력함과 더불어, 제 2베이스밴드처리부(222)로부터 인가되는 병렬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고장진단부(211)로 출력하는 제 2제어부(221)와, 상기 제 2제어부(221)로부터 인가되는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RF신호처리부(223)로 출력함과 더불어, 이 제 2RF신호처리부(223)으로부터 인가되는 직렬데이터신호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2제어부(221)로 출력하는 제 2베이스밴드처리부(222) 및, 상기 제 2베이스밴드처리부(222)로부터 인가되는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100)로 출력함과 더불어,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2베이스밴드처리부(222)로 출력하는 제 2RF신호처리부(2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2제어부(22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결합포트를 통해 고장진단부(211)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무선모듈(220)에 소정의 동작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2전원부(224)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차량에 실장된 전자장치(100)의 전자제어수단(110)은 차량의 동작에 따른 차량의 상태정보, 예컨대 엔진상태, 배기가스감지기능상태, 자동제동장치상태, 에어백장치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데이터메모리(110)에 저장하여 두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점검자가 고장진단장치(200)에 구비된 제 2키입력부(212)를통해 차량의 상태정보요구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고장진단부(211)에서는 이를 근거로 소정의 상태정보요구신호를 제 2무선모듈(220)로 송출하게 된다.
이어, 제 2무선모듈(220)은 고장진단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상태정보요구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차량내에 설치된 전자장치(100)로 송출하게 된다.
한편, 전자장치(100)의 제1무선모듈(120)에서는 고장진단장치(200)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상태정보요구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제어유니트(111)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제어유니트(111)는 제 1무선모듈(120)로부터 인가되는 상태정보요구신호를 근거로 데이터메모리(112)에서 차량의 상태정보를 독출하여 제 1무선모듈(120)을 통해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한 후 고장진단장치(200)로 송출하게 된다.
이어, 고장진단장치(200)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차량의 상태를 진단함과 더불어, 그 결과를 표시부(213)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고장진단부(211)에서는 수신되는 해당 차량의 상태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일정레벨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표시부(213)를 통해 소정의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고장진단장치(200)에서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표시부(213)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 바, 점검자가 차량의 현재 상태정보를 근거로 해당 부품 등을 교체한 후에는 해당 부품에 따른 데이터메모리(110)의 상태정보를 리세트하도록 무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결합된 제 1키입력부(113)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키를 입력함으로써, 데이터메모리(112)에 저장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 1결합포트를 통해 제 1데이터처리수단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차량내에 설치되는 전자장치와 차량진단수단간의 데이터송수신을 무선화함으로써, 차량의 상태점검을 위하여 차량의 본네트를 열거나 차량과 고장진단장치 사이를 케이블을 통해 결합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으로 데이터처리를 수행함으로 인해 차량점검시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게 되며, 점검자의 수고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운전자는 고장진단경비가 절감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내에 설치되는 전자장치와 차량진단수단간의 데이터송수신을 무선화함으로써, 차량의 상태점검을 위하여 차량의 본네트를 열거나 차량과 고장진단장치 사이를 케이블을 통해 결합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됨은 물론, 차량점검시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게 되며, 점검자의 수고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운전자는 고장진단경비가 절감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차량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상태를 전자적으로 감지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현재 차량의 고장유무를 점검하는 고장진단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고장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결합하기 위한 제 1결합포트와, 제 1결합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결합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제 1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고장진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 2결합포트와, 제 2결합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고장진단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결합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제 2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고장진단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데이터처리수단은 각각
    무선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무선데이터에 대해 복조처리하여 제 1입출력단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1입출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변조처리하여 상기 안테나로 송출하는 무선데이터처리부,
    상기 무선데이터처리부의 제 1입출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입출력단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2입출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1입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베이스밴드처리부 및,
    상기 베이스밴드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병렬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결합포트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 1 또는 제 2결합포트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신호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밴드처리부로 출력함과 더불어, 제 1 또는 제 2데이터신호처리수단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소정의 키입력이 있는 경우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 1결합포트를 통해 제 1데이터처리수단으로 송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KR1020000016063A 2000-03-29 2000-03-29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KR20010093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063A KR20010093442A (ko) 2000-03-29 2000-03-29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063A KR20010093442A (ko) 2000-03-29 2000-03-29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442A true KR20010093442A (ko) 2001-10-29

Family

ID=1965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063A KR20010093442A (ko) 2000-03-29 2000-03-29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34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816B1 (ko) * 2007-11-09 2008-03-12 주식회사 웨어리드 휴대용 차량진단장치
CN111846095A (zh) * 2019-05-14 2020-10-3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故障检测设备、电助力车及故障检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816B1 (ko) * 2007-11-09 2008-03-12 주식회사 웨어리드 휴대용 차량진단장치
CN111846095A (zh) * 2019-05-14 2020-10-3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故障检测设备、电助力车及故障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6501B2 (en) Wireless link for car diagnostics
US6668219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diagnostic device for automobile and control device for the same
US72574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ult diagnosis
US6373375B1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a vehicle
CN105501006B (zh) 一种tpms自动配对方法及装置
CN104655947A (zh) 一种车载天线故障诊断方法、装置及系统
KR20010093442A (ko) 무선 차량고장 진단시스템
JPH05332888A (ja) 自動車の故障診断システム
KR100385943B1 (ko) 자동차 원격진단용 인터페이스장치
CN101110132B (zh) 一种车载汽车故障诊断器
KR20030069520A (ko)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진단방법
KR100499944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자가진단 시스템
CN201111708Y (zh) 非接触式汽车故障诊断装置
US20080018449A1 (en) Tire state monitoring apparatus
KR100812816B1 (ko) 휴대용 차량진단장치
KR100786958B1 (ko) 자동차의 자기 진단용 티씨유 소프트웨어 전송시스템 및 그의 전송방법
KR100499945B1 (ko) 자동차용 자가진단 시스템
JPH08272440A (ja) 車両の無線操縦システム
US20060023805A1 (en) ASK communication device
CN210416485U (zh) 车辆故障诊断系统
JP2000283892A (ja) 故障診断装置用信号互換装置
KR19980074393A (ko) 차량의 고장진단 장치
CN210428185U (zh) 车辆故障诊断装置及系统
JP2001306133A (ja) 制御装置の診断方法
CN213461798U (zh) 一种机动车驾考驾培系统专用车载网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